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552B1 -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 Google Patents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552B1
KR102445552B1 KR1020220085970A KR20220085970A KR102445552B1 KR 102445552 B1 KR102445552 B1 KR 102445552B1 KR 1020220085970 A KR1020220085970 A KR 1020220085970A KR 20220085970 A KR20220085970 A KR 20220085970A KR 102445552 B1 KR102445552 B1 KR 10244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er housing
release
spring
ch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봉기
김진선
최형렬
Original Assignee
(주)일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일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8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5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03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Landscapes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Golf Club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ing rod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which comprises: a cylindrical pipe (20) having a certain length; a ring-shaped spring seat (21)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a holder housing (30)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pring seat (21) to be concentric with the pipe (20) and m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20); a centering piston (31)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at a distance from the spring seat (21) and maintaining the center of the holder housing (30) while moving with the holder housing (30) inside the pipe (20); a pen pressure spring (32)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pring seat (21) and the centering piston (31) and applies a pen pressure to a chalk (12) toward the surface of a structure (10)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housing (30) is drawn out (32); a stop ring (33)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pp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and cau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spring seat (21) to keep a withdrawal distance of the holder housing (30) constant; guide long holes (22) formed in the pipe (20) to penetrate in and out of the pipe (20); a button extension rod (40)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a release button (34) provided in the holder housing (30); and a release shaft (41) which penetrates the button extension rod (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xi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20) through the guide long hole (22).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breakage and excessive abrasion of the chalk.

Description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본 발명은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필에 가해지는 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icator rod for safety inspection of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icator rod for safety inspection of a structure in which pen pressure applied to chalk can be arbitrarily set.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단계와 사용단계를 거쳐 사용수명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붕괴나 인위적인 철거 또는 부실시공이나 파손 등에 의한 조기붕괴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생멸주기를 가지게 된다.In general, architectural structures or civil structures have a life-and-death cycle consisting of natural collapse or artificial demolition or premature collapse due to poor construction or damage according to the lapse of service life through the design stage, construction stage, and use stage.

이와 같은 구조물 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원인은 사용수명의 경과로 인한 자연적인 원인도 일부분을 차지하지만 대부분은 시공단계나 사용단계에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과 깊은 관계가 있다.Among these structures, the causes of collapse of concrete structures are partly natural due to the elapse of service life, but most of them are deeply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structures due to external forces acting on the structures during the construction or use phase.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 중에서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 현상은 균열의 폭이 미세하여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균열의 진행속도 또한 매우 느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시공자나 사용자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무심코 지나쳐 버리기 쉬운 면이 있으나, 어떠한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시키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진단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며, 이와 같은 균열을 조기에 발견해서 분필과 같은 표시도구를 이용해서 구조물의 결함부위를 표시하는 것은 구조물 보수작업에 도움을 주게 된다.Among these deformations of concrete structures, cracks occurring in structures are difficult to detect early due to the small width of the cracks, and the progress of cracks is generally very slow. Although it is easy to overlook this by judging it, any cracks can cause structural defects in the structure and eventually lead to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Detecting such cracks at an early stage and using a marker such as chalk to mark the defective part of the structure will help the repair work of the structure.

또, 강철 구조물은 도막의 박리로 인한 수분이나 염분의 침투에 의한 부식이 강철 구조물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며, 특히 지진, 자연재해, 지반침하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도 변형이 유발되기 때문에 강철 구조물의 결함부위를 분필과 같은 표시도구를 이용해서 구조물의 결함부위를 표시하는 것은 구조물 보수작업에 도움을 주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eel structure, corrosion due to the penetration of moisture or salt due to the peeling of the coating film reduces the lifespan of the steel structure. Marking the defective part of the structure using a marking tool such as chalk helps in the repair work of the structure.

이러한 구조물에 발생한 결함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국내 등록특허 제10-2234694호로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텔레스코픽 형태로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종단에 설치된 콜릿척을 이용해서 분필을 물어서 잡는 구조로 되어 있다.A prior art for displaying a defect site generated in such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34694. Such a prior art has a structure to hold chalk by using a collet chuck installed at the end of a structure inspection indicator bar that can be stretched in length in a telescopic form.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통해 분필에 전달되는 힘이 분필에 그대로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과도한 압력이 분필에 전달되면 분필이 쉽게 부러지거나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길이를 길게 신장시켜서 구조물의 표면에 표시하는 경우 분필에 작용시키는 필압을 감지하기가 어려워 이 경우 분필의 파손율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is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chalk through the structure inspection bar is transmitted to the chalk as i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lk is easily broken or severely worn when excessiv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halk. When the length of the inspection bar is elongated and mark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pressure of the pen applied to the chalk.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eakage rate of the chalk is greatly increased.

또, 종래기술은 분필을 교환하거나 분필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신장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짧게 접은 상태에서만 커버로부터 콜릿척으로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very inconvenient problem in use because th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cover to the collet chuck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elongated structure check indicator bar is briefly folded when the chalk is exchanged or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chalk is adjusted.

국내 등록특허 제10-2234694호(공고일 2021.04.01.)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234694 (Announcement Date: 2021.04.01.) 국내 등록특허 제10-2327812호(공고일 2021.11.18.)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327812 (Announcement Date: 2021.11.18.) 국내 등록특허 제10-1792637호(공고일 2017.11.01.)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792637 (Announcement Date: 2017.11.01.) 국내 등록특허 제10-2030072호(공고일 2019.10.08.)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030072 (Announcement Date 2019.10.08.) 국내 등록특허 제10-2074434호(공고일 2020.02.06.)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074434 (published on 2020.02.06.) 국내 등록특허 제10-2137106호(공고일 2020.07.23.)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137106 (published on July 23, 2020) 국내 등록특허 제10-2116358호(공고일 2020.05.28.)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116358 (Announcement date: 2020.05.28.) 국내 등록특허 제10-2227861호(공고일 2021.03.15.)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227861 (published on March 15, 2021) 국내 등록특허 제10-2325802호(공고일 2021.11.12.)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325802 (Announcement Date: 2021.11.12.) 국내 등록특허 제10-2325803호(공고일 2021.11.12.)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325803 (Announcement Date: 2021.11.12.) 국내 등록특허 제10-2335964호(공고일 2021.12.06.)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335964 (Announcement Date: 2021.12.06.) 국내 등록특허 제10-1774361호(공고일 2017.09.04.)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774361 (Announcement Date 2017.0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분필의 파손과 과도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분필에 가해지는 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icator bar for safety inspection of structures that can prevent breakage and excessive abrasion of chalk, and can set pen pressure applied to chalk arbitrarily .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실린더 형태의 파이프; 파이프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링 형태의 스프링시트; 파이프와 동심을 이루도록 스프링시트의 중심에 삽입되고,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홀더하우징; 스프링시트와 거리를 두고 홀더하우징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파이프의 내부에서 홀더하우징과 함께 움직이면서 홀더하우징의 중심을 유지하는 센터링 피스톤; 스프링시트와 센터링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고, 홀더하우징을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조물의 표면을 향해 분필에 필압을 부여하는 필압스프링; 홀더하우징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스프링시트의 상면에 걸리면서 홀더하우징의 인출 거리를 일정하게 하는 스톱링; 파이프의 안팎으로 관통하도록 파이프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 홀더하우징에 구비된 해제버튼의 상단에 설치되는 버튼연장봉; 버튼연장봉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가이드장공을 통해 파이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릴리즈 샤프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includes: a cylinder-shaped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ring-shaped spring seat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The holder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pring sheet to form concentric with the pipe,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 centering piston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older housing at a distance from the spring seat,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holder housing in the pipe to maintain the center of the holder housing; a pen pressure spring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spring seat and the centering piston and applies a pen pressure to the chalk toward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drawing out the holder housing; a stop ring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housing,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seat, to make a constant withdrawal distance of the holder housing; a guide long hole formed in the pipe to penetrate in and out of the pipe; a button extension ro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elease button provided in the holder housing; It has a feature that it includes a release shaft that penetrates the button extension ba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through the guide long hole.

