KR102448305B1 -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305B1
KR102448305B1 KR1020210002260A KR20210002260A KR102448305B1 KR 102448305 B1 KR102448305 B1 KR 102448305B1 KR 1020210002260 A KR1020210002260 A KR 1020210002260A KR 20210002260 A KR20210002260 A KR 20210002260A KR 102448305 B1 KR102448305 B1 KR 10244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water
air
tower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0155A (en
Inventor
유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0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05B1/en
Publication of KR2022010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3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용수로 사용된 후 고액분리된 세척수를 공기 세정수로서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단계;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가 각각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배출가스 온도를 상온으로 조절시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ferring the washing 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after being used as domestic water to a washing tower as air washing water; introducing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into the washing tower; wash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respectively, from the wash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eat odors and fine dust generated in restaurants, etc., and to control the exhaust gas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to keep indoor air comfortable.

Description

음식점의 악취 및 미세먼지 처리방법{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How to deal with odor and fine dust in restaurants

본 발명은, 악취 및 미세먼지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dor and fine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ffectively treating odor and fine dust generated in a restaurant.

음식점에서는 악취와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음식물 조리과정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악취와 미세먼지가 다량 발생한다. 고깃집에서는 고기 구이 과정에서 유적, 미세먼지, 악취 성분을 발생시키는데 고깃집의 미세먼지 발생량은 미세먼지 발생량의 약 1.5 %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저감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저감장치의 설치를 지원하고 있고 제주도의 경우 저감장치 설치의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In restaurants, odors and fine dust are generated. In particular, a large amount of odor and fine dust i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food and the processing of food waste. Meat restaurants generate remains, fine dust, and odor components during the process of roasting meat, and the amount of fine dust generated by meat restaurants accounts for about 1.5% of the amount of fine dust generated. I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installation of reduction devices is being made mandatory.

이러한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물질은 기존의 필터 및 광촉매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어렵다. 필터방식은 악취의 화학성분을 완변히 거를 수 없고, 유적의 경우 기름성분으로 이루어져 필터의 여과성능을 심각히 저하시키고 폐색시키기 때문이다.It is difficult to treat the substances generated in these restaurants with conventional filters and photocatalytic methods. This is because the filter method cannot completely filter out the chemical components of bad odors, and the oil remains in the oil component, which seriously lowers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filter and clogs it.

전기집진기에 의한 방식 또한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유적에 의하여 효율 저하를 야기하며, 미세한 화학물질 및 악취성분은 잘 제거되지 않는다. 광촉매 방식의 경우 난분해성 입자상 물질 및 유적을 완벽히 분해시킬 수 없으며, 유적에 의하여 표면에서의 광분해 반응을 저해시키게 된다. The metho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lso consumes a lot of energy and causes a decrease in efficiency due to oil deposits, and fine chemicals and odor components are not well removed. In the case of the photocatalytic method,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decompose difficult-to-decompose particulate matter and oil droplets, and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n the surface is inhibited by the oil droplets.

특히, 음식점의 배가스는 조리과정 중 가열에 의하여 상변화를 통하여 기화된 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기존의 처리방식만으로 처리가 곤란하며 별도의 응축과정이 필요하다. 즉 기존에는 응축장치에 의한 수분제거, 악취처리장치에 의하여 악취제거, 전기집진기 및 필터에 의한 무기미세먼지 제거, 유적제거장치에 의하여 유적 제거, 광촉매 및 필터에 의한 미세화학물질 제거 등으로 개별적 기술로 존재할 뿐이다. In particular, the exhaust gas of restaurants contains a large amount of substances vaporized through phase change by heating during the cooking process, so it is difficult to treat only with the existing treatment method, and a separate condensation process is required. In other words, in the past, individual technologies such as water removal by condensing device, odor removal by odor treatment device, inorganic fine dust removal by electric dust collector and filter, oil removal by oil residue removal device, and microchemical removal by photocatalyst and filter, etc. exists only as

음식점 악취 저감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699891 호는 구이음식점 배출가스 처리장치에 관련한 것으로, 배출가스를 폐종이냅킨으로 충진된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유분/수분 혼합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 1379360 호는 오일이 함유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오일분리 후 집진기를 통해 가스를 태우는 방식의 악취 제거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Regarding the odor reduction device for restauran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99891 relates to a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a grilled restaurant, and proposes a device for removing oil/water mixed fine particles by passing the exhaust gas through a cartridge filled with waste paper napkins In order to treat gas containing oil,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379360 proposes a odor removal device in which the gas is burned through a dust collector after oil separation.

