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461B1 - 나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나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461B1
KR102446461B1 KR1020200124550A KR20200124550A KR102446461B1 KR 102446461 B1 KR102446461 B1 KR 102446461B1 KR 1020200124550 A KR1020200124550 A KR 1020200124550A KR 20200124550 A KR20200124550 A KR 20200124550A KR 102446461 B1 KR102446461 B1 KR 10244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le
slider block
tub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407A (ko
Inventor
이종관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12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4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가이드 슬롯(434)이 선형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432); T 홀(448)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434)에 배치되어 상기 T홀(448)이 제1 위치(A)와 제2 위치(B) 간에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 블록(446);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1 위치(A)일 때 상기 T홀(448)에 낱개의 나사(600)를 넣는 나사 정렬 장치(420); 상기 고정 블록(43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공압 노즐(436); 및 상기 고정 블록(432)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공압 노즐(436)로부터 분사되는 압축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나사(600)가 이동하도록 경로로 제공되는 튜브(5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나사 공급 장치{Screw feeder}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 라인에서 제품 소재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나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에는 나사를 이용하여 구성요소를 고정 또는 조립한다. 이러한 나사 체결 작업은 단순 반복 작업으로써 공장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장 자동화는 나사를 공급하고, 나사를 체결하고, 제품 소재를 이동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으로, 나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나사를 체결하는 드라이브 헤드까지 거리가 있으므로 나사를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단이 필요하다.
나사는, 헤드에 십자 홈이 형성되고 헤드의 다른 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헤드의 지름은 나사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즉, 나사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나사를 일정한 자세로 정렬시켜서 이동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나사를 일정한 자세로 정렬시키는 나사 정렬 장치가 알려져 있고, 정렬된 나사는 자체 중력으로 레일을 따라 떨어지듯이 드라이브 헤드까지 이동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자체 중력을 이용하는 방법은 나사의 이동속도가 너무 느리고, 나사가 연달아 배치되는 형태이므로 선행하는 나사를 사용할 때 바로 뒤에 따라오는 나사와 간섭이 발생하거나 끼임 현상이 발생하여 드라이브 헤드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나사가 레일에서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레일에 진동을 가하여 지속해서 흔드는데, 레일 재질이 금속이면 흔들림이 레일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나사가 걸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지만, 나사의 이동 경로가 복잡해짐에 따라 레일 재질은 유연한 재질로 대체하고 있다.
예컨대, 나사가 이동하는 경로는 직선이 아니라 임의 3차원 형상으로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처럼 경로가 곡선이면 레일은 유연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는데, 레일이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면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진동이 감쇄하여 나사가 레일의 중간에 끼이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레일과 나사 간의 사이를 너무 크게, 넉넉하게 설계하면, 나사가 이동하는 동안에 정렬된 자세를 잃고 임의 자세로 틀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헤드와 볼트가 일정한 방향을 가져야 나중에 드라이버 유닛에서 나사에 드라이버 비트를 제대로 꽂을 수 있지만, 나사의 자세가 틀어지면 드라이버 비트를 나사에 제대로 꽂을 수 없어 나사 체결 작업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KR 10-2053809 B1 KR 10-2019-0021441 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사를 준비하고 있다가 나사가 있어야 하는 시점에 나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나사가 이동하는 동안에 걸림이 없도록 하는 나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가이드 슬롯(434)이 선형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432); T 홀(448)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434)에 배치되어 상기 T홀(448)이 제1 위치(A)와 제2 위치(B) 간에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 블록(446);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1 위치(A)일 때 상기 T홀(448)에 낱개의 나사(600)를 넣는 나사 정렬 장치(420); 상기 고정 블록(43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공압 노즐(436); 및 상기 고정 블록(432)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공압 노즐(436)로부터 분사되는 