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238B1 -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 Google Patents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238B1
KR102446238B1 KR1020200090850A KR20200090850A KR102446238B1 KR 102446238 B1 KR102446238 B1 KR 102446238B1 KR 1020200090850 A KR1020200090850 A KR 1020200090850A KR 20200090850 A KR20200090850 A KR 20200090850A KR 102446238 B1 KR102446238 B1 KR 10244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gdol
ring
rod
longitudinal direction
arri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954A (ko
Inventor
노종현
Original Assignee
노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종현 filed Critical 노종현
Priority to KR102020009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2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낚시대와 연결되는 원줄(1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연결대(2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20)를 관통하는 중간줄(30) 및 상기 연결대(20)의 외측과 제3 도래(13)를 통해 연결되는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줄(30)은 일측이 제1 도래(11)를 통해 상기 원줄(1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도래(12)를 통해 낚시 바늘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기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봉돌(51), 상기 봉돌(51)의 하면에 구비된 원형 링 형상의 제1 고리(52), 상기 봉돌(51)의 상면에 구비된 원형 링 형상의 제2 고리(53),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고리(53)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연결되는 와이어(54)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고리(52)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되는 낚시줄(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Double fishing tackle to escape hitch of sinker}
본 발명은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봉돌이 주변 지형지물에 걸려 낚시줄이 끊겨서, 채비를 교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및 그에 포함되는 봉돌 걸림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투(遠投) 낚시란 낚시바늘이 달린 낚시줄에 무거운 추를 달아 멀리 던져서 바닥의 수초나 돌 틈에 주로 서식하는 물고기를 잡는 일이다. 원투 낚시의 주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원투대, 중형 스피닝 릴 등 원투 장비를 채비하고, 갯바위나 방파제에서 채비를 최대한 멀리 던져서 바닥에 가라앉힌다. 그리고,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느슨해진 줄을 감아들여 초릿대 끝이 약간 숙일 정도로 셋팅을 하고, 릴대 끝에 방울 또는 케미컬 라이트들을 달아 각도에 맞춰 릴을 세워놓고, 입질을 기다리게 된다.
또한, 종래의 원투 낚시에서는 채비를 멀리 던지는 과정에서, 봉돌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림으로써 낚시줄이 끊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채비를 새로 교체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839호에는 일단에는 봉돌을 거는 갈고리 모양이 형성되어 되어 있고 타단에는 원줄을 연결하는 고리가 형성된 갈고리부, 상기 갈고리부와 상기 관을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되며, 갈고리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분기되면서 분기된 부재의 안쪽이 봉돌 반쪽 면이 들어갈 만큼 휘거나 홈이 패게 형성된 부력부재, 및 상기 관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목줄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고정마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밑걸림을 용이하게 해결하여 낚시 채비의 손상을 막고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써 낚시를 원활히할 수 있는 밑걸림 봉돌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밑걸림 봉돌 분리 장치에서는 납이 주성분으로 구성된 봉돌을 분리하여 수중 바닥에 가라앉혀 버림으로써,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수중 바닥에 버려지는 봉돌은 수중에서 장시간 동안 용해되어, 해양 생물의 체내에 중금속인 납이 축척되고, 이로 인해 해양 생물을 섭취하는 인체에도 납이 축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봉돌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경우에도 봉돌을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20-2019-0000461 A KR 10-096183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돌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제3 도래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기 봉돌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및 그에 포함되는 봉돌 걸림 탈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낚시대와 연결되는 원줄(1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연결대(2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20)를 관통하는 중간줄(30) 및 상기 연결대(20)의 외측과 제3 도래(13)를 통해 연결되는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줄(30)은 일측이 제1 도래(11)를 통해 상기 원줄(1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도래(12)를 통해 낚시 바늘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기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봉돌(51), 상기 봉돌(51)의 하면에 구비된 원형 링 형상의 제1 고리(52), 상기 봉돌(51)의 상면에 구비된 원형 링 형상의 제2 고리(53),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고리(53)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연결되는 와이어(54)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고리(52)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되는 낚시줄(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돌(51)의 상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뿔대 형상의 상부 봉돌(51a)이 형성되고, 상기 봉돌(51)의 하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의 하부 봉돌(5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봉돌(51b)은 상면이 상기 상부 봉돌(51a)의 하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면이 상기 상부 봉돌(51a)의 하면에 맞닿아 동일 축선 상에서 상기 상부 봉돌(51a)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봉돌(51b)은 높이가 상부 봉돌(51a)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54)는 신축성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54)는 