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87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087B1
KR102448087B1 KR1020180174036A KR20180174036A KR102448087B1 KR 102448087 B1 KR102448087 B1 KR 102448087B1 KR 1020180174036 A KR1020180174036 A KR 1020180174036A KR 20180174036 A KR20180174036 A KR 20180174036A KR 102448087 B1 KR102448087 B1 KR 102448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rotating rod
shu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4686A (en
Inventor
선창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093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35946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87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바닥면 상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러시 회전봉;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접촉 시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 셔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바닥면의 상태에 대응하여 공기 흡입력이 가변될 수 있어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including a nozzle unit formed to suck ai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on a floor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 brush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nozzle unit, wherein the brush assembly includes the nozzle unit. a frame coupled to the frame, which is opened toward the front and forms an open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a brush rotating rod accommodated in th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e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and a variable shutter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and rotated by a pressing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close a part of the opening. According to this, the air suction force can be varied in response to the state of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청소기{CLEANER}vacuum 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흡입 유동을 이용하여 바닥면 상의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that removes dust on a floor using a suction flow.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구동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되고 흡입 유동이 발생되어 먼지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를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로봇의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일정 공간 내에서 자율 주행하며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도록 이루어지는 로봇 청소기도 제작되고 있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suck dust by rotating a fan by a driving motor and generating a suction flow.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s the application field of robots has been expanded, robot cleaners that autonomously drive within a certain space and suck dust on the floor or mop the floor are being manufactured.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율적으로 작동되는 청소기는, 바닥면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브러시 회전체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브러시 회전체는 별도의 구동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도록 작동되거나, 바닥면과의 구름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브러시 회전체는 회전체의 외주에 복수 개의 모(bristle)로 구성되는 브러시를 구비하고, 브러시가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구 측으로 쓸어 먼지의 흡입을 유도한다.A vacuum cleaner operated or autonomously operated by a user includes a brush rotating body in order to effectively suck dust on a floor surface. Specifically, the brush rotating body is operated to be rotated by a separate driving motor or the like, or is rotated by rolling friction with the floor surface. In addition, the brush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bru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brush sweeps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suction port to induce suction of the dust.

브러시 회전체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에 장착된다. 흡입 유닛은 청소기 내부로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브러시 회전체가 장착되는 흡입 유닛의 저면에서 바닥면의 먼지와 공기를 흡입한다.The brush rotating body is mounted on a suction unit that sucks air. The suction unit is configured to suck dust and air into the vacuum cleaner, and generally sucks dust and air from the floor from the bottom of the suction unit to which the brush rotating body is mounted.

한편, 청소기가 바닥면에 놓였을 때 흡입 유닛과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며, 이 공간이 흡입 유닛의 저면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통로가 된다. 이때, 흡입 유닛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이 공기 통로의 단면적은 작아지고, 청소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압력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다만, 흡입 유닛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여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acuum cleaner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there is a spaced space between the suction unit and the floor surface, and this space becomes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In this c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is small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may be smaller, and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air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may be further increased.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is smaller,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erial may not pass through, and thus clean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위와 같은 공기 통로의 단면적은,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펫 등이 깔린 바닥면 상에서 청소기가 작동될 때에는 보통의 바닥면 상에서보다 큰 공기 흡입력이 요구될 수 있다.The optimum valu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as described abov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on a floor surface covered with carpet or the like, a greater air suction force than on a normal floor surface may be required.

따라서, 청소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 유닛 저면의 공기 통로의 단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자율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정확하게 단면적 가변이 구현될 수 있는 구조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unit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floor.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can be accurate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surface without user manipulation, in order to be suitable for a robot cleaner that runs autonomously.

다른 한편으로, 브러시 회전체가 바닥면에 놓였을 때, 그 후방에는 브러시 회전체에 의해 쓸려 들어온 이물질을 받치는 스퀴지(squeegee)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스퀴지는 카펫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면 공간에서 청소기가 이동될 때 큰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스퀴지에 의해 저항이 커지면, 사용자의 청소기 조작에 많은 힘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로봇 청소기는 제어부가 인식하는 거리보다 실제 주행거리가 짧아지거나, 전혀 이동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문제가 된다. 이에 특허문헌 1은, 로봇 청소기의 저면에 이물을 모으는 구조물이 카펫 등의 바닥면 상에서 가변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rush rotating body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 squeegee for supporting foreign substances swept by the brush rotating body may be disposed behind the brush rotating body. However, the squeegee may act as a great resistance when the vacuum cleaner is moved in the space on the floor made of carpet or the like. If the resistance is increased by the squeege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power is consumed for the user to operate the cleaner. Furthermore, the robot clea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driving distance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or may not move at all. Accordingly, Patent Document 1 suggest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tructure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of a robot cleaner can be vari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이러한 종래 기술을 고려할 때,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스퀴지가 가변됨과 함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통로의 단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구조가 통합되어 구현될 여지가 있다.Considering this prior art, there is room for integrating and implemen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queege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can be varied.

등록특허공보 KR10-0809737 B1 (2008.02.26.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KR10-0809737 B1 (Registered on Feb. 26, 2008)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바닥면과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의 단면적을 가변시키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여,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varying the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by providing a brush assembly that is rotated by contact with the floor to change the cross-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바닥면과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 통로의 단면적이 감소됨과 함께 이물질을 받치는 스퀴지 구조물이 상 측으로 이동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여, 주행 저항이 완화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in which running resistance can be alleviated by providing a brush assembly in which a squeegee structure supporting foreign substances is moved upward while being rotated by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to reduce a cross-sectional area of an air passage it is to d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바닥면 상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러시 회전봉;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접촉 시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 셔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including a nozzle unit formed to suck ai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on a floor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 brush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nozzle unit, wherein the brush assembly includes the nozzle unit. a frame coupled to the frame, which is opened toward the front and forms an open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a brush rotating rod accommodated in th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e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and a variable shutter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and rotated by a pressing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close a part of the opening.

이때, 상기 가변 셔터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의 회전에 의해 하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셔터부; 및 상기 힌지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ariable shutter may include: hinge parts rotatably moun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a shutter par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hinge part and rotated downward by rotation of the hinge part to close a part of the opening part;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hinge part and rotated upward by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hinge part.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바닥면 상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러시 회전봉;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접촉 시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셔터는, 상기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 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후방에서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스퀴지(squeegee)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including a nozzle unit formed to suck ai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on a floor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 brush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nozzle unit, wherein the brush assembly includes the nozzle unit. a frame coupled to the frame, which is opened toward the front and forms an open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a brush rotating rod accommodated in th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e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and a variable shutter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and rotated by a pressing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close a part of the opening, wherein the variable shutter is and a squeegee member that is rotated to the side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brush rotating r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from the rear of the brush rotating rod.