압축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나사(600)가 이동하도록 경로로 제공되는 튜브(5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상기 고정 블록(432)의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T 홀(448)에 상기 나사(600)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광 소자(451)와 발광 소자(4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상기 공압 노즐(436)은 복수로 제공되고, 어느 하나의 공압 노즐(436)은 상기 T 홀(448)에 장착된 나사(600)의 헤드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공압 노즐(436)은 상기 T 홀(448)에 장착된 나사(600)의 볼트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튜브(510)는, 헤드 통과 구간(512)과 볼트 통과 구간(514)이 T자 형태로 배치되고, 바깥 양쪽 외벽에 어느 쪽으로 편향하게 구분선(516)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통과 구간(514)의 양쪽 옆벽에 이중 벽체(518)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나사를 준비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나사가 필요한 시점에 고압 공기를 이용하여 발사하고 이로써 나사를 이동 경로 중간에 걸림 없이 순식간에 운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선행 나사와 후행 나사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나사 자세는 설계자가 의도한 자세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나사를 자세 흐트러짐 없이 특정 시점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제품 자동 생산설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서 나사 정렬 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부터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서 T 홀이 제1 위치일 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5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슬라이더 블록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9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서 T 홀이 제2 위치일 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9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슬라이더 블록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의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품 자동 생산설비의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품 자동 생산설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품 자동 생산설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300)의 주변에 다관절 로봇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고, 다관절 로봇 장치(100)에는 드라이브 헤드(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300)는 제품 생산을 위한 소재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 장치(10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암(arm) 장치를 선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헤드(200)는 나사를 제품 소재에 체결할 수 있다. 즉, 다관절 로봇 장치(10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품 소재의 특정 위치에 드라이브 헤드(200)를 위치시키고 나사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헤드(200)의 한쪽에는 카메라 장치(C)를 설치하여 나사를 체결할 위치를 추적하고 판독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300)는 멈추지 않고 계속 작동함으로써 제품 소재는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C)를 이용하여 제품 소재의 나사 체결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음으로써, 나사 체결 위치가 계속 이동하더라도 다관절 로봇 장치(100)는 드라이브 헤드(200)를 제품 소재의 이동속도와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품 소재에 나사를 정확한 위치에 체결할 수 있다.
나사(600)의 공급은 나사 공급 장치(400)를 이용할 수 있다. 나사 공급 장치(4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여러 종류의 나사(600)를 하나의 드라이브 헤드(200)에 제공할 수 있다.
나사 공급 장치(400)와 드라이브 헤드(200)는 튜브(510)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나사 공급 장치(400)는 여러 개의 튜브(510)가 연결됨으로써 튜브(510)의 중간에 경로 전환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로 전환 장치(500)는 여러 개의 튜브(510) 중에 어느 하나를 반대쪽의 튜브(5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나사 공급 장치(400)는 제품 생산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 나사를 선택하여 특정한 시점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 2부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서 나사 정렬 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400)는, 고정 블록(432), 슬라이더 블록(446), 나사 정렬 장치(420), 공압 노즐(436) 및 튜브(5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 공급 장치(400)는, 프레임(410)의 상측에 나사 정렬 장치(42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410) 구조물의 한쪽에 상기 고정 블록(432)과 슬라이더 블록(44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정렬 장치(420)는, 나사(600)를 무작위로 쏟아 넣으면, 헤드와 볼트의 자세가 세워진 자세로 정렬되어 차례대로 배출된다.
상기 나사 정렬 장치(420)는 2개의 나사 레일(421)이 1개의 나사(600)의 볼트가 통과할 정도의 간격을 갖고 벌어져 있으며, 상기 나사 레일(421)의 상측에는 레일 커버(422)가 배치된다. 나사 레일(421)과 레일 커버(422)의 간격은 나사(600)의 헤드가 통과될 정도의 간격을 갖는다.
