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60B1 - 차량 트렁크용 매트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060B1
KR102448060B1 KR1020220078709A KR20220078709A KR102448060B1 KR 102448060 B1 KR102448060 B1 KR 102448060B1 KR 1020220078709 A KR1020220078709 A KR 1020220078709A KR 20220078709 A KR20220078709 A KR 20220078709A KR 102448060 B1 KR102448060 B1 KR 10244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or
floor support
vehicle
absorb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화
Priority to KR102022007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대형 사륜구동차량의 후방에 형성되어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에 접촉되는 바닥지지부와, 바닥지지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이부가 형성되고, 접이부에 연결되며 좌석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되는 등받이 밀착부와, 바닥지지부의 타측에 복수의 절개부가 이격 형성되어 바닥지지부의 타측이 차량 구조물의 양측에 분할되어 접하도록 하는 양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절개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 구조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구부러지는 분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용 매트{car trunk mat}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 공간이 넓은 사륜구동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어 일상은 물론 레저용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 트렁크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매트는 고무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거나 융단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매트를 밟으면 신발의 흙이 매트의 돌기나 융단에 의해 보다 잘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 매트 위에 모여 있도록 되어 있다.
대개의 매트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깔아 신발에 묻은 흙이 묻어나도록 하고,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이다.
한편 근래에는 레저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사륜구동차량(SUV)이 많이 보급되고 있고, 이러한 대형 사륜구동차량은 후방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큰 공간을 갖는다.
이 공간을 트렁크로 볼 수 있고, 이 공간에 다양한 화물을 싣고 다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내장재 바닥이 긁히게 되는 파손이 발생되고, 야외에서 '차박'을 할 경우 내장재 바닥의 차가운 온도를 막기 위해 별도의 매트를 깔아야 하므로 매트 준비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2012-000198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렁크의 바닥 및 측면에 깔아둠으로써 차량 내장재가 긁히게 되는 파손을 방지하고, 흙이나 먼지가 쉽게 닦여질 수 있어 청소가 편리하며, 차박을 할 경우에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보온성을 발휘할 수 있고, 화재시 불에 타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 트렁크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사륜구동차량의 후방에 형성되어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에 접촉되는 바닥지지부와, 바닥지지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이부가 형성되고, 접이부에 연결되며 좌석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되는 등받이 밀착부와, 바닥지지부의 타측에 복수의 절개부가 이격 형성되어 바닥지지부의 타측이 차량 구조물의 양측에 분할되어 접하도록 하는 양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절개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 구조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구부러지는 분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지지부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갖는 하층부; 상기 하층부의 상부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된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부착되며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층; 상기 진동흡수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완충성능을 갖는 탄성폼; 상기 탄성폼의 상부에 형성되며 탄성폼이 진동흡수층과 분리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부착시켜 고정되는 상층부;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용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탄성폼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발포 스폰지이며,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폼은 젤라틴 버블이 다수 혼합되며, 상기 젤라틴 버블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부는 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진동흡수층의 상부에 중첩 배치되는 상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판과 진동흡수층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재봉하여 진동흡수층과 부착되고, 재봉에 의해 고립된 격실을 갖는 볼록한 철부가 형성되고, 재봉된 부위는 요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층부는 합성수지로 된 판재이며, 외면에는 다수의 환턱이 다수 형성되고, 환턱의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에 충진되는 방향재와, 환턱에 부착되어 홈을 밀봉하는 박막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부는, 상면판과 진동흡수층의 연결부위에 방충 심재가 삽입되고, 상기 방충 심재를 덮는 커버를 배치한 후 실로 재봉하여 연결하며, 상기 방충 심재는 솜이나 삼으로 제조된 실과, 상기 실에 방충제를 코팅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렁크의 바닥 및 측면에 깔아둠으로써 차량 내장재가 긁히게 되는 파손을 방지하고, 흙이나 먼지가 쉽게 닦여질 수 있어 청소가 편리하며, 차박을 할 경우에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보온성을 발휘할 수 있고, 화재시 불에 타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의 '하층부'를 나타낸 저면 확대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의 '방충 심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의 '하층부'를 나타낸 저면 확대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의 '방충 심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매트는, 대형 사륜구동차량의 후방에 형성되어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T)에 접촉하는 바닥지지부(100)와, 바닥지지부(10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이부(200)가 형성되고, 접이부(200)에 연결되며 좌석등받이(C)의 배면에 밀착되는 등받이 밀착부(120)와, 바닥지지부(100)의 타측에 복수의 절개부(140)가 이격 형성되어 바닥지지부(100)의 타측이 차량 구조물의 양측에 분할되어 접하도록 하는 양 접촉부(160)와, 상기 복수의 절개부(140)들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 구조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구부러지는 분할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갖는 하층부(2); 상기 하층부(2)의 상부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된 탄성체(3); 상기 탄성체(3)의 상부에 부착되며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층(4); 상기 진동흡수층(4)의 상부에 배치되며 완충성능을 갖는 탄성폼(5); 상기 탄성폼(5)의 상부에 형성되며 탄성폼(5)이 진동흡수층(4)과 분리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부착시켜 고정되는 상층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층부(2)는 합성수지로 된 판재이며, 외면에는 다수의 환턱(22)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환턱(22)의 내부에 홈(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환턱(22)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미끄러지지 않고, 원래 차량 내부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층부(2)의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고강도, 고강성, 고경도, 낮은 수분 흡수율, 낮은 마찰성 및 내마모성, 내가수분해성, 산(acids)에 대한 내화학성, 접착성과 용접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폴리설폰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폴리에테르설폰은 내열성, 치수안정성, 난연성이 우수한다.