상기 프레임은, 상기 힌지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 상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support par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hinge part; and a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brush rotating rod to form the opening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 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힌지부의 슬라이딩 시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착탈부를 구비할 수 있어, 프레임과 가변 셔터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detachable part that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hinge part slides, so that the frame and the variable shutter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상기 힌지부는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가변 셔터가 브러시 회전봉과 동심으로 회전되며, 가변 셔터가 브러시 회전봉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brush rotating rod so as to sl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so that the variable shutter rotates concentrically with the brush rotating rod, and the variable shutter is supported by the brush rotating rod and rotates.

아울러, 상기 셔터부 및 가압부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 중심보다 하 측에 위치될 수 있어, 가변 셔터와 브러시 회전봉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hutter unit and the pressing unit may be located below the rotation center of the hinge unit, so that the variable shutter and the brush rotating rod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변 셔터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셔터부의 회전 경로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개방 스토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n opening stopper formed to protrude toward a rotation path of the shutter unit to limit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is opened.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변 셔터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회전 경로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폐쇄 스토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closing stopper formed to protrude toward a rotation path of the pressing unit to limit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ing.

개방 스토퍼부 및 폐쇄 스토퍼부에 의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가변 셔터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at a preset position may be restricted by the open stopper portion and the closed stopper portion.

상기 가압부는, 상기 폐쇄 스토퍼부와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폐쇄 스토퍼부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의 면적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부가된다.The pressing par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art and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the closing stopper part. Accordingly, a restoring force is ad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ea of the opening is increased.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후방에서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폐쇄 스토퍼부와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스퀴지(squeegee)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ing unit may include a squeegee member extending parallel to the brush rotating r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from the rear of the brush rotating rod and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art. have.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변 셔터를 회전시키는 토크(torque)를 부가하도록 형성되는 질량보강부분을 구비할 수 있어, 개구부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부가된다.The pressing part may include a mass reinforcing part formed to apply a torque for rotating the variable shut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is opened, so that a restoring force is added in a direction to increase the area of the opening.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후방에서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질량보강부분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스퀴지(squeegee)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ing unit may include a squeegee member extending parallel to the brush rotating r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from the rear of the brush rotating rod and being inserted and mounted in the mass reinforcing part.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by the solution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 번째, 본 발명의 청소기는 바닥면과의 접촉력에 의한 회전으로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가변 셔터를 포함함으로써, 바닥면이 상대적으로 브러시 조립체와 가깝게 위치되는 구간에서 공기 흡입력이 증대될 수 있다. 가변 셔터는 본 발명의 청소기가 카펫 등의 바닥면 상으로 이동될 때 개구부를 가변시키므로, 사용자의 인지 및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흡입력이 가변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shutter that closes the opening by rotation by a contact force with the floor surface, air suction force can be increased in a section in which the floor surface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brush assembly. Since the variable shutter changes the opening when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on the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the suction force can be varied without the user's recognition and separate manipulation.

두 번째, 가변 셔터는 바닥면과 접촉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가압부가 스퀴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카펫 등의 바닥면 상에서는 가압부와 함께 스퀴지부재가 상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퀴지부재에 의한 주행 저항도 감소될 수 있어, 카펫 등의 바닥면 상에서 최적화되도록 가변되는 브러시 조립체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variable shutter includes a squeegee member that receives rotational force by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he squeegee member may be moved upward together with the pressing part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Accordingly, the running resistance by the squeegee member can also be reduced, so that a variable brush assembly structure to be optimiz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can be achieved.

또한, 프레임의 지지부는, 가변 셔터의 힌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착탈부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셔터의 청결 유지 및 교체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art of the frame includes a detachable part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o removably accommodate the hinge part of the variable shutter, cleanliness and replacement of the variable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가변 셔터의 힌지부는 브러시 회전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회전축 구조가 추가되지 않고 가변 셔터가 회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inge portion of the variable shutter is sli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to rotate, the variable shutter can be rotated without adding a separate rotating shaft structure.

아울러, 가변 셔터의 셔터부와 가압부는 힌지부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됨으로써, 브러시 회전봉과 가변 셔터가 서로 손쉽게 착탈될 수 있어 부품의 청소 또는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utt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variable shutter are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hinge portion, the brush rotating rod and the variable shutte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each other, so that cleaning or replacement of parts can be easily performed.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에는 가변 셔터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개방 스토퍼부 및 폐쇄 스토퍼부가 형성됨으로써, 개구부의 개방 및 폐쇄 영역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is formed with an opening stopper portion and a closing stopper portion formed to engage the variable shutt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areas of the opening can be accurately set.

이때, 가압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폐쇄 스토퍼부와 접촉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가변 셔터는 바닥면의 가압이 없을 시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essing part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art, the variable shutter can be quickly returned to a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is opened when there is no pressing of the bottom surface.

나아가, 이물질을 받치도록 가압부에 포함되는 스퀴지부재가, 위 탄성부재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가변 셔터 구조가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squeegee member included in the pressing part to support the foreign material can also perform the rol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the variable shutter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simply.

또 다른 한편으로는, 가압부에 질량보강부분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가변 셔터에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부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의 가압이 없을 시에는 가변 셔터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ss reinforcing part is formed in the pressing part, restoring force can be added to the variable shu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opening. Accordingly, when there is no pressure on the bottom surface, the variable shutter can be quick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아울러, 질량보강부분이 이물질을 받치는 스퀴지부재가 장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변 셔터 구조가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ss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to be mounted with a squeegee member supporting foreign substances, a variable shutter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simp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러시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과 가변 셔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과 가변 셔터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가 일반적인 바닥면을 지나는 경우 프레임과 가변 셔터를 보인 단면 개념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가 카펫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지나는 경우 프레임과 가변 셔터를 보인 단면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ea A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ush assembly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shown in FIG. 3 and a variable shutter are combin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and the variable shutter shown in FIG. 4;
6A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 frame and a variable shutter whe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a general floor.
6B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 frame and a variable shutter whe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a floor made of a carpe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와 흡입 유닛(120)을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rea A shown in FIG. 1 . 1 and 2 ,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10 and a suction unit 120 .

청소기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 이때, 바닥을 청소하는 것에는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이 포함된다.The cleaner body 110 forms the exterior of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obot cleane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is case, cleaning the floor includes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resent on the floor surface or mopping the floor.

로봇 청소기의 실시예에서, 청소기 본체(110)는 주행을 위한 휠 유닛(111)을 구비할 수 있고,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1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는 예를 들면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robot cleaner, the cleaner body 110 may include a wheel unit 111 for driving,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 Also, the cleaner body 110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and the battery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110 , for example.