즉, 나사 정렬 장치(4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600)가 바로선 자세로 정렬되고 여러 개의 나사(600)가 연달아 배치되어 순서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정렬 장치(420)에서 나사를 정렬하고 배출하도록 하는 기술은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5부터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부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서 T 홀이 제1 위치일 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5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슬라이더 블록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9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에서 T 홀이 제2 위치일 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9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슬라이더 블록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프레임(410)의 한쪽에 제1 고정 브래킷(43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브래킷(430)에 고정 블록(43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브래킷(430)은 상기 고정 블록(432)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이용된 것일 수 있고, 상기 고정 블록(432)이 상기 프레임(41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록(432)은 도 7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434)이 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은 상기 가이드 슬롯(434)에 배치되어 제1 위치(A)와 제2 위치(B) 간에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은 상기 로드 브래킷(444)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 브래킷(444)은 상기 액추에이터(442)의 작동에 따라 운동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로드 브래킷(444)은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이용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은 상기 액추에이터(442)의 로드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은 T 홀(448)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T 홀(448)은 나사(600)의 정면 형상과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1개의 나사(600)가 T 홀(448)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A)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후퇴하여 나사(600) 장착을 기다리는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B)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전진하여 나사(600)를 발사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나사 정렬 장치(420)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도 5부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1 위치(A)일 때 상기 T홀(448)에 낱개의 나사(600)를 넣어 장착할 수 있다.
공압 노즐(436)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블록(4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압축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압 노즐(436)은 공압 펌프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받는 것일 수 있고, 공기압 제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이 정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 공기는 짧은 시간이 높은 압력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나사(600)를 발사하듯이 불어낼 수 있다.
상기 튜브(510)는 도 5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블록(43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510)는 상기 나사(600)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510)의 위치와 상기 공압 노즐(436)은 같은 서로 통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510)는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 홀더 블록(461, 462)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홀더 블록(462)에는 볼트 노브(46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볼트 노브(461)를 조이면 상기 튜브(510)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볼트 노브(462)를 고정 해제하면 상기 튜브(51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튜브(510)를 교체하고자 할 때 상기 볼트 노브(461)를 풀고 조일 수 있다.
상기 튜브 홀더 블록(461, 462)은 상기 고정 블록(43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공압 노즐(436)로부터 분사되는 압축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은 제1 위치(A)에 위치할 때 상기 공압 노즐(436)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 홀(44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 홀(449)은 튜브(510)에 압축 공기를 의도적으로 불어 넣을 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기 홀(449)은, 예컨대 알 수 없는 이유로 튜브(510)에 나사(600)가 걸렸거나, 튜브(510)에 이물질 등이 있을 때, 압축 공기를 불어 넣을 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나사(600)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제1 위치(A)일 때 상기 T 홀(448)에 장착되어 대기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제2 위치(B)로 이동하였을 때 공압 노즐(436)을 통하여 제공된 고압 공기로 발사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의 제2 위치(B)는 도 9부터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442)가 작동하면 로드 브래킷(444)은 확장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드 브래킷(444)과 슬라이더 블록(446)이 함께 전진 이동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위치(A)에서 제2 위치(B)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제2 위치(B)로 이동 완료되면 T 홀(448)은 공압 노즐(43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T 홀(448)에 나사(600)가 장착된 상태이므로 나사(600)는 공압 노즐(43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공압 노즐(436)에서 고압 공기가 제공되면 나사(600)는 고압 공기 때문에 발사되듯이 날려질 수 있다. 나사(600)는 드라이버 유닛(200)까지 튜브(510)로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튜브(510)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의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튜브(510)는, 헤드 통과 구간(512)과 볼트 통과 구간(514)이 T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나사(600)가 자세를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 그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510)는 바깥 양쪽 외벽에 어느 쪽으로 편향하게 구분선(51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분선(516)은 튜브(510)가 어떤 자세로 설치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즉, 튜브(510)의 외관으로 볼 때 위아래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튜브(510)를 설치할 때 위아래를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헤드 통과 구간(512)은 볼트 통과 구간(514)의 반대쪽에 더 형성될 수 있고, 튜브(510)의 단면은 영문 대문자 I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튜브(510)에 헤드 통과 구간(512)이 마모 등의 이유로 수명이 다했을 때 튜브(510)를 분해하고 뒤집어 재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구분선(516)을 이용하여 현재 어느 쪽 헤드 통과 구간(512)이 이용되도록 설치되었는지 알 수 있어 정비 및 유지관리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튜브(510)는 상기 볼트 통과 구간(514)의 양쪽 옆벽에 이중 벽체(518)가 형성될 수 있다.