본 발명은 릴리즈 샤프트와 평행하게 파이프에 설치되는 피벗핀; 피벗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릴리즈레버; 릴리즈레버에 형성되고, 릴리즈레버가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릴리즈 샤프트와 만나서 릴리즈 샤프트를 해제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경사면; 릴리즈레버에 형성되고, 릴리즈레버가 복귀위치에 정지해 있을 때 릴리즈 샤프트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간섭방지면; 파이프에 설치되는 스프링 걸쇠; 릴리즈레버가 복귀되었을 때 파이프의 외주면에 걸리는 정지봉; 스프링 걸쇠와 정지봉에 양단이 걸리고, 릴리즈레버를 해제의 반대인 복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 파이프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는 리턴스프링의 일부를 외부로 인출하는 스프링 인출장공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vot pin installed in a pipe parallel to the release shaft; a release lever rotating around the pivot pin; a slid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release lever and meeting the release shaft when the release lever is rotated in the release direction to move the release shaft in the release direction; an interference preventing surface formed on the release lever and spaced apart from the release shaft at a regular interval when the release lever is stopped at the return position; spring shackles installed on the pipe; a stop bar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when the release lever is returned; a return spring having both ends caught on the spring latch and the stopper,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return direction opposite to the release of the release lever;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ipe,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pring extension hole for drawing out a part of the return spring located inside the pipe.

본 발명은 파이프가 삽입되는 개루프 형태의 클램프홀이 형성되고, 표면으로부터 클램프홀로 이어지는 일정한 폭의 슬릿을 갖는 파이프 클램프; 슬릿의 폭을 좁혀서 파이프 클램프를 파이프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클램프볼트; 파이프 클램프의 일측에 설치되고, 파이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파이프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휠브래킷; 휠브래킷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구르는 휠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lamp having an open-loop type clamp hole into which a pipe is inserted, and having a slit of a certain width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the clamp hole; Clamp bolt for fixing the pipe clamp at any position on the pipe by narrowing the width of the slit; a wheel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clamp and exten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pi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ip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wheel bracket, and has a feature including a wheel that rolls alo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휠(70)이 설치된 파이프 클램프(60)를 파이프(20)를 따라 이동시켜서 분필(12)의 하단부와 휠(70)의 하부 정점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후퇴길이(L)를 조절함으로써 필압스프링(32)으로부터 분필(12)에 작용되는 핍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pipe clamp 60 in which the wheel 70 is installed along the pipe 20, so that the retreat length ( By adjusting 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ip pressure applied to the chalk 12 from the pen pressure spring 32 can be arbitrarily set.

구조물(10)의 표면에 휠(70)이 접촉된 상태에서 필압스프링(32)에 의해서만 분필(12)에 압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과도한 압력이 분필(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분필(12)의 파손과 과다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halk 12 only by the pen pressure spring 32 while the wheel 7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it is possible to block excessive pressur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halk 12.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and excessive wear of the chalk 12 .

파이프(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릴리즈레버(50)에 구비된 누름부(50p)를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누르면 분필(12)을 잡고 있는 콜릿척(35)의 물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필(12)을 교체하거나 분필(12)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bite of the collet chuck 35 holding the chalk 12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50p provided on the release lever 50 with your thumb while holding the pipe 20 by han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place the chalk 12 or adjust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chalk 12 quickly and conveniently.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된 간섭방지면(50k)에 의해 가이드장공(22)을 따라 상승되는 릴리즈 샤프트(41)가 릴리즈레버(5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elease shaft 41 rising along the guide long hole 22 by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urface 50k formed on the release lever 50 from interfering with the release lever 50 .

리턴스프링(55)이 신축되면서 회전되는 동안 파이프(20)에 형성된 스프링 인출장공(23)에 의해 리턴스프링(55)이 파이프(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eturn spring 55 from interfering with the pipe 20 by the spring pull-out hole 23 formed in the pipe 20 while the return spring 55 is expanded and contracted and rot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즈레버에 의해 분필의 물림이 해제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과 분필이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필압스프링에 의해 분필에 필압이 작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로부터 파이프 클램프를 분리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 휠브래킷, 휠 및 주변 구성품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연장봉, 릴리즈 샤프트, 홀더하우징 및 주변 구성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즈레버, 스프링 걸쇠, 정지봉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하우징, 콜릿척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시트를 파이프에 설치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와 연장파이프의 결합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이용해서 구조물의 천장에 마킹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ite of chalk is released by the release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n pressure applied to chalk by a pen pressure spring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 and cha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pipe clamp from th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lamp, a wheel bracket, a wheel and peripher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extension rod, a release shaft, a holder housing and peripher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ease lever, a spring latch, a stop bar, and peripheral componen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er housing, a collet chuck, and peripheral componen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installing a spring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pipe
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pipe and the extens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arking on the ceiling of a structu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14.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실린더 형태의 파이프(20); 파이프(2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링 형태의 스프링시트(21); 파이프(20)와 동심을 이루도록 스프링시트(21)의 중심에 삽입되고, 파이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홀더하우징(3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20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constant length; a ring-shaped spring seat 21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It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pring sheet 21 to form concentric with the pipe 20 and includes a holder housing 30 tha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20 .

