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208B1 -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208B1
KR102447208B1 KR1020210117189A KR20210117189A KR102447208B1 KR 102447208 B1 KR102447208 B1 KR 102447208B1 KR 1020210117189 A KR1020210117189 A KR 1020210117189A KR 20210117189 A KR20210117189 A KR 20210117189A KR 102447208 B1 KR102447208 B1 KR 10244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drobe
terminal
user terminal
clothing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혁
Original Assignee
박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혁 filed Critical 박지혁
Priority to KR102021011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옷장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옷장 콘텐츠를 조회 및 출력하고, 옷장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대방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상대방 단말에서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에서 옷장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대방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수락 여부에 따라 거래를 종결시키는 거래완료부를 포함하는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CIRCULAR ECONOMY SERVICE USING CLOSET SHARING}
본 발명은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자동분류하고 구매 또는 대여 이벤트를 중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공유경제 서비스(Sharing Economy Service)는 처음 등장할 때부터 높은 편리성과 합리적인 비용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공유경제란 이미 한 번 생산된 제품을 다수가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바탕으로 한 경제를 의미하는데, 소유자의 입장에서는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이용자 혹은 구매자는 저렴한 값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형태이다. 일반적인 시장에서는 소비자가 제품을 소유해야만 이용할 수 있지만, 공유경제 서비스의 확산으로 소비자는 제품을 소유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소비형태의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공유경제 서비스는 자산에 대한 소유권 대신 접근의 권한을 공유하는 개인 간 개인의 거래(P2P)로, 플랫폼 기반 활동으로 시장의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증가했고, 공유경제를 활용한 전 세계적인 규모의 플랫폼들이 등장하면서 차량, 이동수단, 금융, 공간, 음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했다.
이때, 개인이 보유한 의류를 공유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137967호(2020년07월27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090481호(2019년08월02일 공개)에는, 의류 공유자, 세탁업체, 배달기사 및 장소 대여자 간 채널을 생성하고, 이용자가 이용요청을 전송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의류공유정보를 검색한 후 위치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과, 공유자의 GPS를 기준으로 의류정보를 업로드하면 공유자의 GPS 기준으로 가상스토어가 생성되고, 사용자의 현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가상스토어를 제공할 때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가상스토어를 추천해줄 수 있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지역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수거, 배달 및 반납의 과정이 존재할 수밖에 없고 배달 인프라를 구축하지 못하거나 배달 인프라를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의 의류 이용시간에 배달 완료를 마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의류를 목적에 맞게 이용할 수 없다. 후자의 경우에도 LBS 기반으로 의류정보를 제공하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공유를 위하여 자신의 옷을 하나하나 꺼내서 촬영을 하고 정보를 업로드하는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을 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게 되므로, 공유경제로 볼 이득보다 손해가 큰 경우 진입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공유경제 서비스는 대부분의 거래가 개인과 개인의 거래(P2P)로 이루어지거나, 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고, 기능적, 경제적, 심리적, 보안적 차원에서의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각 개인이 옷장에 보관하는 의류를 손 쉽고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상대방 단말은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옷장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의류의 대여 또는 구매의사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수락을 하는 경우 거래를 완료시키고 지역 기반으로 양 당사자가 만나서 의류를 공유 또는 매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거, 배달 및 반납의 과정에 따른 물류비용을 감소시키고, 옷장 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의류를 의류, 잡화 및 뷰티와 같은 카테고리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나눔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진입 장벽 및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을 모두 낮추면서도 지각된 혜택은 높일 수 있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옷장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옷장 