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320B1 -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320B1
KR102444320B1 KR1020197020395A KR20197020395A KR102444320B1 KR 102444320 B1 KR102444320 B1 KR 102444320B1 KR 1020197020395 A KR1020197020395 A KR 1020197020395A KR 20197020395 A KR20197020395 A KR 20197020395A KR 102444320 B1 KR102444320 B1 KR 10244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baby food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383A (ko
Inventor
에티엔 퓨러
아르민 펠버
마르셀 뮤터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9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47J36/2433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47J36/2438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for warming a water-bath or -jacke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47J36/2433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2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ther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로서, 이유식을 위한 홀더(5)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갖는 용기(1), 내부(14)가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온도 획득 유닛(12), 및 상기 내부(14)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센서(15)를 포함한다. 제2 센서(22)는 컨테이너(5) 내의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이유식은 부드러우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특정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본 발명은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유식을 투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아기가 이를 잘 견디게 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비교적 좁은 온도 범위 내에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특히 유축된 모유, 다른 유제품으로 구성된 우유, 또는 차와 같은 유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병 보온기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이유식, 특히 액체를 미리 결정된 온도로 가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US 2756031 A는 젖병용 용기(vessel)를 갖는 병 보온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용기는 물로 채워지는데, 이는 용기 내에 배치되어 삽입된 병을 둘러싸는 가열 코일에 의해 가열된다. US 2008/0199164 A1은 병을 수용하기 위해 유체로 채워진 용기를 갖는 보다 더 현대적인 병 보온기를 기술하고 있다. 용기의 벽에 있는 센서가 가열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US 2009/0208193 A1은 병 주위를 흐르는 공기로 병을 가열하는 병 보온기를 개시하고 있다.
WO 2016/133421 A1은 챔버를 갖는 병 보온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챔버는 젖병이 측면으로 놓여있는 동안에 회전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된다. 챔버의 출구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는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고 제어하기 위해 젖병으로부터 산발적으로 방출된 적외선을 검출한다.
DE 4014569 A1은 측정된 온도를 LCD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젖병 부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WO 2016/160019 A1은 병의 베이스에 통합된 가열 요소를 갖는 젖병을 개시한다. 또한, WO 2004/054414 A1도 가열 요소를 갖는 젖병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가열 요소는 병의 입구에 위치하며, 따라서 유출되는 우유가 가열된다.
US 2014/0073252 A1은 젖병으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온도값을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유축된 모유는 일반적으로 사용 시점까지 냉장고에 보관되거나 냉동된다.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그에 상응하여 오랜 시간이 걸린다. 서두르는 경우에, 우유는 종종 과열되어서 우유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유식의 온도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또한 부드럽게 미리 정의된 온도에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1항, 제14항, 및 제15항의 특징을 갖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이유식을 위한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갖는 용기, 내부가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온도 획득 유닛, 및 내부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컨테이너 내의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이 존재한다.
내부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내부로 유입되는, 온도를 상승 또는 저하시키는 유체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다. 예를 들어, 특정 온도에 있는 물이나 공기는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는 유체로서 적합하며, 이 경우에는 물이 바람직하다.
