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056B1 -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056B1
KR102446056B1 KR1020200169466A KR20200169466A KR102446056B1 KR 102446056 B1 KR102446056 B1 KR 102446056B1 KR 1020200169466 A KR1020200169466 A KR 1020200169466A KR 20200169466 A KR20200169466 A KR 20200169466A KR 102446056 B1 KR102446056 B1 KR 10244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mpartment
storage space
liquid
need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403A (ko
Inventor
권지훈
김지완
문영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0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48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85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intracompartmental pressure) 측정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 저장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헤드, 플런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저장 공간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액체가 채워지게 구성되고,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 가능한 니들부재, 및 저장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를 가지는 압력 센싱 모듈 및 압력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INTRACOMPARTMENTAL PRESSURE WITH PRESSURE SENSOR}
이하, 근육 내 압력을 측정하여 급성 구획증후군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급성 구획증후군(Acute Compartment Syndrome)은 폐쇄된 골건막 구획 내의 조직압 증가로 인해 구획 내 조직으로의 미세혈액 순환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로서 모세혈관 순환이 조직 생존에 필요한 정도 이하로 저하된 상태이다. 급성 구획증후군은 일정 시간 동안 감암 없이 구획 내의 조직압이 증가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해당 공간 내에 존재하는 조직들로의 혈류가 심각하게 감소된다. 급성 구획증후군은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며, 신속한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조직의 허헐성 괴사, 근육 수축, 신경 손상, 절단, 신장 기능장애,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급성 구획증후군을 성공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방법은 즉각적인 진단이다. 급성 구획증후군에서 구획압(intracompartmental pressure)은 임상 증단 또는 징후 전에 증가하므로 구획압의 확인은 진단에 도움을 준다. 급성 구획증후군이 의심되지만 임상적 증상이 불분명하거나 신경 손상 혹은 의식 불명의 환자에서 적절한 신체적 검진을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구획압을 측정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의료 진료에 있어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객관적인 지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 흐름으로 인하여 구획압 측정의 중요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
KR 2015-0030264 A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reservoir space),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헤드(plunger head), 상기 플런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액체가 채워지게(filled) 구성되고,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 가능한 니들부재(needle member), 및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가지는 압력 센싱 모듈(pressure sesning module) 및 상기 압력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가지는 본체(main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압력 센서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inner wal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압력 센서는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니들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본체는 상기 플런저 헤드를 이동시키는 플런저 로드(plunger ro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압력 센싱 모듈은 제1 전극(electrod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요철결합 가능한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batte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는, 상기 본체에 포함된 상기 플런저 로드를 구동(drive)하는 구동부(driving unit)를 동작(operate)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센싱 모듈에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니들부재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액체로 상기 니들부재를 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본체는, 상기 구획압 측정 장치의 자세와 관련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gyro-sens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자세가 목표 자세(target posture)에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니들부재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액체로 상기 니들 부재를 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구획압 측정 장치에 구비된 물리적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touch)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런저 로드와 연결된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부재 내부 부피 이상인 목표 부피(target volume)만큼의 액체를 상기 니들부재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압력 센싱 모듈은,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 상에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들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복수의 압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니들부재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액체로 상기 니들부재를 채운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임상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구획압 데이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구획압 데이터를 임상 정보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reservoir space),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헤드(plunger head), 상기 플런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액체가 채워지게(filled) 구성되고,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 가능한 니들부재(needle member), 및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의 압력 센싱 소자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inner wal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의 압력 센싱 소자는,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니들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는, 상기 플런저 헤드를 이동시키는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의 본체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의 상기 플런저 헤드는, 상기 니들부재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설정된 상기 플런저 로드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는, 구획압 측정 장치의 본체가 포함하는 전극(electrode)과 요철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압력 센싱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본체의 프로세서로 압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장치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 상에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압력 센싱 모듈을 용이하게 한꺼번에 교체할 수 있고, 2차 감염 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는 압력 센서가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저장 공간의 내벽 상에 배치됨으로써, 압력 센서가 대상의 구획내 조직압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간단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액체로 니들부재 내부를 채우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획압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압력 센싱 모듈 및 본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c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후의 형상을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전극에 대한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센서(gyro-sensor)를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버튼을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압력 센서들을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구획압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획압(intracompartmental pressure)은 근막에 둘러싸인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압을 의미한다. 구획압은 평균 동맥압보다 25~30 mmHG 더 낮은 것이 정상이며, 조직압이 상승하여 평균 동맥압과의 차이가 30 mmHG 이하가 되면 근육의 허혈이 발생하고 괴사를 초래하게 된다. 일정 시간 동안 감압 없이 구획 내의 조직압이 증가하여 조직의 허혈과 괴사가 초래되는 급성 구획증후군(acute compartment syndrome)을 진단하기 위하여 구획압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요구된다.