콘텐츠를 조회 및 출력하고, 옷장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대방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상대방 단말에서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에서 옷장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대방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수락 여부에 따라 거래를 종결시키는 거래완료부를 포함하는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상대방 단말은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옷장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의류의 대여 또는 구매의사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수락을 하는 경우 거래를 완료시키고 지역 기반으로 양 당사자가 만나서 의류를 공유 또는 매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거, 배달 및 반납의 과정에 따른 물류비용을 감소시키고, 옷장 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의류를 의류, 잡화 및 뷰티와 같은 카테고리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나눔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진입 장벽 및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을 모두 낮추면서도 지각된 혜택은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옷장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대여 또는 구매의 상대방의 상대방 단말(400)에서 대여 또는 구매 이벤트가 전송되는 경우 메신저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대여 또는 구매 과정에서 상대방 단말(400)이 협의 또는 합의된 사항을 지키지 않는 경우 리뷰 또는 평점을 부가할 때 기 설정된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리뷰나 평점을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사진 또는 동영상 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되도록 카테고리 태그를 부착하여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대방 단말(400)에서 옷장 자체를 보거나 카테고리로 분류된 물품을 볼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대방 단말(400)에서 구매 또는 대여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메신저로 구매 또는 대여 조건을 협의 및 합의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 간 거래가 완료된 경우 상호 간 리뷰 및 평점을 부가하도록 하고, 별점이 하나씩 깎일 때마다 그 이유에 대응하는 태그나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렇게 태그나 키워드가 수집된 경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의 물품이 업로드될 때 태그나 키워드가 워드클라우드를 통하여 게재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은,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거래의 상대방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도 상대방 단말(400)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는 물품을 업로드하는 자, 상대방은 그 물품을 대여하거나 구매하려는 자로 역할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로드부(310), 출력부(320), 거래완료부(330), 자동분류부(340), 인공지능부(350), 사이즈맞춤부(360), 손상보상부(370), 보증금관리부(380), 세탁소독부(390) 및 후기관리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로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은,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로드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옷장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옷장 내 적어도 하나의 의류, 가방, 신발, 모자, 선글라스, 패션 악세사리, 잡화 등 다양한 객체가 존재할 수 있는데 대부분 옷장 내 옷들은 횡축바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촬영하면 어떠한 물품인지 식별하기 쉽지 않다. 이때 겹쳐진 물품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필요한데 하나는 옷에 붙어있는 태그(Tag) 내 상품고유번호나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하나씩 꺼내서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브랜드 의류들은 각 옷에 치수, 재질, 세탁방법 등을 옷에 라벨번호를 붙이고 상품 이미지를 업로드해둔다. 이 경우 각 상품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 라이센싱이 가능한 경우에는 라벨번호나 바코드 등을 입력받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웹크롤러로 수집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만약 저작권 라이센싱이 불가하거나 너무 오래된 제품 또는 브랜드가 아니거나 브랜드에서 나온 제품이라도 디지털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하나씩 꺼내어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으로 촬영을 해야 한다. 하나씩 꺼내어 사진을 찍을 때 사이즈 등을 하나하나 넣는 것도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의 인체 사이즈, 예를 들어, 발 크기, 허리 둘레, 가슴 둘레, 허벅지 둘레, 엉덩이 둘레, 어깨 너비, 키, 몸무게 등을 입력해두면 이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추출하여 자동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 물품의 사이즈를 모두 입력을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의 저작권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있으므로 업로드부(310)는 후술할 자동분류부(340)에서 상품의 데이터만을 텍스트로 크롤링하여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할 때 기재하는 사항과 같은 물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320)는, 상대방 단말(400)에서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400)에서 옷장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옷장 콘텐츠는, 옷장 전체보기 메뉴 및 카테고리 보기 메뉴에 의해 옷장 전체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과,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진 물품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상대방 단말(400)은, 한 사용자의 옷장 전체를 볼 수도 있고, 각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진 물품 각각을 볼 수도 있다. 