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325B1 -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325B1
KR102447325B1 KR1020210011600A KR20210011600A KR102447325B1 KR 102447325 B1 KR102447325 B1 KR 102447325B1 KR 1020210011600 A KR1020210011600 A KR 1020210011600A KR 20210011600 A KR20210011600 A KR 20210011600A KR 102447325 B1 KR102447325 B1 KR 10244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gripping
pressing
spot weld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517A (ko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3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폿 용접이 이루어진 소재를 픽업 후,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반전시킬 수 있는 턴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1안착부의 소재를 픽업하여 회전에 의해 해당 소재가 뒤집어질 수 있게 제2안착부에 안착시키는 픽업부재와, 상기 픽업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부재의 가압에 의한 감지정보를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반전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Spot welding turnover apparatus}
본 발명은 스폿 용접이 이루어진 소재를 픽업 후,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반전시킬 수 있는 턴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고 무거운 작업 대상물의 앞면과 뒷면 모두에 대해 용접(특히, 스폿 용접) 작업 등을 하는 경우와 같이, 작업 대상물을 반대편으로 뒤집는 턴오버 작업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있다.
종래의 경우, 작업 대상물에 대한 이러한 턴오버 작업시,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들어올린 후, 뒤집어서 다시금 내려 놓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최소 두 대 이상으로 구성된 턴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어느 한 턴오버 장치 위에 놓여진 작업 대상물을 복잡한 경로를 거쳐 다른 턴오버 장치 위로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와이어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 공정상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여러 대로 구성된 턴오버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과도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과, 복잡한 경로로 인해 신속한 턴오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129694호(공고일:1997.11.12.)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130106호(공개일:2017.11.28.) 국내등록특허 제10-1818398호(공고일:2018.01.12.)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스폿 용접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대상물에 대한 턴오버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는 턴오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1안착부의 소재를 픽업하여 회전에 의해 해당 소재가 뒤집어질 수 있게 제2안착부에 안착시키는 픽업부재와, 상기 픽업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부재의 가압에 의한 감지정보를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반전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에서 상기 제2안착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암과, 상기 암 외면에 구비되되 공기 흡착에 의해 소재를 픽업하는 다수의 흡착판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암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흡착판에 흡착된 소재 끝단부를 회전에 의해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암에 설치되되 소재와 면접하는 상면에는 쿠션재질의 파지패드가 구비된 파지브라켓과, 상기 파지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파지패드에 안착한 소재의 끝단부를 가압에 의해 파지하는 파지체 및 상기 파지체 하부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파지체를 회전시키는 파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감속모터 및 상기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반전베이스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플레이트 외면에 상기 픽업부재가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외면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반전베이스에 구비된 스위치를 가압하여 그 가압에 의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픽업부재가 어느 한 방향에서 수평선을 이룰시에 상기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온 상태을 갖게 스위칭되도록 상기 반전베이스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재의 반전을 위한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해당 소재를 픽업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픽업 후, 회전부재에 의해 신속하고 안정되게 반전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회전부재가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에 가압체와 스위치 간의 감지정보를 통해 제어수단이 픽업부재의 정상적인 회전이 이루어졌는 지에 관한 결과를 판단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에 대한 파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에 대한 파지부재와 흡착판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에 대한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에 대한 회전부재의 작용관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에 대한 소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이하, 간략하게 '턴오버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턴오버장치(1)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제1안착부(20)에서 스틸재료로 스폿(SPOT) 용접이 이루어진 소재(10)를 제2안착부(30) 방향으로 반전(뒤집음)하시켜 안착하기 위한 용도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소재(10) 이외에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리판이나 합성수지판을 반전하기 위한 용도로 적용 가능함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턴오버장치(1)는 크게 픽업부재(100), 회전부재(200) 및 이들 구성이 설치되는 반전베이스(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픽업부재(100)는 제1안착부(20)에서 스폿 용접이 이루어진 