종래의 구획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흔히 이용되는 방법은 바늘을 국소 구획에 찌르고 생리 식염수를 조금씩 주입하면서 압력을 혈압계로 측정하는 Whitesides 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획압을 측정하기 위한 Whitesides 방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생리 식염수가 구획 내로 과도하게 들어가는 경우 오히려 구획증후군을 조장할 수 있고, 다른 구획압 측정 방법들과 비교하여 구획압 측정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을 측정할 수 있는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압력 센싱 모듈(pressure sensing module, 210) 및 본체(main body,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210)은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reservoir space, 211) , 저장 공간(211)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헤드(plunger head, 212), 플런저 헤드(212)의 이동에 따라 저장 공간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액체가 채워지게(filled) 구성되고,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 가능한 니들부재(needle member, 213), 및 저장 공간(2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 압력 센싱 모듈은 압력 센싱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는 압력 센싱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체(main body, 220)는 압력 센싱 모듈(210)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221) 및 플런저 헤드(212)를 이동시키는 플런저 로드(plunger rod, 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battery, 224) 및 플런저 로드(222)를 구동(drive)하는 구동부(driving unit, 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압력 센싱 모듈(210)과 본체(220)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구획압 측정 시에 압력 센싱 모듈(210)과 본체(2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210)은 덮개(216)를 포함할 수 있고, 덮개(216)는 본체(220)가 압력 센싱 모듈(210)에 결합 시 제거(remove)될 수 있다. 덮개(216)는 저장 공간(211) 내를 밀봉시키는 역할을 하며, 압력 센서(214) 및 액체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20)와 압력 센싱 모듈(2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20)의 결합 단부에 복수의 돌출부가 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 센싱 모듈(210)의 결합 단부에 본체(220)의 복수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2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압력 센싱 모듈(21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맞춰지도록, 본체(220)의 복수의 돌출부를 압력 센싱 모듈(210) 내부로 삽입하여 길이 방향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체(220)의 전극과 압력 센싱 모듈(210)의 전극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각도까지 본체(220)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220)와 압력 센싱 모듈(210)을 완벽히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본체(220)와 압력 센싱 모듈(210)의 결합 방식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체(220)와 압력 센싱 모듈(210)의 구성을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도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근막에 둘러싸인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직 내부로 니들부재(213)를 침습시킬 수 있다.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압력 센서(214)가 저장 공간(2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구획 내의 조직압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공간(211) 내부에 배치되는 액체는 압력측정액으로 생리식염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니들부재(213)가 대상(예를 들어, 환자 또는 사용자)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하기 전, 니들부재(213)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211)에 저장된 액체를 니들부재(213)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에서 니들부재(213)까지 액체로 연결되어야만 액체의 유체 압력을 통하여 구획 내의 조직압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니들부재(213)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도록 플런저 헤드(212) 및 플런저 로드(222)를 조절할 수 있다.