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742B1 -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742B1
KR102444742B1 KR1020200131804A KR20200131804A KR102444742B1 KR 102444742 B1 KR102444742 B1 KR 102444742B1 KR 1020200131804 A KR1020200131804 A KR 1020200131804A KR 20200131804 A KR20200131804 A KR 20200131804A KR 102444742 B1 KR102444742 B1 KR 10244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sease
crops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662A (ko
Inventor
반오현
양정우
오상기
김광섭
정영훈
Original Assignee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to KR102020013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7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은 유산균의 상등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brown spot disease of crops}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깨씨무늬병은 옥수수 등의 잎에서 갈색을 띤 작은 반점으로 시작되어 방추형 혹은 타원형 병반으로 확대되며 병반은 암갈색으로 변한다. 주로 생육과정에서 온도가 높고 강우량이 많을 때 우리나라 전역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고 알려졌다. 또한, 작물의 영양 불균형 및 결핍된 조건에서 쉽게 감염되는 병으로도 알려져 있다.
감염원으로써는 진균인 코츨리오볼로우Cochliobolus heterostrophus(Derechs.) Drechs.)라는 자낭균에 속하는 곰팡이로써 불완전세대는 바이오폴라리스 메디어스(Bipolaris maydis), 바이폴라리스 제이콜라(Bipolaris zeicola) 및 바이폴라리스 오리지에 (Biopolaris oryzae)라는 곰팡이가 깨씨무늬병의 원인균이다.
곰팡이는 포장에 있는 이병 잔재물에서 포자나 균사로 월동하며 포자는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 식물체로 전이되어 일차 감염을 일으키고, 병반에 형성된 포자가 다시 1, 2차 감염원이 된다. 특히, 벼와 옥수수는 국내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중요한 식량작물로써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리하여 병이 발생하면 생산량의 감소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깨씨무늬병의 일반적인 제어법은 병원균을 박멸하거나 그 밀도를 줄이는 방법, 주위환경을 병원균의 생장 및 활동조건에 맞지 않게 조절하는 방법, 그리고, 병에 견디는 품종을 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병원균의 제어를 위하여 유기합성 농약의 사용은 효과적이나, 최근의 빈번하고 광범위한 살포로 인하여 환경오염, 독성, 약제내성 저항성 돌연변이 병충해를 유발하는 등 많은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그리하여, 유기합성 농약을 대체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생물학적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86306호(2010.10.07. 공고)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균의 상등액을 포함하는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용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작물은 옥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DCC 4301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산균 상등액을 얻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각 유산균 상등액의 사용에 따른 깨씨무늬병의 완화정도를 나타낸 표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옥수수의 깨씨무늬병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옥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작물의 깨씨무늬병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벼, 배추, 옥수수 등의 깨시무늬 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완화'는 항균효과, 방제효과, 질병의 치료, 예방 및 완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산균 상등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등액'이란 유산균 제조에 있어 발효 후 원심분리과정에서 얻어지는 액체로 상청액, 상층액, 상증액 또는 상징액으로도 불린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액제, 입제, 수화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분말, 펠렛 또는 과립, 마이크로캡슐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조성물은 표면 활성화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 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등 목적 병원균 및 작물에 따라 적용하기 용이한 다른 성분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용하기 전에 적당한 양의 물 또는 다른 희석제로 희석을 하여 직접 적용하기에 적합한 형태 또는 농축액 또는 1차 조성물일 수 있다. 농도는 특히 농축 또는 직접 사용하거나 하는 것은 특정 제제의 성질, 적용 작물의 종류, 재배지역의 토양 및 기후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업계에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미생물의 양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6 ~ 1010 CFU (colony forming unit)/mL가 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6 ~ 109 CFU/mL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6 ~ 109 CFU/mL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 조성물의 제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입상, 분상, 액상 등이라도 좋지만, 액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 조성물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500배, 1000배, 2000배, 4000배 등, 농약등록시에 정해진 소정의 희석 배율이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살포액을 제작하고, 그 살포액을 동력 분무기 등을 사용하여 작물 전체에 안개 형상으로 분무 처리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양소가 풍부하며 인체에도 무해한 8종의 유산균 상등액을 깨씨무늬병에 유도된 옥수수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DCC 4301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의 상등액이 깨씨무늬병 제어에 매우 높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산균 상등액의 제조
유산균 배양을 위한 액체배지는 각각의 유산균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성분을 달리하였으며 [탄소원(포도당, 말토오스, 설탕, 트레할로스) 1.0~3.0%(w/v), 질소원(대두펩톤, 카제인펩톤, 효모추출물) 0.5~3.0%(w/v), 미량원소(구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칼슘, 인산일수소칼륨, 인산이수소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0.001~3.0%(w/v), 탄산칼슘 0.1~0.5%(w/v)] 121℃, 30분 이상 멸균하여 준비하였다.