소재(10)를 픽업하기 위한 구성으로 암(110), 흡착판(111) 및 파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암(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시키고자 하는 소재(10)의 면적과 대비하여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체(220)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230) 외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정방향(정방향:제1안착부에서 제2안착부 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각각의 암(110)은 외면에는 흡착판(111)과 파지부재(120)가 설치되기 위한 연장관이 가지형상을 갖게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장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은 소재(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끝단부를 상기 파지부재(120)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며, 그 한 쌍의 상기 파지부재(120) 사이에는 또 다른 연장관에 흡착판(111)이 구비되어 해당 소재(10) 외면이 공기 압축에 의해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흡착판(111)은 암(110)이 제1안착부(20) 내에 위치시에 그 흡착부분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흡착판(111)은 상기 암(110) 외면을 기준으로 파지브라켓(121)에 구비된 파지패드(127) 상면보다 더 높게 간격(D)을 갖도록 설치하여 소재(10)의 하중에 의해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참조)
아울러, 흡착판(111)은 소재(10)의 하중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에 의해 흡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턴오버장치(1)의 크기, 해당 소재(10)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제어수단(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자석(미도시) 등을 통해서도 소재(10)의 픽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파지부재(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브라켓(121), 파지체(123) 및 파지실린더(12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흡착판(111)에 의해 흡착된 소재(10)의 끝단부를 파지하여 해당 소재(10)가 반전시에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파지브라켓(121)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연장관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소재(10) 외면과 면접하되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쿠션효과가 있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파지패드(127)가 구비되어 해당 소재(10)를 파지시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여 퀄리티를 유지한다.
아울러, 파지패드(127)는 파지체(123) 외면에도 구비되어 상술한 소재(10)의 퀄리티가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파지체(123)는 파지브라켓(121) 외면과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회전을 통해 파지패드(127)에 안착한 소재(10)를 가압에 의해 파지하거나 해지할 수 있게 된다.
파지실린더(125)는 제어수단(400)의 제어를 통해 그 로드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되 해당 로드는 파지체(123)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파지실린더(125)의 승강을 통해 상기 파지체(123)가 소재(10)를 파지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의 암(110)에 다수 구비된 파지부재(120)는 동시에 소재(10)를 가압 또는 해지할 수 있게 제어수단(400)에 의해 제어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해당 소재(10)의 폭에 따라 연장관의 길이조절이나 상기 연장관이 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후 고정되어 상기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픽업부재(100)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픽업부재(100)에 의해 픽업된 소재(10)가 제1안착부(20)에서 제2안착부(30) 방향으로 반전될 수 있게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감속모터(210) 및 회전체(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어수단(400)에 의해 제어되는 감속모터(210)는 회전하는 회전체(220)의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감속 기능을 갖는 모터를 사용한다.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체(220)는 반전베이스(30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된 지지함(330)과 회전가능하도록 관통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220) 양측에는 암(110)과 체결되되 금속재질의 플레이트(23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2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일측에 암(110)이 체결된 플레이트(230) 타측에는 지지함(330)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230)를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가압체(240)가 체결되며, 상기 가압체(240)는 상기 플레이트(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반전베이스(300)에 다수 설치된 스위치(320)가 전기적으로 온(ON) 상태를 갖도록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어수단(400)은 가압체(24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320)의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암(110)의 회전방향은 물론, 회전정도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압체(240)는 정밀한 암(11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등의 감지정보를 전송받기 위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 상기 암(110)이 수평선을 이룰시에 상기 가압체(240)에 의해 스위치(320)가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온(ON) 상태를 갖게 스위칭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체(220) 또는 플레이트(230)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250)가 회전가능하게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게추(250)를 통해 후술하는 회전부재(200)에 의해 소재(10)가 반전되는 상황에서 상기 무게추(250)를 통해 회전속도가 순간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백러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전베이스(3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픽업부재(100) 및 회전부재(200)가 작업장소인 바닥면에 유동이 일어나지 않게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위치(320) 및 지지함(330)을 포함한다.
