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296B1 -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296B1
KR102444296B1 KR1020200157214A KR20200157214A KR102444296B1 KR 102444296 B1 KR102444296 B1 KR 102444296B1 KR 1020200157214 A KR1020200157214 A KR 1020200157214A KR 20200157214 A KR20200157214 A KR 20200157214A KR 102444296 B1 KR102444296 B1 KR 10244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la
peg
forming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159A (ko
Inventor
윤홍섭
김흥도
Original Assignee
(주)와이비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비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와이비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5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66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biodegradable or bio-solubl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은 PLA 형성용 제 1 소스 물질, PEG 형성용 제 2 소스 물질 및 제 1 용매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 조성물에 개시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개시제 및 촉매가 첨가된 원료 조성물로부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제 2 용매에 용해하여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으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Method of forming biodegradable nano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lter memb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섬유의 제조 및 활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 정책의 변화로 친환경 소재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난분해성 플라스틱의 비중을 줄이고, 재활용이 쉬운 제품을 제작하거나, 매립시 생분해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 및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는 화학 구조를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와 함께 미립자 물질로 인한 대기 오염 등의 문제는 인간 건강에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고, 공기 필터 등에 적용되는 필터 소재의 개발에 상당한 연구 노력이 투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재료가 공중합된 생분해성 소재를 합성한 후, 이로부터 우수한 특성을 갖는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적용하여 필터 부재 등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LA(poly lactic acid) 형성용 제 1 소스 물질, PEG(poly ethylene glycol) 형성용 제 2 소스 물질 및 제 1 용매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 조성물에 개시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개시제 및 촉매가 첨가된 원료 조성물로부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제 2 용매에 용해하여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으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D-LA, L-LA, meso-LA, PDLA, PLLA 및 PL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물질의 중량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Mw)은 약 8000 내지 12000 Da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MPEG 및 PEG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물질의 수평균 분자량(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은 약 500 내지 1000 Da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acetyl peroxide, cumyl hydroperoxide 및 potassium persulf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stannous octoate [Sn(Oc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조성물에 대한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약 0.4∼0.6 wt%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약 4:1 내지 7: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원-포트 개환 중합(one-pot ring-opening polymerization) 공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용매는 1차 용매 및 2차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상기 제 2 용매에 용해하여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상기 1차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용매와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혼합액을 상기 2차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용매는 메탄올(methanol) 및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의 함량은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함량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과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부피비(메탄올:아세토니트릴)는 약 1.5:1 내지 3: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2차 용매는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약 10∼400 n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악 100∼300 nm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적용한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필터 부재는 미세입자 차단용 마스크 부재 또는 비말 차단용 마스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재료(예컨대, 두 가지 재료)가 공중합된 생분해성 소재를 합성하고, 이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적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 생분해성 부재, 예를 들어, 생분해성 필터 부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 및 생분해성 부재는 친환경적인 소재/제품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 반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반응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 반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반응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조건으로 제조된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 조건에 따른 유리전이온도(Tg) 및 용융온도(Tm)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각각 실험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형성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 이미지(A 도면) 및 입경 분포(입도 분포) 특성(B 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은 PLA(poly lactic acid) 형성용 제 1 소스 물질, PEG(poly ethylene glycol) 형성용 제 2 소스 물질 및 제 1 용매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S10), 상기 원료 조성물에 개시제(initiator)(즉, 경화 개시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단계(S20), 상기 개시제 및 촉매가 첨가된 원료 조성물로부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S30),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제 2 용매에 용해하여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으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PLA를 형성하기 위한 일종의 전구체(precursor)일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모노머(monomer) 형태이거나 올리고머(oligomer) 형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폴리머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D-LA (D-lactide), L-LA (L-lactide), meso-LA (meso-lactide), PDLA [poly(D-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및 PL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스 물질의 중량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Mw)은 약 8000 내지 12000 Da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소스 물질의 구체적인 물질 및 분자량 조건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PEG를 형성하기 위한 일종의 전구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모노머 형태이거나 올리고머 형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폴리머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MPEG 및 PEG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PEG는 poly(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이다.