한편 기존의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내부공기를 정화하는데, 외부공기와의 환기가 되지 않아 코로나 등 전염병의 확산 위험성을 높이며, 일정한 실내공기를 신선공기 공급없이 정화하므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므로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에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existing air purifiers installed indoors purify the inside air while blocking the outside air, but it does not ventilate with the outside air, increasing the risk of spread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and purifying the constant indoor air without supplying fresh air. Since it increas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re is a limit to the creation of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이에 따라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악취, 무기성 미세먼지, 유기성 물질, 및 유적을 통합적으로 제거하고, 나아가 전염성 병원균의 사멸이 가능한 공기 정화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ir purification method capable of integrally removing moisture and odors, inorganic fine dust, organic substances, and relics generated in restaurants, and further killing infectious pathogens.

한국등록특허 제 1699891 호 (17.01.19 등록)Korea Patent No. 1699891 (registered on 17.01.19) 한국등록특허 제 1379360 호 (14.03.24 등록)Korea Patent No. 1379360 (Registered on 14.03.24)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활용수로 사용된 후 고액분리된 세척수를 공기 세정수로서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단계;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가 각각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ferring washing 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after being used as domestic water to a washing tower as air washing water; introducing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into the washing tower; wash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respectively, from the washing tower.

또한, 본 발명은,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세정하는 세정탑으로서, 세정탑 상부에 형성된 상기 세정수 유입부, 세정탑 하부에 형성된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유입부,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세정부, 세정탑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 공기 배출부, 및 세정탑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세정탑; 및 상기 세정탑과 하수 배관을 연결하는 하수 연결부;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tower for cleaning air containing odors and fine dust, wherein the cleaning water inle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tower, the air inlet including the odor and fine dust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tower, and the inlet A cleaning unit in which the air is wash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 purified air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tow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cleaning, and a cleaning wate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tower to discharge the cleaning water used for the cleaning a washing tower comprising 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and a sewage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washing tower and the sewage pipe to another object.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have the object of achieving these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can be easily deriv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general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lear objects.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생활용수로 사용된 후 고액분리된 세척수를 공기 세정수로서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단계;transferring the washing 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after being used as domestic water to the washing tower as air washing water;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단계;introducing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into the washing tower;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단계; 및wash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nd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가 각각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discharging each of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from the washing tower.

또한,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 공기이고, 상기 정화 공기는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may be outdoor air, and the purified air may be discharged into the room.

또한,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 공기이고, 상기 정화 공기는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may be indoor air, and the purifi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은 음식점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및 악취를 처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may be a method of treating fine dust and odor generated in a restaurant.

그리고, 상기 세정탑으로 이송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15 내지 30 ℃, 18 내지 28 ℃, 또는 20 내지 25 ℃일 수 있다.And,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transferred to the washing tower may be 15 to 30 ℃, 18 to 28 ℃, or 20 to 25 ℃.

또한,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유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taining the odor and fine dust may include oil droplets.

그리고,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음식 연기일 수 있다.And, the air containing the odor and fine dust may be food smoke.

그리고, 상기 세척수는 식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일 수 있다.Also, the washing water may b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또한, 상기 세척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may include a surfactant.

그리고, 상기 세정탑으로 이송되는 세정수는 세정탑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transferred to the washing tow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upper portion.

그리고, 상기 공기는 세정탑 하부로 유입되어 세정탑 상부로 확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tower and diffu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tower.

그리고, 상기 세정탑은 다단식으로 구획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And, the washing tower may be divided into sections in a multi-stage type.

그리고, 상기 세정에 의해 공기 중 유적, 수용성 물질, 무기질 물질, 미세먼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oil in the air, water-soluble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fine dust, or a mixture thereof may be removed by the washing.

또한,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정화 공기의 온도는 15 내지 30 ℃, 18 내지 28 ℃, 또는 20 내지 25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may be 15 to 30 ℃, 18 to 28 ℃, or 20 to 25 ℃.

또한, 상기 세정수가 세정탑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세정수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ower, a surfactant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washing water.

또한, 상기 세정수가 세정탑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세정수를 거품 발생 장치에 통과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ower, the washing water may be passed through a foam generating device.

또한, 상기 세정수를 세정수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washing water in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또한,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수를 순환시켜 상기 공기의 세정에 재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can be circulated and reused for washing the air.

그리고, 상기 정화 공기를 광촉매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tic treatment of the purified air.

그리고, 광촉매 코팅 투명 여재가 충진된 광촉매 처리장치에 상기 정화 공기를 통과시키는 광촉매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tic treatment step of passing the purified air through a photocatalyst treatment device filled with a photocatalyst-coated transparent filter medium.

그리고, 상기 투명 여재는 유리비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filter medium may be a glass bead.