상대방 단말(400)은, 옷장 콘텐츠를 조회 및 출력하고, 옷장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거래완료부(330)는, 상대방 단말(4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수락 여부에 따라 거래를 종결시킬 수 있다. 이때, 실제로 만나서 물품을 판매하거나 대여하는 경우 두 당사자로부터 거래완료를 확인받은 후 거래를 종결시킬 수도 있다. 사겠다고 해놓고 실제로 사지 않거나, 팔겠다고 해놓고 실제로 팔지 않아 거래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단순변심이라도 일단 사겠다고 확답을 해두고 사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따른 태그를 상대방 단말(400)과 누적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메시지를 받을 때 단순변심으로 계약을 파기한 사람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태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자동분류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옷장 콘텐츠를 업로드한 경우, 옷장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카테고리 태그를 태깅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카테고리는, 가방, 의류, 액세서리 및 화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의류를 촬영한 동영상이나 사진의 경우 Non-Rigid 성질을 가지기 땜누에 알고리즘 적용이 쉽지 않은데, 이를 위하여 Fabric과 Part의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류 랜드마크 특징 정보를 이용한 의류 인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의류의 문맥적 특징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특징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대량 의류 영상 데이터셋인 DeepFashion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학습 및 테스트할 수 있다.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특징 정보는 의류 영상의 문맥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의류 랜드마크는 칼라, 소매 등 옷의 구조적으로 중요한 부분들에 해당된다. Deepfashion 데이터셋의 경우 예를 들어, 좌우 칼라, 소매, 허리라인, 옷 끝 8개의 의류 랜드마크를 제공한다. 문맥적인 정보란 영상 속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의류를 적응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옷이 상의, 하의 혹은 전신 옷인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 어디서 겹침이 일어났는지 등의 정보가 해당된다. 이러한 정보는 랜드마크 검출 뿐만 아니라 의류 영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의류 인식과 의류 랜드마크 국소화를 동시에 진행하며,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에서 생성된 특징 정보와 의류 인식 특징 정보를 조합하여 풍부한 정보를 가지는 의류 인식을 위한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에서는 GLEM(Global-local Embedding Module)을 활용하여 의류의 문맥적인 정보를 탐색한다. GLEM은 입력 영상의 지역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고 이 정보를 융합하여 특징맵(Feature Map)이 전역적인 문맥 정보 뿐만 아니라 국소적인 문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LEM은 비국소 연산(Non-local Operation)과 컨볼루션 연산(Convolutional Operation)의 구성된다. 비국소 연산으로 모든 영역 간의 의존성을 고려하고, 두 개의 콘볼루션 연산을 통해서 장거리 의존성(Long-Range Dependecy)이 고려된 정보를 국소적으로 종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인식을 위한 의류 랜드마크 특징 탐색 네트워크는, 의류 인식 분기와 의류 랜드마크 국소화 분기로 이루어진다. 먼저, 특징 추출기(Feature Extractor)를 통해서 의류 인식과 랜드마크 국소화 분기에 대한 입력 영상의 공통 특징맵을 추출한다. 특징 추출기는 VGG-19의 가장 아랫단 레이어부터 Conv.4 레이어까지 사용할 수 있고, Conv.4 특징맵은 랜드마크 국소화 분기에서 GLEM을 통과하여 의류 영상의 문맥적인 정보를 담게 된다.
GLEM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거리 종속성을 고려하여 추출하는 비국소적(Non-local) 연산과 국소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취합하는 컨볼루션 연산으로 구성된다. GLEM을 통해서 특징맵은 옷의 전역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지역적인 정보를 포함하게 되어 의류의 문맥 정보를 담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랜드마크 국소화 네트워크를 통해 GLEM으로 생성된 특징맵으로부터 랜드마크 히트맵을 생성한다. GLEM으로 생성된 특징맵은 Conv.4 특징맵과 합쳐져 의류인식을 위한 특징맵이 생성된다. 의류 인식을 위한 특징맵은 카테고리 분류와 의류 특성 인식을 위해 각각 독립적인 컨볼루션 레이어와 분류기를 거쳐 테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의류 인식 분기와 랜드마크 국소화 분기를 동시에 학습한다. 카테고리 분류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교차 엔트로피 손실함수 Lcategory를 사용할 수 있고, 다중 레이블인 특성정보 분류를 위해서는 가중 교차 엔트로피(Weighted Cross-Entropy) 손실함수 Lattr(Loss Function Attribute)를 사용할 수 있다. 특성정보는 Texture, Fabric, Shape, Part, Style 5개의 소분류로 나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xj, cj, aj는 각각 j번째 의류 영상, 그것의 카테고리 레이블과 특성 정보 레이블이다.
