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943B1 -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943B1
KR102445943B1 KR1020210034799A KR20210034799A KR102445943B1 KR 102445943 B1 KR102445943 B1 KR 102445943B1 KR 1020210034799 A KR1020210034799 A KR 1020210034799A KR 20210034799 A KR20210034799 A KR 20210034799A KR 102445943 B1 KR102445943 B1 KR 10244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image
terminal
outpu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경
Original Assignee
문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대경 filed Critical 문대경
Priority to KR102021003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서버가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여자의 2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제1 참여자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제2 참여자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 및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입력조작에 의하여 변경되어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PROVIDING VIDEO SERVICE IN MULTI-CAMERA ENVIRONMENT}
본 실시예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영상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인 원격 교육 산업은 2025년에는 전세계적으로 3,42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상황에서 원격 교육의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격 교육 도구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원격 교육 도구는 영상의 일방적인 송출이나 단순한 매칭에 그치고 있어서 원격 교육에 대한 회의론까지 일고 있다.
원격 교육 도구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여전히 그 한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줌(ZOOM)과 같은 영상회의도구는 얼굴 화면과 스크린 공유라는 제한된 기능만 제공하기 때문에, 현장감, 몰입도, 성취도 모두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상회의도구는 비즈니스용이어서 얼굴만 봐도 충분한 어학 학습에만 제한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 5G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역시 보유하는 통신인프라를 이용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을 가지지 못하고 커리큘럼(curriculum)이 디지털화되어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AI를 이용한 원격도구는 개인에 따라 차별화된 설명 대신에 정형화된 설명밖에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현장감을 높이고 참가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원격 영상서비스 제공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각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각 참여자의 환경을 포함하는 참여자영상을 수집하여 각 참여자단말기에 모든 참여자영상을 출력하고, 일 참여자의 입력조작에 따라 일 참여자영상을 변경하고 그 변경된 참여자영상을 모든 참여자에게 출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참여자영상을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의 주목영역과 주변영역에 출력하되, 참여자영상 중 일부는 주목영역의 일측 또는 주변영역의 일측에 썸네일로 출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썸네일로 출력된 참여자영상에 대한 조작을 입력받고, 그 입력조작을 통해 참여자영상을 일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하거나 모든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동시에 출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서버가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여자의 2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제1 참여자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제2 참여자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 및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입력조작에 의하여 변경되어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및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에 썸네일(thumbnail)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1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주변영역의 전면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1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영상변경권한을 부여받은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단말기에게 관리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권한은,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영상변경권한 및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참여자주목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1 참여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 참여자단말기 및 제2 참여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2 참여자단말기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2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제1 참여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제2 참여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며,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 및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통신부는, 제3 참여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3 참여자단말기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입력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참여자영상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주변영역은 이전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참여자 및 각 참여자를 둘러싼 환경을 다양하게 촬영한 각각의 참여자영상을 모든 참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참여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 밀접해지고 현장감도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서비스가 교육분야에 적용되는 경우, 학생의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의 영상을 모두 확인하는 참관모드를 구현하고, 교사와 학생의 영상을 저장하여 추후 복습을 위해 상기 저장된 영상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참여자단말기 중 일 참여자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 및 참여자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참여자단말기 중 일 참여자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참여자 주목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3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경우에 학생과 교사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제1 예시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경우에 학생과 교사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제2 예시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 교사 및 학부모가 참여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 교사 및 학부모가 참여하는 경우에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서버(101),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 및 복수의 영상촬영장치(110-1~110-n, 120-1~120-n, 130-1~130-n)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복수의 영상촬영장치(110-1~110-n, 120-1~120-n, 130-1~130-n)가 촬영한 영상을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를 조작하는 사용자간에 공유시킬 수 있다. 즉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는 원격교육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명의 교사와 한 명의 학생이 참여하거나, 한 명의 교사와 다수의 학생이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를 조작하고, 2명의 학생은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를 각각 조작할 수 있다.