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대상의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에서 니들부재(213)까지 액체로 연결시키고, 액체가 밀려 들어오는 유체 압력을 압력 센서(214)가 측정함으로써 조직압을 측정할 수 있다. 대상의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에서 니들부재(213) 사이를 액체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니들부재(213) 내부로부터 소량의 액체가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으로 주입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1cc의 액체가 니들부재(213)에서 대상에게 주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 구획압 측정 장치는 압력 센서가 움직임이 많은 플런저 헤드 또는 플런저 로드에 부착되어 액체의 유체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조직 내부의 구획압을 측정하였다. 기존 구획압 측정 장치에서는 압력 센서가 플런저 헤드 또는 플런저 로드에 부착되므로, 플런저 헤드 또는 플런저 로드의 이동에 따라 액체의 유체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플런저 헤드 또는 플런저 로드의 움직임은 실제 조직 내의 압력 값과 압력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값 사이의 오차의 원인이 된다.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에서의 압력 센서(214)는 저장 공간(211)의 내벽(inner wal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214)가 움직임이 적은 저장 공간(211)의 내벽 상에 고정되어 배치됨으로써, 조직 내부의 구획압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214)가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저장 공간(211)의 내벽 상에 압력 센서(214)를 배치됨으로써, 압력 센서(214)가 보다 정확하게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를 이용하여 조직 내부의 구획압을 측정하는 경우, 저장 공간(211)이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압력 센서(214)가 측정하는 액체의 유체 압력과 실제 조직 내부의 구획압 사이의 오차가 감소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의 압력 센서(214)는 저장 공간(211) 내에서 니들부재(213)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210)의 저장 공간(211)에서 니들부재(213)에 가까울수록 움직임이 줄어들기 때문에, 압력 센서(214)가 니들부재(213)에 인접하여 배치될수록 압력 오차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의 압력 센싱 모듈(210)은 본체(220)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저장 공간(211), 플런저 헤드(212), 니들부재(213) 및 압력 센서(214)를 용이하게 한꺼번에 교체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210)의 저장 공간(211), 플런저 헤드(212), 니들부재(213) 및 압력 센서(214)는 소모품으로 사용되어 교체되며, 본체(220)는 다시 활용 가능하다. 또한, 액체가 유동되는 저장 공간(211), 플런저 헤드(212), 니들부재(213) 및 압력 센서(214)를 한꺼번에 교체하므로, 2차 감염 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부재(213)를 대상의 구획내 조직으로 침습시키는 경우, 액체에 대상의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압력 센싱 모듈(210)을 소모품으로 사용함으로써 2차 감염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소모품인 압력 센싱 모듈(210)은 용이하게 분리 및 폐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압력 센서(214)의 배치에 의하여 기존 구획압 측정 장치와 비교하여 2차 감염 경로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압력 센서(214)가 저장 공간(211) 내에 배치됨으로써 환자 간의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구획압 측정 장치는 압력 센서가 플런저 로드 또는 플런저 헤드에 부착되어 재사용되기 때문에, 압력 센서 주변 및/또는 표면에 바이러스 등의 외부 물질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어 환자간 2차 감염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200)는 압력 센싱 모듈(210)이 1회용으로 사용되며, 압력 센서(214)가 처음부터 소독된 상태로 압력 센싱 모듈(210) 내부에 배치되므로 센서가 재사용되지 않으며, 압력 센서에 의하여 타 환자가 감염되는 위험이 전혀 없다.
