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424B1 -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424B1
KR102444424B1 KR1020220036404A KR20220036404A KR102444424B1 KR 102444424 B1 KR102444424 B1 KR 102444424B1 KR 1020220036404 A KR1020220036404 A KR 1020220036404A KR 20220036404 A KR20220036404 A KR 20220036404A KR 102444424 B1 KR102444424 B1 KR 10244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lastic house
unit
insulation cov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배
임주묵
Original Assignee
임주묵
임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주묵, 임병배 filed Critical 임주묵
Priority to KR102022003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농작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다수개의 보온덮개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Insulation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lastic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농작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다수개의 보온덮개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설치된 골조에 비닐을 덮어 내부를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한다.
그리고 비닐하우스는 터널형, 아치형, 지붕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기밀성을 향상시켜 높은 보온력을 통해 채소류, 화훼류 및 과수류 등의 재배에 사용되고 있다.
이때 비닐하우스의 내부에는 겨울철 및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농작물이 한기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형 비닐하우스 형태의 보온덮개를 설치하여, 밤,낮 및 날씨에 따라 필요시 수작업으로 개폐하고 있다.
따라서 밤, 낮 및 일교차에 맞춰 수작업으로 작업함에 따라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보온덮개가 손상되며, 보온덮개의 개폐시기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워 농작물의 생육이 부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보온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 중, 와이어, 로프 등을 통해 개폐하는 종래기술로, "소형비닐하우스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대형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되는 여러개의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권취드럼과 로프와 접이식 봉으로써 구성되어 개폐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대형비닐하우스의 내부 양쪽 옆면에 구동축이 설치됨으로써 구동부의 하중이 분산되므로 프레임구조가 휘어짐을 완화시키고 작업자가 작업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로프를 보온덮개와 연결하여 로프의 권취상태에 따라 보온덮개를 개폐할 수 있다.
하지만, 로프를 이용하는 경우, 보온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된 각 로프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보온덮개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측면에서 로프를 권취함에 따라, 비닐하우스 내에 보온덮개를 다수개 형성되는 경우, 중간에 위치한 덮개를 원활히 작동할 수 없으며, 작업시 사용자의 이동에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로프가 서로 다르게 늘어날 때 원활한 보온덮개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로프에 의해 보온덮개의 개폐시, 작업 중 보온덮개에 하중이 가해지면, 로프가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204호(2004.08.0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중인 작물을 덮어 겨울 등의 저온에서 냉해나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보온할 수 있도록 보온덮개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된 두둑에 맞춰 다수개의 보온덮개를 설치하여 동시에 다수개의 보온덮개를 조절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온덮개와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개폐되는 보온덮개의 개폐상태를 구획별로 조절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보온덮개를 일정 구역 구획하며, 각 구역에 맞춰 보온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와 대비하여 보온덮개를 개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단 전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권취롤러가 형성된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U"자 형태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이 복수의 상기 권취롤러에 상호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이동하는 견인와이어; 상기 보온덮개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고정클립; 상기 견인와이어에 일측이 연결되고,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타측이 상기 고정클립과 연결된 제1와이어; 상기 견인와이어에 일측이 연결되고, 중단이 상기 비닐하우스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고, 타측단이 상기 고정클립과 연결된 제2와이어;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단 및 측면에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덮개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제한하는 걸림클립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견인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안착되어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후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고정홈과 상기 비닐하우스에 양측단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브라켓의 자유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 하면에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홈의 상, 하단에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중앙부분에 다수개의 안내롤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권취되어 상기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간격조절을 통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내축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덮개의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온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온덮개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부에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에 맞춰 상기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사용자의 설정을 통해 설정온도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온도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낮으면 상기 동력부를 작동하여 상기 보온덮개를 덮으며,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온도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높으면 상기 동력부를 작동하여 상기 보온덮개를 개방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따르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중인 작물을 덮어 겨울 등 추운 날씨에 냉해나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온덮개를 간편하게 개폐하여 작물을 보온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하우스 내에 작물을 재배하는 다수개의 두둑에 맞춰 보온덮개를 배치한 후, 복수의 보온덮개와 견인와이어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보온덮개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덮개를 연결된 다수개의 제1 및 제2 와이어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보온덮개의 특정위치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개폐하여 작물의 종류 및 성장상태에 따라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덮개를 통해 보온덮개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구획하며, 각 구획은 개폐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여 개별적인 온도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맞춰 보온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별도의 관리 없이 내부온도에 맞춰 용이하게 작동하여 작물이 냉해 및 동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의 길이조절 상태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와이어의 길이조절 상태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농작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다수개의 보온덮개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보온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동력부(10), 견인와이어(20), 고정클립(30), 제1와이어(40), 제2와이어(50) 및 롤러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1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 전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권취롤러가 형성된 회전축(11)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U"자 형태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이 복수의 상기 권취롤러(12)에 상호 역방향으로 권취된다.