튜브(510)의 길이는 나사 공급 장치(400)로부터 드라이브 헤드(200)까지 거리와 상호 배치 관계에 따라 임의 곡선으로 배치될 수 있고, 튜브(510)가 나선처럼 꼬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튜브(510)는 선형으로 배치되지 않고, 임의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꼬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하면 헤드 통과 구간(512) 또는 볼트 통과 구간(514)의 내부 폭이 좁아질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상기 이중 벽체(518)는 튜브(510)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상기 헤드 통과 구간(512) 또는 상기 볼트 통과 구간(514)의 내부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나사(600)가 이동할 때 나사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나사(600)를 준비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나사(600)가 필요한 시점에 고압 공기를 이용하여 발사하고 이로써 나사(600)를 이동 경로 중간에 걸림 없이 순식간에 운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한 번에 1개의 나사(600)를 발사하듯이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선행 나사와 후행 나사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고, 나사 자세는 설계자가 의도한 자세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나사를 자세 흐트러짐 없이 특정 시점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도 7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 소자(451)와 발광 소자(4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수광 소자(451)와 상기 발광 소자(452)는 상기 고정 블록(432)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은 상기 T 홀(448) 또는 상기 통기 홀(449)의 상측 또는 하측에 관통하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광 소자(451)와 상기 발광 소자(452)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수광 소자(451)는 반대편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452)로부터 조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지에 따라 상기 T 홀(448)에 상기 나사(600)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나사(600)를 공급할 시점에, 슬라이더 블록(446)이 제2 위치(B)에 있고, 상기 수광 소자(451)에서 나사(600)를 검출하면 공압 노즐(436)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어 나사(600)를 날려 보낼 수 있다.
이후, 상기 수광 소자(451)에서 나사(600)를 검출할 수 없으면 상기 액추에이터(442)를 후퇴 작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을 제2 위치(B)에서 제1 위치(A)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상기 수광 소자(451)와 발광 소자(452)를 이용하여 나사(600)의 장착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으므로 작동 정확성과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공압 노즐(436)은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공압 노즐(436)은 상기 T 홀(448)에 장착된 나사(600)의 헤드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공압 노즐(436)은 상기 T 홀(448)에 장착된 나사(600)의 볼트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처럼 공압 노즐(436)을 복수로 배치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고압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나사(600)를 발사하고 이동시킬 때 나사(600)에 더 많은 운동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튜브(510)의 길이가 다소 길게 설계되고 배치되더라도 나사(600)를 목적하는 곳까지 확실하게 운반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공급 장치는, 제조 현장에서 나사가 있어야 하는 시점에 신속하게 공급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다관절 로봇 장치 200: 드라이브 헤드
300: 컨베이어 장치 400: 나사 공급 장치
410: 프레임 420: 나사 정렬 장치
421: 나사 레일 422: 레일 커버
430, 440: 제1, 2 고정 브래킷 432: 고정 블록
434: 가이드 슬롯 436: 공압 노즐
442: 액추에이터 444: 로드 브래킷
446: 슬라이더 블록 448: T 홀
449: 통기 홀
451: 수광 소자 452: 발광 소자
461, 462: 튜브 홀더 블록
500: 경로 전환 장치 510: 튜브
512: 헤드 통과 구간 514: 볼트 통과 구간
516: 구분선 518: 이중 벽체
600: 나사

Claims (4)

  1. 가이드 슬롯(434)이 선형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432);
    T 홀(448)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434)에 배치되어 상기 T홀(448)이 제1 위치(A)와 제2 위치(B) 간에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 블록(446);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1 위치(A)일 때 상기 T홀(448)에 낱개의 나사(600)를 넣는 나사 정렬 장치(420);
    상기 고정 블록(43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공압 노즐(436); 및
    상기 고정 블록(432)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공압 노즐(436)로부터 분사되는 압축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나사(600)가 이동하도록 경로로 제공되는 튜브(510); 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510)는,
    헤드 통과 구간(512)과 볼트 통과 구간(514)이 T자 형태로 배치되고,
    바깥 양쪽 외벽에 어느 쪽으로 편향하게 구분선(516)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통과 구간(514)의 양쪽 옆벽에 이중 벽체(518)가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나사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432)의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 블록(446)이 상기 제2 위치(B)일 때 상기 T 홀(448)에 상기 나사(600)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광 소자(451)와 발광 소자(452);
    를 포함하는 나사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노즐(436)은 복수로 제공되고,
    어느 하나의 공압 노즐(436)은 상기 T 홀(448)에 장착된 나사(600)의 헤드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공압 노즐(436)은 상기 T 홀(448)에 장착된 나사(600)의 볼트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나사 공급 장치.