유산균은 다음의 8가지를 사용하였다.
BBL, Bifidobacterium lactis IDCC 4301; BC, Bacillus coagulans IDCC 1201; BS, Bacillus subtilis IDCC 1101; CB, Clostridium butyricum IDCC 9207; ECF, Enterococcus faecium IDCC 2102; L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 3507; LBR,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LCL, Lactococcus lactis IDCC 2301;
각 유산균은 보리의 맥아, BS, CB, 유아의 변, 김치, 가정식 치즈 등에서 분리하였다.
멸균된 액체배지에 미리 키워둔 유산균을 1.0~5.0%(v/v) 접종하여 30~45℃온도에서 16시간이상 유산균 수가 >1ㅧ107 CFU (colony forming unit)/mL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일부 유산균은 배양종료 후에 25~3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6.0~7.0 범위로 중화하였고, 배양종료 후에 연속식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7000~7500 rpm으로 유산균체와 상등액을 분리하여 각각의 목적에 따라 회수하였다(도 1 참조).
유산균 상등액 8종의 옥수수 깨씨무늬병에 적용
미생물 배양액의 옥수수 깨씨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3∼4엽기의 옥수수가 심겨져 있는 폿트에 옥수수 개체마다 5mL씩 관주한 후 옥수수를 온실 및 비닐하우스에서 7일간 배양했다.
옥수수 깨씨무늬병균 접종을 위하여 국내 옥수수에서 발생한 깨씨무늬병 균주를 분리한 균주를 사용하였다. 깨씨무늬병 균주를 PDA(Potato dextrose agar; Dextrose 20g, potato infusion 4g, potato stach 4g, potato extract 4g, Agar 15g, 증류수 1L)배지에 접종 후 25℃에 7일 이상 배양하였다.
배양된 병원균의 균총(직경 5mm)을 쌀겨 평판배지(쌀겨 20g, 설탕 20g, 한천 20g)에서 8~10일간 암상태로 배양했다. 배지 전면에 자란 균총을 고무 브러쉬를 이용하여 기중균사를 제거한 후 40W 형광등을 24시간 조명하면서 3일간 배양 페트리디쉬 뚜겅을 열고 포자 형성을 유도했다. 포자가 형성되면 0.03% Tween 20 용액을 포자가 형성된 배지 표면에 부어 고무 브러쉬를 이용하여 포자를 수거했다. 소독관 가제로 여과하여 현탁액을 제조했다. 이때 포자 농도는 105∼106cell/mL 정도로 조정하여 사용하며 포자현탁액을 접종장치나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골고루 분무했다.
병을 접종한 옥수수는 24시간동안 암조건에서 포화습도(90%이상)조건을 유지시켰다. 암조건 습실처리가 끝나면 시료를 온실 및 비닐하우스등에서 생육시키면서 병 발생을 관찰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병 발생을 조장하기 위하여 습도를 유지시켰다.