상기 고정클립(30)은 상기 보온덮개(2)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다.
상기 제1와이어(40)는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타측이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된다.
상기 제2와이어(50)는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일측이 연결되고, 중단이 상기 비닐하우스(1)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고, 타측단이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된다.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 및 측면에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를 통해 상기 동력부(10)의 동력에 의해 상기 견인와이어(20)가 전,후 방향 이동시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가 이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개폐한다.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동력부(10)는 전력 등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동력부(10)는 통상적인 모터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비닐하우스(1)의 전면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은 상기 비닐하우스(1)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양측단이 권취되는 권취롤러(12)가 각각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동력부(10)의 동력을 통해 상기 회전축(11)을 회전시켜 상기 견인와이어(20)를 상기 비닐하우스의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일측단이 어느 하나의 상기 권취롤러(12)에 권취된 후, 상기 비닐하우스(1)의 후면을 향해 배치되고 후면에서 절곡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권취롤러(12)에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서 "U"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양측 끝단은 상기 권취롤러(12)에 권취될 때, 상호 역방향으로 권취된다.
즉,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일측 끝단이 상기 권취롤러(12)의 상단으로 유입되어 권취되면, 타측 끝단은 상기 권취롤러(12)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권취된다.
이를 통해 상기 권취롤러(12)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일측단은 인출되고, 타측단은 권취되며, 역방향 회전시 반대로 이동하여 상기 견인와이어(20)를 왕복이동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상기 권취롤러(12)에 권취되는 부분은 강선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권취롤러(12)에 연결된 부분 및 상기 비닐하우스(1)에 배치된 부분은 와이어로 형성하고, 상기 권취롤러에 권취되는 부분은 강선으로 구성되도록, 와이어, 강선, 와이어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상기 권취롤러(12)에 장기간 권취 시, 강선을 통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비닐하우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와이어(20)는 로프와 같이 꼬여 있는 와이어와, 강선을 복합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권취시 발생하는 꼬임 현상을 방지하고 저렴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양측을 상호 지지하는 와이어클립(21)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클립(21)은 일측 내면이 탄성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가 유입 안착되며, 타측이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클립(2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클립(21)은 상기 견인와이어(20)의 권취,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며, 단순 로프형식인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강선인 경우, 하나 또는 소수개를 배치하여 상기 견인와이어(2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견인와이어(2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와이어클립(21)은 타측이 한쪽의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은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견인와이어(20)가 이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차 또는 일정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와이어(20)는 로프 및 강선과 상기 와이어클립(21)을 통해 이동시 권취된 부분이 꼬이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클립(30)은 상기 보온덮개(2)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가 연결되는 연결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클립(30)은 일반적인 집게 및 클립 방식을 통해 상기 보온덮개(2)의 내측 끝단에 간편하게 고정되며, 상기 보온덮개(2)가 고정된 반대편에 상기 연결홈(31)을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클립(30)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하여 상기 보온덮개(2)에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탈착하여 간편하게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클립(30)은 상기 보온덮개(2)의 개폐되는 내면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는 상기 견인와이어(20)와 상기 고정클립(30)을 상호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40)는 일측이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50)는 일측이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비닐하우스(1)의 측면에 경유하여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는 "U"자형으로 배치된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어느 한쪽에 같이 연결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이동시, 상기 제1와이어(40)는 상기 보온덮개(2)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농작물을 덮으며, 상기 제2와이어(50)는 상기 보온덮개(2)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농작물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는 상기 견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되,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온덮개(2)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방향을 제한하는 걸림클립(51)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클립(51)은 상기 보온덮개(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비닐하우스(1)의 측면에서 상기 고정클립(30)을 향해 배치된 상기 제2와이어(50)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시 상기 걸림클립(51)을 통해 이동동선을 유도하여 상기 고정클립(30)이 상기 걸림클립(51)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보온덮개(2)가 외측에 용이하게 적층된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비닐하우스(1)에 자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61), 브라켓(62), 고정와이어(6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롤러(61)는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또는 상기 제2와이어(50)가 안착되어 방향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61)는 통상적인 롤러로 이루어져, 각 상기 와이어(20, 40, 50)가 안착되어 이동경로에 맞춰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62)은 상기 가이드롤러(61)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후면에 고정홈(6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62)은 "ㄷ"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롤러(61)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62)은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또는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방향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단일 또는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와이어(63)는 