폴리에테르이미드는 고강성, 고강도, 고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하다.
상기 환턱(22)의 홈(24)에 충진되는 방향재(26)와, 환턱(22)에 부착되어 홈(24)을 밀봉하는 박막씰(28)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씰(28)은 미세한 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홈(24)에 충진되는 방향재(26)가 미세하게 배출되면서 소정의 항균 방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방향재(26)는 점성 충진재와 항균제, 방향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점성 충진재는 주제와 중합촉진제, 경화조절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에 따르면, 주제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중합촉진제는 60~70중량부, 경화조절제는 30~4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주제는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글리콜라이드이다.
폴리락타이드(Polylactic Acid, PLA)는 생분해성 고분자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고분자이며, 생체 적합성, 광택, 투명도, 그리고 내연성 등의 특성을 가지며, 높은 가공성을 갖는다.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PGA)는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이며, 밀도가 높아 산소 차단성이 매우 우수하고, 빠르게 생분해될 수 있어 퇴비화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합촉진제는 규산소다 또는 암모늄 퍼설페이트이다.
중합촉진제가 60중량부 이하면 반응성능이 저하되고, 70중량부 이상이면 과도하여 불량품이 생성될 우려가 있다.
규산소다는 점도를 높여주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암모늄 퍼설페이트는 산화촉진 기능을 수행하여 중합속도를 높인다.
경화조절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다.
경화조절제가 30중량부 이하면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품이 생성될 우려가 있고, 40중량부 이상이면 과도하여 불량품이 생성될 우려가 있다.
상기 탄성체(3)는 하층부(2)의 상부에 부착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격에 대한 완화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진동흡수층(4)은 상기 탄성체(3)의 상부에 부착되며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우레탄, 실리콘 소재로 된 패드로 이루어진다.
탄성폼(5)은 상기 진동흡수층(4)의 상부에 배치되며 완충성능을 갖는다.
탄성폼(5)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발포 스폰지로 이루어짐으로서 완충 및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고, 차 바닥에서 실내에 전달될 수 있는 소음과 진동을 차감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폼(5)에는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폼(5)은 젤라틴 버블(52)이 다수 혼합될 수 있다.
젤라틴 버블(52)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충진된 것일 수 있다.
염화 벤잘코늄은 소독력이 있으며, 염화 벤제토늄은 계면활성제, 소독제, 항감염제, 응급 치료시 국소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며, 박테리아, 균류, 곰팡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클로로헥시딘은 소독력을 가지며 미생물 제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추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젤라틴 버블(52)이 용해되는 경우 내부의 혼합물이 유출되어 지속적인 살균 성능이 발휘될 수 있어 질병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병원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층부(6)는 탄성폼(5)이 진동흡수층(4)과 분리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부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진동흡수층(4)의 상부에 중첩 배치되는 상면판(62)을 포함한다.
상면판(62)과 진동흡수층(4)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재봉하여 진동흡수층(4)과 부착되고, 재봉에 의해 고립된 격실(64)을 갖는 볼록한 철부(66)가 형성되고, 재봉된 부위는 요부(6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철부(66)가 물체에 먼저 접촉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탄성폼(5)과 함께 방음과 보온성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상층부(6)는, 상면판(62)과 진동흡수층(4)의 연결부위에 방충 심재(7)가 삽입되고, 상기 방충 심재(7)를 덮는 커버(72)를 배치한 후 실로 상면판(62)과 진동흡수층(4)을 동시에 관통시켜 재봉함으로써 고정 및 연결시킨다.
방충 심재(7)는 솜이나 삼으로 제조된 실을 여러가닥 꼬아서 제조되며, 상기 실에 방충제를 코팅시켜 이루어진다.
일예에 따른 방충제는 피레스로이드계 방충제 원액 또는 천연 방충제 원액으로서 피레스로이드계인 트렌스플루트린과 천연계인 세달우드(Cedarwood) 또는 신나몬 오일(Cinnamon Oil)이 사용된다.