  4. 삭제
KR1020200124550A 2020-09-25 2020-09-25 나사 공급 장치 KR10244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50A KR102446461B1 (ko) 2020-09-25 2020-09-25 나사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50A KR102446461B1 (ko) 2020-09-25 2020-09-25 나사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07A KR20220041407A (ko) 2022-04-01
KR102446461B1 true KR102446461B1 (ko) 2022-09-23

Family

ID=8118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50A KR102446461B1 (ko) 2020-09-25 2020-09-25 나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768B1 (ko) * 2024-03-11 2024-04-12 김승진 소형 볼트 연속공급인출형 센터레스 연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097B1 (ko) * 2022-04-06 2022-06-10 삼부산업(주) 스냅 끼임 방지 호퍼를 갖는 스냅단추 조립기
KR102434576B1 (ko) * 2022-06-02 2022-08-22 주식회사 서울화스너 무두볼트용 자동조립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2860Y2 (ja) * 1991-04-10 1997-01-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ワッシャ付ボルトの供給装置
JP6350853B2 (ja) 2014-03-20 2018-07-04 勝行 戸津 自動ドライバーにおけるねじ自動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95Y2 (ja) * 1990-03-29 1994-08-31 日東精工株式会社 部品振分け装置
KR20130017096A (ko) * 2013-01-07 2013-02-19 (주)한앤하이 가분수형 나사용 t형 슈팅호스 및 이를 구비한 나사체결기
DE102016112732A1 (de) 2016-07-12 2018-01-18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Nicht-wegvariable Elementweiche und Zufuhrverfahren
KR102053809B1 (ko) 2019-08-05 2019-12-09 김대일 나사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2860Y2 (ja) * 1991-04-10 1997-01-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ワッシャ付ボルトの供給装置
JP6350853B2 (ja) 2014-03-20 2018-07-04 勝行 戸津 自動ドライバーにおけるねじ自動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768B1 (ko) * 2024-03-11 2024-04-12 김승진 소형 볼트 연속공급인출형 센터레스 연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07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461B1 (ko) 나사 공급 장치
KR101301682B1 (ko) 자동나사조임장치
US9427851B2 (en) Screwing machine
US3243181A (en) Sheet handling device
KR101732449B1 (ko) 반송 장치
DE10201500063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 von Vorformlingen im Bereich einer Blasmaschine
JP5950942B2 (ja) 移送方向に傾斜した移送レールを備える円筒形部材用の運搬装置
JP4474612B2 (ja) 電子部品の分類装置
CN101920844A (zh) 气吹式直线送料轨道及相关技术
US7401695B2 (en) Component control device, systems, and methods
KR102282728B1 (ko) 자동 나사 체결 장치
JP432557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CN208516356U (zh) 以空气为动力的可防止细小弹簧缠绕的分选输送机
US3311262A (en) Plural transversely acting controllers for releasing articles
JP6353625B2 (ja) 物品取扱い装置
KR102446460B1 (ko) 나사 이동 경로 전환 장치
KR101052590B1 (ko) 파츠피더의 센서 가변 조립구조
US20180345525A1 (en) Pallet assembly system
US8967993B2 (en) Device for blowing out hollow bodies made of plastics
CN112389982B (zh) 一种防卡料装置
CN220448740U (zh) 新型管装ic物料供料装置
CN103659425A (zh) 棒料气动上料装置及自动安装螺杆螺母的设备
AU700331B2 (en) Ejector device
JPH07187371A (ja) 錠剤搬送装置
CN106541067B (zh) 一种飞机壁板自动钻铆机的有头铆钉自动供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