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15B1 - 축조 블록 - Google Patents

축조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15B1
KR102445315B1 KR1020220089160A KR20220089160A KR102445315B1 KR 102445315 B1 KR102445315 B1 KR 102445315B1 KR 1020220089160 A KR1020220089160 A KR 1020220089160A KR 20220089160 A KR20220089160 A KR 20220089160A KR 102445315 B1 KR102445315 B1 KR 10244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housing
buff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후
김미희
전명희
박상언
오승환
박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메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메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메가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 우수를 집수하여 법면 하부의 주 배수로에 배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축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좌우 수평 방향과 상하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축조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조 블록{Building blocks}
본 발명은 축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축조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면에 배수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터파기, 형틀설치, 철근배근, 콘크리트타설, 양생, 형틀 제거, 되메우기 등의 다양한 공정으로 이루어져 실제 시공비가 설계 예정가를 크게 초과하여 우기철 법면 파괴의 주요인이 되어 플라스틱 기성제품 등을 이용하여 배수로를 형성하는 등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법면 배수로는 터파기를 일시에 대량으로 실시하게 되므로 후속공정인 형틀작업이 지형 또는 구배에 적합하게 설치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하부로 흘러내리므로 양질의 콘크리트 작업이 어려워 콘크리트 강도 저하를 초래하며, 후속 벽체 형틀 및 콘크리트 작업 또한 바닥과 같은 작업현장이 발생하여 외관상 불량한 시설물이 되고, 최종 되메우기 작업도 교란된 토사로 실시되고 경사면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다짐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다짐효율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적은 강우량에도 그 형상이 파괴되어 법면배수로의 구조물에 치명적인 하자가 발생하여 구조물과 함께 법면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9722호 (2006. 09. 28.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축조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은, 좌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 설치되어 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블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은, 좌우 수평 방향과 상하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축조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 블록은, 외측면이 자연석 질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 블록은, 수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바닥부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측벽부; 및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배수 블록의 후단이 안착되어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배수 블록의 후단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각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 블록은, 수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바닥부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은, 상기 배수 블록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배수 블록과 상기 배수 블록 간의 밀착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배수 블록과 상기 다른 배수 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블록은,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 블록의 전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제1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다른 배수 블록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설치홈에 배치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부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하우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홈의 상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1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스크류형 연결 블록;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스크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하단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지지 기둥;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헤드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블록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수용되어 상기 헤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 또는 상기 헤드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를 이동하는 지지 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여 법면 붕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배수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배수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완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축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축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2의 완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9 및 도 14의 제1 완충부와 제2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10)은, 배수 블록(100)을 포함한다.
배수 블록(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100-1 내지 100-3)이 연결 설치되어 수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수 블록(100)은, 외측면이 자연석 질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10)은,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 우수를 집수하여 법면 하부의 주 배수로에 배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20)은, 배수 블록(100) 및 축조 블록(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 블록(1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축조 블록(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수평 방향과 상하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 설치되어 벽체(W)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20)은,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여 법면 붕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배수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수 블록(100)은, 바닥부(110), 제1 측벽부(120), 제2 측벽부(130) 및 소켓부(14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수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제1 측벽부(120), 제2 측벽부(130) 및 소켓부(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측벽부(120)는, 제2 측벽부(130)와 대향하면서 바닥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측벽부(130)는, 제1 측벽부(120)와 대향하면서 바닥부(110)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소켓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배수 블록(100-2)의 후단이 안착되어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다른 배수 블록(100-2)의 후단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형성하면서 바닥부(110), 제1 측벽부(120), 및 제2 측벽부(130)의 각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배수 블록(100)은, 배수로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배수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블록(100a)은, 바닥부(110), 제1 측벽부(120), 및 제2 측벽부(13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수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제1 측벽부(120), 제2 측벽부(130) 및 소켓부(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측벽부(120)는, 제2 측벽부(130)와 대향하면서 바닥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측벽부(120)의 외측면(121)은, 자연석 질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측벽부(130)는, 제1 측벽부(120)와 대향하면서 