파이프(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직선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 합금과 같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성형되거나 플라스틱을 소재로 해서 성형될 수도 있다.The pipe 2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 stainless alloy or a non-ferrous metal such as an aluminum alloy, or may be formed of plastic as a material.

스프링시트(21)는 환형링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고, 파이프(2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파이프(20)의 내주면에 영구적으로 접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시트(21)와 파이프(20)에 구멍 중심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결정구멍(20a)(21a)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한 다음 스프링시트(21)를 파이프(20) 내부로 삽입해서 위치결정구멍(20a)(21a)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키고, 위치결정구멍(20a)(21a)에 고정핀(27)을 압입해서 스프링시트(21)를 파이프(20)에 고정할 수도 있다.The spring sheet 21 may be molded in the form of an annular ring, and may be permanently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so as not to move inside the pipe 20, as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2 . Positioning holes 20a and 21a whose center of the hole coincides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pring sheet 21 and the pipe 2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respectively, and then the spring sheet 21 is inserted into the pipe 20 to position The spring sheet 21 may be fixed to the pipe 20 by making the centers of the crystal holes 20a and 21a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press-fitting the fixing pins 27 into the positioning holes 20a and 21a.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하우징(30), 콜릿척(35) 및 홀더스프링(36)은 분필(12)을 물어서 잡기 위한 것으로, 콜릿척(35)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해제버튼(34)에 힘을 가해서 콜릿척(35)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내부에 위치된 홀더스프링(36)이 압축되고, 콜릿척(35)의 하단은 하측으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 11 , the holder housing 30 , the collet chuck 35 and the holder spring 36 are for biting and holding the chalk 12 , and a release button 34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 ) is applied to move the collet chuck 35 downward, the holder spring 36 located inside is compressed, and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protrudes downward.

이때 도 1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릿척(35)의 하단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분필(12)로부터 이격되어 분필(12)의 물림이 해제되는데, 이 상태에서 분필(12)을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분필(12)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거나 새로운 분필(12)로 교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1 ,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is spaced apart from the chalk 12 as it ope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bite of the chalk 12 is released, in this state By freely moving the chalk 12 ,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halk 12 can be adjusted or replaced with a new chalk 12 .

이후 하측으로 힘을 가하고 있던 해제버튼(34)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내장된 홀더스프링(36)이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장되고, 콜릿척(35)의 하단이 홀더하우징(30)으로 진입되면서 분필(12)을 물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release button 34 that was applying the force downward, the built-in holder spring 36 is extended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enters the holder housing 30 . It will bite the chalk (12).

이때 홀더하우징(30)의 하단부 내주면은 도 1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테이퍼 각도(R)를 갖는 콘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콜릿척(35)의 하단부 외주면도 동일한 테이퍼 각도(R)를 갖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스프링(36)에 의해 콜릿척(35)이 상승할수록 콜릿척(35)의 하단부가 중심으로 모이면서 분필분필(12)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해서 잡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is formed as a cone-shaped hole having a constant taper angle R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has the same taper angle ( Since it is formed in a cone shape with R), as the collet chuck 35 rises by the holder spring 36,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gathers at the center and strongly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halk and chalk 12 to hold it. do.

파이프(20)는 도 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파이프(24)를 연결해서 길이를 연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ipe 2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he length by connecting at least one extension pipe 24 as shown in FIGS. 1, 13 and 14 .

이와 같이 파이프(20)와 연장파이프(24)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와 연장파이프(24)의 연결부위 중심으로 각각 압입되거나 접착되는 인서트부(80)(90)와, 인서트부(80)(90)의 바깥쪽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파이프(20)와 연장파이프(24)의 외경과 일치되는 환형링(81)(91)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uch, th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pipe 20 and the extension pipe 24 is press-fitted in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ipe 20 and the extension pipe 24,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13 , or An annular ring 81 ( 91) can be configured.

또한, 파이프(20)의 단부에 삽입된 인서트부(90)와 환형링(91)의 중심에는 센터링홀(92)과 암나사부(93)를 형성하고, 연장파이프(24)의 단부에 삽입된 인서트부(80)와 환형링(81)의 중심에는 센터링봉(82)과 스터드볼트(83)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ering hole 92 and a female threaded part 93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 part 90 and the annular ring 91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pipe 20, and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extension pipe 24 A centering rod 82 and a stud bolt 8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 portion 80 and the annular ring 81 .

센터링봉(82)을 센터링홀(92)에 삽입하면 파이프(20)와 연장파이프(24)의 중심이 일치되고, 스터드볼트(83)를 암나사부(93)에 결합하면 파이프(20)와 연장파이프(24)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centering rod 82 is inserted into the centering hole 92, the center of the pipe 20 and the extension pipe 24 are aligned, and when the stud bolt 83 is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part 93, it extends with the pipe 20. The pipe 24 remains coupled.

다른 예로 파이프(20)의 단부에 텔레스코픽 형태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파이프(도시생략)를 연결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n extension pipe (not shown) that can adjust the length in a telescopic form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pe 20 .

첨부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의 천장에 마킹라인(13)을 표시하는 경우 연장파이프(24)와 파이프(20)를 거꾸로 세운 다음 휠(70)을 천장면에 밀착시키면, 휠(70)이 천장면을 향하는 동안 분필(12)이 압력을 받아 홀더하우징(30)의 상단 일부가 파이프(20)의 내부로 진입되고 필압스프링(32)은 압축된다.When the marking line 13 is marked on the ceiling of the structure 1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4, the extension pipe 24 and the pipe 20 are turned upside down and then the wheel 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While the wheel 70 faces the ceiling surface, the chalk 12 is pressurized,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housing 30 enters the inside of the pipe 20, and the pen pressure spring 32 is compressed.

이때 분필(12)의 상단과 휠(70)의 상부 정점이 일치되면, 분필(12)과 홀더하우징(30)의 이동은 정지되고, 필압스프링(32)에 의해 분필(12)에 일정한 필압이 가해진다.At this time, when the upper end of the chalk 12 and the upper apex of the wheel 70 coincide, the movement of the chalk 12 and the holder housing 30 is stopped, and a constant p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halk 12 by the pen pressure spring 32 . applied

본 발명은 스프링시트(21)와 거리를 두고 홀더하우징(30)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파이프(20)의 내부에서 홀더하우징(30)과 함께 움직이면서 홀더하우징(30)의 중심을 유지하는 센터링 피스톤(31); 스프링시트(21)와 센터링 피스톤(31)의 사이에 설치되고, 홀더하우징(30)을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조물(10)의 표면을 향해 분필(12)에 필압을 부여하는 필압스프링(32)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at a distance from the spring seat 21, and moves together with the holder housing 30 inside the pipe 20. A centering to maintain the center of the holder housing 30 piston 31; A pen pressur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spring seat 21 and the centering piston 31 and applying a pen pressure to the chalk 12 toward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drawing out the holder housing 30 . (32).