이유식은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에서, 이유식은 유축된 모유 또는 다른 유형의 아기 우유이다. 또한, 예를 들어, 차 또는 물일 수도 있다. 음식은 예를 들어, 냉동 또는 냉각될 수 있고, 또는 실온에 있을 수 있다. 음식은 보통 가열된다. 디바이스의 실시예에 따라, 이유식의 원하는 미리 정의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음식은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일단 이유식의 온도에 도달하면, 즉, 제2 센서에 의해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이후에, 디바이스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 될 수 있으며, 이유식을 갖는 컨테이너가 용기로부터 바람직하게 제거되거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기 위한 유체가 내부로부터 제거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 유닛이 존재한다. 하나의 간단한 실시예에서, 제1 센서로부터의 측정값만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제1 센서는 내부 온도를 결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기 위한 유체의 온도를 결정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은 이유식의 온도가 미리 정의된 값에 도달하자마자 온도 획득 유닛을 스위치 오프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은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제어"라는 용어는 폭넓게 해석되고, 실시예에 따라 "조절"이라는 용어를 또한 포함한다. 양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일어나고, 바람직하게 동시에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로부터의 측정값과 제2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의 가중 평균값이 사용된다.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두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고 부드러운 방식으로 이유식의 온도를 특정 온도에 있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보온되거나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는 내부의 위치에 고정된다. 제1 센서는 내부로 확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는 별도의 영역으로 보호되거나 하우징의 벽에 위치된다.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은 또한 용기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컨테이너 내로, 예를 들어, 스위블 암(swivel arm)을 통해 삽입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2 센서를 갖는 센서 유닛은 별도의 부분이다. 제2 센서는 바람직하게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도록 설계된 모바일 센서이다.
센서 유닛은 미리 정의된 온도의 달성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음향 디스플레이이다. 예를 들어, 이유식이 미리 정의된 온도에 도달하자마자 소리가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광학 디스플레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유식의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이 존재하며, 이는 미리 정의된 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대한 가시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 유닛은 제2 센서 뿐만 아니라 그 위에 배치된 센서 헤드(sensor head) 및 센서 로드(sensor rod)를 포함하고, 센서 로드에는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센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 유닛의 설계는, 이유식의 컨테이너, 특히 병 안으로의 간단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센서 유닛은 센서 헤드를 컨테이너 넥(neck) 또는 어댑터부에 놓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관통-구멍을 갖는 어댑터부를 포함하며, 센서 유닛은 어댑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테이너 내에 삽입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센서 유닛이 상이한 형상의 컨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이한 어댑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부는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닛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기로부터 분리된 부분을 형성한다.
어댑터부는 컨테이너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부는 컨테이너 넥의 외부 나사산 상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 나사산을 갖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댑터부는 센서 유닛을 컨테이너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 위치를 가지며, 센서 유닛은 2개의 고정 위치에 따라 컨테이너 내로 상이한 범위로 연장된다. 이는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부는 적어도 2개의 요소를 포함하며, 제1 요소는 어댑터부의 제2 요소에 대한 배치에 따라 센서 헤드를 어댑터부의 고정점으로부터 더 크거나 작게 간격을 두는 스페이서이다. 결과적으로, 측정을 수행하는 센서 요소는 컨테이너의 내부 깊숙히 또는 덜 깊숙히 하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닛은 어댑터부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변위 가능성은 오직 수동 압력의 결과로서만 발생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헤드 또는 센서 유닛의 다른 상부 영역은 너무 무겁게 설계되어서, 센서 유닛은, 센서 헤드 또는 그 상부 영역이 어댑터부 상에 놓이게 될 때까지 또는 센서의 하부 단부가 표면 상에 놓이게 될 때까지 어댑터부를 따라 컨테이너 내로 아래를 향하여 자동적으로 미끄러진다. 이는 특히 컨테이너 내의 냉동된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한편으로, 제2 센서는 측정이 시작될 때 냉동 표면 상에 놓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센서는 이유식이 녹자마자 제2 센서가 해동된 이유식 안으로 빠질 수 있게 될 때까지 그 이유식의 아직 해동되지 않은 표면을 따라 아래를 향하여 미끄러진다. 또한, 제2 센서는 아직 해동되지 않은 이유식을 급속 해동을 촉진시키는 이미 가열된 유체 내로 아래를 향하여 압력을 가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센서에 의해 조기 접촉이 검출된다. 냉동 상태가 검출되고, 디바이스는 부드럽지만 효율적인 해동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사용한다. 대안적으로, 냉동 상태는 측정된 온도를 통해 쉽게 검출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센서 유닛은 별도의 에너지원을 가질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케이블을 통해 에너지원, 예를 들어, 외부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베이스 또는 하우징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닛은 집적된 에너지 저장소, 예를 들어,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유닛에 대한 에너지원이 용기에 존재하며, 에너지는 인덕턴스를 통해 센서 유닛으로 무선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배치는 배터리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에너지 전송은 연관된 용기 없이도 센서 유닛의 사용을 방지한다.