상기 고정홈(62a)과 상기 비닐하우스(1)에 양측단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61) 및 상기 브라켓(62)의 자유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상기 고정와이어(63)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62)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측에 별도의 클램프 또는 매듭 등을 통해 상기 비닐하우스(1)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브라켓(62)은 상기 고정와이어(63)를 통해 자유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이동방향에 맞춰 자유 이동하여 지지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20)를 지지하는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가 상기 비닐하우스(1)의 전, 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비닐하우스(1)의 후면에는 상기 견인와이어(20)가 굴곡을 형성하여 상기 동력부(10)를 향해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다수개가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40)를 지지하는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40)의 일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전,후 이동에 맞춰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와이어(50)를 지지하는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와이어(50)의 일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전,후 이동시 방향에 맞춰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상기 비닐하우스(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와이어(50)가 상기 비닐하우스(1)의 측면으로 향한 후, 상기 고정클립(30)을 향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도록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견인와이어(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이동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비닐하우스(1)에 다수개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동력부(1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전, 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40) 또는 상기 제2와이어(50)가 이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7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70)는 상기 견인와이어(20)와 상기 고정클립(30)을 연결하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작동시 상기 보온덮개(2)의 개폐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길이조절부(70)는 케이스(71), 조절유닛(72) 및 고정유닛(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71)는 상, 하면에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가 유입되는 유입구(71a)와,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71b)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71)는 어느 한 면이 개방되어 커버를 통해 덮을 수 있는 형상을 통해 내부 구성을 손쉽게 체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를 유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71) 상기 가이드홈(71b)이 형성된 일면이 커버형식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71a)는 커버가 형성된 방향을 통해 개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71)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 및 상기 조절유닛(72)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71a)는 상기 제1와이어(40) 또는 상기 제2와이어(50)가 선택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조절유닛(72)은 상기 가이드홈(71b)의 상, 하단에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안내축(72a)과 상기 안내축(72a)의 중앙부분에 다수개의 안내롤러(72b)가 형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권취되며, 상기 안내축(72a)과 상기 안내축(72a)의 간격조절을 통해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조절유닛(72)은 상기 가이드홈(71b)의 상, 하에 각각 위치하도록 두개가 설치되며, 안내축(72a)의 중앙에 다수개의 상기 안내롤러(7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축(72a)은 상기 케이스(7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다수개의 상기 안내롤러(72b)는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가 안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절유닛(72)은 상기 케이스(71)의 상, 하단에 위치하여 다수개의 상기 안내롤러(72b)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유닛(72)과 상기 조절유닛(72)의 간격조절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73)은 상기 케이스(7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내축(72a)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유닛(72)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유닛(72)은 상기 안내축(72a)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며, 체결을 통해 상기 케이스(71)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유닛(72)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다.
즉, 상기 안내축(72a)의 양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72)은 상기 안내축에 삽입되는 너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71)와 상기 고정유닛(73) 사이에는 와셔 등을 설치하여 용이하게 풀고 조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조절유닛(72)은 이외에, 상기 안내축(72a)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71)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유닛(72)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유닛(72)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작동시 길이가 조절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를 통해 상기 보온덮개(2)의 일부만 덮거나 덮이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보온덮개(2)는 상기 견인와이어(20)를 통해 전체가 개폐되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일정부분이 견인되지 않아 덮인 상태 또는 개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비닐하우스(1)에 서로 다른 작물이 심어지거나,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온덮개(2)의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면(91)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온덮개(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온덮개(2)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덮개(9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구획덮개(90)는 일면에 접착면(91)이 형성되어 상기 보온덮개(2)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며, 상기 보온덮개(2)를 덮은 상태에서 일정 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면(91)은 접착제, 벌크로테임, 단추, 클립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구획덮개(90)를 통해 상기 보온덮개(2) 내부가 구획된 각 공간의 보온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길이조절부(70)를 통해 특정 위치가 개방되어도, 나머지 부분을 보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10)에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에 맞춰 상기 보온덮개(2)를 개폐하는 제어부(8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80)는 온도측정부(81), 조작부(82) 및 작동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측정부(81)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내부온도를 측정한다.