그리고, 상기 투명 여재는 원통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filter medium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는,On the other hand, the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세정하는 세정탑으로서,A cleaning tower for cleaning air containing odors and fine dust, comprising:

세정탑 상부에 형성된 상기 세정수 유입부,The washing water inlet formed on the top of the washing tower,

세정탑 하부에 형성된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유입부,an air inlet containing the odor and fine dus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ower;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세정부,a cleaning unit in which the introduced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leaning water and is cleaned;

세정탑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 공기 배출부, 및A purification air discharge unit form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tow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cleaning, and

세정탑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세정탑; 및a washing tower formed under the washing tower and including 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and

상기 세정탑과 하수 배관을 연결하는 하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wage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washing tower and the sewage pipe.

또한, 상기 하수 배관은 하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wage pipe may be connected to a sewer.

그리고, 상기 하수구는 생활용수로 사용된 세척수를 고액분리하여 액상인 세정수를 분리 배출하는 고액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wer may include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liquid washing water by solid-liquid separation of washing water used as domestic water.

그리고, 상기 하수구는 개수대 또는 싱크대 하수구일 수 있다.And, the sewer may be a sink or a sink drain.

그리고, 상기 세정탑은 다단식으로 구획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And, the washing tower may be divided into sections in a multi-stage type.

또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상기 세정수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하는 계면활성제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urfactant input unit for additionally adding a surfactant to the washing water in front of the washing tower.

또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상기 세정수의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bubbles of the washing water in front of the washing tower.

또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세정수를 저장하거나 순환시키는 세정수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or circulating washing water in front of the washing tower.

또한,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2 단 이상의 저장조로 구성되고, 그 중 적어도 1 이상의 저장조는 세정탑과 연통되어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저장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storage tanks, and at least one storage tank among them may be a circulation storage tank communicating with the washing tower to circulate the washing water.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는 상기 정화 공기 배출부와 실외를 연결하는 실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n outdoor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purified air discharge unit to the outdoors.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는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광촉매 정화 처리하는 광촉매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photocatalytic treatment device for photocatalytic purifica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그리고, 상기 광촉매 처리장치는 광촉매가 코팅된 투명 여재가 충진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catalyst processing device may be filled with a transparent filter media coated with a photocatalyst.

그리고, 상기 투명 여재는 유리비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filter medium may be a glass bead.

그리고, 상기 투명 여재는 원통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filter medium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에 따르면 배출되는 정화 공기가 계절에 관계없이 온도가 20 ℃ 내외로 배출되어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 제거뿐만 아니라 전염성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어 전염병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고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은 음식점 세척수를 재이용하므로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이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ed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around 20° C. regardless of the season,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reduce heating and cooling costs. In addition, it can not only remove pollutants but also kill infectious pathogen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and producing clean and safe air. In addition, the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reuses restaurant washing wa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만, 아래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xemplary embodiments, since the following is merely a detailed description by exemplifying specific embodiments, 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described,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n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출원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 등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ntain' or 'have' are intended to refer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component (or component),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does not mean that the component etc. are not present or cannot be add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공기'와 '가스'는 서로 혼용해서 쓰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air' and 'ga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악취 저감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및 조리 과정에서의 수분 및 악취, 무기성 미세먼지, 유기성 미세먼지, 유적의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기 가능한 공기청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점 세척수 및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1 차 처리 후, 광촉매 장치에 의한 2 차 처리하여 전염성 병원균을 사멸하는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method for reducing fine dust and od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ble air cleaning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treating moisture and odors, inorganic fine dust, organic fine dust, and oil remains in food waste treatment and cook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terilization effect of killing infectious pathogens by performing secondary treatment with a photocatalytic device after the first treatment using restaurant washing water and surfactant.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은, 생활용수로 사용된 후 고액분리된 세척수를 공기 세정수로서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단계;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가 각각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ransferring the washing 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after being used as domestic water to a washing tower as air washing water; introducing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into the washing tower; wash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respectively, from the washing tower.

본 발명은 특히 음식점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및 악취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 조리 시 발생하는 음식 연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일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 method of treating fine dust and bad odors generated in restaurants, and may be food smoke generated during food cooking or bad odors generated from food waste.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1 회 이상 생활용수로 사용된 후 고액분리된 세척수를 공기 세정수로서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First, the washing 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after being used as domestic water at least once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tower as air washing water.

본 발명에서 악취나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세정하는 세척수는 생활용수로 사용된 세척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회 이상 사용된 세척수란 음식점 등에서 이미 한 번 이상 사용된 세척수로서 식기 세척, 음식 세척 등 기타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인 것으로, 싱크대, 개수대 등에서 사용 후 하수로 흘러가는 물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for cleaning the air containing bad odors or fine dus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used for living water. The washing water used at least once is washing water that has already been used at least once in a restaurant, etc., which is used for washing dishes, food washing, etc.