흡입 유닛(120)은 청소기 본체(110)와 연결되며,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및 2에 보인 것과 같이, 흡입 유닛(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닛(120)이 돌출되는 일측은 본 발명의 청소기가 주행하는 전방(F)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흡입 유닛(120)은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좌우 양측방으로 모두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입 유닛(120)은 지면을 바라보는 저면 측에서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노즐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10 and serves to suck air including dust. 1 and 2 , the suc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 One side from which the suction unit 120 protrudes may be the front (F) on which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ravels.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120 may have a protruding shape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1 . The suction unit 120 may include a nozzle unit 121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air from the bottom side facing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센싱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센싱 유닛(130)은 흡입 유닛(120)이 위치되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유닛(120)의 상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청소기(100)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 유닛(120)이 장애물 등과 부딪히지 않도록 지형지물을 감지할 수 있다.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30 . As shown in FIG. 1 , th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ront of the cleaner body 110 in which the suction unit 120 is located. Specifically, 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120, and the suction unit 12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feature so that it does not collide with an obstacle or the like.

한편, 청소기 본체(110)에는 먼지통(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140)은 청소기 본체(110)의 타측인 후방(R)에 위치될 수 있고,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먼지통(140)이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되었을 때,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located at the rear R,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10 . In addition, when the dust bin 140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10 , the dust bin cover 150 may cover the dust bin 140 .

흡입 유닛(120)과 먼지통(140)의 연결관계에 따라, 흡입 유닛(120)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112)를 거쳐, 먼지통(1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는 먼지통(140)의 필터 내지는 사이클론을 거치면서 공기와 분리되며, 먼지통(140)에 집진된다.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140)에서 배출된 후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배기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ction unit 120 and the dust container 140 , the air containing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passes through the intake passage 112 inside the cleaner body 110 , and the dust container 140 . can be introduced into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or cyclone of the dust container 140 , and i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40 . After the separated dust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 it passes through the exhaust passage inside the cleaner body 110 and finall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6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흡입 유닛(120)에 장착되는 브러시 조립체(160)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ush assembly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brush assembly 160 mounted on the suction unit 120 of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브러시 조립체(160)는 청소 대상 공간이 되는 바닥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이 흡입 유닛(120)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브러시 조립체(160)는 흡입 유닛(12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노즐부(121)에 결합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에 의해 청결한 상태로 관리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brush assembly 16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ich is the space to be cleaned, and serves to help the foreign substances smoothly flow into the suction unit 120 . The brush assembly 160 may be coupled to the nozzle unit 12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20 , and in particular, may be detachably accommodated to be managed in a clean state by a user.

브러시 조립체(160)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바닥면과의 구름 마찰로 회전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의 경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보인 로봇 청소기의 일 예를 들어 브러시 조립체(160)에 대해 설명한다.The brush assembly 160 may be rotated by rolling friction with the floo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vacuum cleaner, and may be automatically rotated by a separate driving motor in the case of a robot cleaner.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brush assembly 160 .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브러시 조립체(160)는, 프레임(161) 및 브러시 회전봉(162)을 포함한다. 프레임(161)은 흡입 유닛(120)의 노즐부(121)에 삽입 장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61)에는 브러시 회전봉(162)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브러시 조립체(160)가 노즐부(121)에 장착되면, 프레임(161)의 일부와 브러시 회전봉(162)의 일부가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brush assembly 160 of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61 and a brush rotating rod 162 . The frame 161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nozzle unit 121 of the suction unit 120 , and the brush rotating rod 16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61 . When the brush assembly 160 is mounted on the nozzle unit 121 , a portion of the frame 161 and a portion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브러시 회전봉(162)은 전방(F)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회전봉(162)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모(bristle)가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브러시부(162a)가 형성되고, 브러시 회전봉(162)이 회전됨에 따라 브러시부(162a)는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ush rotating rod 162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rotate toward the front (F). A brush portion 162a formed with a plurality of bristles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and as the brush rotating rod 162 is rotated, the brush unit 162a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can

본 발명의 흡입 유닛(120)이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흡입 유닛(120)이 바닥면에 놓일 때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기 통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공기 통로의 일부로서, 프레임(161)은 바닥면과 인접하고 전방(F)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는 개구부(161a)를 형성한다.In order for the suction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ck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 predetermined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be sucked must be secured when the suction unit 120 is placed on the floor. In particular, as a part of this air passage, the frame 161 forms an opening 161a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and opened toward the front F. As shown in FIG.

한편, 흡입 유닛(120)의 저면과 바닥면이 형성하는 공기 통로의 단면적에 의해 공기의 흡입력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 등이 공기 흡입을 위하여 일정한 동력이 발생시켜도, 공기 통로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좁은 공간으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즉, 바닥면 상에서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되어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는 힘이 세진다.Meanwhile,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may be chang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20 . For example, even when a driving motor or the like generates a constant power to suck air, the small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is, the faster the air may be introduced into a narrow space. That i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on the floor is increased, so that the force that can be sucked in the foreign substances is increased.

다만, 공기 통로의 단면적이 작을 경우, 특히, 상하 방향으로 개구부(161a)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크기가 큰 이물질이 흡입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개구부(161a)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은 흡입 유닛(120)의 전방(F)에 계속 잔류된 상태로 흡입 유닛(120)에 밀려 이동되므로, 바닥면을 오히려 더럽힐 수 있어 문제가 된다. 특히, 도 1에 보인 것과 같은 로봇 청소기의 경우, 즉각적인 상황 인지 및 대처가 어려울 수 있어 더욱 문제가 된다.However,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is small, particularly, when the height of the opening 161a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foreign material may not be sucked. Since the foreign material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opening 161a is pushed and moved by the suction unit 120 while remaining in the front F of the suction unit 120, it may contaminate the floor surface, which is a probl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obot cleaner as shown in FIG. 1 , it may be difficult to immediately recognize and respond to a situation, which is more problematic.

이러한 관계에 따라, 개구부(161a)의 면적은 바닥면의 환경에 따라 각각 적합한 값이 있을 수 있다. 특히, 흡입 유닛(120)이 카펫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에서 이동되는 경우에는, 개구부(161a)의 면적이 감소되어 공기 흡입력이 증가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반영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100)에 구비되는 브러시 조립체(160)는, 개구부(161a)의 면적을 바닥면의 상황에 맞추어 가변시키는 가변 셔터(163)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relationship, the area of the opening 161a may have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floor surface. In particular, when the suction unit 120 is moved on a floor surface made of a carpet or the like, the area of the opening 161a is reduced, so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ir suction force. Reflecting this, the brush assembly 160 provided in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ariable shutter 163 for changing the area of the opening 161a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161)과 가변 셔터(163)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161)과 가변 셔터(163)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161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shown in FIG. 3 are combined,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161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shown in FIG. 4 .