즉, 상기 온도측정부(81)는 상기 비닐하우스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설치하여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조작부(82)는 사용자의 설정을 통해 설정온도를 조작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82)는 상기 비닐하우스(1) 내에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설정온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83)는 상기 조작부(82)를 통해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온도측정부(81)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낮으면 상기 동력부(10)를 작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덮으며, 상기 조작부(82)를 통해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온도측정부(81)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높으면 상기 동력부(10)를 작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개방한다.
즉, 상기 작동부(83)는 상기 온도측정부(81)에 의해 측정된 평균온도와 상기 조작부(82)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에 맞춰 온도에 맞춰 상기 보온덮개(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부(10)를 정, 역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 조작 이외에, 설정된 온도에 맞춰 상기 보온덮개(2)를 편리하게 개폐하여 작물이 추위에 의해 냉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낮에는 개방시켜 적절한 일조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비닐하우스(1) 내부에 상기 동력부(10),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상기 제2와이어(50) 및 상기 롤러부(60)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상기 권취롤러에 양끝단이 상호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정, 역방향 회전시 원활하게 인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동력부(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견인와이어(20)는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와이어(40)를 당겨 이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와이어(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보온덮개(2)는 내측이 이동하여 농작물을 덮어 보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와이어(50)는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이동에 따라 풀어지면서 상기 보온덮개(2)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견인와이어(20)는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와이어(40)를 풀어주고 상기 제2와이어(50)를 당겨 이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보온덮개(2)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농작물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40)가 풀어지면서 상기 보온덮개(2)가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50)는 상기 걸림클립(51)을 통해 상기 보온덮개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부(10)의 정, 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견인와이어(2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가 이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70)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길이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는 다른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0,50) 보다 긴 길이를 통해 상기 견인와이어(20)의 이동시 상기 고정클립(30)을 이동시키지 않아 상기 보온덮개(2)가 개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부분이 개폐된 상기 보온덮개(2)를 통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된 보온덮개(2)를 통해 다른 위치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획덮개(90)를 설치하여 특정 부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된 온도와 상기 비닐하우스(1) 내부 온도를 대비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별도의 관리 없이 편리하게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보온덮개(2)는 간편하게 개폐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작물 및 성장상태에 일정 부분을 개폐하여 구획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비닐하우스
2: 보온덮개
10: 동력부 11: 회전축 12: 권취롤러
20: 견인와이어 21: 와이어클립
30: 고정클립 31: 연결홈
40: 제1와이어
50: 제2와이어 51: 걸림클립
60: 롤러부 61: 가이드롤러 62: 브라켓
62a: 고정홈 63: 고정와이어
70: 길이조절부 71: 케이스 71a: 유입구
71b: 가이드홈 72: 조절유닛
72a: 안내축 72b: 안내롤러
73: 고정유닛
80: 제어부 81: 온도측정부 82: 조작부
83: 작동부
90: 구획덮개 91: 접착면

Claims (6)

  1.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 전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권취롤러(12)가 형성된 회전축(11)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10);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U"자 형태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이 복수의 상기 권취롤러(12)에 상호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이동하는 견인와이어(20);
    상기 보온덮개(2)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고정클립(30);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타측이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된 제1와이어(40);
    상기 견인와이어(20)에 일측이 연결되고, 중단이 상기 비닐하우스(1)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고, 타측단이 상기 고정클립(30)과 연결된 제2와이어(50);
    상기 비닐하우스(1)의 상단 및 측면에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부(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70)가 더 포함되되,
    상기 길이조절부(70)는,
    상, 하면에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가 유입되는 유입구(71a)와,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71b)이 형성된 케이스(71)와,