측정값은 케이블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전자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센서 유닛은 이러한 무선 전송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지능형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미리 정의된 온도의 달성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송 수단은 제2 센서 및/또는 전자 유닛에 존재한다.
전술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내부의 온도는 제1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되고, 컨테이너 내의 이유식의 온도는 제2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하나의 간단한 실시예에서, 측정값은 온도 획득 유닛의 시기 적절한 제어 또는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측정값은 단지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전자 유닛으로 하여금 디바이스를 적절한 시기에 차단하고 컨테이너와 이유식을 제거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로부터의 측정값은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 유닛에 의해 사용된다. 두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중 평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디바이스는 이유식을 위한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갖는 용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획득 유닛, 및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유닛을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는 컨테이너 내의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전자 유닛은 이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에 따라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한다. 따라서, 센서는 컨테이너 내에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은 온도 획득 유닛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의 다른 실시예들 및 변형 예들은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며, 이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소형 컨테이너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개략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대형 컨테이너를 갖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유닛의 원근 화법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센서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어댑터부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냉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며, 이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소형 컨테이너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개략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대형 컨테이너를 갖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유닛의 원근 화법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센서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어댑터부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냉동된 이유식의 소형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6은 어댑터부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냉동된 이유식의 대형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은 어댑터부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액체 이유식의 소형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은 어댑터부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액체 이유식의 대형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개략도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는 전자 유닛(11), 온도 획득 유닛(12), 및 제1 센서(15)를 가지는 용기(1), 및 제2 센서(22)와 리프팅 바스켓(3)을 가지는 모바일 센서 유닛(2)을 포함한다. NTC, 선형 PTC, 플래티늄 R, 반도체, 및 IC 유형의 센서가 특히 제1 및 제2 센서(15, 22)로서 적합하다.
용기(1)는 베이스로도 지칭되는 베이스부(10), 및 베이스부(10) 위로 연장되는 컨테이너 수용체(1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수용체(13)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며, 이유식을 위한 컨테이너(5)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를 향해 개방된 내부(14)를 갖는다.
이 예시에서, 컨테이너(5)는 병 본체 및 병목(50)을 가지는 젖병으로, 병목은 음식을 투여하기 위해 젖꼭지가 배치되는 곳이다. 컨테이너(5)는 내부(14)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리프팅 바스켓(3)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리프팅 바스켓은 컨테이너(5)를 홀딩하기 위한 수용부(30), 및 바스켓을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핸들(31)을 포함한다.
전자 유닛(11) 및 온도 획득 유닛(12)은 베이스부(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획득 유닛(12)은 가열을 위해 또는 - 실시예에 따라 - 내부(14) 또는 내부에 위치한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유닛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제어 유닛은 전기 가열 코일 또는 전기 가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부에는 적절한 에너지원, 예를 들어, 배터리 또는 전기 주전원용 전기 커넥터가 존재한다.
제1 센서(15)는 내부(14)에 위치된다. 상기 센서는 전자 유닛(11)에 무선으로 또는 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측정 데이터를 이러한 전자 유닛(11)에 전송한다. 전자 유닛(11)은 제1 센서(15) 및/또는 제2 센서(22)에 의해 측정된 온도 값에 따라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는 성능, 특히 가열 성능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획득 유닛(12)에 연결된다.
센서 유닛(2)은 제2 센서(22), 제1 직경을 갖는 센서 헤드(20), 및 제2 직경을 갖는 센서 로드(21)를 포함한다.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센서(22)는 센서 헤드를 갖지 않는 센서 로드(21)의 단부 상에 위치된다. 상기 센서 로드는 이유식에 삽입되거나 이유식의 표면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이유식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후, 측정값은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전자 유닛으로 전송된다.
