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783B1 - 스마트 칫솔 - Google Patents

스마트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783B1
KR102445783B1 KR1020210192269A KR20210192269A KR102445783B1 KR 102445783 B1 KR102445783 B1 KR 102445783B1 KR 1020210192269 A KR1020210192269 A KR 1020210192269A KR 20210192269 A KR20210192269 A KR 20210192269A KR 102445783 B1 KR102445783 B1 KR 10244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ooth
signal
b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엘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디부 외주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한쌍의 안착홈을 구비하여, 향상된 그립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양치질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칫솔은 칫솔모가 일면에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안착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안착홈의 바닥면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칫솔{SMART TOOTHBRUSH}
본 발명은 스마트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디부 외주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한쌍의 안착홈을 구비하여, 향상된 그립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양치질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칫솔에 관한 것이다.
양치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아기부터 올바르게 양치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양치의 올바른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매번 보호자가 치아의 양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관리해야 하며, 더욱이 입속 깊은 곳은 매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구강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양치질에 대한 지속적인 개인형 맞춤 관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10-2250631 (2021.0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디부 외주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한쌍의 안착홈을 구비하여 향상된 그립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한쌍의 안착홈을 통해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함에 따라 획득되는 바디부의 모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양치질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칫솔은 칫솔모가 일면에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안착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안착홈의 바닥면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치아에 대한 양치질 동작을 치아 영역별로 평가한 양치질 습관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구강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 관리부는, 상기 한쌍의 안착홈의 바닥면을 통해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인증함에 따라 사용자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감지센서,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가 센싱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에 대한 모션정보를 센싱하는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모션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바디부의 전후진 이동 거리 및 기울어짐 각도 변화에 따라 치아영역 별로 식별되는 양치질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상기 양치질 습관 정보로 통합 관리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질 데이터는 양치질 동작이 치아영역 별로 수행된 횟수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양치질 습관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사용자 치아의 보완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양치질 동작을 일정 횟수 단계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케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보완 대상 정보는 추가 양치질이 필요한 보완 치아영역들과 해당 영역별 보완 동작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 모드는 상기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보완 치아영역들 중 보완 동작횟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보완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모션정보를 센싱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가 양치질 동작을 가이드하는 동작 모드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부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마이크, 상기 제1 마이크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소음 신호의 차동 신호에 해당하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출력 모듈 및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소음 신호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 간의 상쇄 간섭으로 생성된 노이즈 캔슬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이즈 캔슬드 신호의 진폭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출력 모듈를 제어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출력 세기를 조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부는 기저장된 SRI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응답받는 SRI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SRI 응답 점수를 산출하고 해당 SRI 응답 점수에 대응되는 스트레스 수준을 결정하는 SRI 서비스 모듈,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의 변화값과 상기 스트레스 수준에 대응되는 실험군의 기수집된 생체정보 변화 데이터의 평균값 구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 모듈 및 상기 스트레스 변화 상태가 고 스트레스 상태인 경우,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완화 치료 방법을 검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부모 단말에 상기 스트레스 변화 상태와 상기 완화 치료 방법을 중계하는 치료방법 중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SRI 서비스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을 추정하기 위한 질의-응답 검사 서비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칫솔은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디부 외주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한쌍의 안착홈을 구비하여 향상된 그립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칫솔은 한쌍의 안착홈을 통해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함에 따라 획득되는 바디부의 모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양치질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칫솔(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칫솔(10_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강 관리부(3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어 장치(330)가 관리하는 양치질 습관 정보에 대한 일 예이다.