서버(101)와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단말기,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거나 송신하고, 그 영상을 사용자 또는 참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는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의 사용자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를 조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영상서비스의 참여자와 동일한 의미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의 사용자는 참여자로 대체되어 기술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상촬영장치(110-1~110-n, 120-1~120-n, 130-1~130-n)는 각각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와 연결되어 '멀티카메라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멀티카메라 환경은 여러 대의 영상촬영장치가 각각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를 조작하는 참여자 및 참여자 주변을 촬영하는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영상촬영장치(110-1)는 참여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일 영상촬영장치(110-1)를 제외한 다른 영상촬영장치는 참여자의 얼굴이외의 신체부위나 참여자 주변의 특정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래서 영상촬영장치(110-1~110-n)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 주변에 여러 지점에 위치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촬영장치(110-1~110-n, 120-1~120-n, 130-1~130-n) 또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는 참여자 및 참여자 주변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촬영장치(110-1~110-n)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와 연결되고, 주변을 찍은 영상을 제1 참여자단말기(110)를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자체적으로 내부에 통신모듈과 영상촬영부-예를 들어 웹캠(webcam)-를 포함하여 주변을 찍은 영상을 직접 생성하여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로 송신된 영상은 다른 참여자단말기와 공유될 수 있다.
서버(101)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영상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영상을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가 송신한 영상-제1 참여자영상-을 다시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제1 참여자영상을 화면에 출력하여 제2 참여자 및 제3 참여자에게 각각 보여줄 수 있다. 반대로 서버(101)는 제2 참여자단말기(120)가 송신한 영상-제2 참여자영상-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가 송신한 영상-제3 참여자영상-을 다시 제1 참여자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및 3 참여자영상을 화면에 출력하여 제1 참여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 각각은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모두 동시에 출력하게 되고, 각 참여자는 해당 참여자단말기를 통해서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모두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101)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관리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관리권한을 부여받은 참여자단말기는 다른 참여자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이 변경되도록 허용하거나 또는 불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권한을 부여받은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참여자단말기(120)에는 영상변경권한을 주고, 제3 참여자단말기(130)에는 영상변경권한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제2 참여자는 제2 참여자단말기(120)의 화면에 출력된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입력조작을 통해 변경할 수 있으나, 제3 참여자는 제3 참여자단말기(130)의 화면에 출력된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변경할 수 없다.
또한 관리권한을 부여받은 참여자단말기는 다른 참여자단말기가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제공하도록 허용하거나 불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권한을 부여받은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참여자단말기(120)에는 접근권한을 주고, 제3 참여자단말기(130)에는 접근권한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제공하고, 제2 참여자는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제3 참여자는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참여자단말기 중 일 참여자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참여자단말기는 다른 참여자단말기가 보내온 영상을 일 참여자단말기가 생성한 영상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과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한꺼번에 화면에 출력될 수 있고, 화면의 각 영역-주목영역 및 주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과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썸네일(thumbnail)-미니 영상-로 출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목영역은 화면의 일 영역으로서 영상이 가장 크게 확대되어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주목영역은 측면이나 중앙을 가리지 않고 자유롭게 배치되되, 주변영역보다 참여자에게 돋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과 같이 주목영역은 화면의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주변영역이 집중 및 나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본 도면의 B 참조).
반면에 주변영역은 주목영역이외의 영역으로서 영상이 주목영역보다 작게 축소되어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주변영역은 측면이나 중앙을 가리지 않고 자유롭게 배치되되, 주목영역을 돋보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과 같이 주변영역은 화면의 타측-예를 들어 우측(주목영역이 겹치지 않는 영역)-에 집중 및 나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목영역 및 주변영역의 형상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도면과 같이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본 도면의 A, C 참조).
