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148B1 -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 Google Patents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148B1
KR102448148B1 KR1020220058348A KR20220058348A KR102448148B1 KR 102448148 B1 KR102448148 B1 KR 102448148B1 KR 1020220058348 A KR1020220058348 A KR 1020220058348A KR 20220058348 A KR20220058348 A KR 20220058348A KR 102448148 B1 KR102448148 B1 KR 10244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e
stage
combustion
mov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선
이공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림
Priority to KR102022005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7/00Details of grates
    • F23H17/12Fire-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900/00Special features of combustion grates
    • F23H2900/17002Detachable or removable worn-out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의 접촉면의 마모를 억제하여 화격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은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과,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과, 연소단에서 연소 후 잔존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과, 건조단과 연소단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grate module for incinerator}
본 발명은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의 접촉면의 마모를 억제하여 화격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생활 또는 산업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는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이 있으며, 이 중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나 모든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경우,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위생적 처리가 어려우므로 소각에 의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안이 가장 적합하다.
소각에 의한 방식으로는 처리대상 폐기물의 종류와 처리량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로 분류되는 데, 이 중 스토커식 소각로는 폐기물을 화격자 위에 펼쳐놓고 소각하는 방식으로 건설이 용이하고 저발열량에서부터 고발열량을 가진 폐기물까지 폭넓게 고형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토커식 소각로는 다른 방식에 비하여 많은 폐기물량을 처리할 수 있어 대형 소각로에 많이 이용된다.
스토커식 소각로는 화격자의 형태에 따라 여로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푸셔 타입(pusher type)과 무빙 그레이트 타입(moving grat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종래의 스토커식 소각로는 연소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화격자 모듈이 소각실내에 구비된다. 화격자 모듈은 통상적으로 순차적인 세부 소각공정에 따라 건조단(DS),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으로 구획되어 설계되고, 각 소각단을 단위로 하여 화격자가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 경우 각 소각단의 경계 즉, 건조단(DS)과 연소단(CS)의 경계 또는 연소단(CS)과 후연소단(PCS)의 경계는 소위 낙차단(FS)을 이룬다.
건조단(DS),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은 고정 화격자와 이동 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이동 화격자가 고정 화격자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운동을 하여 폐기물을 이동시킨다.
상술한 종래의 화격자 모듈은 이동 화격자가 고정 화격자의 상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화격자간의 상대운동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로 인하여 서로간의 표면은 불규칙적으로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9248호에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은 이동화격자의 단부에 라이너 플레이트를 고정하여 마모된 라이너 플레이트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는 이동화격자의 단부측 하부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화격자의 단부측 전면에서 폐기물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9248호: 스토커식 소각로의 회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화격자의 전면측 마모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화격자와 고정화격자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모까지 억제하여 화격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은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과; 상기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과; 상기 연소단에서 연소 후 잔존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과;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 각각은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화격자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와 접촉하는 라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라인홈들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인홈들이 형성된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낙차단은 다수의 낙차단용 화격자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루며, 상기 낙차단용 화격자는 상기 건조단에 포함된 고정 화격자의 하방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봉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단에 포함된 이동 화격자의 상방에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전면이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화격자에 라이너부를 설치하여 이동화격자의 전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화격자와 고정화격자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모까지 억제하여 화격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차단용 화격자가 폐기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낙차단용 화격자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클링커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이동 화격자를 뒤집어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은 스토커식 소각로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은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DS)과, 건조단(DS)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CS)과, 연소단(CS)에서 연소 후 잔존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PCS)과, 건조단(DS)과 연소단(CS)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30)을 구비한다.
건조단(DS)과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 각각은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계단식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20)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 열이다. 고정 화격자(20)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20a)에 결합된다.
그리고 건조단(DS)의 이동화격자(23) 역시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건조단(DS)의 이동 화격자 열이다. 이동 화격자(23)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23a)에 결합된다. 지지봉(23a)은 통상적인 왕복동 장치(15)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된다.
연소단(CS)의 고정 화격자(27)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연소단(CS)의 고정 화격자 열이다. 고정 화격자(27)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27a)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소단(CS)의 이동화격자(25) 역시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연소단(CS)의 이동 화격자 열이다. 이동 화격자(25)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25a)에 결합된다. 지지봉(25a)은 통상적인 왕복동 장치(16)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된다.