따라서 방충성분이 발휘되도록 하여 벌레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72)는 방충 심재(7)가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방충제 성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미세한 공극을 갖는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지고, 방충 심재(7)가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해주게 된다.
한편 상층부(6) 및 탄성폼(5)에는 난연재가 포함될 수 있다.
난연재는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지르코늄, 은, 백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난연재에 의해 항균성능이 발휘될 수 있어 박테리아,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아울러 난연성이 발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하층부 3 : 탄성체
4 : 진동흡수층 5 : 탄성폼
6 : 상층부 22 : 환턱
24 : 홈 28 : 박막씰
100 : 바닥지지부 120 : 등받이 밀착부
140 : 절개부 160 : 접촉부
180 : 분할부 200 : 접이부

Claims (3)

  1. 대형 사륜구동차량의 후방에 형성되어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에 접촉되는 바닥지지부와, 바닥지지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접이부가 형성되고, 접이부에 연결되며 좌석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되는 등받이 밀착부와,
    바닥지지부의 타측에 복수의 절개부가 이격 형성되어 바닥지지부의 타측이 차량 구조물의 양측에 분할되어 접하도록 하는 양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절개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 구조물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구부러지는 분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지지부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갖는 하층부;
    상기 하층부의 상부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된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부착되며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층;
    상기 진동흡수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완충성능을 갖는 탄성폼;
    상기 탄성폼의 상부에 형성되며 탄성폼이 진동흡수층과 분리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부착시켜 고정되는 상층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상층부는,
    진동흡수층의 상부에 중첩 배치되는 상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판과 진동흡수층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재봉하여 진동흡수층과 부착되고, 재봉에 의해 고립된 격실을 갖는 볼록한 철부가 형성되고, 재봉된 부위는 요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층부는
    외면에는 다수의 환턱이 다수 형성되고, 환턱의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홈에 충진되는 방향재와, 환턱에 부착되어 홈을 밀봉하는 박막씰을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는,
    상면판과 진동흡수층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방충 심재;
    상기 방충 심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방충 심재는 솜이나 삼으로 제조된 실과, 상기 실에 방충제를 코팅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폼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 또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발포 스폰지이며,
    상기 탄성폼은 젤라틴 버블이 다수 혼합되며,
    상기 젤라틴 버블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용 매트.
  3. 삭제
KR1020220078709A 2022-06-28 2022-06-28 차량 트렁크용 매트 KR10244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709A KR102448060B1 (ko) 2022-06-28 2022-06-28 차량 트렁크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709A KR102448060B1 (ko) 2022-06-28 2022-06-28 차량 트렁크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060B1 true KR102448060B1 (ko) 2022-09-28

Family

ID=8346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709A KR102448060B1 (ko) 2022-06-28 2022-06-28 차량 트렁크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117U (ja) * 2011-03-14 2011-06-02 有限会社リトルプリンセス 抗菌性マット
KR20120001984U (ko) 2010-09-06 2012-03-16 판강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환원배소장치
KR20200016556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소브 소음 차단 및 방진을 위한 차량용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84U (ko) 2010-09-06 2012-03-16 판강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환원배소장치
JP3168117U (ja) * 2011-03-14 2011-06-02 有限会社リトルプリンセス 抗菌性マット
KR20200016556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소브 소음 차단 및 방진을 위한 차량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94008T3 (es) Espumas compuestas a base de látex
US8505150B2 (en) Sponge product
US20040098806A1 (en) Shaped body, in particular for a seat cushion
US20060246799A1 (en) Sound attenuating/absorb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80009977A1 (en) Composition for gel cushion, and gel cushion manufactured therefrom
EP2034870B1 (en) Foams formulated with rubber composition based springs
JP2011000765A (ja) 車両用内装材
RU2014150330A (ru) Иглопробивной коврик
JPWO2005077998A1 (ja) 低反発性高通気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利用
US10493879B2 (en) Ventilated seat element
MX2008010691A (es) Sistema de alfombra de vehiculo.
US8662560B2 (en) Vehicle seating attachment assembly
KR102448060B1 (ko) 차량 트렁크용 매트
US20200340175A1 (en) Foamed resin layer and synthetic leather
US11577671B2 (en) Absorbing sound insulation motor trim element
WO2011090807A1 (en) Silicone-impregnated foam product with fille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90155520A1 (en) Floor covering with viscoelastic dampening properties
JP2002266223A (ja) 立体網状構造体
JP4359177B2 (ja) 防音性を付与した車両用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
JP2003216161A (ja) 自動車用の吸音材
CN113272173A (zh) 悬浮面料座椅冷却系统
KR20220071659A (ko) 자동차용 휠 가드
JP7220009B2 (ja) 低反発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と低反発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と低反発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04218219A (ja) 機能性に優れた床材及びマットレス
US20220185483A1 (en) Cushion for a Plane Seat, Having Antimicrobial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