가변 셔터(163)는 바닥면과 접촉 시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며, 회전에 의해 개구부(161a)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가변 셔터(163)는 힌지부(163a), 셔터부(163b) 및 가압부(16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shutter 163 is rotated by a pressing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is operated to close a part of the opening 161a by rotation. 3 to 5 , specifically,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include a hinge part 163a, a shutter part 163b, and a pressing part 163c.

힌지부(163a)는 프레임(161)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가변 셔터(163)가 회전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힌지부(163a)는 프레임(161)에 형성되는 지지부(161b)에 장착될 수 있고, 가변 셔터(163)의 회전 중심은 브러시 회전봉(162)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163a)의 구체적인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hinge part 163a is rotatably moun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161 , and forms a rotation center around which the variable shutter 163 is rotated. The hinge part 163a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161b formed on the frame 161 ,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brush rotation rod 162 . Specific structural features of the hinge portion 163a will be described later.

셔터부(163b)는, 힌지부(163a)의 회전 시 프레임(161)에 형성되는 개구부(161a)를 덮어 그 일부를 폐쇄한다. 이를 위하여, 셔터부(163b)는 이하의 개구부(161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hutter part 163b covers the opening 161a formed in the frame 161 when the hinge part 163a rotates to close a part thereof. To this end, the shutter portion 163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ollowing opening 161a.

앞서 언급한 개구부(161a)는, 프레임(161)에 구비되는 연장부(161c)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61c)는 브러시 회전봉(16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평평한 바닥면의 상 측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바닥면과 연장부(161c)의 사이에 전방(F)으로 개방된 개구부(161a)를 형성할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opening 161a may be formed by the extension 161c provided in the frame 161 . The extension 161c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rush rotating rod 162 . In particular, it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at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opening 161a open to the front F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extension part 161c.

셔터부(163b)는, 바닥면의 가압에 의한 힌지부(163a)의 순방향 회전(F') 시, 개구부(161a)를 상 측에서부터 점차적으로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셔터부(163b)는 순방향 회전(F') 시 개구부(161a)의 높이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순방향 회전(F')은 브러시 회전봉(162)이 전방(F)을 향하여 구름 이동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아울러 그 반대 방향의 회전은 역방향 회전(R')으로 정의한다.The shutter portion 163b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close the opening portion 161a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hinge portion 163a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F′ by the pressing of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shutter unit 163b may be configured to decrease the height of the opening 161a during forward rotation F′. Here, the forward rotation (F')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ush rotating rod 162 is rolled toward the front (F), and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the reverse rotation (R').

가압부(163c)는, 바닥면과 접촉되어 가변 셔터(163)를 회전시키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163c)는 힌지부(163a)의 후방(R)에 연결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프레임(161)의 저면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5에 보인 것과 같이, 가압부(163c)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양 측 힌지부(163a)와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163c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serves to generate a pressing force for rotating the variable shutter 163 .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R of the hinge part 163a, and in some cases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61 toward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extended to be connected to both side hinge parts 163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결과적으로 도 2 내지 5에 보인 것과 같이, 셔터부(163b) 및 가압부(163c)는 힌지부(163a)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 중심의 반경 방향으로 힌지부(163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2 to 5 , the shutter part 163b and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inge part 163a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formed by the hinge part 163a. .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가 일반적인 바닥면을 지나는 경우 프레임(161)과 가변 셔터(163)를 보인 단면 개념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가 카펫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지나는 경우 프레임(161)과 가변 셔터(163)를 보인 단면 개념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가변 셔터(163)가 회전되고, 셔터부(163b)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6A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frame 161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when the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a general floor surface, and FIG. 6B is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frame 161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when passing through the plane.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it can be seen that the variable shutter 163 is rotated and the position of the shutter unit 163b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surface.

도 6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흡입 유닛(120)이 딱딱하고 평평한 일반적인 바닥면을 지날 때에는, 연장부(161c)와 바닥면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이 개구부(161a)의 높이가 된다. 즉, 개구부(161a)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As shown in FIG. 6A , when the suction unit 120 of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a hard and flat general floor surfac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extension part 161c and the floor surface is the height of the opening 161a. do. That is, the opening 161a remains fully opened.

한편, 도 6b에 보인 카펫 등의 바닥면은 탄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100)의 일 예가 되는 로봇 청소기(100)는, 휠 유닛(111)이 바닥면 상에서 청소기(100) 본체 및 흡입 유닛(120)을 지지하여 이동된다. 이때, 휠 유닛(111)과 접촉되는 바닥면 부분이 탄성 변형이 일어나 국부적으로 눌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6a의 딱딱한 바닥면의 경우에 비하여, 도 6b의 경우 프레임(161)의 저면에 카펫의 상부면이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161)의 저면과 카펫의 상부면이 맞닿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pet, etc. shown in FIG. 6B has a characteristic that elastic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robot cleaner 100 serving as an example of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unit 111 is moved by supporting the cleaner 100 body and the suction unit 120 on the floor surface.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heel unit 11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pressed locally.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of the carpe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61 in the case of FIG. 6B as compared to the case of the hard bottom surface of FIG. 6A . Furtherm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61 may be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carpet.

이와 같은 도 6b의 상태에서 가변 셔터(163)의 가압부(163c)는 카펫의 상부면에 눌려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63c)는 힌지부(163a)의 후방(R)에 위치되므로 가압부(163c)가 눌려 상 측으로 회전되면, 힌지부(163a)의 전방(F)에 위치되는 셔터부(163b)는 하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셔터부(163b)가 하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개구부(161a)가 셔터부(163b)에 가려지며 결과적으로 개구부(161a)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In this state of FIG. 6B , the pressing part 163c of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be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carpet. And, since the pressing unit 163c is located at the rear (R) of the hinge unit 163a, when the pressing unit 163c is pressed and rotated upward, the shutter unit 163b is located at the front (F) of the hinge unit 163a. ) can be rotated downward. As the shutter unit 163b is moved downward, the opening 161a is covered by the shutter unit 163b, an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opening 161a is lowered.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100)에 구비되는 가변 셔터(163)는 바닥면과의 접촉력에 의한 회전으로 개구부(161a)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닥면이 상대적으로 브러시 조립체(160)와 가깝게 위치되는 구간에서 공기 흡입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한 흡입력이 요구되는 카펫과 같은 바닥면의 청소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 the variable shutter 163 provided in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lose the opening 161a by rotation by a contact force with the floor. Accordingly, the air suction force may be increased in a s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brush assembly 160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cleaning of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requiring a strong suction force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아울러, 가변 셔터(163)는 본 발명의 청소기(100)가 카펫 등의 바닥면 상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개구부(161a)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별도로 사용자가 인지하고 대응하는 조작이 필요 없이 흡입력이 가변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일 예가 되는 로봇 청소기(100)에서 더욱 큰 장점이 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shutter 163 is configured to change the opening 161a when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That is, the suction force can be vari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operation that the user recognizes and responds, which is a greater advantage in the robot cleaner 100 which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가변 셔터(163)의 가압부(163c)는, 브러시 회전봉(162)의 후방(R)으로 쓸려 넘어온 이물질을 받쳐, 이물질이 흡입 유닛(120)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하는 스퀴지(squeegee)부재(163c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art 163c of the variable shutter 163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oreign material that has been swept over to the rear (R)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 and the foreign material is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120 . It may include a squeegee member (163c1) that serves to help.