도 5는 도 3의 구강 관리부(3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구강 관리부(300_2)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칫솔(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칫솔(10)은 칫솔모(110)가 일면에 구비된 헤드부(100)와 헤드부(100)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칫솔모(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한쌍의 안착홈(201, 202)이 형성된 바디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안착홈(201, 202)의 바닥면은 바디부(200)의 나머지 외주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쌍의 안착홈(201, 202)의 바닥면은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코팅층이 표면에 코팅되거나 임의의 패턴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칫솔(10_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강 관리부(3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어 장치(330)가 관리하는 양치질 습관 정보에 대한 일 예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칫솔(10_1)은 헤드부(100), 바디부(200) 및 구강 관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헤드부(100)와 바디부(2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구강 관리부(300)는 바디부(200)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로서, 사용자 치아에 대한 양치질 동작을 평가한 양치질 습관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관리부(300)는 생체정보 감지센서(310), 동작 인식 센서(320) 및 제어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 감지센서(310)는 한쌍의 안착홈(201, 202) 중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 예컨대, 엄지 지문으로부터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안착홈(201)의 바닥면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제2 신체 부위 예컨대, 검지 부위로부터 접촉되는 다른 하나의 안착홈(202)의 바닥면을 통해 사용자 생체정보 예컨대, 맥파, 혈압, 맥박, 호흡수 및 체온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안착홈(201)의 바닥면은 지문 인증을 위한 생체정보 감지센서(310)의 전극판이고, 다른 하나의 안착홈(202)의 바닥면은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생체정보 감지센서(310)의 전극판일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 감지센서(310)는 사용자 생체정보 예컨대, 맥파 신호,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혈관 탄성도 및 체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인식 센서(320)는 생체정보 감지센서(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생체정보 감지센서(310)를 통해 사용자 생체정보가 센싱됨에 따라, 바디부(200)에 대한 모션정보를 센싱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동작 인식 센서(320)는 생체정보 감지센서(310)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 생체정보에 따라 제어 장치(330)를 통해 생성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바디부(200)에 대한 모션정보를 센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200)에 대한 모션정보는 압력 센서, 지자기 센서,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일정 시간마다 측정된 데이터 조합에 따라 검출되는 바디부(200)의 전후진 이동 거리 및 기울어짐 각도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330)는 동작 인식 센서(320)를 통해 센싱된 모션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바디부(200)의 전후진 이동 거리 및 기울어짐 각도 변화에 따라 치아영역 별로 식별되는 양치질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양치질 습관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양치질 데이터는 기울어짐 각도 변화에 따라 식별된 치아영역 별로 전후진 이동 거리에 따라 식별된 양치질 동작이 수행된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330)는 양치질 습관 정보로부터 탐지되는 사용자 치아의 보완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양치질 동작을 일정 횟수 단계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케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보완 대상 정보는 추가 양치질이 필요한 보완 치아영역들과 해당 영역별 보완 동작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완 치아영역들은 R1, R4 및 R5이고, 보완 동작횟수는 기설정된 올바른 양치 횟수로부터 전후진 동작 횟수를 뺀 횟수 예컨대, R1=5회, R4=6회 및 R5=3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케어 모드는 동작 인식 센서(320)를 이용하여 보완 치아영역들 중 보완 동작횟수가 큰 순서대로 보완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모션정보를 센싱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가 양치질 동작을 가이드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는 사용자 치아 이미지를 등록하고, 사용자 치아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치아 객체들을 기준으로 사용자 치아를 복수개의 치아 영역들 예컨대, 제1 내지 제6 영역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30)는 복수개의 치아 영역들 중 바디부(200)의 모션정보를 기준으로 보완 치아 영역과 양치질 동작 횟수를 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양치질 습관 정보가 기설정된 위험습관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 장치(330)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위험습관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과 부모 단말(30)에 전송하는 동시에 출력모듈(미도시)을 통해 음성, led 램프 및 진동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습관 정보는 기설정된 비정상적인 양치질 시간, 비정상적인 양치질 속도 등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미도시)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Wi-Fi), LT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모듈(미도시)은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330)는 헤드부(100)의 칫솔모(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조명모듈(미도시)과 카메라모듈(미도시)을 이용함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 치아 이미지로부터 기설정된 치료 대상 치아 객체를 탐지하고, 해당 치료 방법을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대상 치아 객체는 치석 객체 이미지, 잇몸 손상 객체 이미지, 충치 객체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330)는 양치질 습관 정보로부터 탐지되는 사용자 치아의 보완 대상 정보에 따라 발생가능한 치아 손상 질병을 