바닥부(110)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블록(100a)은, 배수로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30)은, 배수 블록(100), 축조 블록(200) 및 완충 블록(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 블록(100) 및 축조 블록(200)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 블록(300)은, 배수 블록(100-1)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배수 블록(100-2)과 배수 블록(100-1) 간의 밀착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배수 블록(100-1)과 다른 배수 블록(100-2)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30)은, 도로, 택지, 철도 및 각종 건설현장의 성토 및 절토 법면에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여 법면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서로 연결 설치되는 배수 블록(100-1과 100-2)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배수로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완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완충 블록(300)은, 블록 바디(310), 제1 완충부(400) 및 제2 완충부(500)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310)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배수 블록(100)의 전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S1)과 제1 안착홈(S1)과 대향하면서 다른 배수 블록(100-2)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S2)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설치홈(S)에 배치된다.
제1 완충부(400)는, 블록 바디(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안착홈(S2)의 상측면을 지지한다.
제2 완충부(500)는, 블록 바디(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안착홈(S1)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블록(300)은, 서로 연결 설치되는 배수 블록(100-1과 100-2)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배수로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축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200)은, 블록 바디(210) 및 내부 벽체(220)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210)는, 내부 공간이 내부 벽체(220)에 의해 지지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벽체(220)는, 블록 바디(210)의 내부 공간을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어 블록 바디(210)의 내측을 지지한다.
도 11은 도 3의 축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200a)은, 블록 바디(210), 내부 벽체(220), 전단 체결돌기(230), 및 후단 체결홈(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블록 바디(210) 및 내부 벽체(220)는, 도 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단 체결돌기(230)는, 블록 바디(21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후단 체결홈(240)은, 다른 블록 바디(210)에 형성되는 전단 체결돌기(230)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 체결돌기(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블록 바디(210)의 후단에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30)은, 배수 블록(100), 축조 블록(200) 및 완충 블록(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 블록(100) 및 축조 블록(200)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 블록(300)은, 사선 방향으로 하방과 상방에 배치되는 축조 블록(200-1)과 다른 축조 블록(200-2)의 밀착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축조 블록(200-1)과 다른 축조 블록(200-2)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 블록(30)은, 서로 밀착 설치되는 축조 블록(20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벽체(W)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완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완충 블록(300)은, 블록 바디(310), 제1 완충부(400) 및 제2 완충부(500)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310)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배치되는 축조 블록(200-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S1)과 제1 안착홈(S1)과 대향하면서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축조 블록(200-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S2)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설치홈(S)에 배치된다.
제1 완충부(400)는, 블록 바디(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안착홈(S2)의 상측면을 지지한다.
제2 완충부(500)는, 블록 바디(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안착홈(S1)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블록(300)은, 서로 연결 설치되는 축조 블록(200-1, 200-2)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배수로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 내지 도 14에서 상술한 축조 블록(200)에 설치되는 완충 블록(300)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배수 블록(100)에 설치되는 완충 블록(300)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도 9 및 도 14의 제1 완충부와 제2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완충부(400)는, 제1 하우징(410), 제1 지지 플레이트(420), 제1 지지 기둥(430),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 및 스크류 지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410)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블록 바디(3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 지지 플레이트(4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안착홈(S2)의 상측면에 밀착 배치된다.
제1 지지 기둥(430)은, 상단이 제1 지지 플레이트(420)의 하측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420)를 지지하고, 하단이 제1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은, 제1 하우징(4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에서 제1 지지 기둥(4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제1 하우징(4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다.
스크류 지지부(450)는, 제1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 지지부(450)는, 블록 지지 플레이트(451) 및 제1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52)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지지 플레이트(451)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을 지지한다.
제1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52)은, 제1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블록 지지 플레이트(451)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블록 지지 플레이트(45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부(400)는, 지지 유체(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체(460)는, 제1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52)이 설치되는 제1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50)이 설치되는 제2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수용되어 헤드 플레이트(540)를 지지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형 연결 블록(440) 또는 헤드 플레이트(5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510) 사이를 이동한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면, 제2 완충부(500)는, 제2 하우징(510), 제2 지지 플레이트(520), 제2 지지 기둥(530), 헤드 플레이트(540) 및 제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5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블록 바디(3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5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안착홈(S1)의 하측면에 밀착 배치된다.
제2 지지 기둥(530)은, 하단이 제2 지지 플레이트(520)의 상측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520)를 지지하고, 상단이 제2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헤드 플레이트(540)는, 제2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지지 기둥(530)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50)은, 제2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헤드 플레이트(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헤드 플레이트(5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축조 블록
100: 배수 블록
200: 축조 블록
300: 완충 블록
400: 제1 완충부
500: 제2 완충부