상기 세척수는 한 번 이상 사용된 것으로서 이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식기 세척용으로 사용된 세척수라면 식기 세척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는 일반적으로 한 번 사용하고 곧바로 하수로 흘려보내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세척수를 공기 세정에 재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washing water has been used more than once and already contains a surfactant. As an embodiment, if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it may contain a surfactant for washing dishes. This washing water is generally used once and immediately flows into sew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using such washing water for air cleaning.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유적을 포함하고 있어 일반적인 공기정화장치를 적용하기 곤란한데, 본 발명의 세척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유적을 용해시키는데 용이하고 체류시간이 짧고 부패되어 있지 않아 오염도가 낮으므로 공기 세정에 사용이 가능하다. Since the gas generated in restaurants contains oil, it is difficult to apply a general air purifier, but the wash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surfactant, so it is easy to dissolve the oil, the residence time is short,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w because it does not decay. It can be used for air cleaning.

세정수에는 계면활성제가 이미 포함되어 있으나, 필요할 경우 상기 세정수가 세정탑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세정수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으며, 거품 발생 장치를 통해 세정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추가 투입 또는 거품 발생 처리는 저장조 전단 또는 저장조와 세정탑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already contains a surfactant, but if necessary, a surfactant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washing water befor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ower, and the washing ability may be increased through a foam generating device. Additional input of the surfactant or foam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front of the storage tank or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washing tower.

또한, 상기 1 회 이상 생활용수로 사용된 세척수에는 음식물 찌꺼기, 기타 오염물 등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액분리를 통해 고형물을 제거한 세정수만 세정탑으로 보낼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는 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 외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싱크대 또는 개수대의 경우 하수 투입부에 설치된 거름망을 통해 간편하게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액상 세척수를 세정수라고 하며 세정탑에서 오염 가스나 공기를 세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water used at least once as household water contains solids such as food waste and other contaminants, only washing water from which solids are removed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can be sent to the washing tower. The solid-liquid separation may be performed by a filter or other known methods may be used, and in the case of a sink or a sink, solids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a sieve installed in the sewage inle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iquid washing water from which the solids are removed is referred to as washing water and serves to clean the polluted gas or air in the washing tower.

고액분리 후 세정탑으로 이송되어 공기 세정에 사용되는 세정수는 일상 생활 용수로서 수온이 15 내지 30 ℃, 18 내지 28 ℃, 또는 20 내지 25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는 실온에 가까워 고온의 수증기 및 유적의 응축에 용이하며 배출가스의 온도를 계절에 관계없이 상온 내외로 조절하여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여름철 외부 공기 또는 음식 연기와 같이 고온일 경우 세정수에 의해 실온에 가까운 적절한 온도로 냉각되어 실외로 배출될 시 불쾌한 공기를 내뿜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겨울철 외부 공기를 세정탑으로 유입시켜 정화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차가운 공기의 온도를 실온의 세정수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어 실내 온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난방비 및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solid-liquid separation, the washing water transferred to the washing tower and used for air washing is water for daily life, and the water temperature may be 15 to 30 ℃, 18 to 28 ℃, or 20 to 25 ℃. That is,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 to room temperature, so it is easy to condense high-temperature water vapor and oil droplets, and energy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o and from room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season. Accordingly, i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s high temperature such as outdoor air or food smoke in summer, it is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close to room temperature by the washing water, so that unpleasant air may not be emitted when discharged outdoors. Even when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by introducing it into the washing t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can be raised by the wash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the reduction of the indoor temperature, thereby saving heating and cooling costs and energy. .

상기 세정수는 세정탑으로 이송되기 전에 세정수 저장조에 저장될 수 있다. 세정수 저장조는 2 단 또는 2 단 이상으로 구성된 저장조일 수 있다. 이 경우 1 단 저장조는 순환저장조일 수 있으며 세정탑과 순환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1 단 저장조의 세정수를 순환시켜 세정탑에서 세정수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수를 순환시켜 다시 오염 공기의 세정에 재이용할 수 있다. 순환 과정에서 계면활성제의 추가 투입 또는 오염물의 필터링을 수행한 후 재이용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may be stored in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washing tower.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may be a storage tank consisting of two stages or two or more stages. In this case, the first-stage storage tank may be a circulation storage tank,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ower to circulate, circulates the washing water in the first-stage storage tank, and can be repeatedly used as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ower. That i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can be circulated and reused again for washing contaminated air. It can be reused after additional input of surfactant or filtering of contaminants in the circulation process.

