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781B1 -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781B1
KR102447781B1 KR1020200161768A KR20200161768A KR102447781B1 KR 102447781 B1 KR102447781 B1 KR 102447781B1 KR 1020200161768 A KR1020200161768 A KR 1020200161768A KR 20200161768 A KR20200161768 A KR 20200161768A KR 102447781 B1 KR102447781 B1 KR 10244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paid service
shared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579A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20016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7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무료로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스터디 카페의 관리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다양한 사용자의 유입을 유도하여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operating study caf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는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서관, 독서실 등은 다양한 연령대의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종류의 책을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내에 구비된 책상 등에서 학업, 취업, 취미 등을 위해 주변 환경에 방해를 받지 않고, 도서 등을 열람하는 장소이다.
최근에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기존의 폐쇄적 형태의 도서관, 독서실 등을 탈피하여, 카페와 같은 개방적이면서도 아늑한 분위기에서 차를 마시며 토론이나 세미나, 공부 따위를 할 수 있게 만든 카페인 스터디 카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터디 카페는 사용자가 소지한 노트북 등을 통해서도 자료 열람, 작업 수행 등이 가능하지만, 다양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27488호 [제목: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 시스템 및 운영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는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최대 이용 금액에 따라 해당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제한하는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과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을 합산하여 선결제 또는 후결제하는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은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상기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상기 단말;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및, 공유 IP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단말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른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랜딩 페이지는, 상기 스터디 카페 이용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서, 상기 스터디 카페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유료 서비스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유료 서비스 종류 표시 항목, 선결제 또는 후결제 또는 혼합결제를 선택하기 위한 결제 방식 선택 항목, 이용 시간 입력을 위한 이용 시간 입력 항목,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유료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최대 요금을 설정하기 위한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 및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용 정보는, 유료 서비스 종류, 결제 방식, 이용 시간, 최대 이용 금액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서 이용 시간에 따른 선결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 정보에 포함된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서 이용 시간에 따른 선결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 정보에 포함된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은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상기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및, 공유 IP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한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앞서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와,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에서 제공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될 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 상태로 판단될 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의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요청에 따른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에서 사용한 공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서 후결제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서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서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상기 단말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 및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할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무료로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스터디 카페의 관리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다양한 사용자의 유입을 유도하여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최대 이용 금액에 따라 해당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제한함으로써, 스터디 카페 이용 시 필요에 따라 설정된 최대 이용 금액 내에서 자유롭게 유료 서비스 및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과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을 합산하여 선결제 또는 후결제함으로써, 스터디 카페와 유료 서비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하고, 합산 결제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10)은 단말(100), 서버(200) 및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해당 서버(200) 및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단말(100), 서버(200) 및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처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각각은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 상기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미도시), 각 단말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스터디 카페 이용 예약 기능, 이용 요금에 대한 선결제/후결제 기능, 예약 확인 기능, 이용 현황 기능 등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또는 전화번호), 주소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 또는 모바일 메신저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네이버, 인스타그램, 구글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메신저 계정은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바이버(viber), 위챗(wechat), 와츠앱(whatsapp), 텔레그램(Telegram ), 스냅챗(snapchat)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단말(10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단말(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스터디 카페 이용 예약 기능, 이용 요금에 대한 선결제/후결제 기능, 예약 확인 기능, 이용 현황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스터디 카페 이용 예약 기능, 상기 이용 요금에 대한 선결제/후결제 기능, 상기 예약 확인 기능, 상기 이용 현황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미도시)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해당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해당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랜딩 페이지는 해당 랜딩 URL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유료 서비스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유료 서비스 종류 표시 항목, 선결제(또는 사용전 결제) 또는 후결제(또는 사용후 결제) 또는 혼합결제를 선택하기 위한 결제 방식 선택 항목, 이용 시간 입력을 위한 이용 시간 입력 항목, 단말(100)의 사용자가 유료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최대 요금을 설정하기 위한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은 후결제시에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결제 방식은 일부 이용 금액을 사전 결제하고, 나머지 이용 금액은 사후 결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는 인터넷 강의 서비스, 게임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즉, 