상기 봉돌(51)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고, 상기 낚시줄(55)은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고리(52)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돌(51)은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고,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기 봉돌(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일측이 상기 제1 고리(52)에 연결되고, 타측에 스프링 고리(56a)가 형성되는 스프링(56)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리(56a)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된 연결끈(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끈(57)은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고리(56a)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당겨지고, 상기 봉돌(51)은 상기 봉돌(51)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56)의 팽창 방향 또는 스프링(56)의 수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에서는 봉돌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제3 도래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기 봉돌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함으로써, 채비를 멀리 던지는 과정에서 상기 봉돌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봉돌 걸림 탈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봉돌 걸림 탈출 장치가 외력에 의한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봉돌 걸림 탈출 장치가 주변의 지형 지물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 걸림 탈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가 외력에 의한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가 주변의 지형 지물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는 원줄(10), 연결대(20), 중간줄(30) 및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원줄(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줄(10)의 일측은 낚시대와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대(20)는 원형 관의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줄(3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대(20)를 관통한다. 중간줄(30)의 일측은 제1 도래(11)를 통해 원줄(10)의 타측과 연결되고, 중간줄(30)의 타측은 제2 도래(12)를 통해 낚시 바늘의 말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제3 도래(13)를 통해 연결대(20)의 외측과 연결된다.
이때, 제1 도래(11), 제2 도래(12) 및 제3 도래(13)는 중앙에 직육면체 형상의 추가 형성되고, 양측에 원 형상의 고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봉돌(51), 제1 고리(52), 제2 고리(53), 와이어(54) 및 낚시줄(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봉돌(51)은 소정의 중량을 갖고, 봉돌(51)의 상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뿔대 형상의 상부 봉돌(51a)이 형성된다. 또한, 봉돌(51)의 하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의 하부 봉돌(51b)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봉돌(51b)의 상면의 직경과 상부 봉돌(51a)의 하면의 직경이 동일하므로, 하부 봉돌(51b)과 상부 봉돌(51a)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부 봉돌(51b)의 높이는 상부 봉돌(51a)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리(52)는 원형 링의 형상을 갖고, 봉돌(51)의 하면 중앙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고리(53)는 원형 링의 형상을 갖고, 봉돌(51)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54)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 고리(53)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와이어(54)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신축성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낚시줄(55)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고리(52)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가 주변의 지형지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는 바다를 향해 멀리 던져지게 된다.
그러나, 봉돌(51)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경우, 와이어(54)는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와 동시에, 낚시줄(55)은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1 고리(52)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진다.
따라서, 제1 고리(52) 및 제2 고리(53)의 중심을 통과하는 봉돌(51)의 중심 축은 제2 고리(53)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진 봉돌(51)은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봉돌(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주변의 지형지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에서는 봉돌(51)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기 봉돌(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함으로써, 채비를 멀리 던지는 과정에서 상기 봉돌(51)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 걸림 탈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 걸림 탈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 걸림 탈출 장치는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에서 스프링(56) 및 연결끈(5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스프링(56)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압축 또는 팽창하는 탄성체이다. 스프링(56)의 일측은 제1 고리(52)에 연결되고, 스프링(56)의 타측에는 스프링 고리(5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끈(57)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스프링 고리(56a) 및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가 주변의 지형지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봉돌(51)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경우, 와이어(54)는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와 동시에, 낚시줄(55)은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1 고리(52)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진다.
그리고, 연결끈(57)은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스프링 고리(56a)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당겨진다.