위와 같이 처리된 옥수수를 온실로 옮긴 후 습도를 보완시켜 7일간 정치하여 발병시켰다. 옥수수 깨씨무늬병은 유산균 상등액의 처리유무에 따라 일주일 동안 관찰하였고, 저항성 검정법에 따라 병심각도(severity)를 0∼5까지 단계를 나누어 심각도를 측정하였다. 심각도는 0 (미발생)부터 5 (고사)까지이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무처리 군(CON)에서는 심각도 평균 4, 즉 고사상태와 근접한 결과가 나왔으며, BC, BS, CB, LBP, ECF 및 LCL의 상등액 처리군에서도 무처리군과 유사하게 심각도가 3∼4.5의 범위로 옥수수 깨시무늬병의 호전상태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BBL(Bifidobacterium lactis) 및 LBR(Lactobacillus rhamnosus)의 상등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심각도가 1.3∼1.8의 범위로 옥수수 깨시무늬병의 제어효과가 뛰어남을 유의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산균의 상등액을 포함하며,
    상기 작물은 옥수수이며,
    상기 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DCC 4301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00131804A 2020-10-13 2020-10-13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KR10244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04A KR102444742B1 (ko) 2020-10-13 2020-10-13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04A KR102444742B1 (ko) 2020-10-13 2020-10-13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62A KR20220048662A (ko) 2022-04-20
KR102444742B1 true KR102444742B1 (ko) 2022-09-19

Family

ID=8140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04A KR102444742B1 (ko) 2020-10-13 2020-10-13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08B1 (ko) 2012-02-09 2014-04-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eml-cap3,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JP2018525445A (ja) * 2015-08-22 2018-09-06 ネオザ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毒性植物用薬剤組成物ならびにその方法および使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634B1 (ko) * 1998-12-30 2004-12-23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병원성진균에대한항진균활성을가지는미생물,이를함유하는항진균성미생물농약제및그의제조방법
KR100986306B1 (ko) 2008-02-11 2010-10-0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김치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s41 및 그 용도
KR101348435B1 (ko) * 2011-12-08 2014-01-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007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08B1 (ko) 2012-02-09 2014-04-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eml-cap3,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JP2018525445A (ja) * 2015-08-22 2018-09-06 ネオザ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毒性植物用薬剤組成物ならびにその方法および使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생물학회지 Vol.52 No.1 pp.18-24*
미생물학회지 Vol.56 No.1 pp.62-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62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9069B (zh) 农用微生物制剂及其在防治瓜类根结线虫和西瓜枯萎病方面的应用
WO2003000051A2 (en) Novel biofungicide
CN110616172B (zh) 一种具有防治十字花科根肿病功能的芽孢杆菌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9511012A (ja) バチルスサブチリスkccm10639またはkccm10640を含む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方法
CN110295129B (zh) 一种用于防治黄瓜灰霉病和白粉病的生防菌及应用
JP6241001B2 (ja) 育苗期病害耐病性植物種子の製造方法及び育苗期病害の発病予防及び防除方法
KR20140115022A (ko)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CN102586136B (zh) 一种提高植物抗病性及促进其生长的微生物菌剂
CN112481161A (zh) 一种促进小麦生长的微生物菌剂及其小麦育种的方法
KR102444742B1 (ko) 작물의 깨씨무늬병 완화를 위한 조성물
KR20000038895A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CN114058542B (zh) 一种多粘类芽孢杆菌菌剂及其对胡萝卜根腐病的防治作用
CN108203703B (zh) 一种生防菌剂及其在防治灰霉病中的应用
CN109456900A (zh) 一种复合生物制剂及其用途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100758007B1 (ko) 버크홀데리아 종 ppk0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잔디생장및 잔디병 발생 억제 방법
KR100362929B1 (ko) 토양소독 기능을 가진 복합 호기미생물제제 및 이를이용한 토양소독방법.
CN111838190A (zh) 一种防治茎基腐病和流胶病的生防菌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650635B1 (ko) 식물병원균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솔리바실러스 속(Solibacillus sp.) T1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CN113508821B (zh) 解淀粉芽孢杆菌制剂及其在防治细菌性病害中的应用
KR102360511B1 (ko) 플라보박테리움 속 tch3-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용도
Shainidze et al. Efficiency of different doses of insectofungicidal biopreparation (gaupsin) against Phytophthora of tomato in Adjara, Georgia.
KR100742536B1 (ko) 잔디병 발생 억제 및 잔디 생장을 촉진하는 쎄라티아마르세센스 dk004 균주 및 이의 이용방법
KR0158793B1 (ko) 신균주 페니실리움속 f40362와 이를 이용한 미생물제초제
CN115786172A (zh)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组合物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