반복 사용된 세정수는 미세먼지, 악취 물질 등 오염물질 제거능이 저하되거나 포화되면 하수로 배출할 수 있고, 이 때 2 단 저장조의 세정수를 1 단 저장조로 이동시켜 순환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 저장조를 구성하는 각 저장조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Repeatedly used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sewage when its ability to remove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and odor substances is reduced or saturated, and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from the second storage tank can be moved to the first storage tank to resume circulation. Therefore, each of the storage tanks constituting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음으로,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단계이다.Next,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음식점 등 실내에서 음식 연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한 가스일 수 있다. 음식 조리 시 발생한 연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 발생한 가스 등에는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과 미세먼지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실외(외부) 공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미세먼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거나 실외 공기를 유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것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The air containing the odor and fine dust may be gas generated from food smoke or food waste in an indoor restaurant such as a restaurant. Smoke generated while cooking food or gas generated from food waste disposal contains a large amount of substances that cause odor and fine dust. In addition, the air containing the odor and fine dust may be outdoor (outside) air. Therefore, the method for treating odors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introduc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doors or introducing outdoor air and supplying it indoors.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우, 특히 미세먼지를 다량 포함한 실외 공기를 세정탑으로 유입한 후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고, 이 경우 종래의 실내 공기의 순환만을 통해 공기정화를 하는 실내공기청정기와 달리 바깥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므로 환기가 가능하고 산소 공급이 가능하며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COVID-19 등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병원균의 경우 환기가 필수적인데, 겨울철의 경우에나 미세먼지가 많은 날, 바깥 공기 질이 좋지 않은 때의 경우 환기를 잘 하지 않고 실내 공기청정기만 가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설명한 바에 따라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유입하므로 실외 공기질에 관계없이 가동이 가능하고 전염성 바이러스의 실내 축적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기청정기에 비해 전염병 예방의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우도 실내의 나쁜 공기를 정화시켜 실외로 내보내므로 마찬가지로 환기를 겸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개방적 공기 정화 방법이라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ntroducing outdoor air, in particular, outdoor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ine dust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and then purified and supplied to the room. Since the inflow of air is possible, ventilation is possible, oxygen supply is possibl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not increased. In addition, ventilation is essential for pathogens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ir, such as COVID-19. In winter, on days with a lot of fine dust, or when the outside air quality is poor, ventilation is not good and only an indoor air purifier is operated. It is common to do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utdoor air is purified and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operated regardless of outdoor air quality and can prevent the indoor accumulation of infectious viruses, so that the function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can be expected compared to indoor air purifiers. In the case of introducing indoor air, it is also possible to purify the air with ventilation as it purifies the bad air in the room and sends it out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open air purification method that connects indoors and outdoors.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는, 세정탑 하부로 유입되어 세정탑 상부로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crubbing tower flows into the lower part of the scrubbing tower and diffuses to the upper part of the scrubbing tower.

다음으로,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단계이다. Next, it is a step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s wash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세정탑에서 세정수를 세정탑 하부에서 유입된 오염된 공기와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세정탑 내에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수의 세정 작용으로 음식 연기 등 오염 공기 중 수분, 수용성 물질, 미세먼지 등의 무기질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In the scrubbing tower, the washing water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crubbing tower, so that washing can be performed. Moisture in polluted air such as food smoke, water-soluble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or mixtures thereof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washing action of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surfactant in the washing t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세정탑은 세정수는 세정탑 상부로 유입되어 세정탑 하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세정수와 미세먼지 및 악취의 충분한 접촉 체류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단식으로 구획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세정탑은 세정수가 채워진 탱크형 세정조이고,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유입되어 기포 형태로 세정수와 접촉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shing tower,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ower and flow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washing tower. may have been As another embodiment, the washing tower may be a tank-type washing tank filled with washing wa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to contact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bubbles.

다음으로,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가 각각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이다.Next,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are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respectively.

상기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는 세정탑 하부로 배출되어 하수로 배출되거나 순환저장조로 이송되어 순환될 수 있고, 정화 공기는 세정탑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ower and discharged to sewage or may be transferred to a circulation storage tank and circulated, and the purifi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ower.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정화 공기는 세정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어 15 내지 30 ℃, 18 내지 28 ℃, 또는 20 내지 25 ℃의 실온에 가까운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실외 또는 실내로 쾌적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crubbing tower can be cooled or heated by the washing water and maintained at a temperature close to room temperature of 15 to 30 ° C, 18 to 28 ° C, or 20 to 25 ° C, so that comfortable air can be discharged outdoors or indoors.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은,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정화 공기를 광촉매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탑에서 무기물, 가벼운 입자상 물질, 수용성 화학물질, 유적 등을 제거하고, 이어서 광촉매 처리를 통해 유기물, 비수용성 화학물질 등을 완전산화 처리하는 2 단계의 정화 처리를 통해 수성, 유성, 무기물의 제거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정화 공기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tic treatment of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In this case, water-based, oil-based, and inorganic substances are removed through a two-stage purification process that removes inorganic substances, light particulate substances, water-soluble chemicals, oil residues, etc. from the washing tower, and then completely oxidizes organic substances and non-aqueous chemical substances through photocatalytic treatment. Since the removal of air can be performed integrally, the quality of the purified air can be further improved.