일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에서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과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의 출력은 다음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방식-2명의 참여자가 영상을 주고받는 경우-으로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주변영역에 위치하고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주목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일 참여자단말기에 연동된 영상촬영장치가 찍은 것이고,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다른 참여자단말기에 연동된 영상촬영장치가 찍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을 주목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영상(A)을 주변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방식-3명이상의 참여자가 영상을 주고받는 경우-으로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 및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주변영역에 위치하고 또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주목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또 다른 참여자단말기에 연동된 영상촬영장치가 찍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을 주목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영상(A) 및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을 주변영역에 나란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식과 제2 방식의 차이점은 주목영역에 2이상의 참여자 중 어느 참여자를 선택할 수 있느냐일 수 있다. 제1 방식의 경우,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영역에 오로지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만을 출력시킬 수 밖에 없다. 반면에 제2 방식의 경우,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영역에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 또는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도면에서와 같이 제1 참여자단말기(110)가 주목영역에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을 출력시키면 주변영역에는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이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참여자단말기(110)가 주목영역에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3)을 출력시키면 주변영역에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일 참여자단말기의 영상과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은 썸네일로도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영상은 주목영역 및 주변영역의 일측에 출력되되, 주목영역 및 주변영역의 전면에 출력된 영상과 겹쳐져서 위치할 수 있다. 일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에서 일 참여자단말기의 썸네일영상은 주변영역의 하단에 출력되고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썸네일영상은 주목영역의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식-2명의 참여자가 영상을 주고받는 경우-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화면에서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이 주목영역에 출력되되, 그 썸네일영상(B1, B2, ..., BN)은 주목영역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영상(A)은 주변영역에 출력되되, 그 썸네일영상(A1, A2, ..., AN)은 주변영역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일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에서 일 참여자단말기의 썸네일영상 및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썸네일영상은 주변영역의 하단에 출력되고 또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썸네일영상은 주목영역의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식-3명이상의 참여자가 영상을 주고받는 경우-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화면에서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이 주목영역에 출력되되, 그 썸네일영상(B1, B2, ..., BN)은 주목영역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영상(A)은 주변영역에 출력되되, 그 썸네일영상(A1, A2, ..., AN)은 주변영역 하단에 출력되고,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은 주변영역에 출력되되, 그 썸네일영상(C1, C2, ..., CN)은 주변영역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일 참여자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특정한 입력조작을 입력받으면,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을 주목영역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주목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교체 즉 변경할 수 있는데, 주목영역에 출력되지 않았던 영상이 주목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변경되는 영상에는 각 영역의 전면에 표시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썸네일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한 입력조작을 통해 주목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것을 '개별주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로부터 주변영역의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에 대한 클릭(click)조작 또는 1회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영역에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을 출력할 수 있다. 동시에 주목영역의 하단에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의 썸네일영상(B1, B2, ..., BN)이 아닌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썸네일영상(C1, C2, ..., CN)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본 도면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로부터 주변영역의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제1 썸네일영상(C1)에 대한 클릭(click)조작 또는 1회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영역에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제1 썸네일영상(C1)을 출력할 수 있다. 동시에 주목영역의 하단에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의 썸네일영상(B1, B2, ..., BN)이 아닌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썸네일영상(C, C1, ..., CN)이 출력될 수 있다.