구체적으로 스퀴지부재(163c1)는, 브러시 회전봉(162)의 후방(R)에서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162)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러시 회전봉(162)과 마찬가지로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퀴지부재(163c1)는 통상적인 평평한 바닥면 상에서는 바닥면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brush rotating rod 16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at the rear R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 That is, like the brush rotating rod 162, it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a conventional flat bottom surface.

도 2, 6a 및 6b에 보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스퀴지부재(163c1)는 그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스퀴지부재(163c1)는 좌우 양측과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2, 6A and 6B, the squeegee member 163c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thereof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that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ront and rear,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스퀴지부재(163c1)가 가압부(163c)에 구비되는 경우, 스퀴지부재(163c1)는 가변 셔터(163)의 회전에 따라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도 6a 및 6b에 보인 것과 같이, 카펫 등의 바닥면 상에서는 가압부(163c)와 함께 스퀴지부재(163c1)도 상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퀴지부재(163c1)가 상 측으로 이동되면, 스퀴지부재(163c1)가 카펫 등의 바닥면과 마찰되어 주행 저항이 증가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개구부(161a)의 면적 가변과 함께 스퀴지부재(163c1)의 위치도 가변됨으로써, 흡입력은 증가되고 주행 저항은 감소되어 카펫 바닥면의 청소에 최적화되도록 변화되는 브러시 조립체(160)가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squeegee member 163c1 is provided in the pressing part 163c, the height of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 That is, as shown in FIGS. 6A and 6B , the squeegee member 163c1 together with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moved upwards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When the squeegee member 163c1 moves upward, the squeegee member 163c1 rubs against a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thereby limiting an increase in running resistanc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queegee member 163c1 is also varied along with the variable area of the opening 161a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increased and the running resistance is reduced, so that the brush assembly 160 is changed to be optimized for cleaning the carpet floor is implemented. can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브러시 조립체(160)는 흡입 유닛(120)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브러시 조립체(160) 자체의 청소나 교체가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브러시 조립체(160)에서, 가변 셔터(163), 프레임(161) 및 브러시 회전봉(162)이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각 구성요소의 청결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Meanwhile, the brush assembly 160 of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uction unit 120 , so that cleaning or replacement of the brush assembly 160 itself is easy. In addition, in the brush assembly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shutter 163 , the frame 161 , and the brush rotating rod 162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respectively, and similarly, cleaning and replacement of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performed. do.

먼저, 가변 셔터(163)와 프레임(161)의 착탈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5와 함께 앞서 설명한 것처럼, 프레임(161)은 지지부(161b)를 구비하고, 가변 셔터(163)는 힌지부(163a)를 구비한다. 그리고 힌지부(163a)가 지지부(161b)에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부(161b)는 착탈부(162b1)를 구비한다.First, a detachable structure of the variable shutter 163 and the frame 161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conjunction with FIGS. 4 and 5 , the frame 161 includes a support portion 161b ,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includes a hinge portion 163a . And so that the hinge part 163a is detachable from the support part 161b, the support part 161b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rt 162b1.

도 4 및 5에 보인 것과 같이, 착탈부(162b1)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지지부(161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162b1)는 상 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힌지부(163a)가 슬라이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이루어진다. 착탈부(162b1)는 힌지부(163a)의 외주면과 각각 전방(F) 및 후방(R)에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162b1)의 전후방 간격은 힌지부(163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다만, 착탈부(162b1)는 힌지부(163a)가 통과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힌지부(163a)는 착탈부(162b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부(161b)에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4 and 5 , the detachable portion 162b1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ortions 161b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etachable part 162b1 forms a space that is opened upward, and the hinge part 163a slides to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etachable portion 162b1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portion 163a at the front (F) and the rear (R),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spacing of the detachable portion 162b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portion 163a, however, the detachable portion 162b1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hinge portion 163a passes. That is, the hinge part 163a is detachable from the support part 161b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detachable part 162b1.

한편, 힌지부(163a)가 지지부(161b)와 결합되고 본 발명의 청소기(100)가 작동될 때에는, 프레임(161)은 흡입 유닛(120)의 노즐부(121)에 삽입 장착되어 착탈부(162b1)의 탄성 변형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161)과 가변 셔터(163)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inge part 163a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61b and the vacuum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he frame 161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nozzle part 121 of the suction unit 120, and a detachable part ( Since elastic deformation of 162b1 may be limited, separation of the frame 161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be prevented.

이와 같은 착탈부(162b1)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브러시 조립체(160)에 포함되는 프레임(161)과 가변 셔터(16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착탈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portion 162b1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161 and the variable shutter 163 included in the brush assembly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ed by a user's manipulation, and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managed. will do

다음으로, 가변 셔터(163)와 브러시 회전봉(162) 간의 착탈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셔터(163)의 힌지부(163a)는 브러시 회전봉(162)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163a)와 브러시 회전봉(162)의 외주면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Next, a detachable structure between the variable shutter 163 and the brush rotating rod 162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portion 163a of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b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163a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slidable.

결과적으로, 힌지부(163a)의 외주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지부(16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힌지부(163a)의 내주면은 브러시 회전봉(16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ortion 163a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61b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ortion 163a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162 .

이때, 가변 셔터(163)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힌지부(163a)를 연결하는 셔터부(163b) 및 가압부(163c)는, 힌지부(163a)가 회전되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 예를 들면 회전 중심보다 하 측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utter portion 163b and the pressing portion 163c connecting the hinge portions 163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ariable shutter 163 are one side relative to the rotation center at which the hinge portion 163a is rotated, For example, it may be located below the center of rotation.