어댑터부(4)는 센서 유닛(2)을 원하는 위치로 유지한다. 어댑터부(4)는 센서 로드(21)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센서 헤드(20)는 어댑터부(4)에 놓여져서 상기 어댑터부에 의해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제2 센서(22)는 컨테이너의 벽으로부터 이격된 구역 내로 연장되고, 이유식의 온도를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어댑터부(4)는 컨테이너 넥(50)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부는 그 위에 나사 결합되거나 그 위에 삽입된다.
어댑터부(4)는 제2 센서(22)가 적어도 2개의 안정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이한 크기의 컨테이너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어댑터부(4)는 바람직하게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 예시에서, 상기 어댑터부는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부는 고정체(41), 바람직하게는 나사형 링 및 스페이서(4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40)는 본질적으로 중공 실린더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인 단부면으로 구성된다. 어댑터부(4)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부(4)의 형상은, 스페이서(40)가 나사형 링(41)에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변한다. 도 1에서, 컨테이너(5)는 비교적 소형 젖병이다. 스페이서(40)는 아래를 향하는 플랜지와 함께 배향된다. 나사형 링은 그 자체와 컨테이너 넥(50) 사이의 플랜지를 클램프한다. 스페이서(40)의 중공 실린더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컨테이너(5)를 길게 한다. 센서 헤드(20)는 스페이서(40) 상에 놓이고, 센서 로드(21)의 하부 자유 단부는 그 내부(51)에서 컨테이너(5)의 벽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종료된다.
대형 컨테이너가 도 2에 묘사되어 있다. 이 경우, 어댑터부(4)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스페이서(40)의 플랜지는 상향을 가르키고, 따라서 상기 플랜지는 나사형 링(41)과 컨테이너 넥(5)의 상부 단면 사이에서 클램프된다. 그러나, 스페이서(40)의 중공 실린더는 이제 아래를 향한다. 따라서, 센서 헤드(20)는 나사형 링 상에 놓인다. 이 경우에도, 센서 로드(21)의 자유 단부는 컨테이너(5)의 벽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종료된다.
도 3 및 도 4는 모바일 센서 유닛(2)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센서 유닛, 바람직하게는 센서 헤드(2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예시에서, 음향 신호 생성기(23)가 존재하고, 이는 이유식의 미리 정의된 온도의 달성을 표시하고 및/또는 장애를 보고한다. 도면 부호 24는 광학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작동 상태, 가열의 진행, 및 이유식의 미리 정의된 온도의 달성을 표시하는 상이한 색의 LED일 수 있다. 물론, 센서 유닛(2)은 온도 정보 및/또는 가열의 진행의 다이어그램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냉각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양한 유형의 이유식이 도 5 내지 도 8에 묘사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냉동 이유식 M1, M2의 경우에 컨테이너(5)에 삽입된 제2 센서(22)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 센서 로드(21)의 자유 단부가 이미 냉동된 표면 상에 놓여있기 때문에, 센서 헤드(20)는 스페이서(40) 또는 나사형 링(41) 상에 놓이지 않는다. 이유식을 해동하는 동안, 센서 로드(21)는 센서 헤드(20)가 다시 정지하고 센서 로드(21)의 자유 단부가 이유식에 의해 둘러싸일 때까지 어댑터(4)를 따라 하향으로 미끄러진다. 이 상황은 도 7 및 도 8에서 명백하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다. 센서 유닛(2)에 통합된 에너지원, 또는 센서 유닛(2)과 용기(1) 사이의 전력 케이블 대신에, 유도 모듈(6)이 존재한다. 용기(1)에는 대응하는 제1 유도 코일(60)이 제공되고, 센서 유닛(2)에는 제2 유도 코일(61)이 제공된다. 만약 센서 유닛(2)이 용기(1) 내에 위치되고, 용기(1)가 활성화되는 경우, 센서 유닛(2)에는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고, 제2 센서(22)는 필요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7), 및 온도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8)가 베이스(10)에 묘사되어있다. 유도 모듈(6) 없이도 이들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송 수단(7)은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8) 또는 다른 정보 소스로부터 정보 및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으로서 추가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온도 또는 사용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가열 가능한 유체, 바람직하게는 물이 컨테이너 수용체(13)의 내부(14)에 채워진다. 대안적으로, 용기는 예를 들어 특정 온도에 있는 공기에 의해 내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유식의 부피 뿐만 아니라 내부의 부피가 공지되어 있고, 이들 데이터는 전자 유닛으로 직접 들어가거나 전자 유닛에 의해 예를 들어 통합된 스케일에 의해 직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는 추가된 유체의 부피는 바람직하게는 대략적으로 이유식의 부피에 상응한다.