센터링 피스톤(31)은 도 3 내지 도 5,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하우징(30)의 하부 외주면에 영구적으로 접합 또는 접착할 수 있다.The centering piston 31 may be permanently bonded or adher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er housing 30 as shown in FIGS. 3 to 5 , 9 and 11 .

필압스프링(32)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성형한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조물(10)의 표면에 접촉된 분필(12)이 압력을 받을 때 필압스프링(32)이 압축되고, 분필(12)의 하단부와 휠(70)의 하단부 정점이 일치될 때 정지되면서 필압스프링(32)에 의해 분필(12)에 일정한 필압이 가해진다.The pen pressure spring 32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formed by winding a spring steel wire spirally, and when the chalk 12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receives pressure, the pen pressure spring 32 ) is compressed, and a constant p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halk 12 by the pen pressure spring 32 while stopping when the lower end of the chalk 12 and the apex of the lower end of the wheel 70 coincide.

본 발명은 홀더하우징(30)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스프링시트(21)의 상면에 걸리면서 홀더하우징(30)의 인출 거리를 일정하게 하는 스톱링(33); 파이프(20)의 안팎으로 관통하도록 파이프(20)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22); 홀더하우징(30)에 구비된 해제버튼(34)의 상단에 설치되는 버튼연장봉(40); 버튼연장봉(40)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가이드장공(22)을 통해 파이프(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릴리즈 샤프트(41)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p ring (33)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seat (21) to make a constant withdrawal distance of the holder housing (30); a guide long hole 22 formed in the pipe 20 so as to penetrate into and out of the pipe 20; a button extension rod 4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button 34 provided in the holder housing 30; It includes a release shaft 41 that penetrates the button extension rod 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20 through the guide long hole 22 .

스톱링(33)을 홀더하우징(30)에 설치하기 전에 스프링시트(21)와 센터링 피스톤(31)의 사이에 필압스프링(32)을 미리 설치한 후 스톱링(33)을 홀더하우징(30)에 설치한다.Before installing the stop ring 33 in the holder housing 30, install the pen pressure spring 32 between the spring seat 21 and the centering piston 31 in advance, and then install the stop ring 33 in the holder housing 30. install on

이때 도 3 내지 도 5,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하우징(30)의 상부 외주면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스톱링(33)을 홀더하우징(30)에 조립하면 스톱링(33)이 홀더하우징(30)에 영구적으로 접착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 to 5 , 9 and 11 , an adhesive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housing 30 , and then the stop ring 33 is assembled to the holder housing 30 , the stop ring 33 )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holder housing (30).

가이드장공(22)은 파이프(20)의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가이드장공(22)에 의해 릴리즈 샤프트(41)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한다.The guide long hole 22 may be configured as a pair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ipe 20 , and guides the release shaft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guide long hole 22 .

버튼연장봉(40)은 해제버튼(34)의 길이를 연장하고 동시에 해제버튼(34)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튼연장봉(40)의 하단에는 해제버튼(34)으로 압입되는 압입부(44)를 형성할 수 있다.The button extension rod 40 serve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release button 34 and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elease button 34 at the same time. A press-fitting portion 44 press-fitted with a release button 34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tton extension rod 40 .

압입부(44)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해제버튼(34)의 중심으로 압입하면 버튼연장봉(40)이 해제버튼(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When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 portion 44 and then press-fitted into the center of the release button 34 , the button extension rod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lease button 34 .

릴리즈 샤프트(41)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금속 환봉으로 구성될 수 있고, 릴리즈 샤프트(41)의 양단이 가이드장공(22)을 통해 파이프(20)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release shaft 41 may be composed of a metal round bar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both ends of the release shaft 41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20 through the guide long hole 22 .

이러한 릴리즈 샤프트(41)는 도 3,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연장봉(40)에 형성된 압입구멍(40h)에 압입될 수 있다. 버튼연장봉(40)의 상단 중심에서 압입구멍(40h)으로 관통되는 탭구멍(40t)을 형성하고, 릴리즈 샤프트(41)의 외주면 상부에는 면취부(42)를 형성한 다음 릴리즈 샤프트(41)를 압입구멍(40h)으로 압입한 다음 탭구멍(40t)에 세트스크류(43)를 결합해서 조이면 릴리즈 샤프트(41)가 버튼연장봉(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lease shaft 41 may be press-fitted into the press-fitting hole 40h formed in the button extension rod 40 as shown in FIGS. 3, 9 and 11 . A tap hole 40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utton extension rod 40 through the press-in hole 40h, and a chamfer 4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lease shaft 41, and then the release shaft 41) After press-fitting into the press-in hole 40h, the release shaft 4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extension rod 40 by coupling and tightening the set screw 43 to the tapped hole 40t.

본 발명은 릴리즈 샤프트(41)와 평행하게 파이프(20)에 설치되는 피벗핀(51); 피벗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릴리즈레버(50);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되고, 릴리즈레버(50)가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릴리즈 샤프트(41)와 만나서 릴리즈 샤프트(41)를 해제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경사면(52)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vot pin 51 installed on the pipe 20 in parallel with the release shaft 41; a release lever 50 that is rotated around the pivot pin 51; It is formed on the release lever 50, and includes a slide inclined surface 52 that meets the release shaft 41 when the release lever 50 is rotated in the release direction and moves the release shaft 41 in the release direction.

릴리즈레버(50)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소재로 해서 성형할 수 있고, 릴리즈레버(50)는 도 2,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설치된 피벗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사이에 파이프(20)가 위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50a)과, 회동암(50a)의 사이를 가로질러서 회동암(50a)을 연결하는 누름부(50p)와, 회동암(50a)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스프링 인출장공(23)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어 리턴스프링(55)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복원력을 회동암(50a)으로 전달하는 스프링 구동암(50s)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release lever 50 may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metal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as a material, and the release lever 50 is a pivot pin 51 installed at the top as shown in FIGS. 2, 6 and 10 . A pair of pivoting arms (50a) rotated arou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ipe 20 positioned therebetween, and a pressing part connecting the pivoting arms (50a) across the pivoting arm (50a) (50p) and the spring driving arm 50s extending in parallel from one edge of the pivot arm 50a toward the spring extension hole 23 and transmitt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return spring 55 to the pivot arm 50a ) can be configured.