Figure 112021101970892-pat00001
Figure 112021101970892-pat00002
랜드마크 국소화 학습을 위해서는 랜드마크 점수 지도(Score Map)에 대한 l2손실함수 Llm 사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점수 지도는 해당 위치가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정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이때, Mij는 i 번째 의류 영상의 j번째 정답 랜드마크 히트맵을 의미하며 M'ij는 예측한 랜드마크 히트맵이다. 카테고리 분류 성능 측정을 위해서는 Top-k 정확도를 측정하고, 특성정보 분석을 위해서는 Top-k 리콜(Recall) 정확도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1970892-pat00003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촬영한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부터 특징 추출기를 통하여 공통 특징맵을 추출하고, GLEM으로 랜드마크를 추출하며, 의류 분류를 위한 카테고리 및 특성(Attribute)을 함께 추출함으로써 [사진/영상-특성추출기-GLEM-랜드마크 네트워크-랜드마크]를 추출함과 동시에, [사진/영상-특성추출기-GLEM-컨볼루션레이어-분류기-카테고리/특성]도 함께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재질은 무엇인지, 어떠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는지, 여름옷인지 겨울옷인지 가을옷인지, 원피스인지 투피스인지, 재질은 무엇이며 원단은 무엇인지, 소매는 있는지 없는지 등을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인공지능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물품을 이미지 기반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테스트를 통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 상술한 디테일한 정보(랜드마크, 속성)이외에도 단순히 YOLO(You Only Look Once)와 같은 이미지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객체를 식별함으로써 의류인지, 가방인지, 신발인지 등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YOLO는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입력된 이미지를 임의의 그리드 셀(Grid Cell)로 나누고, 각 셀을 기준으로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와 그 박스가 객체를 포함할 확률을 분석하여 객체(Object)의 종류와 위치를 추측한다. 간단한 처리과정으로 속도가 매우 빠르고, 좀 더 일반화된 특징을 학습하여 클래스(Class)에 대한 맥락적 이해도가 높다. 그러므로, 배경이나 모델이 다양한 의류 사진에 있어서 자세한 옷의 디테일보다는 전체적인 클래스를 판단하여 카테고리를 빠르고 쉽게 매칭할 수 있다. 이때, 각 브랜드의 특징적인 문양이나 디자인 마크 등은 학습을 시키도록 해서 브랜드도 함께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이즈맞춤부(36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로부터 인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사이즈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인체의 사이즈가 요구되는 물품의 경우 상대방 단말(400)에서 입력된 사이즈에 대응하는 물품을 추출하여 리스트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오래전에 옷을 샀는데 태그도 없고 라벨도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A가 170cm, 여성, 77 사이즈를 입는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A가 업로드한 옷은 170cm, 여성, 77 사이즈의 데이터를 보유한 사람이라면 입을 수 있다고 추정하고, 동일한 사이즈 또는 유사한 사이즈를 가진 사람이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손상보상부(370)는, 대여 이벤트에 의한 대여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상대방 단말(400) 간 합의로 인하여 대여 및 반납에 대응하는 지정된 날짜, 시간 및 장소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의 카메라를 강제구동시켜 물품을 촬영하도록 하고, 대여 및 반납 시 촬영된 물품의 사진 간 차이가 존재하고, 차이가 물품의 손상에 대응하는 템플릿(Template)과 일치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400)로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자신의 물품을 대여해줄 때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상대방이 함부로 사용하여 생활기스가 나거나 마모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인데 상대방은 원래 있었던 손상이라고 주장할 가능성이 높고, 사용자는 상대방이 낸 손상이라고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빌리는 시점에서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촬영을 하게 한 다음, 반납하는 시점에서 다시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며, 비교 시 빛 변화나 그림자, 명암 또는 회전에 강건한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대여시에는 없었지만 반납시 스크래치나 손상에 대응하는 템플릿과 유사 또는 동일한 이미지가 발견된다면 이는 손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패널티는 상대방이 중고가에 그대로 매입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복구비용을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보증금관리부(380)는, 대여 이벤트에 의한 대여인 경우, 상대방 단말(400)은 대여받을 물품의 중고가액 또는 중고가액의 기 설정된 퍼센트에 대응하는 보증금을 상대방 단말(400)에서 은행이체 또는 카드의 선승인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명품가방과 같은 고가의 물품인 경우에는 대여금만 내고 그 물품을 그대로 수취하여 잠적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400)은 예를 들어 신용카드가 결제수단이라고 한다면, 신용카드의 선승인을 이용한다. 선승인이란, 호텔에서 디파짓을 결제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대방의 신용한도액이 400만원이고 명품가방의 중고가가 100만원이라고 가정할 때, 100만원어치의 결제금액을 미리 잡아두는 것이다. 이때, 100만원이 즉시결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대방의 카드사용가능금액은 300만원으로 줄어들게 된다. 100만원이 선승인에 기한 본결제로 언제 발생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카드사용가능금액을 내리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대방은 반납을 안하는 경우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카드사에서 결제처리를 하게 되므로 반납이 실제로 강제되게 되고, 사용자는 도난이 되지 않을까 하는 불안에서 해방될 수 있다.