만약 디바이스가 현재 스위치 온 되면, 두 센서(15, 22)는 모두 상응하는 온도를 측정하고, 이 경우 이유식의 온도는 이하에서 TM으로 지칭되며, 온도를 상승 또는 저하시키는 유체의 온도는 TW으로 지칭된다. 전자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그 안에 포함된 제어기에 의해, 2개의 측정 매체의 부피의 비율에 대응하는 가중 온도 평균값을 계산한다.
T조절기 = (x * TM + y * TW) / 2
이 평균값 T조절기에 의해, 온도 획득 유닛이 이제 조절되고, 가열 성능 또는 필요한 경우에 냉각 성능이 그에 따라 조정된다. 만약 두 센서 중 하나로부터의 측정값만 제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평균값의 계산은 생략되며, 한 센서의 측정 데이터가 직접 또는 일정 기간 동안 평균화되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부드럽지만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 용기
10 베이스부
11 전자 유닛
12 온도 획득 유닛
13 컨테이너 수용체
14 내부
15 제1 센서
2 센서 유닛
20 센서 헤드
21 센서 로드
22 제2 센서
23 음향 신호 발생기
24 광 신호 발생기
3 리프팅 바스켓
30 수용부
31 핸들
4 어댑터부
40 스페이서
41 고정체
5 컨테이너
50 컨테이너 넥
51 내부
6 유도 모듈
60 제1 유도 코일
61 제2 유도 코일
7 전송 수단
8 스마트 디바이스
M1 소형 냉동 우유 양
M2 대형 냉동 우유 양
M3 작은 액체 우유 양
M4 대형 액체 우유 양

Claims (15)

  1.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로서,
    제1 부피를 가지는 매체를 포함하고, 제2 부피를 가지는 이유식을 위한 컨테이너(5)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갖는 용기(1),
    내부(14)가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온도 획득 유닛(12),
    상기 내부(14) 내의 상기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15),
    상기 컨테이너(5) 내의 이유식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22)를 갖는 센서 유닛(2), 및
    상기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기 위해 (i) 상기 제1 센서(15)로부터의 측정값 및 (ii) 상기 제2 센서(22)로부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온도 획득 유닛(12)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유닛(11)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유닛(11)은 상기 제1 부피 및 상기 제2 부피의 비율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의 측정값의 가중 온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전자 유닛(11)은 계산된 가중 온도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획득 유닛(12)을 조절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15)는 상기 내부(14)의 위치에 고정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22)는 모바일 센서이고, 상기 컨테이너(5) 내에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은 미리 정의된 온도의 달성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 24)를 포함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은 센서 헤드(20) 및 그 위에 배치된 센서 로드(21)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로드(21)에는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센서(22)가 구비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관통-구멍을 갖는 어댑터부(4)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부에 의해 상기 센서 유닛(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테이너(5)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4)는 상기 컨테이너(5)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4)는 상기 센서 유닛(2)을 상기 컨테이너(5)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 위치를 가지며,
    상기 센서 유닛(2)은 상기 2개의 고정 위치에 따라 컨테이너(5) 내로 상이한 범위로 연장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은 상기 어댑터부(4)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상기 센서 유닛(2)을 위한 에너지원(6)을 포함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지능형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8)에 미리 정의된 온도의 달성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7)을 포함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12.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방법으로서,
    제1 부피를 가지는 매체를 포함하고, 제2 부피를 가지는 이유식을 위한 컨테이너(5)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14)를 갖는 용기(1),
    상기 내부(14)가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온도 획득 유닛(12), 및
    상기 온도 획득 유닛(12)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유닛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센서(15)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14) 내의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센서(22)를 사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의 이유식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부피 및 상기 제2 부피의 비율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센서(15) 및 상기 제2 센서(22)로부터의 측정값의 가중 온도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온도 획득 유닛(12)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 유닛(11)에서 계산된 가중 온도 평균값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방법.