프로세서(221)는 플런저 로드(222)와 연결된 구동부(223)를 구동하여 플런저 로드(222)를 전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니들부재(213)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저장 공간(211)의 액체로 니들부재(213)를 채울 수 있다. 프로세서(221)가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니들부재(213)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과 관련하여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배터리(224)는 본체(220) 내부에 배치되어 플런저 로드(222)를 구동하는 구동부(223)를 동작(operate)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24)는 압력 센싱 모듈(210)에 압력 센서(2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210)과 본체(220)는 전극(electrode)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210)은 제1 전극(2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본체(220)는 제2 전극(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5) 및 제2 전극(225)은 본체(220)로부터 전력을 압력 센싱 모듈(210)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24)는 압력 센싱 모듈(210)에 제1 전극(215) 및 제2 전극(225)을 통하여 압력 센서(2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싱 모듈(210)은 압력 센서(214)로부터 발생된 압력 신호를 제1 전극(215) 및 제2 전극(225)을 통하여 본체의 프로세서(221)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싱 모듈(210)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경로와 압력 센싱 모듈(210)이 본체의 프로세서(221)로 압력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경로는 서로 분리된다(separated).
본체(220)는 디스플레이부(226) 및 충전 포트(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6)는 프로세서(221)가 압력 센싱 모듈(210)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한 구획압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6)에 액체의 유체 압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조직 내부의 조직압이 표시되므로, 구획압 측정 장치(200)의 사용자는 구획압의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디스플레이부(226)에 구획압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2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24)는 충전 포트(227)를 통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압력 센싱 모듈 및 본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압력 센싱 모듈(310)은 제1 전극(315) 및 플런저 헤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20)는 제2 전극(325) 및 플런저 로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322)의 직선 이동에 따라 플런저 헤드(312)는 압력 센싱 모듈의 저장 공간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310)과 본체(320)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맞닿아야 하므로, 압력 센싱 모듈(310)과 본체(320)는 동일한 단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310) 및 본체(320)가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었는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 센싱 모듈(310)과 본체(320)의 단면의 형태는 비원형(non-circular for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은 본체(320) 및 압력 센싱 모듈(310)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하는 일축(341)을 기준으로 대칭이고, 길이 방향 축과 일축(341)에 수직하는 다른 축(342)을 기준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싱 모듈(310) 및 본체(320)에 대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원형 부분(331) 및 원형 부분(331)으로부터 돌출된 부분(protrusion part, 332)을 포함하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310)에서, 플런저 헤드(312)는 원형 부분(331)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극(315)은 돌출된 부분(332)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320)에서, 플런저 로드(331)는 원형 부분(331)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극(325)는 돌출된 부분(332)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310)과 본체(3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320)의 결합 단부에 복수의 돌출부(327)가 형성되고, 압력 센싱 모듈(310)의 결합 단부에 본체(320)의 복수의 돌출부(327)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홈(groove)(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310) 및 본체(320)가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90도 회전될 시, 본체(32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327)가 압력 센싱 모듈(310)에 형성된 복수의 홈 각각에 맞물리면서 본체(320)와 압력 센싱 모듈(310)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327)가 복수의 홈에 맞물리면 압력 센싱 모듈(310)의 제1 전극(315)과 본체(320)의 제2 전극(325)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310) 및 본체(320)는 제1 전극(315) 및 제2 전극(325)이 마주볼 때까지 회전 가능하고, 이후 회전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구조를 3차원의 형상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시도(401)는 압력 센싱 모듈(410)과 본체(420)가 결합되기 전의 형상으로, 압력 센싱 모듈(410)이 회전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사시도(401)는 압력 센싱 모듈(410)의 돌출된 부분(protrusion part, 418) 및 본체(420)의 돌출된 부분(428)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의 형상을 3차원의 형상으로 도시한다. 