개별주목의 경우, 일 참여자단말기가 개별주목하면, 주목영역에서의 변경된 영상이 다른 참여자단말기에 출력되지 않아서 다른 참여자가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제2 참여자단말기가 제1 참여자단말기의 영상(A)의 제1 썸네일영상(A1)을 개별주목하여도-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에 출력하여도-,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단말기의 영상(A)의 제1 썸네일영상(A1)이 제2 참여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상태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단말기의 영상(A)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제3 참여자단말기도 제1 참여자단말기의 영상(A)의 제2 썸네일영상(A2)을 개별주목할 수 있는데, 제1 참여자단말기(110)가 하나의 주변영역에 제2 및 3 참여자단말기에 의한 영상변경의 상태를 동시에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3명이상의 참여자의 경우와 달리, 2명의 참여자의 경우, 일 참여자단말기가 개별주목하면, 주목영역에서의 변경된 영상이 다른 참여자단말기에 출력되므로, 다른 참여자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참여자단말기가 제1 참여자단말기의 영상(A)의 제1 썸네일영상(A1)을 개별주목하면-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에 출력하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단말기의 영상(A)의 제1 썸네일영상(A1)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일 참여자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특정한 입력조작을 받으면, 다른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을 모든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에서 동시에 출력시킬 수 있다. 즉 모든 참여자단말기의 화면의 주목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강제로 교체 즉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되는 영상에는 각 영역의 전면에 표시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썸네일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한 입력조작을 통해 주목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것을 '강제주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로부터 주변영역의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에 대한 더블클릭(double-click)조작 또는 2회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영역에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을 출력할 수 있다. 동시에 주목영역의 하단에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의 썸네일영상(B1, B2, ..., BN)이 아닌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썸네일영상(C1, C2, ..., CN)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변경은 제2 및 3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에서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본 도면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로부터 주변영역의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제1 썸네일영상(C1)에 대한 더블클릭(click)조작 또는 2회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영역에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제1 썸네일영상(C1)을 출력할 수 있다. 동시에 주목영역의 하단에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의 썸네일영상(B1, B2, ..., BN)이 아닌 제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C)의 썸네일영상(C, C1, ..., CN)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변경은 제2 및 3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에서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 및 참여자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1)는 제어부(101a), 통신부(101b) 및 저장부(101c)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1b)는 송신부(101b-1) 및 수신부(101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1b)는 송신부(101b-1) 및 수신부(101b-2)를 통해 복수의 참여자단말기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수신부(101b-2)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로부터 각 참여자단말기에 연결된 영상촬영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거나, 각 참여자의 입력조작에 따른 영상변경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101b-1)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다시 복수의 참여자단말기로 송신하거나, 각 참여자의 입력조작에 따라 변경된 영상을 복수의 참여자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01a)는 모든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을 모든 참여자단말기에 출력하도록 통신부(101b)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2명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가 원격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101a)는 통신부(101b)를 통해 제1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1 참여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 참여자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1a)는 통신부(101b)를 통해 제1 및 2 참여자영상 전부를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제1 참여자영상을 제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제2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01a)는 통신부(101b)를 통해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 및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한 뒤, 입력조작에 따라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을 변경하여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3명이상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가 원격으로 제공되는 경우, 전술한 예시에 추가적으로 제어부(101a)는 통신부(101b)를 통해 제3 참여자영상을 제3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로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01a)는 통신부(101b)를 통해 제1 및 2 참여자영상을 제3 참여자단말기로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3명이상의 참여자가 영상서비스에 참여하는 경우, 다른 참여자가 일 참여자를 개별주목하는 것은 일 참여자에게 출력되지 못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이상의 다른 참여자가 일 참여자의 영상을 변경한 것이 하나의 영역에 같이 반영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장부(101c)에는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영상은 참여자의 요청에 따라 다시 제공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가 원격교육에 적용되는 경우, 학생인 참여자는 교사인 참여자가 포함된 영상을 요청할 수 있고 제어부(101a)는 영상을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독출된 영상은 학생의 복습의 용도로 이용되거나 교사와 학생간의 분쟁에서 증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저장된 교사인 참여자가 포함된 영상은 온라인플랫폼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1c)에는 복수의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이 시간적으로 연동-타임싱크(time-sync)-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영상은 복수일 수 있고, 이 영상들은 썸네일영상들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영상-썸네일영상-은 동시에 촬영되어 시간적으로 연동된 채로 저장부(101c)에 저장될 수 있다. 