  13.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로서,
    이유식을 위한 컨테이너(5)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갖는 용기(1),
    내부(14)가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온도 획득 유닛(12), 및
    상기 내부(14)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센서(15)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컨테이너(5) 내의 이유식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센서(22)를 가지는 센서 유닛(2), 및
    관통-구멍을 갖는 어댑터부(4)으로서, 상기 어댑터부(4)에 의해 상기 센서 유닛(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테이너(5)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어댑터부(4)을 포함하는,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KR1020197020395A 2016-12-15 2017-12-11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KR102444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4285 2016-12-15
EP16204285.7 2016-12-15
PCT/EP2017/082225 WO2018108814A1 (de) 2016-12-15 2017-12-11 Vorrichtung zur temperierung von babyna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383A KR20190096383A (ko) 2019-08-19
KR102444320B1 true KR102444320B1 (ko) 2022-09-15

Family

ID=5760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395A KR102444320B1 (ko) 2016-12-15 2017-12-11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00151B2 (ko)
EP (1) EP3554321B1 (ko)
KR (1) KR102444320B1 (ko)
CN (1) CN110087515B (ko)
AU (1) AU2017375893B2 (ko)
CA (1) CA3045258A1 (ko)
TW (1) TWI746735B (ko)
WO (1) WO2018108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7291A (zh) * 2019-07-11 2021-01-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传感设备和包括其的电磁设备系统
ES1235499Y (es) * 2019-07-30 2019-12-23 Exclusivas Rimar S L Calienta biberón
US11363908B2 (en) * 2019-09-17 2022-06-21 Baby Brezza Enterprises LLC Baby bottle warmer and mixer
CN110693335B (zh) * 2019-10-25 2021-11-23 广州波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奶瓶调温器及其调温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623A (ja) 1999-02-10 2002-10-29 チル−カ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的部分として熱交換ユニットを含む容器の製造方法線
US20040247015A1 (en) * 2003-03-19 2004-12-09 Wojan Scott A. Beverage and food temperature notification device
US20110033587A1 (en) 2008-04-16 2011-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ottle warmer and mixing apparatus
WO2015173042A1 (en) * 2014-05-14 2015-11-19 Koninklijke Philips N.V. Heating device for heating food in a container, in particular milk in a baby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6004A (en) * 1928-07-25 1931-05-19 Walter K Tavender Electric heater
US2648226A (en) * 1948-11-26 1953-08-11 Eric Glasser Temperature indicator for nursing bottles
US2595685A (en) * 1949-04-25 1952-05-06 Robert E Mallory Infant milk bottle and food warmer
US2640907A (en) * 1950-12-01 1953-06-02 Glas Col Apparatus Co Inc Warming device
US2755665A (en) * 1953-03-30 1956-07-24 Hrand M Muncheryan Temperature indicating device
US2769564A (en) * 1954-01-13 1956-11-06 Oscar C Hoggren Portable milk pasteurizer
US2756031A (en) 1955-04-25 1956-07-24 Edgar L Sanstrom Baby bottle warmer
US2814202A (en) * 1955-07-25 1957-11-26 Robert D Frans Temperature indicator for infants' nursing bottles
US2981108A (en) * 1957-10-24 1961-04-25 Arnold K Andersen Thermometer assembly for nursing bottles
US3111574A (en) * 1960-08-12 1963-11-19 Spini Giacomo Apparatus for treating milk
US3247360A (en) * 1963-01-18 1966-04-19 Charles L Ponder Electrically heated nursing bottles
DE1978307U (de) * 1967-10-31 1968-02-08 Gerda Scherer Trinkflasche fuer saeuglinge.