가변 셔터(163)는 소정의 탄성 계수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가변 셔터(163)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양 측 단부를 형성하는 힌지부(163a)가 벌어져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압부(163c) 및 셔터부(163b)가 힌지부(163a)의 회전 중심의 하 측에 위치되어 힌지부(163a)는 상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벌어질 수 있게 되고, 브러시 회전봉(162)이 상 측으로부터 가변 셔터(163)에 삽입될 수 있다. 가변 셔터(163)와 브러시 회전봉(162)은 위와 같은 착탈 구조에 의해, 구성요소 각각의 관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Since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be formed of plastic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the hinges 163a forming both side ends of the variable shutter 163 may be opened by a user's pressure.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163c and the shutter part 163b are located below the rotation center of the hinge part 163a so that the hinge part 163a can b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brush rotating rod ( 162 may be inserted into the variable shutter 163 from the upper side. The variable shutter 163 and the brush rotating rod 162 can be easily managed by the detachab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가변 셔터(163)의 힌지부(163a)는 브러시 회전봉(162)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가변 셔터(163)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회전축 구조가 추가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가변 셔터(163)가 추가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inge portion 163a of the variable shutter 163 is sli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rotary rod 162 to rotate, there is no need to add a separate rotary shaft structure for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can be minimized as the variable shutter 163 is added.

이상에서는 가변 셔터(163)의 구조 및 기능과, 가변 셔터(163)와 프레임(161)과의 착탈 구성 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가변 셔터(163)가 회전될 때 정확한 위치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개방 스토퍼부(161d) 및 폐쇄 스토퍼부(161e)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achabl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and the frame 161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opening stopper portion 161d and the closing stopper portion 161e, which function to be supported between the correct positions when the variable shutter 163 is rotated,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러시 조립체(160)에 장착되는 프레임(161)은 개방 스토퍼부(16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개방 스토퍼부(161d)는 앞서 설명한 방향 중 역방향 회전(R'), 즉, 가변 셔터(163)가 개구부(161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the frame 161 mounted on the brush assembly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n stopper part 161d. The opening stopper part 161d is formed to restrict the reverse rotation R' among the directions described above, that is,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161a is opened.

본 실시예에서, 개방 스토퍼부(161d)는 셔터부(163b)가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1)을 구성하는 연장부(161c)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개방 스토퍼부(161d)는 기설정된 위치에서 셔터부(163b)를 상 측으로 더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셔터부(163b)와 연결되는 힌지부(163a) 및 가압부(163c)도 기설정된 위치에서 더 이상 역방향 회전(R')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stopper portion 161d may be formed to engage the shutter portion 163b.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61c constituting the frame 161 . The opening stopper part 161d may support the shutter part 163b from being rotated upward further at a preset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hinge part 163a and the pressing part 163c connected to the shutter part 163b also It is no longer reversely rotated (R') at the preset position.

개방 스토퍼부(161d)가 구비됨으로써, 도 6a에서 보인 일반적인 바닥면 구간에서 개구부(161a)의 단면적이 기설정된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163c)에 스퀴지부재(163c1)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스퀴지부재(163c1)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하 측으로 더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퀴지부재(163c1)가 바닥면과 마찰되어 주행 저항이 증대된다거나, 스퀴지부재(163c1)가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opening stopper 161d is provid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161a in the general bottom section shown in FIG. 6A may be maintained at a preset value. In addition, when the squeegee member 163c1 is further provided in the pressing part 163c,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further rotated downward from the preset posi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queegee member 163c1 from being rubbed against the floor surface to increase running resistance or to prevent the squeegee member 163c1 from being worn.

본 실시예에서, 개방 스토퍼부(161d)는 프레임(161)에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회전 유닛의 노즐부(121)에 형성되어 브러시 조립체(160)가 장착되었을 때 셔터부(163b)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stopper portion 161d is formed on the frame 161, but in some cases, it is formed on the nozzle portion 121 of the rotation unit to rotate the shutter portion 163b when the brush assembly 160 is mounted. may be limited.

다음으로,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러시 조립체(160)에 장착되는 프레임(161)은 폐쇄 스토퍼부(161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폐쇄 스토퍼부(161e)는 앞서 설명한 방향 중 순방향 회전(F'), 즉, 가변 셔터(163)가 개구부(161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Next,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the frame 161 mounted on the brush assembly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osing stopper part 161e.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is formed to restrict forward rotation F' among the directions described above, that is,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in a direction for closing the opening 161a.

본 실시예에서, 폐쇄 스토퍼부(161e)는 가압부(163c)가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61)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지지부(161b)는, 전방(F)에서는 서로 연장부(161c)에 의해 연결되는 것처럼, 후방(R)에서는 연결부(161f)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폐쇄 스토퍼부(161e)는 연결부(161f)에서 돌출 형성되어 가압부(163c)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 측으로 더 순방향 회전(F')되지 않고 정지될 수 있다. 가압부(163c)가 더 이상 상 측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되면, 가압부(163c)에 연결되는 힌지부(163a) 및 셔터부(163b)도 정지하게 되고, 셔터부(163b)는 개구부(161a)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더 이상 하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may be formed so that the pressing part 163c is caught. The support portions 161b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rame 16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xtension portions 161c in the front F,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ortions 161f in the rear R. At this time,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part 161f, so that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stopped without further forward rotation F' from the preset position. When the pressing part 163c is no longer rotated upward, the hinge part 163a and the shutter part 163b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163c are also stopped, and the shutter part 163b is formed of the opening 161a. It will no longer move downwards in a partially closed state.

폐쇄 스토퍼부(161e)가 구비됨으로써, 도 6b에서 보인 것과 같이, 카펫 바닥면 구간에서 개구부(161a)는 그 일부가 폐쇄된 상태로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63c)는 카펫 바닥면에 의해 하 측에서 계속 가압되고, 폐쇄 스토퍼부(161e)에 의해 상 측에서 걸려 정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is provided, as shown in FIG. 6B , the opening 161a in the area of the carpet floor can be accurately maintained in a partially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continuously pressed from the lower side by the carpet bottom surface, and may be held in a stopped state by being caught from the upper side by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아울러, 개방 스토퍼부(161d)와 마찬가지로, 폐쇄 스토퍼부(161e)도 반드시 프레임(161)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폐쇄 스토퍼부(161e)는, 예를 들면, 노즐부(121)의 후방(R) 측에 연결부(161f)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부분(121a)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like the open stopper portion 161d, the closing stopper portion 161e is not necessarily formed on the frame 161 .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mounting part 121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part 161f on the rear (R) side of the nozzle part 121 .