예컨대 반전베이스(300)는 횡 및 종방향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된 다수의 빔을 통해 골조를 이루되 해당 빔 상부와 하부에 평탄면을 이루는 설치판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해당 설치판 상면에 픽업부재(100)가 구비된 회전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반전베이스(300) 하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되 하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각을 통해 해당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때, 반전베이스(300)는 회전부재(200)나 픽업부재(100)의 동작에 따른 유동 방지를 위해 연결브라켓(310)을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안착부(20,30)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참조)
스위치(3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플레이트(230) 외면에 체결된 가압체(240)에 의해 어느 하나가 가압되어 스위칭될 수 있도록 회전체(220)를 중심으로 반전베이스(300) 상부에 한 쌍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스위치(320)는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 암(110)이 수평선을 이룰시에 가압체(240)에 의한 가압이 이루질 수 있게 상기 스위치(320)의 높이가 보상될 수 있도록 반전베이스(30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상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도 7 참조)
지지함(330)은 반전베이스(30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다수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지지함(330) 내측으로 회전체(220)가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감속모터(210)에 의해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함(330) 내부에는 감속모터(210)에 의해 회전체(220)의 회전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감속모터(210)와 연결되되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기어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지지함(330)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턴오버장치(1)에 대한 작동 및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턴오버장치(1)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소재의 골조를 이루는 앗세이(11) 외면에 스틸재료인 설치판(13)이 호이스트(510)와 행거(520)를 포함하는 이송수단(500)에 의해 제1안착부(20)로 이송되어 해당 소재(10)가 흡착판(111)에 의한 흡착과 동시에 파지부재(120)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안착부(20)에 구비된 자동건(21)에 의해 스폿 용접이 이루어진 이후의 과정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참조)
먼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판(111)의 흡착과 파지부재(120)에 의해 소재(10)가 파지된 상태에서 제어수단(400)은 감속모터(210)를 제어하여 회전체(220)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체(220)의 플레이트(230)에 체결된 다수의 암(11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안착부(30) 방향으로 해당 소재(10)를 반전시킨다.
반전된 소재(10)는 제2안착부(30)에 안착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안착부(30)에 구비된 감지센서(31)의 감지를 통해 소재(10)의 안착 여부를 제어수단(400)에 전송하여 해당 소재(1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감지정보의 전송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400)은 파지부재(120)를 제어하여 해당 소재(10)를 차지 중인 파지체(123)가 해지될 수 있게 파지실린더(125)를 하강시킨다.
이때, 제어수단(400)은 2차적으로 플레이트(230) 외면에 체결된 가압체(240)의 가압에 의해 스위치(320)가 온(ON) 상태로 활성화되었는지 확인 후, 소재(10)를 파지 중인 파지부재(120)의 해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스위치(320)와 감지센서(31)를 통해 소재(10)가 안정적으로 제2안착부(30)에 안착 하였음을 확인한 제어수단(400)은 감속모터(210)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회전체(220) 외면에 설치된 다수의 암(110)이 제1안착부(2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또 다른 소재(10)의 반전을 도모하게 된다.
이때, 제어수단(400)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암(110)을 통해 반전베이스(300) 상에 설치된 또 다른 스위치(320)가 가압체(240)에 의해 가압되어 온(ON) 상태로 스위칭되어 정상적으로 상기 암(110)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턴오버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재(10)의 반전을 위한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해당 소재(10)를 픽업부재(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픽업 후, 회전부재(200)에 의해 신속하고 안정되게 반전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회전부재(200)가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에 가압체(240)와 스위치(320) 간의 감지정보를 통해 제어수단(400)이 픽업부재(100)의 정상적인 회전이 이루어졌는 지에 관한 결과를 판단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100: 픽업부재
110: 암 111: 흡착판
120: 파지부재
121: 파지브라켓 123: 파지체
125: 파지실린더 127: 파지패드
200: 회전부재
210: 감속모터 220: 회전체
230: 플레이트 240: 가압체
250: 무게추
300: 반전베이스
310: 연결브라켓 320: 스위치
330: 지지함
400: 제어수단
500: 이송수단
510: 호이스트 520: 행거
10: 소재
20: 제1안착부
21: 자동건
30: 제2안착부재
31: 감지센서

Claims (5)

  1. 제어신호에 의해 제1안착부(20)의 소재(10)를 픽업하여 회전에 의해 해당 소재(10)가 뒤집어질 수 있게 제2안착부(30)에 안착시키는 픽업부재(100);