세탁소독부(390)는, 상대방 단말(400)에서 세탁 및 소독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소독 단말로 사용자 단말(100)의 수거지에서 물품을 수거하도록 업무를 할당하고, 상대방 단말(400)에서 요청한 날짜 및 시간까지 배송을 지정할 수 있다. 최근 코로나(COVID19)로 인하여 타인이 만졌던 엘레베이터 버튼까지 누르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은데, 타인이 사용했던 물품이라면 타인의 타액도 뭍어있을 가능성이 커지게 되므로 세탁 및 소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세탁 및 소독 서비스는 상대방 단말(400)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거주지 근처의 세탁업체 등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만, 대여를 하는 경우에는 대여하는 날짜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세탁업체는 그 이행기를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코로나 백신을 맞고 자가격리가 없는 괌으로 놀러가는 사용자 A는 괌에서 입을 휴양지 원피스를 여행기간동안인 7 일 동안 빌리기로 하면서 세탁 및 소독 서비스를 신청했다. 이때, 사용자 A는 2021년 7월 20일 저녁 7시 비행기를 타야하기 때문에, 2021년 7월 19일 자정까지 배송을 요청했으나 세탁업체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2021년 7월 20일 오후 4시에 배송을 했다. 사용자 A는 7시 비행기를 타기 위해 3 시간 전까지 공항으로 이동해야 했으므로 오후 4시에는 이미 공항버스에 탄 상태였고 휴양지에서 입을 원피스는 받지 못한 상태로 출국했다. 이러한 경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이유가 없는데 대부분의 대여는 특정한 날, 예를 들어 결혼식, 면접, 소개팅 등과 같이 특정일이 잡혀있는 경우에 대여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히나 사용자가 요청한 배송 날짜 및 시간에 정확히 배달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세탁소독부(390)는 수거 및 배송을 위한 방문에 따르는 현실적인 제약조건을 감안한 방문 경로 최적화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하여 이용하기로 한다. 모델링된 혼합정수계획 모형은 시간제약을 가지는 차량 경로 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이하 VRPTW)의 일종으로 이 계열의 문제는 NP-hard 문제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문제에 대해서는 최적해를 찾을 수 있으나 문제의 크기가 커지면 문제를 풀기 위한 계산시간이 매우 커진다. 따라서 합리적인 시간내에 해를 찾기 위한 방법 중 현실적인 제약사항이 추가된 VRPTW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하고 모델의 해 생성을 위해 2단계 GA(Genetic Algorithm)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VRPTW 문제를 풀기 위한 기존의 연구 방법들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확한 해를 찾는 방법이다. VRPTW를 풀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경로 생성 휴리스틱의 사용이다. 경로 생성 휴리스틱은 주어진 제약사항을 만족하면서 최소 비용 기준에 따라 가능해가 얻어질 때까지 노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해가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노드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할한 후, 각 그룹에 대하여 경로를 설계하는 선분할 후경로법(Cluster-First Routesecond)과 노드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커다란 경로를 만든 후, 그 경로를 해의 도출이 가능한 작은 경로들로 분할시키는 방법인 선경로 후분할법(Route-First Cluster-Second)이 분류에 속한다. VRPTW를 풀기 위한 세 번째 방법은 해의 점진적 개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초기해에서 이웃해들을 탐색해가면서 해의 개선을 도모하는 국소 탐색(Local search)의 개념에 기반한 방법으로, 단계별로 하나의 가능해가 전체 비용이 적게 드는 다른 가능해로 바뀌도록 하여 더 이상 비용 절감이 없을 때까지 반복 실행하는 방법이다.