후연소단(PCS)의 고정 화격자(28)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후연소단(PCS)의 고정 화격자 열이다. 고정 화격자(28)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에 결합된다.
그리고 후연소단(PCS)의 이동화격자(29) 역시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후연소단(PCS)의 이동 화격자 열이다. 이동 화격자(29)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에 결합된다. 지지봉은 통상적인 왕복동 장치(17)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된다.
건조단(DS)과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에 적용되는 이동화격자는 마모 억제를 위해 라이너부를 구비한다.
건조단(DS)의 이동화격자(23), 연소단(CS)의 이동화격자(25), 후연소단(PCS)의 이동화격자(29)는 모두 동일한 구조이므로, 건조단(DS)의 이동화격자(23)를 예로 들어 라이너부를 설명한다.
이동화격자(23)는 지지봉(23a)에 결합되는 본체(51)와, 본체(5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화격자와 접촉하는 라이너부(60)를 구비한다.
본체(51)는 상판부(52)와, 상판부(5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부(53)와, 상판부(52)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부(54)와, 상판부(52)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지지봉(23a)과 연결되는 지지부(56)를 구비한다.
상술한 본체(51)는 통상적인 화격자의 구조이다. 본체(51)는 내열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하이크롬(Hi-Cr)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합금 또는 특수강을 이용해 제작할 수도 있다.
라이너부(60)는 본체(51)의 전면부(54)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라이너부(60)는 전면부(54)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플레이트(61)와, 전면플레이트(61)의 하부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전면부(5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플레이트(63)와, 저면플레이트(63)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면부(54)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57)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7)를 구비한다.
전면플레이트(6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전면플레이트(61)가 전면부(54)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부(54)에는 전면플레이트(61)가 장착되는 인입홈(54a)이 마련된다. 전면부(54)의 인입홈(54a)에 전면플레이트(61)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플레이트(61)는 전면부(54)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전면플레이트(61)는 소각로의 내부에 투입된 폐기물이 위에서부터 밀려 내려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화격자(23)의 전면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이동화격자(23)의 전면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면플레이트(63)는 전면플레이트(61)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저면플레이트(63)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저면플레이트(63)는 전면플레이트(61)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저면플레이트(63)는 전면부(54)의 하부에 결합된다.
삽입돌기(67)는 저면플레이트(63)의 상부에 형성된다. 삽입돌기(67)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돌기(67)가 전면부(5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부(54)의 하부에는 삽입돌기(6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57)이 형성된다. 삽입돌기(67)는 라이너부(60)의 조립성을 높임과 동시에 라이너부(60)의 변형을 방지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라이너부(60)를 전면부(54)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저면플레이트(63)에는 나사삽입홈(64)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삽입홈(64)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체결홈(58)이 형성된다. 나사체결홈(58)은 전면부(54)의 하부에 형성된다. 나사삽입홈(64)에 고정나사(54)를 삽입하여 나사체결홈(58)에 체결시키면 라이너부(60)가 전면부(54)에 결합된다. 고정나사(54)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나사(54)의 머리부가 저면플레이트(63)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나사삽입홈(64)에 고정나사(65)의 머리부까지 삽입된다.
상술한 라이너부(60)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부(60)의 소재는 고정화격자(20)의 소재보다 다소 강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화격자(23)가 고정 화격자(20)의 상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로 인하여 라이너부(60)의 저면플레이트(63)가 마모된다. 저면플레이트(63)가 마모되면 라이너부(60)를 탈착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라이너부로 교체한다.
건조단(DS)의 고정화격자(20), 연소단(CS)의 고정화격자(27), 후연소단(PCS)의 고정화격자(28)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서,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화격자(23)에 라이너부(60)를 설치하여 이동화격자(23)의 전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화격자(23)와 고정화격자(20)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모까지 억제하여 이동화격자(23)와 고정화격자(2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부(60)의 저면플레이트(63)의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라인홈들(66a)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라인홈(66a)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라인홈(66a)은 단면이 사각 형상인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인홈(66a)은 기계적인 가공이나 화학적인 가공에 의해 저면플레이트(63)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라인홈(66a)은 코팅층(66b)의 결합력을 높인다.