결과적으로 개방 및 폐쇄 스토퍼부(161e)는, 각각 도 6a 및 6b에 보인 상태에서 개구부(161a)의 개방 및 폐쇄 영역을 정확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나아가, 가압부(163c)의 스퀴지부재(163c1)를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portion 161e can accurately vary the open and closed regions of the opening 161a in the state shown in FIGS. 6A and 6B, respectively, and furthermore, the squeegee member 163c1 of the pressing portion 163c. to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한편, 폐쇄 스토퍼부(161e)에 걸려 정지되는 가압부(163c)는, 폐쇄 스토퍼부(161e)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63c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3c2)는 개구부(161a)의 단면적이 증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즉, 가변 셔터(163)가 역방향 회전(R')되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pressing part 163c caught by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63c2 in direct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The elastic member 163c2 serves to impart a restoring force that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161a increases, that is, the variable shutter 163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R′).

탄성부재(163c2)는 폐쇄 스토퍼부(161e)와의 접촉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63c2)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 6a 및 6b에 보인 것과 같이 중공 원통(hollow cylind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63c2)는 가압부(163c)에 형성되는 수용부(163c3)에 외주면의 일부가 접촉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63c2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The elastic member 163c2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have a hollow cylinder shape as shown in FIGS. 2, 6A and 6B . The elastic member 163c2 may be mounted so tha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63c3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163c.

탄성부재(163c2)의 나머지 일부는, 가압부(163c)가 상 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폐쇄 스토퍼부(161e)에 의해 눌려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발생된 탄성력은 가압부(163c)를 하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된다. 그리고 바닥면에 의한 가압력이 사라지면, 이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163c)가 신속하게 하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remaining part of the elastic member 163c2 may be pressed by the closing stopper part 161e when the pressing part 163c is rotated upwar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he generated elastic force acts to rotate the pressing part 163c downward. And when the pressing force by the bottom surface disappears, the pressing part 163c may be rapidly moved downward by this elastic force.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셔터(163)가 역방향 회전(R')되는 것은 바닥면의 가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즉각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탄성부재(163c2)가 부가되면, 도 6b의 상태에서 도 6a의 상태로 가변 셔터(163)가 순방향 회전(F')되는 동작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63c2)에 의해, 본 발명의 가변 셔터(163)의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reverse rotation (R') of the variable shutter 16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bottom surface, an immediate operation can be achieved. Here, when the elastic member 163c2 is added,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forward rotation (F') from the state of FIG. 6B to the state of FIG. 6A can be quickly performed.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16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roved by the elastic member 163c2.

한편, 도 6a 및 6b에 보인 것과 같이, 위 탄성부재(163c2)는 스퀴지부재(163c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63c)의 수용부(163c3)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재(163c2)와 스퀴지부재(163c1)가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 the elastic member 163c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queegee member 163c1 .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63c2 and the squeegee member 163c1 integrally formed may be mounted on the receiving part 163c3 of the pressing part 163c.

이를 위해, 수용부(163c3)는 오목부분(163c3')과 볼록부분(163c3”)을 구비하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63c2)는 수용부(163c3)의 오목부분(163c3')에 상 측이 노출되도록 수용되어, 폐쇄 스토퍼부(161e)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퀴지부재(163c1)는 수용부(163c3)의 볼록부분(163c3”)을 감싸도록 탄성부재(163c2)와 연결되어, 바닥면 상의 이물질이 걸리도록 하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ceiving portion 163c3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having a concave portion 163c3 ′ and a convex portion 163c3″. The elastic member 163c2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163c3' of the receiving portion 163c3 so that the upper side thereof is exposed, and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ortion 161e. In addition,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63c2 so as to surround the convex portion 163c3″ of the receiving portion 163c3, and protrude downward to catch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63c2)와 스퀴지부재(163c1)가 일체로 형성되면, 다양한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가변 셔터(163)의 구조가 보다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163c2)와 스퀴지부재(163c1)는 고무 등으로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작 및 조립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lastic member 163c2 and the squeegee member 163c1 are integrally formed,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shutter 163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63c2 and the squeegee member 163c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rubber or the like,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easiness may be improved.

한편, 앞서 설명한 탄성부재(163c2)처럼 가변 셔터(163)의 역방향 회전(R')을 돕도록, 본 발명의 가변 셔터(163)의 가압부(163c)에는 질량보강부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질량보강부분은 도 6b의 상태에서 도 6a의 상태로 가변 셔터(163)가 복원되는 토크(torque)를 더 강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a mass reinforc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pressing part 163c of the variable shutter 163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reverse rotation R' of the variable shutter 163 like the elastic member 163c2 described above. . The mass reinforcing part is configured to further strengthen the torque at which the variable shutter 163 is restored from the state of FIG. 6B to the state of FIG. 6A.

질량보강부분은, 힌지부(163a)의 후방(R)으로 힌지부(163a)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 중심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량보강부분은 가압부(163c)에 형성될 수 있다. 질량보강부분은 기설정된 질량이 더 부가되도록,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지거나, 가변 셔터(163)의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ss reinforcing par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R) of the hinge part 163a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formed by the hinge part 163a. For example, the mass reinforc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pressing part 163c. The mass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so that a predetermined mass is further added, or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of the variable shutter 163 .

질량보강부분에 의해, 가변 셔터(163)는 일반적인 바닥면에 적합하게 개구부(161a)의 높이가 증가되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가압부(163c)에 스퀴지부재(163c1)가 포함되는 경우, 이물질에 의해 스퀴지부재(163c1)가 동요되거나 밀려 올라가는 것이 일정 수준 방지될 수 있다.Due to the mass reinforcing part, the variable shutter 163 can quickly increase the height of the opening 161a to suit a general bottom surface. Furthermore, when the squeegee member 163c1 is included in the pressing part 163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queegee member 163c1 from being shaken or pushed up by foreign substances to a certain level.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되는 가변 셔터(163)의 제조상 편의성을 위하여, 질량보강부분은 수용부(163c3)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질량보강부분이 스퀴지부재(163c1) 또는 탄성부재(163c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수용부(163c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하였던 탄성부재(163c2), 스퀴지부재(163c1) 및 질량보강부분이, 도 6a 및 6b에 보인 것과 같이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가압부(163c) 또는 가변 셔터(163)의 다양한 기능이 간결한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the variable shutter 163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s reinforcing part may be the receiving part 163c3 . In other words, the mass reinforcing part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queegee member 163c1 or the elastic member 163c2 , and thus may serve as the accommodating part 163c3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63c2, the squeegee member 163c1 and the mass reinforcing part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6A and 6B. Accordingly, various functions of the pressing unit 163c or the variable shutter 163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a simple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in will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청소기 110: 청소기 본체
111: 휠 유닛 112: 흡입 유로
120: 흡입 유닛 121: 노즐부
121a: 장착부분 130: 센싱 유닛
140: 먼지통 150: 먼지통 덮개
160: 브러시 조립체 161: 프레임
161a: 개구부 161b: 지지부
161b1: 착탈부 161c: 연장부
161d: 개방 스토퍼부 161e: 폐쇄 스토퍼부
161f: 연결부 162: 브러시 회전봉
162a: 브러시부 163: 가변 셔터
163a: 힌지부 163b: 셔터부
163c: 가압부 163c1: 스퀴지부재
163c2: 탄성부재 163c3: 수용부
163c3': 오목부분 163c3": 볼록부분
100: vacuum cleaner 110: cleaner body
111: wheel unit 112: suction flow path
120: suction unit 121: nozzle unit
121a: mounting portion 130: sensing unit
140: dust bin 150: dust bin cover
160: brush assembly 161: frame
161a: opening 161b: support part
161b1: detachable part 161c: extension part
161d: open stopper portion 161e: close stopper portion
161f: connecting portion 162: brush rotating rod
162a: brush part 163: variable shutter
163a: hinge portion 163b: shutter portion
163c: pressing part 163c1: squeegee member
163c2: elastic member 163c3: receiving part
163c3': concave part 163c3": convex part