이후 속도 개선을 위해 비가해의 선별이나 불필요한 목적함수의 평가 등을 생략하는 등의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VRPTW를 풀기 위한 네 번째 방법은 수리계획법에 기반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차량 경로 문제에 포함된 수리계획법 수식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순수하게 VRPTW에 부가되는 제약사항이 아닌 경우 추가적인 제약사항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접근이 용이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실적인 제약사항이 추가된 VRPTW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 하고 모델의 해 생성을 위해 2단계 GA(Genetic Algorithm)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후기관리부(391)는,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 간 상호 간의 리뷰 및 평점을 부여하도록 하고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최근 리뷰를 쓰는 것조차 귀찮아지는 경우 별점만 주게 되는데 별점이 5 점 만점에 4 점이라면 왜 4 점인지 그 이유를 알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상호 간 가장 문제가 되는 리스트, 예를 들어, 사용자(판매자 또는 대여자)라면 상품사진-실제가 다르다거나, 상대방(구매자 또는 차용자)이라면 물건 가격을 과도하게 깎는다거나, 두 당사자에게 공통으로 연락하지 않고 약속장소에 나타나지 않았다거나 하는 등의 태그를 미리 마련해두고 사용자나 상대방이 이를 선택만 하면 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에게 상대방 B,C,D,E가 약속시간 늦음 4 회(100%), 불친절함이 3회(75%), 물품이 이미지와 다름 1회(25%)라면, 약속시간 늦음이라는 태그가 워드클라우드(WordCloud) 내 가운데 가장 크게 위치하게 되고, 그 다음이 불친절함 및 상세정보상이 등이 그 다음으로 작고 중심에서 멀리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옷장을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받고,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각 사진이나 동영상 내 객체가 분류될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카테고리 태그를 부착한다. 그리고, (b)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대방 단말(400)에서 사용자의 옷장 콘텐츠를 모두 둘러보거나 또는 카테고리 검색에서 가방, 모자 등만 검색하는 등 두 가지 메뉴를 이용하여 물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c) 상대방 단말(400)에서 가방을 검색할 때, 키워드, 예를 들어 브랜드명을 함께 넣거나 모델명을 함께 넣어 검색을 할 수 있고 이 검색은 LBS(Location Based Service)로 가까운 순으로 검색될 수 있다. 그리고, (d) 메신저를 통하여 거래 당사자가 거래조건을 협의 및 합의할 수 있도록 하며 협의 및 합의된 사항들은 자동으로 저장되어 이후 각 당사자의 채무가 이행이 되지 않았을 때의 증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도 4의 (a)와 같이 대여를 해주는 경우에는 대여자인 사용자는 물품 손상의 위험을 안게 되고, 차용자인 상대방은 물품 손상을 자신이 발생시키지 않았음에도 책임을 떠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당사자 간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강제로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을 하도록 한다. 이때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조건은, 만나는 장소, 시간, 날짜가 현재 장소, 시간, 날짜와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상대방 단말(400)이 동일한 장소, 즉 동일한 GPS가 검출되는 경우이다. (b) 또, 판매 및 구매를 하는 경우에도 위치, 날짜, 시간을 설정하고 만날 수 있도록 하고, 메신저로 위치, 날짜 및 시간이 확정된 경우 이 시간에 어느 한 당사자가 나오지 않는 노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나오지 않는 경우 보증금에서 결제할 금액을 패널티로 즉시결제할 수도 있다. (c) 또 거래가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 모두 평점 및 리뷰를 작성할 수 있고, 이 평판 데이터는 누적되어 이후 거래 당사자의 신뢰도 등을 판단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 세탁 및 소독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세탁소독 단말(500)로 업무를 분배하고 대여와 같이 시간제약을 걸어둔 경우에는 이 시간제약을 지킬 수 있도록 상술한 VRPTW를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S5100), 상대방 단말에서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에서 옷장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한다(S5200).