본체(420)의 결합 단부에는 복수의 돌출부(42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본체(420)의 결합 단부에 3개의 돌출부(427)가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돌출부의 개수는 3개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 센싱 모듈(410)의 결합 단부에 본체(420)의 복수의 돌출부(427)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홈(groove)(417)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410)의 복수의 돌출부(427)를 본체(420)에 형성된 복수의 홈(417)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압력 센싱 모듈(4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시도(402)는 압력 센싱 모듈(410)과 본체(420)가 결합되기 전의 형상으로, 결합을 위하여 압력 센싱 모듈(410)을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압력 센싱 모듈(410)의 내부로 본체의 복수의 돌출부(427)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압력 센싱 모듈(4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b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시도(403)는 압력 센싱 모듈(410)과 본체(420)가 결합된 후의 형상으로, 압력 센싱 모듈(410)의 복수의 홈(417)과 본체(420)의 복수의 돌출부(427)가 맞물리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시도(404)는 압력 센싱 모듈(410)과 본체(420)가 결합된 후의 형상으로, 압력 센싱 모듈(410)의 복수의 홈(417)과 본체(420)의 복수의 돌출부(427)가 맞물린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체(420)의 복수의 돌출부(427)가 압력 센싱 모듈(410)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 압력 센싱 모듈(410)의 돌출된 부분(418)과 본체(420)의 돌출된 부분(428)이 서로 마주보도록 압력 센싱 모듈(410) 또는 본체(420)는 회전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410) 또는 본체(420)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의 홈(417)과 복수의 돌출부(427)는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도 4c는 압력 센싱 모듈과 본체의 결합 후의 형상을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 투명 사시도(405) 및 투명 사시도(406)은 압력 센싱 모듈(410)과 본체(420)가 결합된 후의 형상으로, 압력 센싱 모듈(410)의 복수의 홈(417)과 본체(420)의 복수의 돌출부(427)가 서로 맞물린 형상을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전극에 대한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압력 센싱 모듈의 제1 전극(515)와 본체의 제2 전극(525)은 서로 요철결합 가능한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515)의 요철결합부에서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525)의 요철결합부에서는 블록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15) 및 제2 전극(525)는 요철 구조를 통하여 맞물려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니들부재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자이로센서(gyro-sensor)를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600)의 본체(220)는 구획압 측정 장치의 자세와 관련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gyro-sensor, 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센서는 물체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획압 측정 장치(600)의 프로세서(221)는 자이로센서(690)에서 발생한 신호에 대응하는 본체(220)의 자세가 목표 자세(target posture)에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니들부재(210)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저장 공간(211)의 액체로 니들 부재를 채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센서(690)는 구획압 측정 장치의 본체(220)의 자세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획압 측정 장치의 프로세서(221)는 자이로센서(690)가 본체(220)와 압력 센싱 모듈(210)이 서로 결합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목표 자세는 본체(220)에서 플런저 로드(222)의 이동을 개시하기로 설정된 자세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20)의 길이 방향 축이 지면에 수직한 자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본체(220)의 자세가 임의의 자세(예를 들어, 길이 방향 축이 지면에 평행한 눕혀진 자세)로부터 길이 방향 축이 지면에 수직한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본체(220)의 길이 방향 축이 지면에 수직한 축에 정렬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응답하여, 본체(220)의 자세가 목표 자세에 매칭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자이로센서(690)는 구획압 측정 장치(600)의 압력 센싱 모듈(210)과 본체(220)가 결합되는 경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자이로센서(690)가 출력하는 신호를 해석하여 본체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690)가 본체(220)의 길이 방향 축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대한 대상 신호를 프로세서(221)로 전달하는 경우, 프로세서(221)는 자이로센서(690)로부터 수신한 대상 신호를 해석하여 본체(220)의 자세가 목표 자세에 매칭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본체(220)의 자세가 목표 자세에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니들부재(213)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저장 공간(211)의 액체로 니들 부재를 채울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플런저 로드(222)와 연결된 구동부(223)를 구동하여 해당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전진시킴으로써, 저장 공간(21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driving unit, 223)는 모터(motor) 및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원(power source)으로, 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기어(gear)를 통하여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구획압 측정 장치(600)의 구동부(223)는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고,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플런저 로드(222)를 플런저 헤드(212)를 향하여 전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driving unit)의 구성은 모터와 액추에이터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플런저 로드를 플런저 헤드를 향하여 전진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도 채택 가능하다.