상기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용 정보는 유료 서비스 종류, 결제 방식(예를 들어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혼합 결제 방식 등 포함), 이용 시간, 최대 이용 금액,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이용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이용 시간에 따른 선결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 정보에 포함된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를 운용하는 서버(200))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말(100)은 무료 또는 유료로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이용 시간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100)에서의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 기능이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등 포함)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의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 기능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 결제 금액, 스터디 카페명, 스터디 카페의 위치 정보(또는 주소 정보), 스터디 카페의 전화번호,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 미리 설정된 스터디 카페 예약 기능을 통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을 위한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와 관련해서 해당 서버(200)에서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와 관련해서 해당 서버(200)에서 공유 IP 주소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IP 주소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단말(100)의 접속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접속을 유지하며,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단말(100)의 접속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한 접속이 차단되며, 상기 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앞서 제공된 랜딩 페이지를 이용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선결제가 아닌 후결제를 선택한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를 운용하는 서버(200))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말(100)은 무료 또는 유료로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이용 시간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200)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또는 금액) 및/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8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알람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다른 비율(예를 들어 9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잔액 부족에 대비하여 유료 서비스 이용이 강제로 종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다른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른 알람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또는 출력)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등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스터디 카페의 이용 예약 기능,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 기능 등을 수행하며, 해당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는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접속하는 임의의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NFC 태그(미도시)가 구성(또는 배치/설치/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터디 카페에 배치된 POS(Point of Sales) 단말, 키오스크 단말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등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등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개인 정보 등을 DB 서버(미도시)에 등록(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등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스터디 카페 이용 예약 기능, 이용 요금에 대한 선결제/후결제 기능, 예약 확인 기능, 이용 현황 기능 등을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상기 단말(100) 등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공지사항, 이벤트 등을 위한 게시판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업무 협약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업무 협약 기능 수행에 따라,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 중인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단말(100)에 제공할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공유 IP 주소 등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충전 방식의 사용 요금 결제, 정액제 방식의 사용 요금 결제 등을 통해 해당 공유 아이디, 공유 IP 주소 등을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또는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랜딩 페이지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유료 서비스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유료 서비스 종류 표시 항목, 선결제(또는 사용전 결제) 또는 후결제(또는 사용후 결제) 또는 혼합결제를 선택하기 위한 결제 방식 선택 항목, 이용 시간 입력을 위한 이용 시간 입력 항목, 단말(100)의 사용자가 유료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최대 요금을 설정하기 위한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은 후결제시에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결제 방식은 일부 이용 금액을 사전 결제하고, 나머지 이용 금액은 사후 결제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즉,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이용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용 정보는 유료 서비스 종류, 결제 방식(예를 들어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혼합 결제 방식 등 포함), 이용 시간, 최대 이용 금액,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이용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스터디 카페 내에 위치하는 경우(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 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장치, 비콘 등의 신호 허용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스터디 카페 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장치, 비콘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랜딩 URL을 통해 상기 랜딩 URL에 접속하여 해당 랜딩 페이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이용 시간에 따른 선결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 정보에 포함된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를 운용하는 서버(200))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서버(200)는 무료 또는 유료로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해당 단말(100)에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상기 단말(1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이용 시간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상기 단말(1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100)에서의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 기능이 실패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등 포함)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또는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 중이 아닌 상태에서 부당하게 소유한 해당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유료 서비스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공유 아이디는 유지하고, 해당 공유 비밀번호는 1회 사용 후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재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는 상기 서버(2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사전 협의(또는 계약)에 따라, 초/분/시간/일/주/월/분기/년 단위 등으로 해당 서버(200)에서의 해당 공유 아이디의 이용 시간에 따라 산정된 요금을 결제하거나 또는, 해당 서버(200)에서 사전에 해당 공유 아이디에 대해 일정 금액을 충전한 후 해당 공유 아이디의 이용 시간에 따라 충전 금액을 차감하거나 또는, 초/분/시간/일/주/월/분기/년 단위 등으로 해당 공유 아이디에 대해 정액제로 요금을 결제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요금 결제 방식은 다음 설명하는 공유 IP 주소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사전 허가된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된 공유 아이디 및 공유 비밀번호와 함께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에서 