제1 고리(52) 및 제2 고리(53)의 중심을 통과하는 봉돌(51)의 중심 축은 제2 고리(53)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진다.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진 봉돌(51)은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봉돌(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주변의 지형지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봉돌(51)은 봉돌(51)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56)의 팽창 방향 또는 스프링(56)의 수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주변의 지형지물로부터 보다 손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10: 원줄
11: 제1 도래 12: 제2 도래
13: 제3 도래 20: 연결대
30: 중간줄 40: 낚시바늘
50: 봉돌 걸림 탈출 장치 51: 봉돌
51a: 상부 봉돌 51b: 하부 봉돌
52: 제1 고리 53: 제2 고리
54: 와이어 55: 낚시줄
56: 스프링 56a: 스프링 고리
57: 연결끈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낚시대와 연결되는 원줄(1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연결대(2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20)를 관통하는 중간줄(30); 및
    상기 연결대(20)의 외측과 제3 도래(13)를 통해 연결되는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줄(30)은
    일측이 제1 도래(11)를 통해 상기 원줄(1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도래(12)를 통해 낚시 바늘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기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봉돌(51);
    상기 봉돌(51)의 하면에 구비된 원형 링 형상의 제1 고리(52);
    상기 봉돌(51)의 상면에 구비된 원형 링 형상의 제2 고리(53);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고리(53)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연결되는 와이어(54);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고리(52)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되는 낚시줄(55);을 포함하고,
    상기 봉돌 걸림 탈출 장치(50)는
    일측이 상기 제1 고리(52)에 연결되고, 타측에 스프링 고리(56a)가 형성되는 스프링(56);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리(56a) 및 제3 도래(13)의 타측에 느슨하게 연결된 연결끈(5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57)은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고리(56a)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당겨지고,
    상기 봉돌(51)은
    상기 봉돌(51)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56)의 팽창 방향 또는 스프링(56)의 수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51)의 상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뿔대 형상의 상부 봉돌(51a)이 형성되고,
    상기 봉돌(51)의 하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의 하부 봉돌(51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봉돌(51b)은
    상면이 상기 상부 봉돌(51a)의 하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면이 상기 상부 봉돌(51a)의 하면에 맞닿아 동일 축선 상에서 상기 상부 봉돌(51a)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봉돌(51b)은
    높이가 상기 상부 봉돌(51a)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4)는
    신축성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4)는
    상기 봉돌(51)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고,
    상기 낚시줄(55)은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고리(52)가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51)은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고리(53)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고,
    상기 제3 도래(13)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기 봉돌(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지형지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6. 삭제
KR1020200090850A 2020-07-22 2020-07-22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KR10244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50A KR102446238B1 (ko) 2020-07-22 2020-07-22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50A KR102446238B1 (ko) 2020-07-22 2020-07-22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54A KR20220011954A (ko) 2022-02-03
KR102446238B1 true KR102446238B1 (ko) 2022-09-21

Family

ID=8026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50A KR102446238B1 (ko) 2020-07-22 2020-07-22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2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658B2 (ja) * 1992-04-14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太陽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1275535A (ja) * 2000-03-30 2001-10-09 Hideyuki Uchiyama 根掛り防止機能付き魚釣り用錘
KR200416617Y1 (ko) * 2006-02-15 2006-05-23 송석암 집어통이 구비된 채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1034A (en) * 1987-08-24 1989-02-27 Saburo Norimura Device for attaching sinker for fishing
JP3064658U (ja) * 1999-06-08 2000-01-21 澄男 釜野 根掛り取外し仕掛け付き錘
KR100961839B1 (ko) * 2008-04-03 2010-06-08 오경훈 밑걸림 봉돌 분리장치
KR200474445Y1 (ko) * 2012-11-16 2014-09-18 임기호 걸림 탈출이 용이한 오뚜기 타입의 봉돌
KR20190000461U (ko) 2017-08-10 2019-02-20 김화규 밑걸림 방지 낚시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658B2 (ja) * 1992-04-14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太陽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1275535A (ja) * 2000-03-30 2001-10-09 Hideyuki Uchiyama 根掛り防止機能付き魚釣り用錘
KR200416617Y1 (ko) * 2006-02-15 2006-05-23 송석암 집어통이 구비된 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54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3532A (en) Bite signal for night fishing
US8028466B1 (en) Thwartable bottom link for vertical line
US2764833A (en) Fishing lure retriever
US5758451A (en) Fishing bobber of two part construction
KR102446238B1 (ko)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8448375B1 (en) Fishing apparatus
US2052262A (en) Fishing float
JP4461939B2 (ja) 筒状玉網
KR200493239Y1 (ko) 낚시용품
US3672088A (en) Fishing sinker
US2768464A (en) Bait casting device
KR20210133527A (ko)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JP3154299U (ja) イカ釣り装置
JP3029940U (ja) ダンゴフカセ釣用うき
JP2002253095A (ja) イカ釣用仕掛け
JP6340607B2 (ja) ハギ釣り仕掛け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KR101751027B1 (ko) 원투낚시용 추
US11427290B2 (en) Anchor rescue system
KR101603623B1 (ko) 낚시바늘 수초걸림 방지보호구
CN210275607U (zh) 一种新型钓鱼打窝器
KR101149198B1 (ko) 촉수 기능을 갖는 원투낚시채비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