피벗핀(5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암(50a)의 상부와 파이프(20)에 각각 형성된 핀구멍(50h)(20h)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피벗핀(51)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51g)에 스냅링(57)을 끼워서 피벗핀(5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pivot pin 51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pin holes 50h and 20h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voting arm 50a and the pipe 20, as shown in FIG. 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ends of the pivot pin 51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ivot pin 51 by inserting the snap ring 57 into the stop groove 51g formed in the .

본 발명은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되고, 릴리즈레버(50)가 복귀위치에 정지해 있을 때 릴리즈 샤프트(4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간섭방지면(50k); 파이프(20)에 설치되는 스프링 걸쇠(53); 릴리즈레버(50)가 복귀되었을 때 파이프(20)의 외주면에 걸리는 정지봉(54)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release lever 50, when the release lever 50 is stopped at the return position, the release shaft 41 and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urface (50k)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spring latch 53 installed on the pipe 20; When the release lever 50 is returned, it includes a stop bar 54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

간섭방지면(50k)은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된 회동암(50a)에 형성할 수 있다.The anti-interference surface 50k may be formed on the pivot arm 50a formed on the release lever 50 .

정지봉(54)은 예를 들면 머리를 갖는 볼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환봉 형태의 금속봉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The stop bar 54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bolt having a he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 round bar-shaped metal bar.

정지봉(54)은 스프링 구동암(50s)에 형성된 관통공(59)에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고, 정지봉(54)이 볼트로 구성된 경우 정지봉(54)에 로크너트(58)를 결합하면 정지봉(54)이 스프링 구동암(50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op bar 54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through hole 59 formed in the spring driving arm 50s, and when the stop bar 54 is composed of a bolt, the lock nut 58 is coupled to the stop bar 54 . When the stop bar 5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ring driving arm (50s).

본 발명은 스프링 걸쇠(53)와 정지봉(54)에 양단이 걸리고, 릴리즈레버(50)를 해제의 반대인 복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5); 파이프(20)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파이프(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리턴스프링(55)의 일부를 외부로 인출하는 스프링 인출장공(23)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urn spring 55, both ends are caught on the spring latch 53 and the stop bar 54,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return direction opposite to the release of the release lever 50;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ipe 20 and includes a spring extension hole 23 for drawing out a portion of the return spring 55 located inside the pipe 20 to the outside.

리턴스프링(55)은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리턴스프링(55)의 양단에는 스프링 걸쇠(53)와 정지봉(54)에 걸리는 고리(부호생략)를 형성한다.The return spring 55 may be composed of a tension coil spring made by winding a spring steel wire spirally, and a ring (symbol omitted) caught on the spring clasp 53 and the stop bar 54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turn spring 55 . to form

스프링 인출장공(23)은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상하방향으로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스프링 인출장공(23)은 리턴스프링(55)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때 리턴스프링(55)이 파이프(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pring extension hole 23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nstant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nd the spring extension hole 23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the return spring 55 being expanded and contracted. It serves to prevent the return spring 55 from interfering with the pipe 20 when it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릴리즈레버(50)에 구비된 회동암(50a)과 파이프(20)의 사이에 와셔 형태의 스페이서(56)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3의 확대도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걸쇠(53)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멍(25)을 파이프(20)에 형성하고, 파이프(20)의 안쪽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쇠(53)에 형성된 고리구멍(53g)에 리턴스프링(55)의 한쪽 고리를 걸어서 설치한다.A washer-type spacer 5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ivot arm 50a provided in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pipe 20, and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and FIG. 10, the spring latch 53 ) is formed in the pipe 20, an insertion hole 25 for installing install on foot

본 발명은 파이프(20)가 삽입되는 개루프 형태의 클램프홀(61)이 형성되고, 표면으로부터 클램프홀(61)로 이어지는 일정한 폭의 슬릿(62)을 갖는 파이프 클램프(60); 슬릿(62)의 폭을 좁혀서 파이프 클램프(60)를 파이프(2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클램프볼트(63)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clamp 60 having an open-loop type clamp hole 61 into which the pipe 20 is inserted, and having a slit 62 of a constant width leading to the clamp hole 61 from the surface; It includes a clamp bolt 63 that narrows the width of the slit 62 to fix the pipe clamp 60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pipe 20 .

파이프 클램프(6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해서 성형될 수 있고, 파이프(20)의 외주면을 파이프 클램프(60)에 의해 물어서 휠(70)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필(12)의 하단부와 휠(70)의 하단부 정점 간의 길이에 해당하는 분필(12)의 후퇴길이(L)를 세팅하면 분필(12)에 가해지는 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The pipe clamp 60 may be molded from metal or plastic as a material, and is for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wheel 70 by bi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by the pipe clamp 60, as shown in FIG. As shown, if the retreat length L of the chalk 12 corresponding to the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halk 12 and the vertex of the lower end of the wheel 70 is set,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chalk 12 can be arbitrarily set.

파이프 클램프(6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62)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는 카운터 보어홀(60c)을 형성하고, 다른쪽에는 카운터 보어홀(60c)과 일직선을 이루는 스크류구멍(60n)을 형성한 후 카운터 보어홀(60c)을 통해 스크류구멍(60n)에 클램프볼트(63)를 결합해서 조이면 파이프 클램프(60)가 파이프(20)의 외주면을 압박해서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pipe clamp 60 has a counter-bore hole 60c formed on one side with a slit 62 therebetween, and a screw forming a straight line with the counter-bore hole 60c on the other side. After the hole 60n is formed, the clamp bolt 63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60n through the counter bore hole 60c and tightened, so that the pipe clamp 60 is fixed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

또, 클램프볼트(63)를 풀면 파이프 클램프(60)를 파이프(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휠(7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amp bolt 63 is loosened, the pipe clamp 60 can be free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 an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wheel 70 can be adjust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클램프(60)를 이동시켜서 휠(7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 분필(12)의 하단부와 휠(70)의 하단 정점 간의 후퇴길이(L)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height of the wheel 70 is adjusted by moving the pipe clamp 60 as shown in FIG. 3 , the retreat length L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halk 12 and the lower vertex of the wheel 70 can be arbitrarily set. be able to

본 발명은 파이프 클램프(60)의 일측에 설치되고, 파이프(2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파이프(20)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휠브래킷(64); 휠브래킷(64)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구조물(10)의 표면을 따라 구르는 휠(7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clamp 60, a wheel bracket 64 exten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pipe 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ipe 20;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wheel bracket 64 and includes a wheel 70 that rolls alo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

휠브래킷(64)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클램프(60)의 측면에 나사홀(60t)을 형성하고, 휠브래킷(64)에는 나사홀(60t)에 중심이 일치되는 체결공(64h)을 형성한 다음 고정볼트(65)를 체결공(64h)을 통해 나사홀(60t)에 결합하면 휠브래킷(64)을 파이프 클램프(60)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The wheel bracket 64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s shown in FIGS. 6 and 7 . A screw hole 60t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pipe clamp 60, a fastening hole 64h whose center is coincident with the screw hole 60t is formed in the wheel bracket 64, and then the fixing bolt 65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When coupled to the screw hole 60t through (64h), the wheel bracket 64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ipe clamp 60 .