공유 아이디 및 공유 비밀번호 제공 대신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 중인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미리 설정된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공유 IP 주소는 앞서 설명된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의 이용을 위한 사용 요금 결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사전 허가된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된 공유 IP 주소와 함께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해당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예약 기능 수행 후, 해당 스터디 카페에 입장하는 경우(또는 상기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스터디 카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접속을 위한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해당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은 해당 스터디 카페 입장 후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용 예약 시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접속을 위한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고, 해당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 이후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스터디 카페 내에 위치하는 경우(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 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장치, 비콘 등의 신호 허용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스터디 카페 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장치, 비콘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아이디와 범용 비밀번호 또는, 범용 IP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범용 아이디와 범용 비밀번호 또는, 범용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단말(100)의 접속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상기 단말(1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20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단말(100)의 접속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성공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공유 아이디별/공유 IP 주소별 이용 시간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성공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공유 아이디별/공유 IP 주소별 이용 시간 등을 저장(또는 관리)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앞서 제공된 랜딩 페이지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선결제가 아닌 후결제를 선택한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를 운용하는 서버(200))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말(100)은 무료 또는 유료로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상기 단말(1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이용 시간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상기 단말(1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100)에서의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 기능이 실패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등 포함)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200)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 및/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또한,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8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정보는 해당 단말(100)에서 이용 중인 유료 서비스 종류, 이용 시간, 이용 요금, 상기 최대 이용 금액 대비 남은 잔액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다른 비율(예를 들어 9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에 따라, 해당 단말(100)에서 사용한 공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200)는 사용 종료된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무단으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 종료된 공유 아이디는 유지하고, 해당 공유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거나 또는, 해당 공유 IP 주소를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공유 IP 주소 등을 하나의 단말(100)에서만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200)에서 복수의 단말(100)에 동일한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공유 IP 주소 등을 제공하고, 복수의 단말(100)에서 동일한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공유 IP 주소 등을 이용해서 동일한 특정 유료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예를 들어 동시 접속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전에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접속할 복수의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복수의 단말(100)에 대해 동시 접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등과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터넷 강의, 응용 프로그램, 게임 등의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에 대해서 스터디 카페를 운영하는 서버(200)와 업무 협약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상기 서버(200)와의 업무 협약 기능 수행에 따라,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 중인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단말(100)에 제공할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공유 IP 주소 등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충전 방식의 사용 요금 결제, 정액제 방식의 사용 요금 결제 등을 통해 해당 공유 아이디, 공유 IP 주소 등에 대한 사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해당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앞서 수신된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100)에서 입력한 공유 아이디, 공유 비밀번호,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또는 확인)한다.
또한, 해당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앞서 수신된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또는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기 랜딩 페이지 또는 상기 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이 상기 랜딩 페이지나 상기 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랜딩 페이지 또는 상기 서버(200)의 공유 IP 주소가 사전 등록된 공유 IP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 판단 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순히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가 사전 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데 추가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할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의 이용이 예약된 단말(100)에 대해서만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단말(100)에서의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의 유료 서비스 이용이 종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하고,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를 통한 유료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며, 상기 서버(200)로부터 새로운 다른 단말(미도시)의 식별 정보와 함께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가 전달되는 경우 새롭게 해당 다른 단말에서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접속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접속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단말(100)의 접속을 유지하고, 해당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에서의 요청에 따른 유료 서비스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성공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공유 아이디 또는 상기 공유 IP 주소를 이용한 해당 단말(100)의 이용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공유 아이디별/공유 IP 주소별 이용 시간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200)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 및/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다른 비율(예를 들어 9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의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한다.