광촉매 처리 단계는 광촉매가 코팅된 투명 여재를 충진시킨 광촉매 처리장치에 상기 정화 공기를 통과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광촉매 처리에 의해 악취, 미세먼지 중 화학물질을 분해할 수 있고,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이 때 광촉매 여재의 광투과성을 위하여 광촉매는 유리비드 등 투명여재에 코팅될 수 있으며, 투명여재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접촉면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원통형 투명여재를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treatment step may be a step of passing the purified air through a photocatalyst treatment device filled with a transparent filter material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can decompose chemicals in odors and fine dust and kill pathogens. At this time, for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material, the photocatalyst may be coated on a transparent filter material such as glass beads, and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filter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cylindrical transparent filter material may be used to maximize the contact surfac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는,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세정하는 세정탑으로서, 세정탑 상부에 형성된 상기 세정수 유입부, 세정탑 하부에 형성된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유입부,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세정부, 세정탑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 공기 배출부, 및 세정탑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세정탑; 및 상기 세정탑과 하수 배관을 연결하는 하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tower for cleaning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wherein the washing water inlet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ower and the odor and fine dus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ower An air inlet comprising a, a washing unit in which the introduced air is wash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 purified air discharge uni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ow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a lower part of the washing tower formed in the washing tower a washing tower including 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and a sewag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washing tower and the sewage pipe.

상기 하수 배관은 싱크대, 개수대 등에 구비되는 하수구와 연결된 것이다. 상기 하수구는 상수를 사용한 후 하수를 흘려보내는 하수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수구는 싱크대 하수구일 수 있다. 이 경우 싱크대로 흘려보내는 세척수를 끌어와 본 발명의 세정수로 사용할 수 있다. The sewage pipe is connected to a sewer provided in a sink, a sink, or the like. The sew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ewer that flows the sewage after using the water. In one embodiment, the sewer may be a sink drain. In this case,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sink can be drawn and used as the wash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수구에는 생활용수로 사용된 세척수를 고액분리하여 액상인 세정수를 분리 배출하는 고액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액분리기에 의해 고형물은 제거되고 액상의 세척수만 하수로 흘려보내며, 상기 하수 연결부는 하수로 흘려보내지는 액상의 세척수를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것이다.The sewer may include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liquid washing water by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washing water used for domestic water, and the solids are removed by the solid-liquid separator and only the liquid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ewage, and the sewage connection part is a sewage. It is to transfer the flowing liquid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ower.

상기 세정탑 하부에 형성된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유입부는 실내에 설치된 후드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를 후드를 통해 흡입하고 세정탑으로 이송하여 세정한 후 실외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환기할 수 있는 공기 청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실외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실외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고 세정탑으로 이송하여 세정한 후 실내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환기할 수 있는 공기 청정이 가능하다. The air inlet including the odor and fine dust formed under the washing tower may be connected to a hood installed indoors. Therefore, indoor air can be sucked in through the hood, transported to the washing tower, clean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doors, so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that can be ventilated. In addition, the air inlet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s so as to introduce outdoor ai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air that can be ventilated because outdoor air can be sucked in, transported to the washing tower, cleaned,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세정부는 다단식으로 구획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세정탑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 공기 배출부는 외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광촉매 처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The washing unit in which the introduced air is wash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may be divided into multi-stage divisions. The purification air discharge unit form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towe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cleaning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side or connected to the photocatalytic processing device.

상기 세정탑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부는 세정수 저장조 중 순환저장조 및 하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세정수의 세정능이 충분한 경우 순환저장조로 이송되어 순환하고, 세정능이 저하된 경우 하수로 배출할 수 있다.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formed under the washing tower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may be connected to a circulation storage tank and a sewer i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If the cleaning ability of the washing water is sufficient, it is transferred to the circulation storage tank and circulated.

상기 세정탑의 전단 또는 세정수 저장조에는 상기 세정수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하는 계면활성제 저장조 또는 계면활성제 투입부를 포함, 연결, 또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상기 세정수의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품 발생 장치는 교반기, 믹싱기 등일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washing tower or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may include, connect, or include a surfactant storage tank or a surfactant input unit for additionally adding a surfactant to the washing water.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bubbles of the washing water in front of the washing tower. The foam generating device may be a stirrer, a mixer, or the like.