휠(70)은 도 3의 확대도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브래킷(64)에 설치되는 휠샤프트(73)와 베어링(72)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The wheel 70 may be supported by the wheel shaft 73 and the bearing 72 installed on the wheel bracket 64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and FIG. 7 .

이러한 휠샤프트(73)의 외주면에는 휠브래킷(64)과 휠(7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플랜지(74)가 형성되고, 휠브래킷(64)에는 휠샤프트(73)를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구멍(64s)이 형성되며, 샤프트 지지구멍(64s)으로 삽입된 휠샤프트(73)를 고정하기 위해 휠샤프트(73)의 일측단 중심에는 나사구멍(73t)이 형성되고, 휠샤프트(73)를 샤프트 지지구멍(64s)에 삽입한 다음 나사구멍(73t)에 엔드볼트(75)를 결합해서 휠샤프트(73)를 휠브래킷(64)에 고정한다.A flange 74 form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wheel bracket 64 and the wheel 7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shaft 73 , and the wheel bracket 64 has a shaft for supporting the wheel shaft 73 . A support hole 64s is formed, and a screw hole 73t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wheel shaft 73 to fix the wheel shaft 73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 hole 64s, and the wheel shaft 73 ) is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 hole 64s, and then the end bolt 75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73t to fix the wheel shaft 73 to the wheel bracket 64.

휠(70)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허브(71)의 구멍 양단에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된 베어링(72)의 외륜이 삽입되고, 베어링(72)의 내륜으로 삽입된 휠샤프트(73)로부터 휠(70)과 베어링(7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휠샤프트(73)의 타측단 중심에 형성된 나사구멍(73t)에 엔드볼트(75)를 결합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hole of the hollow hub 7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heel 70,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72 composed of at least one pair is inserted, and the wheel 70 is inserted from the wheel shaft 73 in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72. ) and the bearing 72 may be coupled to the end bolt 75 to the screw hole 73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wheel shaft 73 to prevent sepa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콜릿척(35)에 분필(12)을 물리거나 콜릿척(35)에 물린 분필(12)의 물림을 해제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릴리즈레버(50)에 구비된 누름부(50p)를 누르면, 릴리즈레버(50)가 피벗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된 슬라이드 경사면(52)이 릴리즈 샤프트(41)와 만나게 되고, 릴리즈 샤프트(41)가 슬라이드 경사면(52)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면서 가이드장공(22)을 따라 하강된다.When biting the chalk 12 in the collet chuck 35 or releasing the bite of the chalk 12 bitten in the collet chuck 35, as shown in FIG. When the pressing part 50p provided in the release lever 50 is pressed using the 41), and the release shaft 41 is lowered along the guide long hole 22 while being pushed downward by the slide inclined surface 52.

이때 스프링시트(21)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는 스톱링(33)에 의해 홀더하우징(30)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릴리즈 샤프트(41)에 연결된 버튼연장봉(40)과 해제버튼(34)이 릴리즈 샤프트(41)와 함께 하강되면서 콜릿척(35)의 하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된다.At this time, the holder housing 30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by the stop ring 33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seat 21, and the button extension rod 40 connected to the release shaft 41 and the release button ( As the 34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release shaft 41 ,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protrudes downward.

이 과정에서 홀더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된 홀더스프링(36)이 압축되고, 리턴스프링(55)은 신장되면서 복원력을 갖게 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콜릿척(35)의 하단부는 도 11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분필(12)의 물림이 해제된다.In this process, the holder spring 36 installed inside the holder housing 30 is compressed, the return spring 55 is extended and has a restoring force, and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protruding downward is enlarged in FIG. 11 . As shown in the figure, the bite of the chalk 12 is released as it ope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이때 콜릿척(35)의 물림이 해제되면 새로운 분필(12)로 교체하거나 분필(12)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필(12)의 하단부와 휠(70)의 하부 정점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후퇴길이(L)를 조절하면 분필(12)에 작용되는 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bite of the collet chuck 35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replace it with a new chalk 12 or to adjust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chalk 12.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lower end of the chalk 12 and the wheel 70 ),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chalk 12 can be arbitrarily set by adjusting the retraction length L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vertices.

이와 같이 새로운 분필(12)로 교체하거나 분필(12)의 돌출길이를 조절한 후 누르고 있던 릴리즈레버(50)의 누름부(50p)로부터 손가락을 떼서 외력을 제거하면 리턴스프링(55)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릴리즈레버(50)가 피벗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해제 위치로 복귀되고, 정지봉(54)이 파이프(20)의 외주면에 걸리는 순간 릴리즈레버(50)의 회전은 정지된다.In this way,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by replacing the chalk 12 with a new one or adjusting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chalk 12 and then releasing the finger from the pressing part 50p of the release lever 50 that was being pressed, the return spring 55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s the release lever 50 is rotated around the pivot pin 51 while being contracted by do.

또, 홀더하우징(30)의 내부에 위치된 홀더스프링(36)이 지니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해제버튼(34)과 콜릿척(35)이 상승되고, 콜릿척(35)의 하단이 중심으로 모이면서 분필(12)을 강하게 물게 된다.In addition, the release button 34 and the collet chuck 35 are raised while the holder spring 36 located inside the holder housing 30 is stretch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ossessed, and the lower end of the collet chuck 35 is the center As it gathers, the chalk 12 is strongly bitten.

한편, 분필(12)에 작용되는 필압을 조절하는 경우 파이프 클램프(60)에 설치된 클램프볼트(63)를 느슨하게 풀면, 파이프(20)를 따라 파이프 클램프(6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lamp bolt 63 installed in the pipe clamp 60 is loosened when adjusting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chalk 12 , the pipe clamp 6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ipe 20 . .

이때 분필(12)의 하단부와 휠(70)의 하부 정점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후퇴길이(L)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풀어져 있던 클램프볼트(63)를 다시 강하게 조이면 파이프 클램프(60)가 파이프(20)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retreat length L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halk 12 and the lower vertex of the wheel 70 can be adjusted, and when the loosened clamp bolt 63 is strongly tightened again, the pipe clamp 60 becomes the pipe ( 20) is fixed.