    상기 픽업부재(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00); 및
    상기 회전부재(200)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부재(200)의 가압에 의한 감지정보를 제어수단(400)에 전송하는 반전베이스(3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재(200)는 감속모터(210) 및 상기 감속모터(2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반전베이스(3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플레이트(230) 외면에 상기 픽업부재(100)가 설치되는 회전체(220)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230) 외면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반전베이스(300)에 구비된 스위치(320)를 가압하여 그 가압에 의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수단(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체(24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320)는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픽업부재(100)가 어느 한 방향에서 수평선을 이룰시에 상기 가압체(240)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온(ON) 상태을 갖게 스위칭되도록 상기 반전베이스(300)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100)는
    상기 회전부재(200)와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20)에서 상기 제2안착부(30) 방향으로 회전하는 암(110);
    상기 암(110) 외면에 구비되되 공기 흡착에 의해 소재(10)를 픽업하는 다수의 흡착판(111); 및
    상기 제어수단(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암(110)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흡착판(111)에 흡착된 소재(10) 끝단부를 회전에 의해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120)는
    상기 암(110)에 설치되되 소재(10)와 면접하는 상면에는 쿠션재질의 파지패드(127)가 구비된 파지브라켓(121);
    상기 파지브라켓(1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파지패드(127)에 안착한 소재(10)의 끝단부를 가압에 의해 파지하는 파지체(123); 및
    상기 파지체(123) 하부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파지체(123)를 회전시키는 파지실린더(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11600A 2021-01-27 2021-01-27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KR10244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00A KR102447325B1 (ko) 2021-01-27 2021-01-27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00A KR102447325B1 (ko) 2021-01-27 2021-01-27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17A KR20220108517A (ko) 2022-08-03
KR102447325B1 true KR102447325B1 (ko) 2022-09-26

Family

ID=8284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00A KR102447325B1 (ko) 2021-01-27 2021-01-27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3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79B1 (ko) * 2017-12-06 2018-04-2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 운반기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51B1 (ko) * 2008-12-09 2010-09-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용접용 지그장치
JP2011014885A (ja) 2009-06-01 2011-01-20 Shin-Etsu Chemical Co Ltd 多層半導体装置用アンダーフィル材のダム材組成物、及び該ダム材組成物を用いた多層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70130106A (ko) 2016-05-18 2017-1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접패널용 턴오버장치
KR101818398B1 (ko) 2017-07-10 2018-01-12 윤재호 턴오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79B1 (ko) * 2017-12-06 2018-04-2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 운반기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17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1953B2 (en) Coupling device in overhead conveyor system
JP7248147B2 (ja) 天井搬送車
CN213230563U (zh) 一种玻璃翻转装置
CN111284988A (zh) 一种智能物流输送自动装卸装置
KR102447325B1 (ko) 스폿 용접용 소재 턴오버장치
CN102367109A (zh) 全接触180度翻板机
CN210212476U (zh) 一种建筑施工用运输装置
KR101058565B1 (ko) 구면을 갖는 강판을 위한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
US3040921A (en) Plate handling apparatus
KR101286727B1 (ko)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의 틸팅유닛
US3207348A (en) Vacuum type load handling apparatus
JPH01162649A (ja) 板ガラスの吸着受渡し装置
JP2004083160A (ja) 空容器の三つ組装置
KR102444751B1 (ko) 소재의 반전이 가능한 스폿 용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폿 용접방법
US3126223A (en) kughler
CN110451146B (zh) 玻璃中间仓储
CN208648214U (zh) 一种管片翻转装置及管片翻片机
KR20220081084A (ko) 자동 화물 운반장치
KR20220122690A (ko) 그리핑 장치, 로봇 및 제어 방법
JP4100677B2 (ja) ワーク搬送ツール
JPH09249167A (ja) 自動車用シート搬入装置
JP3938417B2 (ja) 搬送装置
KR102502007B1 (ko)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CN109502469B (zh) 一种真空吸盘吊具
CN217323241U (zh) 物料传递的多机协同对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