    상기 가이드홈(71b)의 상, 하단에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안내축(72a)과 상기 안내축(72a)의 중앙부분에 다수개의 안내롤러(72b)가 형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권취되어 상기 안내축(72a)과 상기 안내축(72a)의 간격조절을 통해 상기 제1와이어(40) 및 상기 제2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유닛(72)과,
    상기 케이스(7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내축(72a)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유닛(72)을 고정하는 고정유닛(7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2)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50)의 이동방향을 제한하는 걸림클립(51)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견인와이어(20), 상기 제1와이어(40) 또는 상기 제2와이어(50)가 안착되어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61)와,
    상기 가이드롤러(61)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후면에 고정홈(62a)이 형성된 브라켓(62)과,
    상기 고정홈(62a)과 상기 비닐하우스(1)에 양측단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61) 및 상기 브라켓(62)의 자유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와이어(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2)의 내면에 부착되는 접착면(91)이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온덮개(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온덮개(2)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덮개(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10)에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에 맞춰 상기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제어부(8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81)와,
    사용자의 설정을 통해 설정온도를 조작하는 조작부(82)와,
    상기 조작부(82)를 통해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온도측정부(81)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낮으면 상기 동력부(10)를 작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덮으며,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온도측정부(81)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높으면 상기 동력부(10)를 작동하여 상기 보온덮개(2)를 개방하는 작동부(8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20220036404A 2022-03-24 2022-03-2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244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404A KR102444424B1 (ko) 2022-03-24 2022-03-2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404A KR102444424B1 (ko) 2022-03-24 2022-03-2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424B1 true KR102444424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404A KR102444424B1 (ko) 2022-03-24 2022-03-2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4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728Y1 (ko) * 2002-11-01 2003-02-11 김순성 비닐하우스 내측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359204Y1 (ko) 2004-05-14 2004-08-21 김윤수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0654787B1 (ko) * 2005-04-16 2006-12-08 이근석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개폐 시스템
KR100805363B1 (ko) * 2007-03-27 2008-02-20 임재희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의 로프덮개구
KR20160039750A (ko) * 2014-10-01 2016-04-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684570B1 (ko) * 2014-08-26 2016-12-08 주식회사 우주 비닐하우스의 개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728Y1 (ko) * 2002-11-01 2003-02-11 김순성 비닐하우스 내측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359204Y1 (ko) 2004-05-14 2004-08-21 김윤수 소형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0654787B1 (ko) * 2005-04-16 2006-12-08 이근석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개폐 시스템
KR100805363B1 (ko) * 2007-03-27 2008-02-20 임재희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의 로프덮개구
KR101684570B1 (ko) * 2014-08-26 2016-12-08 주식회사 우주 비닐하우스의 개폐 제어 장치
KR20160039750A (ko) * 2014-10-01 2016-04-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540B1 (ko) 비닐하우스용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EP1795067A1 (en) Retractable greenhouse
KR101585806B1 (ko) 딸기 고설 재배장치
KR100378549B1 (ko) 온실용 보온커튼의 개폐 및 승강장치
KR102444424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2343535B1 (ko) 농업용 스마트 그린하우스
CN112449946A (zh) 一种育苗冷棚
KR20160039750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JPH09294484A (ja) フルオープンハウスの屋根開閉システム
KR100517053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200418388Y1 (ko)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KR100331691B1 (ko) 천창 완전 개폐형 간이 비가림 하우스
CN207948361U (zh) 一种车厘子幼苗生长保护装置
KR102110287B1 (ko) 광량을 조절하는 온도저감형 비닐하우스
KR20170097904A (ko) 작물재배용 미니비닐하우스
KR100937091B1 (ko) 넝쿨작물재배용 유인줄 권취장치
KR102277938B1 (ko)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KR20090112483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 덮개 개폐장치
CN220799277U (zh) 一种双拱双膜的温控大棚
CN115053724B (zh) 一种大空间樱桃专用温室
KR101013579B1 (ko) 비닐하우스의 내부 자동보온 개폐장치
CN112753442B (zh) 一种薄膜全开型拱型薄膜温室
CN215269703U (zh) 一种育苗冷棚
CN211558438U (zh) 一种养鸡大棚用窗户
KR101336537B1 (ko) 비닐 하우스용 비닐 고정로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