라인홈들(66a)이 형성된 저면플레이트(63)의 저면에는 코팅층(66b)이 형성된다. 이동화격자(23)의 전후 왕복 이동시 고정화격자(20)와 접촉되는 코팅층(66b)은 고정화격자(20)보다 마모가 먼저 이루어져 고정화격자(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코팅층(66b)은 크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66b)은 두께가 0.01 내지 0.1mm일 수 있다. 코팅층(66b)은 저면플레이트(63) 표면의 평활성을 높여 이물질이나 클링커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경질크롬도금(hard chromium plating)에 의해 코팅층(66b)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66b)의 형성 방법은 전기도금이나 증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증착으로 각종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낙차단(30)은 다수의 낙차단용 화격자(31)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낙차단용 화격자(31)는 ㄱ자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다. 낙차단용 화격자(31)는 내열강 재질의 금속으로 제작된다.
도시된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상판부(32)와, 상판부(32)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봉(7)에 지지되는 지지부(33)와, 상판부(32)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벽부(37)와, 상판부(32)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5)를 구비한다.
상판부(32)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부(32)는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판부(32)는 고정 화격자(20)와 이격되게 위치하거나, 고정화격자(20)의 하부와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33)는 상판부(32)의 후면에 형성된다. 지지부(33)에는 지지봉(7)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4)이 마련된다.
벽부(37)는 상판부(32)의 전면측 하부에 형성된다. 벽부(37)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벽부(37)의 하단부는 연소단(CS)의 이동 화격자(25)의 상부에 접촉된다. 벽부(37)는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20)와 연소단(CS)의 이동화격자(25) 사이의 위치하는 낙차단으로서, 건조단(DS)과 연소단(CS) 사이로 폐기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35)는 상판부(32)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35)의 단부는 고정 화격자(20)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달리 돌출부(35)의 단부가 고정 화격자(20)의 단부보다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고정화격자(20)의 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출부(35)는 위에서부터 밀려 내려와 이동하는 폐기물이 벽부(37)에 접촉하는 것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벽부(37)의 전면에 폐기물이 접촉하며 벽부(37)의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벽부(37)의 표면에 폐기물이 접촉하는 것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벽부(37)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부(37)의 후면(38)은 수직하게 형성되지만 벽부(37)의 전면(39)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벽부(37)의 전면(39)과 후면(38)이 이루는 각도는 약 2 내지 1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벽부(37)의 전면(39)을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건조단의 고정화격자(20)에서 연소단의 이동화격자(25)로 밀려 내려오는 폐기물의 벽부(37)의 전면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낙차단용 화격자(31)의 구조는 폐기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마모를 줄일 수 있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은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벽부(37)의 전면에 클링커가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벽부(37)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전후로 스윙시키기 위한 스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윙수단은 이동화격자(25)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턱(41)과, 벽부(37)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이동화격자(25)의 이동시 접촉턱(41)에 걸리는 걸림돌기(43)를 구비한다.
접촉턱(41)은 이동화격자(25)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접촉턱(41)은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을 이루는 이동화격자들(25) 각각에 접촉턱(41)이 하나씩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이동화격자들(25)에 형성된 접촉턱(41)은 모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턱(41)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걸림돌기(43)는 벽부(37)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걸림돌기(43)가 접촉턱(41)을 타고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걸림돌기(43)는 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판부(32)는 고정 화격자(20)와 살짝 이격된다. 따라서 고정 화격자(20)와 상판부(32) 사이에는 틈새가 마련된다. 이러한 틈새에 의해 상판부(32)는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는다.