이후 분필(12)을 구조물(10)의 표면에 밀착시켜서 압력을 가하면 분필(12), 콜릿척(35), 홀더하우징(30) 및 센터링 피스톤(31)이 상승되고, 스프링시트(21)와 센터링 피스톤(31)의 사이에 위치된 필압스프링(32)이 압축되는데, 휠(70)이 구조물(10)의 표면에 접촉되면 분필(12)의 상승은 정지되고, 필압스프링(32)에 의해 분필(12)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된다.After that, when the chalk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and pressure is applied, the chalk 12, the collet chuck 35, the holder housing 30 and the centering piston 31 are raised, and the spring seat 21 and The pen pressure spring 32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ing piston 31 is compressed, and when the wheel 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the rise of the chalk 12 is stopped, and by the pressure spring 32 A constant pressure is applied to the chalk 12 .

이와 같이 홀더하우징(30)이 상승할 때 콜릿척(35)의 상단에 위치된 해제버튼(34), 버튼연장봉(40) 및 릴리즈 샤프트(41)도 함께 상승되는데, 이때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된 간섭방지면(50k)과 릴리즈 샤프트(41)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가이드장공(22)에 의해 릴리즈 샤프트(41)가 직선 안내되기 때문에 릴리즈 샤프트(41)와 릴리즈레버(50) 간에 간섭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As such, when the holder housing 30 rises, the release button 34, the button extension rod 40, and the release shaft 41 located at the top of the collet chuck 35 are also raised together, 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50. Interference between the release shaft 41 and the release lever 50 is becaus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urface 50k and the release shaft 41 formed on the won't happen

이때 파이프(20) 또는 연장파이프(24)를 손으로 잡고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휠(70)이 구조물(10)의 표면을 따라 구르게 되고, 분필(12)이 마모되면서 구조물(10)의 표면에 마킹라인(13)이 표시된다.At this time, if the pipe 20 or the extension pipe 24 is held by hand and moved in a slightly inclined state, the wheel 70 rolls alo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and the structure 10 as the chalk 12 is worn. A marking line 13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즉, 파이프(20) 또는 연장파이프(24)를 통해 분필(12)에 과도한 힘을 가하더라도 휠(70)이 구조물(10)의 표면에 접촉되기 전까지 필압스프링(32)에 의해 완충되고, 휠(70)이 구조물(10)의 표면에 접촉되는 순간 분필(12)이 필압스프링(32)에 의해서만 일정하게 힘을 받기 때문에 분필(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분필(12)의 과다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chalk 12 through the pipe 20 or the extension pipe 24, it is buffered by the pen pressure spring 32 until the wheel 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and the wheel At the moment 7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the chalk 12 receives constant force only by the pen pressure spring 32,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halk 12 and at the same time, excessive use of the chalk 12 wear can be prevented.

10 : 구조물 12 : 분필
20 : 파이프 21 : 스프링시트
22 : 가이드장공 23 : 스프링 인출장공
30 : 홀더하우징 31 : 센터링 피스톤
32 : 필압스프링 33 : 스톱링
34 : 해제버튼 40 : 버튼연장봉
41 : 릴리즈 샤프트 50 : 릴리즈레버
50k : 간섭방지면 51 : 피벗핀
52 : 슬라이드 경사면 53 : 스프링 걸쇠
54 : 정지봉 55 : 리턴스프링
60 : 파이프 클램프 61 : 클램프홀
62 : 슬릿 63 : 클램프볼트
64 : 휠브래킷 70 : 휠
10: structure 12: chalk
20: pipe 21: spring seat
22: guide long hole 23: spring pull-out long hole
30: holder housing 31: centering piston
32: pen pressure spring 33: stop ring
34: release button 40: button extension bar
41: release shaft 50: release lever
50k: anti-interference surface 51: pivot pin
52: slide slope 53: spring latch
54: stop bar 55: return spring
60: pipe clamp 61: clamp hole
62: slit 63: clamp bolt
64: wheel bracket 70: wheel

Claims (3)

일정한 길이를 갖는 실린더 형태의 파이프(20);
파이프(2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링 형태의 스프링시트(21);
상기 파이프(20)와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스프링시트(21)의 중심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홀더하우징(30);
상기 스프링시트(21)와 거리를 두고 상기 홀더하우징(30)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20)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하우징(30)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홀더하우징(30)의 중심을 유지하는 센터링 피스톤(31);
상기 스프링시트(21)와 상기 센터링 피스톤(31)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하우징(30)을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조물(10)의 표면을 향해 분필(12)에 필압을 부여하는 필압스프링(32);
상기 홀더하우징(30)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시트(21)의 상면에 걸리면서 상기 홀더하우징(30)의 인출 거리를 일정하게 하는 스톱링(33);
상기 파이프(20)의 안팎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파이프(20)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22);
상기 홀더하우징(30)에 구비된 해제버튼(34)의 상단에 설치되는 버튼연장봉(40);
상기 버튼연장봉(40)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장공(22)을 통해 상기 파이프(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릴리즈 샤프트(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A pipe 20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constant length;
a ring-shaped spring seat 21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a holder housing 30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pring sheet 21 to form concentricity with the pipe 20 an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20;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at a distance from the spring seat 21, and moves together with the holder housing 30 inside the pipe 20 to maintain the center of the holder housing 30 a centering piston (31);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pring seat 21 and the centering piston 31, and applies a pen pressure to the chalk 12 toward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housing 30 is drawn out. a pen pressure spring (32);
a stop ring (33)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housing (30),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seat (21), to make a constant withdrawal distance of the holder housing (30);
a guide long hole 22 formed in the pipe 20 so as to penetrate in and out of the pipe 20;
a button extension rod 4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button 34 provided in the holder housing 30;
a release shaft 41 passing through the button extension rod 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20 through the guide long hole 22;
Indicating bar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샤프트(41)와 평행하게 상기 파이프(20)에 설치되는 피벗핀(51);
상기 피벗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릴리즈레버(50);
상기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레버(50)가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릴리즈 샤프트(41)와 만나서 상기 릴리즈 샤프트(41)를 해제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경사면(52);
상기 릴리즈레버(50)에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레버(50)가 복귀위치에 정지해 있을 때 상기 릴리즈 샤프트(4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간섭방지면(50k);
상기 파이프(20)에 설치되는 스프링 걸쇠(53);
상기 릴리즈레버(50)가 복귀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20)의 외주면에 걸리는 정지봉(54);
상기 스프링 걸쇠(53)와 상기 정지봉(54)에 양단이 걸리고, 상기 릴리즈레버(50)를 해제의 반대인 복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5);
상기 파이프(20)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리턴스프링(55)의 일부를 외부로 인출하는 스프링 인출장공(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The method of claim 1,
a pivot pin 51 installed on the pipe 20 parallel to the release shaft 41;
a release lever 50 which rotates around the pivot pin 51;
a slide inclined surface 52 formed on the release lever 50 and meeting the release shaft 41 when the release lever 50 is rotated in the release direction to move the release shaft 41 in the release direction;
an interference prevention surface (50k) formed on the release lever (50) and spaced apart from the release shaft (41)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release lever (50) is stopped at a return position;
a spring latch 53 installed on the pipe 20;
a stop bar 54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20 when the release lever 50 is returned;
a return spring (55) having both ends hooked on the spring latch (53) and the stop bar (54)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return direction opposite to the release of the release lever (50);
a spring extension hole 23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inside and outside the pipe 20 and draws out a portion of the return spring 55 located inside the pipe 20;
Indicator bar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가 삽입되는 개루프 형태의 클램프홀(61)이 형성되고, 표면으로부터 상기 클램프홀(61)로 이어지는 일정한 폭의 슬릿(62)을 갖는 파이프 클램프(60);
상기 슬릿(62)의 폭을 좁혀서 상기 파이프 클램프(60)를 상기 파이프(2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클램프볼트(63);
상기 파이프 클램프(6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2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파이프(20)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휠브래킷(64);
상기 휠브래킷(64)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10)의 표면을 따라 구르는 휠(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ipe clamp 60 having an open-loop clamp hole 61 into which the pipe 20 is inserted and having a slit 62 of a constant width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the clamp hole 61;
a clamp bolt 63 for fixing the pipe clamp 60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pipe 20 by narrowing the width of the slit 62;
a wheel bracket (6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clamp (60) and exten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pipe (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ipe (20);
a wheel 7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wheel bracket 64 and rolling alo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0;
Indicator bar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220085970A 2022-07-12 2022-07-12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KR102445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970A KR102445552B1 (en) 2022-07-12 2022-07-12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970A KR102445552B1 (en) 2022-07-12 2022-07-12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552B1 true KR102445552B1 (en) 2022-09-21