이와 같이,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최대 이용 금액에 따라 해당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과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을 합산하여 선결제 또는 후결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00)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미도시)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해당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해당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랜딩 페이지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유료 서비스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유료 서비스 종류 표시 항목, 선결제(또는 사용전 결제) 또는 후결제(또는 사용후 결제) 또는 혼합결제를 선택하기 위한 결제 방식 선택 항목, 이용 시간 입력을 위한 이용 시간 입력 항목, 단말(100)의 사용자가 유료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최대 요금을 설정하기 위한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최대 이용 금액 설정 항목은 후결제시에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결제 방식은 일부 이용 금액을 사전 결제하고, 나머지 이용 금액은 사후 결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는 인터넷 강의 서비스, 게임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즉, 상기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용 정보는 유료 서비스 종류, 결제 방식(예를 들어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혼합 결제 방식 등 포함), 이용 시간, 최대 이용 금액,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이용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이용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용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이용 시간에 따른 선결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이용 정보에 포함된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를 운용하는 서버(200))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말(100)은 무료 또는 유료로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이용 시간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에서 ABCDE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NFC 태그(미도시)를 태깅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ABCDE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제 1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 1 NFC 태그에 포함된 제 1 랜딩 URL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접속된 제 1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제 1 랜딩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표시되는 제 1 랜딩 페이지에 대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 제 1 결제 방식(예를 들어 선결제 방식), 제 1 이용 시간(예를 들어 3시간), 제 1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등을 포함하는 제 1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이용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제 1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이용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 1 이용 정보 및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터디 카페에서의 상기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의 이용이 무료로 설정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서버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이용 정보에 포함된 제 1 이용 시간(예를 들어 3시간)에 따른 제 1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예를 들어 6천원, 시간당 2천원)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일 예로, 제 2 단말(200)에서 헬로우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NFC 태그(미도시)를 태깅할 때,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헬로우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제 2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 2 NFC 태그에 포함된 제 2 랜딩 URL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접속된 제 2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제 2 랜딩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표시되는 제 2 랜딩 페이지에 대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 제 2 결제 방식(예를 들어 선결제 방식), 제 2 이용 시간(예를 들어 4시간), 제 2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9876-5432) 등을 포함하는 제 2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2 이용 정보,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제 2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이용 정보,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 2 이용 정보 및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 2 스터디 카페에서의 상기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의 이용이 유료로 설정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2 서버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 2 이용 정보에 포함된 제 2 이용 시간(예를 들어 4시간)에 따른 제 2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예를 들어 6천원, 시간당 1500원) 및 상기 제 2 이용 정보에 포함된 제 2 이용 시간(예를 들어 4시간)에 따른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의 이용에 대한 제 2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예를 들어 8천원, 시간당 2천원)을 합산한 총 이용 요금(예를 들어 1만 4천원)에 대해서 선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3 단말(200)에서 하이하이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제 3 NFC 태그(미도시)를 태깅할 때,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하이하이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제 3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 3 NFC 태그에 포함된 제 3 랜딩 URL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접속된 제 3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제 3 랜딩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표시되는 제 3 랜딩 페이지에 대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 제 3 결제 방식(예를 들어 후결제 방식), 제 3 이용 시간(예를 들어 2시간), 제 3 최대 이용 금액(예를 들어 3만원), 제 3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7410-8520) 등을 포함하는 제 3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3 이용 정보,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제 3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3 이용 정보,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 3 이용 정보 및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21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또는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 중이 아닌 상태에서 부당하게 소유한 해당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유료 서비스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공유 아이디는 유지하고, 해당 공유 비밀번호는 1회 사용 후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재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사전 허가된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된 공유 아이디 및 공유 비밀번호와 함께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에서 공유 아이디 및 공유 비밀번호 제공 대신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 중인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미리 설정된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특정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사전 허가된 상기 단말(100)에서 해당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된 공유 IP 주소와 함께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서버(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에서의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에 대응하는 제 1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오피스 365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와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에서의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에 대응하는 제 1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 제 1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와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 상기 제 1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오피스 365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 제 1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와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 상기 제 1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 제 1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와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 상기 제 1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에서의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에 대응하는 제 2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메가스터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megastudy_1234567)와 제 2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megastudy_00112233)를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에서의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에 대응하는 제 2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 제 2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9876-5432), 상기 제 2 서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 제공한 제 2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megastudy_1234567)와 제 2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megastudy_00112233), 상기 제 2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메가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2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 제 2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9876-5432), 상기 제 2 서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 제공한 제 2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megastudy_1234567)와 제 2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megastudy_00112233), 상기 제 2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 제 2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9876-5432), 상기 제 2 서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 제공한 제 2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megastudy_1234567)와 제 2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megastudy_00112233), 상기 제 2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제 3 단말에서의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에 대응하는 제 3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해당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배틀그라운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제 3 서버에서 관리하는 제 3 공유 IP 주소(예를 들어 101,123,456,789)를 상기 제 3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3 서버는 상기 제 3 단말에서의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에 대응하는 제 3 유료 서비스 사용 예약에 따라, 상기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 제 3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7410-8520), 상기 제 3 서버에서 상기 제 3 단말에 제공한 제 3 공유 IP 주소(예를 들어 101,123,456,789), 상기 제 3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배틀그라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3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3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 제 3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7410-8520), 상기 제 3 서버에서 상기 제 3 단말에 제공한 제 3 공유 IP 주소(예를 들어 101,123,456,789), 상기 제 3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 제 3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7410-8520), 상기 제 3 서버에서 상기 제 3 단말에 제공한 제 3 공유 IP 주소(예를 들어 101,123,456,789), 상기 제 3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S22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다.