DE4014569A1 (de) 1990-05-07 1991-11-21 Maik Hilbert Babyflaschenaufsatz zur temperaturmessung
US5208896A (en) * 1990-08-31 1993-05-04 Alexander Katayev Electrically warmed baby bottle with rechargeable battery recharging system
US5553941A (en) * 1994-02-18 1996-09-10 Safety-Temp Ltd. Thermometer and bottle cap assembly
US6417498B1 (en) * 2001-04-12 2002-07-09 Janice M. Shields Neonatal substrate warmer
US6571564B2 (en) * 2001-10-23 2003-06-03 Shashank Upadhye Timed container warmer and cooler
GB0229302D0 (en) 2002-12-17 2003-01-22 Anderson Keith J Heating device
US20040140304A1 (en) * 2003-01-22 2004-07-22 Leyendecker Kurt Philip Baby bottle chiller/warmer and method of use
GB2402322B (en) 2003-05-09 2006-09-27 Cannon Rubber Ltd Babycare heating apparatus
DE502004007315D1 (de) * 2004-03-19 2008-07-17 Dbk David & Baader Gmbh Elektrisches Wärmegerät mit Stromsensor
SE0401476L (sv) * 2004-06-08 2005-12-09 Caspar Teglbjaerg Uppvärmningsanordning
JP2008502387A (ja) * 2004-06-14 2008-01-31 ロフエ,デービッド ベビーフードを調製する装置
US20060213205A1 (en) * 2005-03-23 2006-09-28 Reverendo Victor J Baby bottle warmer
US20060286255A1 (en) * 2005-06-18 2006-12-21 Zhaoxia Xu Automated Soup Making Apparatus
KR200401459Y1 (ko) * 2005-08-12 2005-11-17 하정규 분유혼합장치
US7942145B2 (en) * 2007-04-16 2011-05-17 Travis Palena Rechargeable self-heating food container
US9241596B2 (en) 2008-02-19 2016-01-26 Medela Holding Ag Breastmilk handling apparatus
US20090255647A1 (en) * 2008-04-09 2009-10-15 Lyninn Lim Infant care ensemble
EP2288278B1 (en) * 2008-05-14 2012-04-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heating fluid in a container
US8866050B2 (en) * 2010-09-14 2014-10-21 Kiinde, Llc Baby bottle warm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20085724A1 (en) * 2010-10-08 2012-04-12 Jeremy George Barker Insulated reusable self-warm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DE102010055511B4 (de) * 2010-12-22 2014-10-16 Fissler Gmbh Elektronikmodul für eine temperaturüberwachte Zubereitung von Gargut in einem Kochgefäß
US20130098862A1 (en) * 2011-10-24 2013-04-25 Jie-Feng Yi Multi-Function of Intelligence Milk Bottle Design
TW201325520A (zh) * 2011-12-29 2013-07-01 Ya Horng Electronic Co Ltd 食物料理機安全裝置及其控制模組
US20150068720A1 (en) * 2013-09-09 2015-03-12 Rest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fant-milk Warmer
US8809745B1 (en) * 2012-03-06 2014-08-19 Racquel L. Scarberelli Infant bottle and food warmer
WO2014027345A1 (en) * 2012-08-13 2014-02-20 Nutrits Ltd. Container and method for handling and treating a consumable liquid
CN102880746B (zh) * 2012-09-04 2015-01-28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 汽轮机转子体积平均温度计算的惯性环节系数的确定方法
CN103017850B (zh) * 2012-11-27 2014-06-25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五研究院第五一〇研究所 一种测量真空容器容积比的装置及方法
US9357336B2 (en) 2012-12-03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20140190357A1 (en) * 2013-01-09 2014-07-10 Ka Chun MAK Bottl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WO2014190475A1 (zh) * 2013-05-27 2014-12-04 Lin Qiang 一种暖奶器
CN103479523A (zh) 2013-10-16 2014-01-01 武汉大学 恒温奶瓶