그래서 참여자가 기저장된 다수의 썸네일영상을 제공받아 특정 시점에서 재생하면, 다수의 썸네일영상은 그 시점에서의 이미지를 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참가자단말기-본 도면에서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를 예시로 함-는 제어부(110a), 통신부(110b), 영상촬영부(110c), 입력부(110d) 및 출력부(11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a)는 통신부(110b), 영상촬영부(110c), 입력부(110d) 및 출력부(110e)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10b)는 외부기기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10b)는 영상촬영장치(110-1~110-n)로부터 참여자와 참여자 주변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 내부에 포함된 영상촬영부(110c)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서버(101)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10d)는 참여자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0d)는 화면에 대한 터치 또는 마우스의 클릭을 입력조작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10e)는 복수의 참여자의 영상을 참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및 오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참여자단말기 중 일 참여자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참여자 주목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참여자단말기는 현재 영상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모든 참여자가 어느 참여자를 주목영역에 출력하고 있는지를 주목상태화면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상태화면에서 주목영역에 출력되는 영상과 그 영상이 어떤 참여자에 의하여 주목영역에 출력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참여자가 주목상태표시를 위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본 도면과 같은 주목상태화면이 제1 참여자단말기(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현재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3 참여자단말기는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의 제1 썸네일영상(B1)을 주목영역에 출력하는 중이고, 제2 참여자단말기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의 영상(A)의 제1 썸네일영상(A1)을 주목영역에 출력하는 중일 수 있다. 여기서 아무도 주목되지 않는 영상 즉, 제2 참여자단말기의 영상(B)의 제2 및 N 썸네일영상(B2, BN)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원격교육에 적용되면, 교사인 제1 참여자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를 통해 학생들-제2 및 3 참여자-이 어디를 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주목상태화면을 출력하기 위하여 서버로부터 참여자주목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내지 3 참여자단말기의 영상-썸네일영상을 포함-을 송수신하거나 제1 내지 3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하여 주목영역에 대한 영상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영상변경의 결과에 따라서 제1 내지 3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에는 어떤 영상이 출력되는지 파악하여 참여자주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참여자의 입력조작에 따라 참여자영상을 변경하는 제1 동작이 도시된다. 본 동작에서는 2명의 참여자가 일대일로 영상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S501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QR코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가 원격교육에 적용되는 경우, 서버(101)는 다수의 스터디그룹(공부방)을 생성할 수 있다. 각 스터디그룹은 교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새로운 학생은 특정 스터디그룹에 접근하기 위해서, 서버(101)가 제공하는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해당 스터디그룹에 입장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제2 참여자는 별도의 단말기-예를 들어 데스크탑-을 통해 본 서비스에 접속한 뒤, 제2 참여자단말기(120)-예를 들어 스마트폰-는 서버(101)가 제공하는 QR코드를 데스크탑을 통해 스캔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참여자는 QR코드와 연동된 스터디그룹에 입장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 및 그 주변이 촬영된 제1 참여자영상을 서버(101)로 송신하고,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제2 참여자 및 그 주변이 촬영된 제2 참여자영상을 서버(101)로 송신할 수 있다(S503 단계).
서버(101)는 모든 참여자영상을 각 참여자단말기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제1 참여자영상을 제2 참여자단말기(120)로 송신하고 제2 참여자영상을 제1 참여자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505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수신한 영상과 직접 촬영한 영상을 모두 출력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제1 및 2 참여자영상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S507 단계).
복수의 참여자 중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영상을 변경-예를 들어 특정 썸네일영상을 주목영역에 출력-하기 위하여 제2 참여자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S509 단계).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입력조작을 서버(101)로 송신할 수 있다(S511 단계). 여기서 입력조작은 제2 참여자 입장에서 제1 참여자의 영상 중 일 썸네일영상을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서버(101)는 입력조작에 따라 제1 참여자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S513 단계). 서버(101)는 변경된 제1 참여자영상을 다시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에게 다시 송신할 수 있다(S515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변경된 제1 참여자영상과 제2 참여자영상을 모두 출력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2명의 참여자가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일 참여자의 영상변경은 다른 참여자에게도 그대로 보여질 수 있다. 제1 동작에서는 2명의 참여자가 원격서비스에 참여하는데, 제1 참여자는 제2 참여자가 변경한 제1 참여자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참여자의 입력조작에 따라 참여자영상을 변경하는 제2 동작이 도시된다. 본 동작에서는 3명 이상의 참여자가 영상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S601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QR코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가 원격교육에 적용되는 경우, 제3 참여자는 별도의 단말기-예를 들어 데스크탑-를 통해 본 서비스에 접속한 뒤, 제3 참여자단말기(130)-예를 들어 스마트폰-는 서버(101)가 제공하는 QR코드를 데스크탑을 통해 스캔할 수 있다. 그러면 제3 참여자는 QR코드와 연동된 스터디그룹에 입장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1 참여자 및 그 주변이 촬영된 제1 참여자영상을 서버(101)로 송신하고,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제2 참여자 및 그 주변이 촬영된 제2 참여자영상을 서버(101)로 송신하며,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제3 참여자 및 그 주변이 촬영된 제3 참여자영상을 서버(101)로 송신할 수 있다(S603 단계).
서버(101)는 모든 참여자영상을 각 참여자단말기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제2 및 3 참여자영상을 제1 참여자단말기(110)로 송신하고, 제1 및 3 참여자영상을 제2 참여자단말기(120)로 송신하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을 제3 참여자단말기(130)로 송신할 수 있다(S605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S607 단계).