플런저 로드(222)는 플런저 헤드(212)와 결합하여 플런저 헤드(212)를 저장 공간(211)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플런저 로드(222)와 플런저 헤드(2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단순히 단면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도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런저 헤드(212)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서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니들부재(213) 내부의 부피로부터 일정량의 부피 이상인 목표 부피(target volume) 만큼의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하도록 플런저 로드의 단위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정확한 부피의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하기 위하여 플런저 로드(222)가 플런저 헤드(212)에 결합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플런저 로드(222)의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니들부재(213) 내부의 공기방울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니들부재(213) 내부의 부피보다 큰 목표 부피만큼의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 공간(211)으로부터 니들부재(213)로 공급된 액체 중 니들부재(213) 내부의 부피를 초과하는 액체는 니들부재(213)의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획압 측정 장치(600)의 사용자는 니들부재(213) 바깥으로 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니들부재(213) 내부에 공기 방울이 제거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니들부재(213) 내부의 부피를 초과하는 일정량의 부피는 1cc 일 수 있다.
도 7은 물리적 버튼을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700)는 사용자로부터 물리적 버튼(physical button, 780)에 대한 터치(touch)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니들부재(213)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저장 공간(211)의 액체로 니들 부재를 채울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1)는 플런저 로드(222)와 연결된 구동부(223)를 구동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전진시킴으로써, 저장 공간(21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니들부재(213) 내부의 부피로부터 일정량의 부피 이상인 목표 부피만큼의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하도록, 목표 부피를 배출하도록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저장 공간(211)의 액체로 니들 부재를 채울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정확한 부피의 액체를 니들부재(213)로 공급하기 위하여 플런저 로드(222)가 플런저 헤드(212)에 결합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플런저 로드(222)의 단위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는 물리적 버튼이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객체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압력 센서들을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프로세서(221)는 니들부재(213)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222)를 이동시켜 저장 공간(211)의 액체로 니들부재(213)를 채운 시점을 기준으로,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획압 측정 장치는 니들부재의 내부에 액체를 채운 시점을 기준으로 압력 센서가 생성한 압력 신호는 대기압에 의한 압력 신호이다. 다시 말해,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에서는 프로세서에 의해 대기압을 기준 압력 값으로 조정하는 영점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압 측정 장치(800)는 기준 압력 값 대비 측정 압력 값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대상의 구획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압력 값이란, 니들부재(213)를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한 후에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신호에 의하여 산출된 조직 내의 압력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800)는 저장 공간(211)의 내벽 상에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프로세서(211)는, 복수의 압력 센서로부터 각각 수신한 복수의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구획압 측정 장치(800)는 2개의 압력 센서(811, 8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압력 센서(811, 812)로부터 각각 수신한 압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2개의 압력 센서(811, 812)는 서로 마주보도록 저장 공간(211)의 내벽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800)는 2개의 압력 센서(811, 812)에서 각각 측정된 액체의 유체압력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조직내 구획압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압 측정 장치(800)는 2개의 압력 센서(811, 812)로부터 각각 측정된 조직내 압력 값을 평균화하여 조직내 구획압을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를 이용하면 구획압 측정 장치(800)에서 산출된 대상의 구획압 데이터가 임상 정보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LIS)에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압 측정 장치의 프로세서(221)는 임상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대상의 구획압 데이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대상의 구획압 데이터를 임상 정보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구획압(intracompartmental pressure)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reservoir space),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헤드(plunger head), 상기 플런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액체가 채워지게(filled) 구성되고,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 가능한 니들부재(needle member), 및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가지는 압력 센싱 모듈(pressure sesning module); 및
    상기 압력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가지는 본체(main body)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inner wall)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니들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구획압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플런저 헤드를 이동시키는 플런저 로드(plunger rod)
    를 더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싱 모듈은 제1 전극(electrod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요철결합 가능한 요철 구조를 가지는,
    구획압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batte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는,
    상기 플런저 헤드를 이동시키는 플런저 로드와 연결된 구동부(driving unit)를 동작(operate)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압력 센싱 모듈에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니들부재의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액체로 상기 니들부재를 채우는,