상기 세정탑 전단에는 세정수를 저장하거나 순환시키는 세정수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단일 저장조이거나 2 단 이상의 저장조로 구성되고, 2 단 이상일 경우 그 중 적어도 1 이상의 저장조는 세정탑과 연통되어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세정탑에서 배출된 세정수가 순환되면서 계면활성제가 추가 투입될 수 있으므로 세정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washing tower may include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or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is a single storage tank or is composed of two or more storage tanks, and when there are two or more stages, at least one of the storage tanks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ower to circulate the washing water. A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is circulated, a surfactant can be added, so that the washing power can be used to the maximum.

2 단 이상의 저장조를 갖는 경우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저장조와 예비 세정수를 저장시키는 예비저장조로 구성되거나 예비저장조로만 구성될 수 있다. 고액분리기와 연결되는 것은 예비저장조일 수 있다. 상기 2 단 이상의 저장조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순환조의 세정수가 포화되어 배출되는 경우 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던 세정수가 순환조로 이동하여 순환 및 세정을 이어서 계속할 수 있다.In the case of having two or more stages of storage tank, it may be composed of a circulation storage tank for circulating washing water and a preliminary storage tank for storing preliminary washing water, or may consist only of a preliminary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may be a preliminary storage tank. The two or more stages of the storage tan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circulation tank is saturated and discharge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may be moved to the circulation tank to continue circulation and washing.

상기 정화 공기 배출부는 실외로 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전에 광촉매 정화 처리하는 광촉매 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처리장치는 광촉매가 코팅된 투명 여재가 충진된 컬럼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여재는 유리비드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여재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urified air discharge unit may pass to the outside.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st treatment device for purifying the photocatalyst before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to the outside. The photocatalyst processing device may be a column filled with a photocatalyst-coated transparent filter medium. The transparent media may be glass beads.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filter medi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cylindrical.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는 다양한 실내 장소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 및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유용하므로 음식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실내 순환하는 것이 아닌 외부공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기가 가능한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환기 기능 및 병원균 사멸기능을 통해 전염성 질병의 전염을 예방할 수 있어 공중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어 관련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한 활용이 기대된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oor places, and in particular, since they are useful for removing odors and fine dust generated during a food waste treatment process and a cooking process, they can be effectively used in restaurants. In addition, it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method using outside air rather than circulating the air indoor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leaning method capable of ventilation.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he ventilation function and the pathogen killing function, thereby promoting public safety, and thus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related industri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Claims (16)