복수의 참여자 중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영상을 변경-예를 들어 특정 썸네일영상을 주목영역에 출력-하기 위하여 제2 참여자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S609 단계).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입력조작을 서버(101)로 송신할 수 있다(S611 단계). 여기서 입력조작은 제2 참여자 입장에서 제1 참여자의 영상 중 일 썸네일영상을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서버(101)는 입력조작에 따라 제1 참여자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S613 단계). 서버(101)는 입력조작을 송신한 제2 참여자단말기(120)에게만 변경된 제1 참여자영상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S615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 제2 참여자단말기(12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제1 참여자영상 내지 제3 참여자영상을 모두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입력조작에 따라 변경된 제1 참여자영상을 출력하나,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3 참여자단말기(130)는 변경되기 이전의 제1 참여자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동작에서는 3명 이상의 참여자가 원격서비스에 참여하는데, 제1 참여자는 제2 참여자가 변경한 제1 참여자영상을 확인할 수 없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3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영상변경권한 및 참여자주목정보 접근권한을 포함하는 관리권한을 제공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제1 참여자단말기(110) 및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접속하여 제1 및 2 참여자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701 단계).
서버(101)는 복수의 참여자 중 일 참여자에게 관리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데, 본 도면에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관리권한을 서버(101)로부터 부여받을 수 있다(S703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영상변경권한을 통해 주목영역에 변경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참여자주목정보 접근권한을 통해 주목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주목상태를 출력하기 위하여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서버(101)에 참여자주목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705 단계). 서버(101)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707 단계).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참여자주목정보에 기반하여 참여자의 주목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S709 단계).
관리권한을 가지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참여자단말기(120)에 영상변경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711 단계).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영상변경권한의 내용에 따라 개별주목 및/또는 강제주목을 실행할 수 있다(S713 단계). 만약 제1 참여자단말기(110)가 영상변경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면,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개별주목 및 강제주목을 모두 실행하지 못할 수 있다.
관리권한을 가지는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제2 참여자단말기(120)가 주목상태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제1 참여자단말기(110)는 참여자주목정보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715 단계).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참여자주목정보 접근권한에 따라 서버(101)에 참여자주목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717 단계). 서버(101)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제2 참여자단말기(120)로 제공할 수 있다(S719 단계).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참여자주목정보에 기반하여 참여자의 주목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S721 단계). 만약 제1 참여자단말기(110)가 참여자주목정보 접근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면, 제2 참여자단말기(120)는 주목상태를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교사는 제1 참여자에, 학생은 제2 참여자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제1 참여자단말기-랩탑-의 내부카메라는 제1 참여자인 교사의 얼굴을 촬영하고, 별도의 웹캠은 교사의 손 또는 교사의 노트를 촬영할 수 있다. 제1 참여자영상은 내부카메라에 의한 영상과 웹캡에 의한 영상을 포함하고, 두 영상은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일 영역에 또는 썸네일로 출력될 수 있다(본 도면의 S 참조).
한편 제2 참여자단말기-데스크탑-의 내부카메라는 제2 참여자인 학생의 얼굴을 촬영하고, 별도의 웹캠은 학생의 손 또는 학생의 노트를 촬영할 수 있다. 제2 참여자영상은 내부카메라에 의한 영상과 웹캡에 의한 영상을 포함하고, 두 영상은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일 영역에 또는 썸네일로 출력될 수 있다(본 도면의 T 참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경우에 학생과 교사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제1 예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에 적용되는 경우에 교사와 학생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가 도시된다. 여기서 Ⅰ는 학생의 단말기 화면을 나타내고 Ⅱ는 교사의 단말기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처음에 교사의 단말기는 주목영역에 학생의 영상을 출력하고 학생의 단말기는 주변영역에 교사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교사가 교사의 영상에 대하여 입력조작-예를 들어 더블클릭-을 가하면, 교사의 단말기의 주목영역 및 학생의 단말기의 주목영역에 교사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고, 주변영역에는 학생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도면은 강제주목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경우에 학생과 교사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제2 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가 교사와 2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에 적용되는 경우에 교사와 학생1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가 도시된다. 여기서 Ⅰ는 학생1의 단말기 화면을 나타내고 Ⅱ는 교사의 단말기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학생1의 단말기는 주목영역에 교사의 영상을 출력하고 주변영역에 학생1 자신의 영상과 학생2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교사의 단말기는 주목영역에 학생1의 영상을 출력하고 주변영역에 학생2의 영상과 교사 자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학생, 교사 및 학부모가 참여하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12에 따른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비스는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원격교육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교사는 제1 참여자(T)에, 학생은 제2 참여자(S)에, 학부모는 제3 참여자(P)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학부모는 단말기를 통해 교사의 영상과 학생의 영상을 모두 제공받을 수 있다. 학생의 단말기 및 교사의 단말기는 강제주목된 상태를 제공하고 있어서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본 도면의 Ⅰ 및 Ⅱ 참조). 학부모 단말기는 학생의 단말기 또는 교사의 단말기와 연동되어 연동된 단말기와 동일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학부모 단말기는 학생의 단말기 또는 교사의 단말기와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본 도면의 Ⅲ 참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unit)” 또는 블록 또는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 또는 '~부' 등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그 일부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들, 서버 컴퓨터들,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들, 멀티프로세서 시스템들,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시스템들, 셋탑 박스들, 프로그램가능 가전제품, 네트워크 PC들, 미니컴퓨터들, 메인프레임 컴퓨터들, 휴대 전화들, 개인용 디지털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게이밍(gaming) 디바이스들, 프린터들, 셋탑을 포함하는 기기들, 미디어 센터, 또는 다른 기기들, 자동차 임베디드 또는 부착 컴퓨팅 디바이스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기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0)