검색하여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330)는 헤드부(100)의 칫솔모(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조명모듈(미도시)과 카메라모듈(미도시)을 이용함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 치아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치아 색상에 기초하여,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라미네이트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330)는 바디부(200)에 대한 모션정보의 지속 시간과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연령대의 지속 평균 시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지속 시간을 조절하도록 출력모듈(미도시)를 통해 양치 지속 시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구강 관리부(3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구강 관리부(300_1)는 생체정보 감지센서(310), 동작 인식 센서(320), 제어 장치(330), 제1 마이크(340), 신호 출력 모듈(350), 제2 마이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생체정보 감지센서(310), 동작 인식 센서(320), 제어 장치(3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제1 마이크(340)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호 출력 모듈(350)은 제1 마이크(340)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소음 신호의 차동 신호에 해당하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출력 모듈(350)은 노이즈 캔슬링 신호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중복시켜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마이크(360)는 제1 마이크(340) 및 신호 출력 모듈(35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소음 신호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 간의 상쇄 간섭으로 생성된 노이즈 캔슬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30)는 제2 마이크(360)를 통해 수신된 노이즈 캔슬드 신호의 진폭 크기에 기초하여, 신호 출력 모듈(350)를 제어하여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출력 세기나 주파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이즈 캔슬드 신호의 진폭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제어 장치(330)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출력 세기를 증감시켜 노이즈 캔슬드 신호의 진폭 크기를 감소시키고, 노이즈 캔슬드 신호의 진폭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 제어 장치(330)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출력 세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구강 관리부(300_2)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강 관리부(300_2)는 생체정보 감지센서(310), 동작 인식 센서(320), 제어 장치(330), 제1 마이크(340), 신호 출력 모듈(350), 제2 마이크(360), SRI 서비스 모듈(370), 상태 판단 모듈(380) 및 치료방법 중계모듈(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생체정보 감지센서(310), 동작 인식 센서(320), 제어 장치(3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SRI 서비스 모듈(370)은 SRI(Stress Response Inventory)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응답받는 SRI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SRI 응답 점수를 산출하고 해당 SRI 응답 점수에 대응되는 스트레스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SRI 서비스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을 추정하기 위한 질의-응답 검사 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SRI 질문들 및 각 SRI 질문에 대한 SRI 응답정보에 따라 판정되는 SRI 응답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RI 서비스 모듈(370)은 SRI 서비스 관리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SRI 서비스를 사전에 전송받아 저장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SRI 서비스 관리서버(40)는 고 스트레스 실험군, 중 스트레스 실험군 및 저 스트레스 실험군 각각으로부터 SRI 응답정보를 입력받음에 따라 판정된 SRI 응답 점수와 각 실험군으로부터 기측정된 생체정보 변화 데이터를 평균하여, 스트레스 수준 별로 SRI 응답 점수와 생체정보 변화 데이터를 사전에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태 판단 모듈(380)은 생체정보 감지센서(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사용자 생체정보의 변화값이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에 대응되는 실험군의 기수집된 생체정보 변화 데이터의 평균값 구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생체정보의 변화값이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에 대응되는 실험군의 기수집된 생체정보의 변화 평균값 구간 미만인 경우, 상태 판단 모듈(380)은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를 저 스트레스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변화값이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에 대응되는 실험군의 기수집된 생체정보의 변화 평균값 구간을 초과한 경우, 상태 판단 모듈(380)은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를 고 스트레스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료방법 중계모듈(390)은 스트레스 상태 출력부(380)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가 고 스트레스 상태인 경우,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완화 치료 방법을 검색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부모 단말(30)에 완화 치료 방법과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스마트 칫솔
100: 헤드부
200: 바디부
300: 구강 관리부

Claims (5)

  1. 칫솔모가 일면에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안착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안착홈의 바닥면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치아에 대한 양치질 동작을 치아 영역별로 평가한 양치질 습관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구강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 관리부는,