이때, 해당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앞서 수신된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100)에서 입력한 공유 아이디, 공유 비밀번호,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또는 확인)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에서 공유 아이디 및 공유 비밀번호 제공 대신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 중인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미리 설정된 공유 IP 주소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다.
이때, 해당 단말(100)에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앞서 수신된 단말(100)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서버(200)에서 단말(100)에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공유 IP 주소,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또는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접속 유효성 판단 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순히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가 사전 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데 추가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할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의 이용이 예약된 단말(100)에 대해서만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단말(100)에서의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의 유료 서비스 이용이 종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하고,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를 통한 유료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며, 상기 서버(200)로부터 새로운 다른 단말(미도시)의 식별 정보와 함께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가 전달되는 경우 새롭게 해당 다른 단말에서 해당 공유 아이디나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접속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접속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단말(100)의 접속을 유지하고, 해당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에서의 요청에 따른 유료 서비스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성공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공유 아이디 또는 상기 공유 IP 주소를 이용한 해당 단말(100)의 이용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공유 아이디별/공유 IP 주소별 이용 시간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성공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공유 아이디별/공유 IP 주소별 이용 시간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을 시도한 단말(100)의 접속이 성공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공유 아이디별/공유 IP 주소별 이용 시간 등을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오피스 365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와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공유 아이디 및 제 1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오피스 365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 1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제 1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앞서 수신하여 저장 중인 상기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제 1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오피스 365), 제 1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와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공유 아이디 및 제 1 공유 비밀번호, 해당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허가받은 단말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제 1 단말의 접속 유효성이 인정될 때, 상기 제 1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의 요청에 따른 오피스 365 서비스를 해당 제 1 단말에 제공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2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메가스터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megastudy_1234567)와 제 2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megastudy_00112233)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2 공유 아이디 및 제 2 공유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메가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 2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제 2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앞서 수신하여 저장 중인 상기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제 2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메가스터디), 제 2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9876-5432), 상기 제 2 서버에서 상기 제 2 단말에 제공한 제 2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megastudy_1234567)와 제 2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megastudy_00112233)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제 2 단말과 관련한 제 2 공유 아이디 및 제 2 공유 비밀번호, 해당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허가받은 단말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접속 유효성이 인정될 때, 상기 제 2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의 요청에 따른 메가스터디 서비스를 해당 제 2 단말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제 3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배틀그라운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제 3 서버에서 관리하는 제 3 공유 IP 주소(예를 들어 101,123,456,789)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3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배틀그라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제 3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앞서 수신하여 저장 중인 상기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 제 3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7410-8520), 상기 제 3 서버에서 상기 제 3 단말에 제공한 제 3 공유 IP 주소(예를 들어 101,123,456,789) 등과,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제 3 단말과 관련한 제 3 공유 IP 주소, 해당 제 3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근거로 허가받은 단말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제 3 단말의 접속 유효성이 인정될 때, 상기 제 3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3 단말의 요청에 따른 배틀그라운드 서비스를 해당 제 3 단말에 제공한다(S230).
이후, 상기 단말(100)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앞서 제공된 랜딩 페이지를 이용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선결제가 아닌 후결제를 선택한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를 운용하는 서버(200))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말(100)은 무료 또는 유료로 해당 서버(200)와 협력 관계인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무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를 이용한 유료 서비스 이용이 유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터디 카페의 이용 시간에 따른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과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이용 시간에 따른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에 대해서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200)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해당 단말(100)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 및/또는 해당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또한,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8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정보는 해당 단말(100)에서 이용 중인 유료 서비스 종류, 이용 시간, 이용 요금, 상기 최대 이용 금액 대비 남은 잔액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알람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다른 비율(예를 들어 90%)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잔액 부족에 대비하여 유료 서비스 이용이 강제로 종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다른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다른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른 알람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의 해당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에 따라, 해당 단말(100)에서 사용한 공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200)는 사용 종료된 공유 아이디 또는 공유 IP 주소를 이용해서 무단으로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 종료된 공유 아이디는 유지하고, 해당 공유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거나 또는, 해당 공유 IP 주소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서 사전 결제한 제 1 이용 시간(예를 들어 3시간)이 지나서 해당 제 1 단말에서의 상기 제 1 서버에 대한 접속을 종료할 