식기 세척 또는 음식 세척에 사용되어 고형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고액분리한 후 액상 세척수를 공기 세정수로서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단계;
음식 조리에서 발생한 악취, 미세먼지, 및 유적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단계;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가 각각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정화 공기를 광촉매 처리장치에 통과시키는 광촉매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처리장치는 광촉매가 코팅된 투명 여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Separat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or food to solid-liquid containing solids and surfactants, and then transferring the liquid washing water as air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ower;
introducing air containing odors, fine dust, and oil residues generated from cooking food into the washing tower;
wash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discharging each of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from the washing tower; and
a photocatalytic treatment step of passing the purified air through a photocatalytic treatment device;
The photocatalyst treatment device is a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catalyst-coated transparent media is fi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 공기이고, 상기 정화 공기는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s outdoor air, and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 공기이고, 상기 정화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ower is indoor air, and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정화 공기의 온도는 15 내지 30 ℃, 18 내지 28 ℃, 또는 20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is 15 to 30 ℃, 18 to 28 ℃, or 20 to 25 ℃,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세정탑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세정수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ower, a method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characterized in that a surfactant is additionally added to the washing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세정탑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세정수를 거품 발생 장치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ower, the washing water is passed through a bubble generating device,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를 세정수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washing water in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수를 순환시켜 상기 공기의 세정에 재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is circulated and reused for washing the air.
악취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세정하는 세정탑으로서,
세정탑 상부에 형성되고, 식기 세척 또는 음식 세척에 사용되어 고형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고액분리한 후 액상 세척수를 세정수로서 유입하는 세정수 유입부,
세정탑 하부에 형성되고, 음식 조리에서 발생한 악취, 미세먼지, 및 유적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와 접촉하여 세정되는 세정부,
세정탑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으로 형성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 공기 배출부, 및
세정탑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세정탑;
상기 세정탑의 세정수 유입부와, 개수대 또는 싱크대 하수구와 연결된 하수 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액상 세척수를 세정탑으로 이송하는 하수 연결부; 및
상기 정화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광촉매 처리하는 광촉매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구는 식기 세척 또는 음식 세척에 사용되어 고형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고액분리하여 액상인 세정수를 분리 배출하는 고액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광촉매 처리장치는 광촉매가 코팅된 투명 여재가 충진된 컬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
As a cleaning tower for cleaning air containing odor and fine dust,
A washing water inlet tha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ower and is used for washing dishes or food to separate washing water containing solids and surfactants from solid and liquid and then introduces liquid washing water as washing water;
An air inlet tha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ower and into which air containing odors, fine dust, and oil residues generated from cooking food is introduced;
A cleaning unit in which the introduced air is wash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 purification air discharge unit form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tow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formed by the cleaning, and
a washing tower formed under the washing tower and including 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a sewage connec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liquid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ower by connecting the washing water inlet of the washing tower and a sewage pipe connected to a sink or sink sewer; and
a photocatalytic treatment device connected to the purified air discharge unit to photocatalyz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ower;
The sewer is used for washing dishes or foo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liquid washing water by separating washing water containing solids and surfactants into solid-liquid,
The photocatalyst treatment device is a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umn is filled with a transparent filter medium coated with a photocatalyst.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상기 세정수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하는 계면활성제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rfactant input unit for additionally adding a surfactant to the washing water at the front end of the washing tow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상기 세정수의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device for treating fine dust and od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bubbles of the washing water at the front end of the washing tow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 전단에 세정수를 저장하거나 순환시키는 세정수 저장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washing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or circulating washing water in front of the washing tow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2 단 이상의 저장조로 구성되고, 그 중 적어도 1 이상의 저장조는 세정탑과 연통되어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저장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is composed of two or more storage tanks, of which at least one storage tank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tower to circulate the wash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tion storage tank, fine dust and odor treatment apparatus.
KR1020210002260A 2021-01-08 2021-01-08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KR102448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60A KR102448305B1 (en) 2021-01-08 2021-01-08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60A KR102448305B1 (en) 2021-01-08 2021-01-08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155A KR20220100155A (en) 2022-07-15
KR102448305B1 true KR102448305B1 (en) 2022-09-28

Family

ID=8240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260A KR102448305B1 (en) 2021-01-08 2021-01-08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3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518Y1 (en) * 2006-08-10 2006-10-24 주식회사 케스 Ventilation unit with wet type air cleaner
JP2010247090A (en) * 2009-04-16 2010-11-04 Sharp Corp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244B1 (en) * 2003-03-28 2005-11-08 중소기업진흥공단 A method of purifing poisonous gas by using bubble
KR101379360B1 (en) 2013-05-22 2014-04-04 주식회사 이드리븐 Apparatus for a removing bad smell
KR101699891B1 (en) 2015-01-21 2017-0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Exhaust gas treatment equipment for broil restaurants
KR20200100922A (en) * 2019-02-19 2020-08-27 박용봉 Moke purifier using the purifier water and ste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518Y1 (en) * 2006-08-10 2006-10-24 주식회사 케스 Ventilation unit with wet type air cleaner
JP2010247090A (en) * 2009-04-16 2010-11-04 Sharp Corp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155A (en)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22703A1 (en) A water-spraying air purifying apparatus and the purifying process thereof
JP3235097U (en) Exhaust gas pretreatment equipment
KR101787402B1 (en) Industrial deodorizer
WO2020103329A1 (en) Treatment process for atmospheric pollutants
CN106731522A (en) A kind of air purification method and purifier
CN104566668A (en) Air purifier capable of promoting air flow
CN103386247A (en) Washing type air purification method
CN204395758U (en) The waste gas treatment device of a kind of VOCs
CN106621749A (en) Waste gas purification equipment with stink removal and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degradation functions
KR20130107101A (en)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N112892186A (en) Waste gas treatment system
CN108844113B (en) Fluidized bed type oil fume treatment equipment and application thereof
CN104566667A (en) Air purifier
KR102448305B1 (en) Method for treating odo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restaurant
CN208003745U (en) A kind of deodorizing case of integrated sewage treating apparatus
KR102241219B1 (en) Air purifier
CN205616695U (en) Waste wate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KR100432519B1 (en) A soil treatment device of the toilet room
JP2008164185A (en) Forced exhaust system
JP2008062129A (en) Deodorization system
KR200418394Y1 (en) A treatment facilities of high concentrated wastewater
CN210728723U (en) Organic coating exhaust treatment device
JP2008209046A (en) Forced exhausting device
CN111156552B (en) Kitchen waste gas treatment method and device
KR100799106B1 (en) Air Purification Combind with Sub Steril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