그리고,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대방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수락 여부에 따라 거래를 종결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옷장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옷장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옷장 콘텐츠를 조회 및 출력하고, 상기 옷장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대방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옷장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상기 옷장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상기 옷장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구매 이벤트 또는 대여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락 여부에 따라 거래를 종결시키는 거래완료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옷장 콘텐츠를 업로드한 경우, 상기 옷장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카테고리 태그를 태깅하는 자동분류부, 상기 대여 이벤트에 의한 대여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 합의로 인하여 대여 및 반납에 대응하는 지정된 날짜, 시간 및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카메라를 강제구동시켜 물품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대여 및 반납 시 촬영된 물품의 사진 간 차이가 존재하고, 상기 차이가 물품의 손상에 대응하는 템플릿(Template)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로 패널티를 부과하는 손상보상부를 포함하는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카테고리는, 가방, 의류, 액세서리 및 화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손상보상부는,
    상기 대여인 경우,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만나는 날짜, 시간 및 장소와,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의 현재 날짜, 시간 및 장소가 동일하되,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에서 동일한 GPS가 검출되어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이 동일한 장소이면, 빌리는 시점으로 판단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상기 촬영을 하게 한 다음, 반납하는 시점에 다시 카메라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빌리는 시점 및 반납하는 시점 각각에서 촬영된 두 개의 사진을 비교하여 물품의 손상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이고,
    상기 거래완료부는, 실제로 만나서 물품을 판매하거나 대여하는 경우 두 당사자로부터 거래완료를 확인받은 후 거래를 종결시키며,
    상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거래되는 의류에 대한 수거, 배달 및 반납의 과정에 따른 물류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역 기반으로 양 당사자가 만나서 의류를 공유 또는 매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자동분류부는, 상기 옷장 콘텐츠 내 객체에 대한 자동분류를 수행하되, 상기 옷장 콘텐츠가 의류를 촬영한 옷장 콘텐츠인 경우, 의류 인식 과정과 의류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을 동시에 진행하여, 상기 옷장 콘텐츠로부터 특징 추출기를 통하여 의류 인식과 랜드마크 국소화 분기에 대한 영상의 공통 특징맵을 추출하고 GLEM(Global-local Embedding Module)으로 랜드마크를 추출하며 의류 분류를 위한 카테고리 및 특성(Attribute) 정보를 함께 추출함으로써, 상기 옷장 콘텐츠 내 의류인 객체와 관련하여 의류의 재질, 원단, 디자인, 계절 유형, 원피스 유형 및 소매 여부를 포함한 객체의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분류해 데이터베이스화가 가능하고, 상기 의류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에서 GLEM을 활용하여 의류의 문맥적인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의류의 문맥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랜드마크 국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인식을 하고,
    상기 랜드마크는, 칼라, 소매, 허리라인 및 옷 끝을 포함한 의류의 구조적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문맥적인 정보는, 영상 내 존재하는 의류의 형태에 대한 적응적 이해를 위한 정보로서, 의류가 상의, 하의 또는 전신 옷인지에 대한 정보, 의류의 존재 형태 정보 및 겹침이 일어난 부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질감(Texture), 직물(Fabric), 형태(Shape), 부분(Part) 및 스타일(Style)을 포함하여 5개의 소분류로 분류되는 것인,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장 콘텐츠는,
    옷장 전체보기 메뉴 및 카테고리 보기 메뉴에 의해 옷장 전체 내 적어도 하나의 물품과,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진 물품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물품을 이미지 기반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테스트를 통하여 모델링하는 인공지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로부터 인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사이즈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인체의 사이즈가 요구되는 물품의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입력된 사이즈에 대응하는 물품을 추출하여 리스트업하는 사이즈맞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기 대여 이벤트에 의한 대여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은 대여받을 물품의 중고가액 또는 중고가액의 기 설정된 퍼센트에 대응하는 보증금을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은행이체 또는 카드의 선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는 보증금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세탁 및 