Claims (13)

청소기 본체; 및
바닥면 상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바닥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러시 회전봉;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회전봉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셔터는,
상기 회전봉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셔터부; 및
상기 회전봉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 및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가 바닥면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회전봉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하 상대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청소기.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including a nozzle unit formed to suck ai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on a floor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 brush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nozzle unit,
The brush assembly,
a frame coupled to the nozzle unit, opening toward the front and forming an open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a brush rotating rod accommodated in th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e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and
and a variable shutter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rod,
The variable shutter is
a shutter unit disposed in front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rod; and
It includes a pressing part dispos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rod,
The shutter unit and the pressing unit,
A cleaner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by being formed to rotat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r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force receiv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셔터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shutter may further include hinges rotatably moun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힌지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의 회전에 의해 하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폐쇄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utter part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hinge part and rotates downward by rotation of the hinge part to close a part of the open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힌지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ar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hinge part, and is rotated upward by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hinge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힌지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 상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 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힌지부의 슬라이딩 시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착탈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ame is
a support par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hinge part; and
and a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brush rotating rod to form the opening on the bottom surface,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detachable unit that is opened toward an upper side and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hinge unit sli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nge portion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surrounding the brush rotating rod so as to sli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rotating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 및 가압부는 상기 회전봉의 회전 축 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hutter part and the pressing part are located below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변 셔터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셔터부의 회전 경로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개방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may include an opening stopper part protruding toward a rotation path of the shutter part to restrict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part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변 셔터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회전 경로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폐쇄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may include a closing stopper portion protruding toward a rotation path of the pressing portion to restrict rotation of the variable shutter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폐쇄 스토퍼부와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폐쇄 스토퍼부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ressing un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unit, thereby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the closing stopper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후방에서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폐쇄 스토퍼부와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스퀴지(squeegee)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squeegee membe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brush rotating rod to restrict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from the rear of the brush rotating rod and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with the closing stopp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변 셔터를 회전시키는 토크(torque)를 부가하도록 형성되는 질량보강부분을 구비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essing part includes a mass reinforcing part formed to apply a torque for rotating the variable shut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is open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브러시 회전봉의 후방에서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러시 회전봉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질량보강부분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스퀴지(squeegee)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squeegee membe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brush rotating r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erial from the rear of the brush rotating rod and being inserted and mounted in the mass reinforcing portion.
KR1020180174036A 2017-01-19 2018-12-31 Cleaner KR102448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036A KR102448087B1 (en) 2017-01-19 2018-12-31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17A KR101935946B1 (en) 2017-01-19 2017-01-19 Cleaner
KR1020180174036A KR102448087B1 (en) 2017-01-19 2018-12-31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317A Division KR101935946B1 (en) 2017-01-19 2017-01-19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686A KR20190004686A (en) 2019-01-14
KR102448087B1 true KR102448087B1 (en) 2022-09-28

Family

ID=8346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036A KR102448087B1 (en) 2017-01-19 2018-12-31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8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470Y1 (en) 1997-06-17 1999-07-01 최진호 Suction brush of vacuum cleaner
JP2003525079A (en) * 2000-01-29 2003-08-26 アルフレッド ケルハ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Cleaning head for floor cleaner
JP3849376B2 (en) 1999-11-19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100809740B1 (en) 2007-01-24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Suction brush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JP4607683B2 (en) 2005-06-24 2011-01-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Vacuum cleaner suction tool
US20160256024A1 (en) 2015-03-06 2016-09-08 Dyson Technology Limited Suctio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729A (en) * 1998-03-02 1999-10-05 배길성 Suction device of upright cleaner
KR100809737B1 (en) 2006-11-28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leaner
GB2498351B (en) * 2012-01-10 2014-06-18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470Y1 (en) 1997-06-17 1999-07-01 최진호 Suction brush of vacuum cleaner
JP3849376B2 (en) 1999-11-19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2003525079A (en) * 2000-01-29 2003-08-26 アルフレッド ケルハ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Cleaning head for floor cleaner
JP4607683B2 (en) 2005-06-24 2011-01-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Vacuum cleaner suction tool
KR100809740B1 (en) 2007-01-24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Suction brush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US20160256024A1 (en) 2015-03-06 2016-09-08 Dyson Technology Limited Suctio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686A (en)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177B1 (en) Vacuum cleaner
EP3364843B1 (en) Surface cleaning head with leading roller
CN109419448B (en) Surface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JP2016107094A (en) Mop module and robot cleaner with the same
AU2019236758B2 (en) A head for a surface cleaning device
US20060021185A1 (en) Intake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11006796B2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448087B1 (en) Cleaner
AU2017394582B2 (en) Cleaner
KR101457970B1 (en) Suction port of vacuum cleaner robot
JP7081970B2 (en) Vacuum cleaner mouthpiece and vacuum cleaner with it
KR101908421B1 (en) Cleaner
JP3863096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JP2017006185A (en)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102341735B1 (en) Cleaner
JP4818327B2 (en) Floor suction tool
EP3471589B1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JP6865350B2 (en) Vacuum cleaner
KR102367199B1 (en) Robot cleaner
KR102297759B1 (en) Robot cleaner
JP4194630B2 (en) Floor suction tool
JP2019170693A (en)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JP2019188117A (en) Suction hole body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the same
JP2004230011A (en) Vacuum cleaner
JPH11197070A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ho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