이동 화격자(25)가 이동을 하게 되면 접촉턱(41)이 걸림돌기(43)와 접촉하게 되면 벽부(37)가 들어 올려지면서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지지봉(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접촉턱(41)이 걸림돌기(43)를 통과하면 벽부(37)가 다시 내려오면서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지지봉(7)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이동 화격자(25)의 이동시 지지봉(7)을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왕복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왕복 회전운동에 의해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벽부(37)는 그네와 같이 전후로 스윙이 가능하다. 따라서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벽부(37) 전면(39)에 클링커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내열강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낙차단용 화격자는 캐스타블 내화재에 비해 클링커의 부착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나 여전히 표면에 클링커가 부착되는 문제점은 발생하므로 상술한 스윙수단은 클링커 부착 방지에 유용하다. 또한, 열을 이루는 이동화격자들(25) 각각에 형성된 접촉턱(41)을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낙차단용 화격자들(31)이 시간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스윙이동을 한다. 따라서 낙차단용 화격자 열의 전면에 클링커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DS: 건조단 CS: 연소단
PCS: 후연소단 20: 고정화격자
23: 이동화격자 30: 낙차단
31: 낙차단용 화격자 51: 본체
60: 라이너부 61: 전면플레이트
63: 저면플레이트

Claims (3)

  1.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과;
    상기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과;
    상기 연소단에서 연소 후 잔존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과;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 각각은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화격자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와 접촉하는 라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낙차단은 다수의 낙차단용 화격자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루며,
    상기 낙차단용 화격자는 상기 건조단에 포함된 고정 화격자의 하방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봉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단에 포함된 이동 화격자의 상방에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후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전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 화격자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벽부의 전면에 클링커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키기 위한 스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윙수단은 상기 이동화격자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턱과, 상기 벽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화격자의 이동시 상기 접촉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화격자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루며,
    열을 이루는 상기 낙차단용 화격자들의 벽부가 시간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열을 이루는 상기 이동화격자들에 형성된 접촉턱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라인홈들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인홈들이 형성된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3. 삭제
KR1020220058348A 2022-05-12 2022-05-12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KR10244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48A KR102448148B1 (ko) 2022-05-12 2022-05-12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48A KR102448148B1 (ko) 2022-05-12 2022-05-12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148B1 true KR102448148B1 (ko) 2022-09-28

Family

ID=8346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348A KR102448148B1 (ko) 2022-05-12 2022-05-12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1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705A (ja) * 1996-09-06 1998-03-31 Nippon Steel Corp 耐摩耗性に優れためっき鋼帯の調質圧延ロール
KR19980039248A (ko) 1996-11-27 1998-08-17 신영균 스토커식 소각로의 회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
JP3129618U (ja) * 2006-12-07 2007-03-01 幸男 熊田 焼却炉
US20120012037A1 (en) * 2009-04-08 2012-01-19 Baumgarte Boiler Systems Gmbh Grate bar for an incine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grate bar
KR20200002295U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진화메탈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용 그레이트 및 그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705A (ja) * 1996-09-06 1998-03-31 Nippon Steel Corp 耐摩耗性に優れためっき鋼帯の調質圧延ロール
KR19980039248A (ko) 1996-11-27 1998-08-17 신영균 스토커식 소각로의 회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
JP3129618U (ja) * 2006-12-07 2007-03-01 幸男 熊田 焼却炉
US20120012037A1 (en) * 2009-04-08 2012-01-19 Baumgarte Boiler Systems Gmbh Grate bar for an incine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grate bar
KR20200002295U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진화메탈 스토커식 소각로의 낙차단용 그레이트 및 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443B1 (ko)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KR102448148B1 (ko)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화격자 모듈
FI75418B (fi) Lutande ugnsrost.
KR102447627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
KR950012568B1 (ko) 쓰레기 소각로용 연소장치
CA2743248A1 (en) Modular grate block for a refuse incinerator
KR101326481B1 (ko)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KR102110167B1 (ko) 연소공기 토출구를 분할배치시켜 바이오매스 연소속도에 대응하는 수냉 및 공냉 일체형 화격자
KR20090054422A (ko) 원실린더형 스토커
KR102065568B1 (ko) 소각로용 분리형 사이드월 화격자
KR200471741Y1 (ko) 소각로용 화격자 유닛
KR200441665Y1 (ko) 쓰레기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KR200429257Y1 (ko) 소각로용 화격자
KR102408791B1 (ko)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KR100859590B1 (ko)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KR20090124822A (ko) 소각장치용 화격자
KR200397111Y1 (ko) 병렬 요동식 화격자를 갖는 스토커식 소각로 장치
KR102298181B1 (ko) 화격자 트랙 분리 요소를 갖는 이송 화격자
KR102399041B1 (ko) 스토커식 소각로
KR100784619B1 (ko) 소각로용 화격자
KR102573009B1 (ko)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KR101867544B1 (ko) 소각로용 사이드 화격자 및 그 배치구조
KR200424968Y1 (ko)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KR20220125030A (ko) 소각로용 분리형 사이드월 화격자
KR102498065B1 (ko) 소각로의 낙차단용 화격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