소독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소독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거지에서 물품을 수거하도록 업무를 할당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요청한 날짜 및 시간까지 배송을 지정하는 세탁소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 간 상호 간의 리뷰 및 평점을 부여하도록 하고 누적하여 저장하는 후기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17189A 2021-09-02 2021-09-02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89A KR102447208B1 (ko) 2021-09-02 2021-09-02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89A KR102447208B1 (ko) 2021-09-02 2021-09-02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208B1 true KR102447208B1 (ko) 2022-09-26

Family

ID=8345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89A KR102447208B1 (ko) 2021-09-02 2021-09-02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2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060A (ko) * 2011-05-06 2012-11-14 김희은 온라인 옷장정보 공유-관리시스템
KR20160111560A (ko) * 2015-03-16 2016-09-27 김용현 사용자간 온라인 물품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2964A (ko) * 2018-04-23 2019-10-31 김대진 온라인 의류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967B1 (ko) * 2019-09-20 2020-07-27 허현우 의류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060A (ko) * 2011-05-06 2012-11-14 김희은 온라인 옷장정보 공유-관리시스템
KR20160111560A (ko) * 2015-03-16 2016-09-27 김용현 사용자간 온라인 물품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2964A (ko) * 2018-04-23 2019-10-31 김대진 온라인 의류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967B1 (ko) * 2019-09-20 2020-07-27 허현우 의류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The strategic role of logistics in the industry 4.0 era
Cepeda-Pacheco et al. Deep learning and Internet of Things for tourist attraction recommendations in smart cities
KR102297669B1 (ko) 제조사 및 유통사 간 연결을 위한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68583B1 (ko)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20246000A1 (en) Techniques to capture context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utilize heuristics to turn location tracked over time and context information into semantic location information
KR102064615B1 (ko) 빅데이터 기반 쇼핑몰 플랫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65310B1 (ko) 인공지능에 의한 패션 코디네이션 스타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David et al. Collaborative systems & shared economy (uberization): principles & case study
Yang et al. Use of deep learning to predict daily usage of bike sharing systems
KR102158253B1 (ko) 인공지능 기반 자동매칭을 통하여 당사자의 정보 쌍방교환 및 매칭거부를 제로화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285092A (zh) 网上房地产信息提供系统,房地产放心交易服务提供系统
US20110246300A1 (en) Techniques to determe when an internet user is in-market for a specific product and determining general shopping preferences and habits of internet users
KR20210087013A (ko) 다중 모드 화물 운송 서비스의 자동 형성 방법
Viljoen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street waste pickers in South Africa
Liao et al. Mining demand chain knowledge of life insurance market for new product development
Rajesh et al. Detection of features from the internet of things customer attitudes in the hotel industry using a deep neural network model
US20110246469A1 (en) Techniques to capture context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utilize heuristics to turn location tracked over time and context information into semantic location information
Goto et al. A new latent class model for analysis of purchasing and browsing histories on EC sites
US20110246214A1 (en) Techniques to identify in-market purchasing interests
Kaur et al. Joint modelling of cyber activities and physical context to improve prediction of visitor behaviors
KR102447208B1 (ko) 옷장 공유를 이용한 물품 순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oi et al. Conceptual data modeling for realizing context-aware services
KR20190117857A (ko) 신뢰 지수의 시간 의존 특징을 이용한 신뢰지수 예측 방법 및 시스템
Pathak INTERNET OF THINGS ENABLED ELECTRONIC MARKETS: TRANSPARENT, COLLABORATIVE, AND AUTOMATED.
Zanker et al. Automated semantic annotations of tourism resources based on geospatial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