때,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사용한 제 1 공유 아이디(예를 들어 office_temp0001)는 유지하고,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9999)는 상기 제 1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새로운 제 1 공유 비밀번호(예를 들어 office_temp8520)로 설정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3 단말에서 상기 유료 서비스인 배틀그라운드 서비스 및 해당 HI 스터디 카페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제 3 서버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HI 스터디 카페의 실제 이용 시간(예를 들어 3시간)에 따른 제 3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예를 들어 9천원, 시간당 3천원)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3 단말에서 상기 유료 서비스인 배틀그라운드 서비스 및 해당 HI 스터디 카페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상기 제 3 단말은 상기 제 3 서버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HI 스터디 카페의 실제 이용 시간(예를 들어 4시간)에 따른 제 4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예를 들어 6천원, 시간당 1500원) 및 제 3 유료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에 대한 제 4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예를 들어 4천원, 시간당 1천원)을 합산한 총 이용 요금(예를 들어 1만원)에 대해서 후결제 기능을 수행한다(S24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스터디 카페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무료로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스터디 카페의 관리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다양한 사용자의 유입을 유도하여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최대 이용 금액에 따라 해당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제한하여, 스터디 카페 이용 시 필요에 따라 설정된 최대 이용 금액 내에서 자유롭게 유료 서비스 및 스터디 카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에서 해당 서버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과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을 합산하여 선결제 또는 후결제하여, 스터디 카페와 유료 서비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하고, 합산 결제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100: 단말
200: 서버 300: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10)

  1.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상기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상기 단말;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상기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및, 공유 IP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단말의 접속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른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와,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에서 제공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사용한 공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재설정하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상기 단말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일 때, 상기 단말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 및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할 때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다른 비율에 해당할 때 상기 단말에서의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단말에서 스터디 카페의 일측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스터디 카페와 관련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NFC 태그에 포함된 랜딩 URL에 접속하여, 상기 랜딩 URL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랜딩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스터디 카페를 이용하는 상기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공유 비밀번호 및, 공유 IP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앞서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유료 서비스 종류, 전화번호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유료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와,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에서 제공하는 공유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한 상기 단말의 접속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유료 서비스 이용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에서 사용한 공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공유 비밀번호 또는, 공유 IP 주소를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에 최대 이용 금액을 등록한 상태이고, 상기 단말에서 유료로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 중일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의 유료 서비스 이용 요금 및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의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할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 금액이 상기 최대 이용 금액의 미리 설정된 다른 비율에 해당할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에서의 상기 유료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61768A 2020-11-26 2020-11-26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768A KR102447781B1 (ko) 2020-11-26 2020-11-26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768A KR102447781B1 (ko) 2020-11-26 2020-11-26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79A KR20220073579A (ko) 2022-06-03
KR102447781B1 true KR102447781B1 (ko) 2022-09-27

Family

ID=8198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768A KR102447781B1 (ko) 2020-11-26 2020-11-26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7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61A (ko) * 2002-10-14 2003-01-14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인터넷 유료 정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요금 지불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2931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7488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하드투포겟공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 시스템 및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79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991B1 (en) Opt-in tracking across messaging application platforms
RU2332807C2 (ru) Способ быстрой регистрации для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и осуществления оплаты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двух различных каналов связи, а также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этого система
CN101536462B (zh) 内容注入系统和方法
CA28415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device with a service provider
CN101690121A (zh) 用于管理互联网内容传送的系统和方法
JP6053076B1 (ja) 管理システム及び連絡システム
KR102187546B1 (ko) 그룹소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87626B1 (ko) 블록체인 기반 마일리지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EP2645284A1 (en) Server system, method for executing server system, and external memory
JP2002032692A (ja) 情報サービス提供方法
KR101023313B1 (ko) 사용이력표시가 가능한 전자화폐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117809A (ko) 피시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7781B1 (ko)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42616A (ko) 서비스 중계 사이트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와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서비스 중계하는 방법
US200902407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Services
JP2017073113A (ja) 管理システム及び連絡システム
US20220207503A1 (en) Method and device to provide multi-subscription service
KR20220163763A (ko) 부동산 거래 안전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5682B1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스마트 공중전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28872B1 (ko) 무선 푸시 기반 청구서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61541A (ko) 가상 공간 관리 시스템, 가상 공간 가입 방법 및 가상 공간 구입 방법
KR20140048814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홈쇼핑 결제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KR102227669B1 (ko) 통합 예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8296B1 (ko) 암호화폐 채굴 및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5355A (ko) 무선 전자 상거래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