    상기 한쌍의 안착홈 중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로부터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안착홈의 바닥면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제2 신체 부위로부터 접촉되는 다른 하나의 안착홈의 바닥면을 통해 사용자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감지센서;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가 센싱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에 대한 모션정보를 센싱하는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모션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바디부의 전후진 이동 거리 및 기울어짐 각도 변화에 따라 치아영역 별로 식별되는 양치질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상기 양치질 습관 정보로 통합 관리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홈의 바닥면은 지문 인증을 위한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의 전극판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안착홈의 바닥면은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의 전극판이며,
    상기 양치질 데이터는 양치질 동작이 치아영역 별로 수행된 횟수를 의미하는, 스마트 칫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양치질 습관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사용자 치아의 보완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양치질 동작을 일정 횟수 단계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케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보완 대상 정보는 추가 양치질이 필요한 보완 치아영역들과 해당 영역별 보완 동작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 모드는 상기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보완 치아영역들 중 보완 동작횟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보완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모션정보를 센싱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가 양치질 동작을 가이드하는 동작 모드인, 스마트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부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마이크;
    상기 제1 마이크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소음 신호의 차동 신호에 해당하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출력 모듈; 및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소음 신호와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 간의 상쇄 간섭으로 생성된 노이즈 캔슬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이즈 캔슬드 신호의 진폭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출력 모듈를 제어하여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부는 기저장된 SRI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응답받는 SRI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SRI 응답 점수를 산출하고 해당 SRI 응답 점수에 대응되는 스트레스 수준을 결정하는 SRI 서비스 모듈;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의 변화값과 상기 스트레스 수준에 대응되는 실험군의 기수집된 생체정보 변화 데이터의 평균값 구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 모듈; 및
    상기 스트레스 변화 상태가 고 스트레스 상태인 경우,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완화 치료 방법을 검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부모 단말에 상기 스트레스 변화 상태와 상기 완화 치료 방법을 중계하는 치료방법 중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SRI 서비스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을 추정하기 위한 질의-응답 검사 서비스인, 스마트 칫솔.


KR1020210192269A 2021-12-30 2021-12-30 스마트 칫솔 KR10244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69A KR102445783B1 (ko) 2021-12-30 2021-12-30 스마트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69A KR102445783B1 (ko) 2021-12-30 2021-12-30 스마트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783B1 true KR102445783B1 (ko) 2022-09-21

Family

ID=8345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69A KR102445783B1 (ko) 2021-12-30 2021-12-30 스마트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7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727U (ko) * 1997-02-26 1998-10-26 정덕호 치솔
KR102250631B1 (ko) 2019-11-28 2021-05-10 염진학 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727U (ko) * 1997-02-26 1998-10-26 정덕호 치솔
KR102250631B1 (ko) 2019-11-28 2021-05-10 염진학 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3701B1 (en) Oral hygiene system for compliance monitoring
EP1685794B1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US20210328984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 person and a method thereof
JP6295399B2 (ja) 人型ロボット
CN108066030A (zh) 口腔护理系统和方法
EP35838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WO2017212901A1 (ja) 車載装置
WO2005078636A3 (en) Multi-biometric finger sensor using different biometrics having different selectiviti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50264045A1 (en) Biometric personal authentication
CN111528820A (zh) 用于估计生物信息的设备
JP2006034576A (ja) 乗り物酔い対策装置および乗り物酔い対策方法
US11580205B2 (en) Wearable device having high security and stable blood pressure detection
KR102445783B1 (ko) 스마트 칫솔
KR20190063578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음주 판별 장치 및 방법
KR20210014305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US20140067204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4360845B2 (ja) 個人認証装置
JP2009026125A (ja) 感情分析デバイス、感情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685747B1 (en) Texture interface for measuring bio-signal an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25055B1 (ko) 사용자의 측두근을 모니터링하는 안경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8594937B (zh) 便携式终端
US11632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behaviour-based authentication of a user
KR102323576B1 (ko) IoT 기반의 공용 무선 의료장치를 이용한 치매 판단 시스템
JP2012247975A (ja) 信号生成装置、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98761A (ja) 信号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