  1. 서버가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참여자의 2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1 참여자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참여자의 2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 참여자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을 제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을 제1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의 일 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의 일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의 다른 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의 다른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의 썸네일(thumbnail)에 출력되며,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의 썸네일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의 일 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의 일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의 다른 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의 다른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의 썸네일(thumbnail)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의 썸네일에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1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주변영역의 전면에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1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동시에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영상변경권한을 부여받은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참여자주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단말기에게 관리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권한은,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영상변경권한 및 상기 제1 또는 2 참여자영상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참여자주목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포함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9. 멀티카메라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1 참여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 참여자단말기 및 제2 참여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2 참여자단말기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2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1 참여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참여자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 참여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며,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의 일 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의 일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의 다른 영상은, 상기 제1 참여자의 다른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의 썸네일(thumbnail)에 출력되며,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의 썸네일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의 일 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의 일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영상의 다른 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의 다른 영상촬영장치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목영역의 썸네일(thumbnail)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화면 중 주변영역의 썸네일에 출력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3 참여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3 참여자단말기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2 참여자영상과 제3 참여자영상 전부를 상기 제1 및 2 참여자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참여자영상을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입력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3 참여자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2 참여자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1 참여자영상은,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제2 참여자로부터 상기 제1 참여자영상에 대한 입력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참여자단말기의 주목영역의 전면에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참여자단말기의 주변영역은 이전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는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서버.

KR1020210034799A 2021-03-17 2021-03-17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99A KR102445943B1 (ko) 2021-03-17 2021-03-17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99A KR102445943B1 (ko) 2021-03-17 2021-03-17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943B1 true KR102445943B1 (ko) 2022-09-21

Family

ID=8345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99A KR102445943B1 (ko) 2021-03-17 2021-03-17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895A (ko) * 1998-11-18 2000-06-15 구자홍 화상 전화기의 수신화상 표시방법
KR20110131467A (ko)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대화 제어 방법
KR20150011886A (ko) * 2013-07-23 2015-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여자 중심의 분산 영상 회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895A (ko) * 1998-11-18 2000-06-15 구자홍 화상 전화기의 수신화상 표시방법
KR20110131467A (ko)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대화 제어 방법
KR20150011886A (ko) * 2013-07-23 2015-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여자 중심의 분산 영상 회의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2496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会議管理装置、情報処理方法、会議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0815B1 (ko) Vr 및 ar 기반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30393A (ko) 가상 현실 뷰포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20223960A1 (en) Image control method and image control system
CN102880823A (zh) 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系统
CN112243583A (zh) 多端点混合现实会议
US11736802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imag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70984B1 (ko)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CN108986009A (zh) 图片的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6330464A (ja) 受講状態判別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00177645A1 (en) Content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2445943B1 (ko) 멀티카메라 환경에서 영상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147309A (ja) 管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69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312163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画像共有方法、プログラム
US20240089409A1 (en) Server and method for remotely providing video service among plurality of participants exposed to multi-camera environment
KR101687901B1 (ko)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들 사이의 판서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2007784B1 (ko)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WO2018226030A1 (ko)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US96285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rated and on-demand visual file distribution
US11949722B1 (en) Electronic universal shared utility board infinite canvas system
Jiang et al. NaMemo: Enhancing Lecturers' Interpersonal Competence of Remembering Students' Names
US112971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30308622A1 (en) Display terminal, displa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40007610A1 (en) Display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