Claims (2)

  1. 좌우 수평 방향과 상하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축조 블록;을 포함하며,
    사선 방향으로 하방과 상방에 배치되는 축조 블록과 다른 축조 블록의 밀착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축조 블록과 다른 축조 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블록은,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배치되는 축조 블록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제1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축조 블록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 설치홈에 배치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완충부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하우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홈의 상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1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스크류형 연결 블록;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크류형 연결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스크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하단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지지 기둥;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헤드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축조 블록.
  2. 삭제
KR1020220089160A 2022-05-31 2022-07-19 축조 블록 KR102445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7175 2022-05-31
KR1020220067175 2022-05-31
KR1020220084304A KR102445309B1 (ko) 2022-05-31 2022-07-08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04A Division KR102445309B1 (ko) 2022-05-31 2022-07-08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315B1 true KR102445315B1 (ko) 2022-09-21

Family

ID=834527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04A KR102445309B1 (ko) 2022-05-31 2022-07-08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KR1020220089160A KR102445315B1 (ko) 2022-05-31 2022-07-19 축조 블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04A KR102445309B1 (ko) 2022-05-31 2022-07-08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53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22B1 (ko) 2006-03-07 2006-09-28 주식회사 오름엔지니어링 급경사 배수로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블록
KR20120128955A (ko) * 2011-05-18 2012-11-28 (주)장성산업 내진용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81985A (ko) * 2017-01-09 2018-07-18 권미해 옹벽블록
KR102338930B1 (ko) * 2021-09-28 2021-12-14 주식회사 대진개발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642U (ko) * 1999-01-12 2000-08-05 한동권 농업용 배수로관
KR101051966B1 (ko) * 2008-11-27 2011-07-26 홍나영 복합형 내진용 보강토 옹벽
KR102224943B1 (ko) * 2020-09-18 2021-03-09 김인성 내진성능이 향상된 프리캐스트 적층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86218B1 (ko) * 2021-03-29 2022-04-20 이주철 친환경 이동로가 설치된 수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22B1 (ko) 2006-03-07 2006-09-28 주식회사 오름엔지니어링 급경사 배수로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블록
KR20120128955A (ko) * 2011-05-18 2012-11-28 (주)장성산업 내진용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81985A (ko) * 2017-01-09 2018-07-18 권미해 옹벽블록
KR102338930B1 (ko) * 2021-09-28 2021-12-14 주식회사 대진개발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309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850B1 (ko) 셀구조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1710045B1 (ko) 조립 구조를 가지는 저심도 박스형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88590B1 (ko) 일체식 순수형 보강토교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455592Y1 (ko)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102445315B1 (ko) 축조 블록
CN109268029B (zh) 一种大跨度软弱围岩高速公路隧道
KR102220613B1 (ko) 자립식 옹벽 시공방법
CN212612060U (zh) 一种缓解侧陡降的箱涵结构
KR102236509B1 (ko) 맨홀뚜껑의 경사 및 높이 조절 장치
KR200183206Y1 (ko) 옹벽용 블럭
JPH08184064A (ja) 建築物の基礎構造
CN113756352A (zh) 一种软土地基砖胎模施工结构及其工法
KR102115352B1 (ko) 선조립 철근망을 이용한 연속벽 시공 방법
CN106049546A (zh) 防沉降组合式装配道路检查井盖
KR20190028167A (ko) 지중 구조물 하중 분산장치
KR200304445Y1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과 연결봉을 이용한 도로용옹벽블록구조
CN111503365A (zh) 一种市政供水管施工方法
KR100488501B1 (ko) 에이치형 파일을 이용한 옹벽선반 부착 직립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20190125766A (ko) 절개지의 블록식 옹벽
JP2016061126A (ja) 工事桁の撤去方法、及び、工事桁撤去用の土留板
KR102300692B1 (ko)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CN219218579U (zh) 一种预制混凝土路缘石安装结构
CN111041919B (zh) 一种桥头路面防沉降结构及施工方法
JPH0718723A (ja) 自在勾配道路側溝
KR200302360Y1 (ko) 에이치형 파일을 이용한 옹벽선반 부착 직립식 옹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