Family

ID=8345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970A KR102445552B1 (en) 2022-07-12 2022-07-12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552B1 (en)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24Y1 (en) * 2006-01-18 2006-04-12 박병준 Structure of white board pen
KR101774361B1 (en) 2017-03-15 2017-09-04 백양엔지니어링(주) 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KR101792637B1 (en) 2017-03-15 2017-11-01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halk loaded 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KR102030072B1 (en) 2019-04-30 2019-10-08 주식회사 세안안전진단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074434B1 (en) 2019-08-28 2020-02-06 주식회사 다담엔지니어링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with Adjustable Length
KR102109706B1 (en) * 2019-12-19 2020-05-12 주식회사 만금엔지니어링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for easy marking of cracks
KR102116358B1 (en) 2020-01-09 2020-05-28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Structure check rod
KR102137106B1 (en) 2019-11-29 2020-07-23 인프라안전 주식회사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with Adjustable Length
KR102180003B1 (en) * 2020-05-22 2020-11-17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227861B1 (en) 2020-05-25 2021-03-15 (주)한국건설안전진단 Structure diagnosis part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234694B1 (en) 2020-08-19 2021-04-01 주식회사 삼영기술 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with measure function
KR102325803B1 (en) 2021-04-28 2021-11-12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Safety diagnostic check device with adjustable length
KR102325802B1 (en) 2021-04-26 2021-11-12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327812B1 (en) 2021-05-21 2021-11-18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Safety diagnosis device and method for marking concrete cracks
KR102335964B1 (en) 2021-10-07 2021-12-06 주식회사 셀파코퍼레이션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24Y1 (en) * 2006-01-18 2006-04-12 박병준 Structure of white board pen
KR101774361B1 (en) 2017-03-15 2017-09-04 백양엔지니어링(주) 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KR101792637B1 (en) 2017-03-15 2017-11-01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halk loaded 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KR102030072B1 (en) 2019-04-30 2019-10-08 주식회사 세안안전진단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074434B1 (en) 2019-08-28 2020-02-06 주식회사 다담엔지니어링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with Adjustable Length
KR102137106B1 (en) 2019-11-29 2020-07-23 인프라안전 주식회사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with Adjustable Length
KR102109706B1 (en) * 2019-12-19 2020-05-12 주식회사 만금엔지니어링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for easy marking of cracks
KR102116358B1 (en) 2020-01-09 2020-05-28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Structure check rod
KR102180003B1 (en) * 2020-05-22 2020-11-17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227861B1 (en) 2020-05-25 2021-03-15 (주)한국건설안전진단 Structure diagnosis part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234694B1 (en) 2020-08-19 2021-04-01 주식회사 삼영기술 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with measure function
KR102325802B1 (en) 2021-04-26 2021-11-12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KR102325803B1 (en) 2021-04-28 2021-11-12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Safety diagnostic check device with adjustable length
KR102327812B1 (en) 2021-05-21 2021-11-18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Safety diagnosis device and method for marking concrete cracks
KR102335964B1 (en) 2021-10-07 2021-12-06 주식회사 셀파코퍼레이션 Length-adjustable mark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26B1 (en) Concrete 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Check
CN210375980U (en) Anchor rod drawing instrument
KR102445552B1 (en) Marking Stick for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US435896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esting rupture strength of tubular parts
CN211877589U (en) Concrete strength detection equipment
CN111122152B (en) Sealing washer moment detection device that skids
JPS6332121B2 (en)
CN208140000U (en) A kind of diameter of bore measuring tool
US6533507B2 (en) Spindle tool holder tension testing kit
CN110701414B (en) Fixing structure fixed on inner wall of pipe fitting
CN210180869U (en) Cement consistometer
CN213041120U (en) Threaded hole conical surface runout testing fixture
CN106624717B (en) A kind of constant velocity driving shaft assembly shaft block ring automatic press mounting tooling and its mistake proofing detection method
JP2013242209A (en) Floating unit
US2454159A (en) Guide sleeve construction for plug gauges
CN205593477U (en) Instrument is detected in thrust tile thermometer hole
CN2653433Y (en) Concrete conic hole bottom diameter measurer
CN111829909A (en) Hardness tester
KR200223551Y1 (en) Measurement gauge for expansion of bolt
US2978898A (en) Wrench calibrator and bolt tester
CN111238811A (e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radial bearing capacity of roller bearing
CN213105437U (en) Feeding inspection device for core shaft of press-in machine
US20030180110A1 (en) HSK spindle tension testing kit
CN218397798U (en) Balance core rod convenient to use
CN213022265U (en) Casing string strength detection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