    구획압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구획압 측정 장치의 자세와 관련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gyro-sens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자세가 목표 자세(target posture)에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니들부재의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액체로 상기 니들부재를 채우는,
    구획압 측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구획압 측정 장치에 구비된 물리적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touch) 입력인,
    구획압 측정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런저 로드와 연결된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부재의 내부 부피 이상인 목표 부피(target volume)만큼의 액체를 상기 니들부재로 공급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싱 모듈은,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 상에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각각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압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구획압 데이터를 결정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니들부재의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 공간의 상기 액체로 상기 니들부재를 채운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 값을 설정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임상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구획압 데이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구획압 데이터를 임상 정보 시스템에 제공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
  14. 압력 센싱 장치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reservoir space);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헤드(plunger head);
    상기 플런저 헤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액체가 채워지게(filled) 구성되고, 대상의 구획된 조직 내부로 침습 가능한 니들부재(needle member); 및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싱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싱 소자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inner wall)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니들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압력 센싱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헤드를 이동시키는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구획압 측정 장치의 본체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압력 센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헤드는,
    상기 니들부재의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설정된 상기 플런저 로드에 의하여 이동되는,
    압력 센싱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구획압 측정 장치의 본체가 포함하는 전극(electrode)과 요철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압력 센싱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본체의 프로세서로 압력 신호를 전송하는,
    압력 센싱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 상에 상기 액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싱 소자를 포함하는,
    압력 센싱 장치.
KR1020200169466A 2020-12-07 2020-12-07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KR10244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66A KR102446056B1 (ko) 2020-12-07 2020-12-07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66A KR102446056B1 (ko) 2020-12-07 2020-12-07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403A KR20220080403A (ko) 2022-06-14
KR102446056B1 true KR102446056B1 (ko) 2022-09-23

Family

ID=8198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466A KR102446056B1 (ko) 2020-12-07 2020-12-07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0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6341B2 (en) 2012-07-03 2018-05-01 Milestone Scientific, Inc. Drug infusion with pressure sensing and non-continuous flow for identification of and injection into fluid-filled anatomic spaces
RU2738796C1 (ru) * 2017-05-04 2020-12-16 Майлстон Сайнтифик,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блокады периферического нер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403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1419B2 (ja) 血液検査装置および血液検査方法
ES2760572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ortátil para realzar la visualización durante la inserción de un dispositivo invasivo
ES2236836T3 (es) Cateter sensible a una parte curva.
EP2921104B1 (en) Blood pressure measuring system
US20120302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intracranial catheters
JP2010233883A (ja) カテーテル
KR102232218B1 (ko) 약물 주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654007A1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and extracorporeal circulation device
KR102647314B1 (ko) 이식된 주입 장치에 대한 리필 바늘
KR102446056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구획압 측정 장치
US11911550B2 (en)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extracorporeal circulator
JP6569271B2 (ja) 医療器具用光コネクタ
CN111990986B (zh) 一种颅内压监测方法和装置
JPWO2017104158A1 (ja) 着脱式圧力センサおよび着脱式圧力センサを備える体外循環装置
US20160310164A1 (en) Needle for invasive medical use and needle assembly
JP6511781B2 (ja) 医療用スタイレット
JP2020072934A (ja) 医療技術的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220338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luid management to a patient
CN110049729A (zh) 用于测量血管内压力的导线系统
KR20210012715A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267358B1 (ko) 약물 주입 장치
JP2015521279A (ja) 万能型圧力変換器取付装置
CN215191541U (zh) 可探测组织腔体内是否容有医疗器械的便携式探测器
JP7121624B2 (ja) グルコース測定モジュール及びグルコース測定システム
KR101879934B1 (ko) 혈관 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