TWM482399U (zh) 2014-02-26 2014-07-21 Univ Kun Shan 具超級電容之便攜式奶瓶保溫器
JP5940574B2 (ja) * 2014-03-03 2016-06-29 三田理化工業株式会社 母乳殺菌装置
TW201600015A (zh) * 2014-06-30 2016-01-01 南開科技大學 均溫烤箱
RU2590874C1 (ru) 2015-02-20 2016-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эбиФилд" (ООО "БэбиФилд") Подогреватель для бутылочек с детским питанием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JP6397139B2 (ja) * 2015-03-13 2018-09-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容器の中の食品、特に哺乳瓶の中のミルクを加熱するための加熱装置及び方法。
WO2016160019A1 (en) 2015-04-02 2016-10-06 Moore Cheryl E Sip n soothe
WO2017151362A1 (en) * 2016-02-29 2017-09-08 Ember Technologies, Inc. Liquid container and module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liquid in container
EP3545249B1 (en) * 2016-11-22 2022-01-26 Sandeep Kumar Chintala Portable container with temperature regulator
US10932616B2 (en) * 2017-03-07 2021-03-02 Christopher T. Moore Drinking/feeding container with a thermoelectric device to heat a flow of fluid
EP3745931A1 (en) * 2018-01-31 2020-12-09 Handi-Craft Company Warm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ing 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623A (ja) 1999-02-10 2002-10-29 チル−カ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的部分として熱交換ユニットを含む容器の製造方法線
US20040247015A1 (en) * 2003-03-19 2004-12-09 Wojan Scott A. Beverage and food temperature notification device
US20110033587A1 (en) 2008-04-16 2011-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ottle warmer and mixing apparatus
WO2015173042A1 (en) * 2014-05-14 2015-11-19 Koninklijke Philips N.V. Heating device for heating food in a container, in particular milk in a baby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13843A1 (en) 2019-10-17
AU2017375893B2 (en) 2022-12-15
TW201826988A (zh) 2018-08-01
EP3554321B1 (de) 2024-03-13
WO2018108814A1 (de) 2018-06-21
CN110087515A (zh) 2019-08-02
CA3045258A1 (en) 2018-06-21
CN110087515B (zh) 2022-06-14
US11000151B2 (en) 2021-05-11
TWI746735B (zh) 2021-11-21
KR20190096383A (ko) 2019-08-19
AU2017375893A1 (en) 2019-06-13
EP3554321A1 (de)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320B1 (ko) 이유식을 특정 온도에 있게 하는 디바이스
CN105078266B (zh) 用于加热容器中的食物、特别是奶瓶中的奶的加热装置
US7706671B2 (en) Multi-function liquid container
US10244892B2 (en) Liquid container and module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liquid in container
EP1613937B1 (en) Thermometer
WO2008119966A2 (en) Liquid heating vessels
US8759722B2 (en) Baby feeding apparatus
KR20150034975A (ko) 전기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및 그 제어방법
CN103479523A (zh) 恒温奶瓶
EP3281566A1 (en) Intelligent houseware
ES2572614B1 (es) Aparato y método de cocción
GB2448009A (en) Liquid heating vessels
EP3281567A1 (en) Intelligent carafe
CN108836053A (zh) 具有自动出液功能的储液壶
CA3156188A1 (en) Beverage container cooling system for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ES1283269U (es) Recipiente de coccion con sistema de medicion de temperatura
GB2408335A (en) Thermometer for contacting the concave bottom of a wine bottle
CN102628656A (zh) 一种饮用水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