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MPEG 및 PEG 중 어느 하나의 모노머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소스 물질의 수평균 분자량(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은 약 500 내지 1000 Da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소스 물질의 구체적인 물질 및 분자량 조건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용매는 상기 제 1 소스 물질 및 상기 제 1 소스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chloroform, DMF(dimethylformamide), THF(tetrahydrofuran), MEK(methyl ethyl ketone), DCM(dichloromethane), acetone, TA(triacetin), H2O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적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상기 개시제는, 예를 들어, acetyl peroxide, cumyl hydroperoxide 및 potassium persulf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된 상기 개시제의 구체적인 물질은 예시적인 것이고, 그 밖에 다른 개시제 물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촉매로는 stannous octoate [Sn(Oct)2]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tannous octoate는 tin(Ⅱ) 2-ethylhexanoate (농도: 92.5∼100 %) 일 수 있다. 상기 원료 조성물 전체에 대한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예컨대, 약 0.4∼0.6 wt%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약 0.5 wt% 일 수 있다. 이러한 첨가량 범위 조건을 만족할 때, 중합 반응에 의한 공중합체(즉,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S10 단계에서 복수의 입구를 갖는 환저 플라스크(round bottom flask) 내에 상기 원료 조성물을 구비시킨 후, S20 단계에서 상기 개시제 및 촉매를 상기 환저 플라스크 내에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시제 및 촉매는 용액 상태로 용해되어 투입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개시제 및 촉매가 첨가된 원료 조성물을 소정의 온도(예컨대, 100∼150℃; 일례로, 120℃)에서 소정의 시간(예컨대, 1∼30 시간; 일례로, 20 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고, 상기 원료 조성물에 형성된 공중합체를 헥산(hexane) 용액에서 침전시키고 원심 분리를 통해 침전물(즉, 공중합체)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침전물을 소정의 조건에서 건조하여, 왁스와 같은 고체 형태의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는 S30 단계의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 해당된다. 상기 건조 공정은 진공 조건(예컨대, 0.1 mbar at 25℃)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건조 공정의 조건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원-포트 개환 중합(one-pot ring-opening polymerization) 공정에 의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개환 중합'은 고리 구조가 열리면서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원-포트(one-pot)'는 하나의 반응 용기 내에서 중합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원-포트 개환 중합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는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diblock copolymer 형태를 갖거나, triblock copolymer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약 4:1 내지 7:1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로부터 우수한 물성 조건 및 특성을 갖는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기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상기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S10 단계에서 투입되는 상기 제 1 소스 물질(전구체) 및 상기 제 2 소스 물질(전구체)의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상기 제 2 용매는, 예컨대, 1차 용매 및 2차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용매를 사용해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용해하여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S40 단계는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상기 1차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용매와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혼합액을 상기 2차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용매는 주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용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2차 용매는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위해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의 농도 및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1차 용매와 상기 2차 용매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용매는 알코올계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차 용매는 비알코올계 용매(예컨대, 수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1차 용매는 메탄올(methanol) 및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의 함량은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함량 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과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부피비(메탄올:아세토니트릴)는 약 1.5:1 내지 3:1 정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과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부피비(메탄올:아세토니트릴)는 2:1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용매는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용매로 물(즉, 탈이온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의 농도 및 점도를 조절하면서, 용매의 유해성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조건으로 상기 1차 용매와 2차 용매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용해시키면서도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위해 용액의 농도 및 점도를 제어하고 유해성을 낮추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에 전해질(용액)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질은 후속하는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에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에 전기적 신호(전압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잘 인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예컨대, NaCl 수용액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약 10∼400 n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약 100∼300 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가 약 4:1 내지 7:1 범위인 경우, 점도 및 전기전도도 등의 조건 제어가 용이할 수 있고,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직경 분포 특성을 제어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 반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반응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소스 물질과 제 2 소스 물질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D-LA (D-lactide)일 수 있고, 상기 제 2 소스 물질을 나타내는 분자식은 PEG의 모노머(단량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합 반응은 개환 중합 반응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 반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반응식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소스 물질과 제 2 소스 물질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촉매 물질로 stannous octoate [Sn(Oct)2]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D-LA 일 수 있고,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PEG의 올리고머(또는 폴리머)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개환 중합 반응일 수 있다. 중합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PDLA-PEG-PDLA 구조를 가질 수 있다. PDLA-PEG-PDLA 구조도 PLA-PEG계 공중합체의 일례라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방사 장치는 시린지 부재(syringe member)(10)를 포함할 수 있고, 시린지 부재(10) 내에 폴리머 용액(20)이 담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폴리머 용액(20)은 도 1의 S40 단계의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에 해당할 수 있다. 시린지 부재(10)의 단부에 노즐(30)이 구비될 수 있고, 전압이 인가되면, 노즐(30) 끝에 테일러 콘(Taylor cone)(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방사 장치는 시린지 부재(10)와 이격하여 배치된 콜렉터(50) 및 노즐(30)과 콜렉터(50) 사이에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60)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50)는 일종의 카운터 전극(counter electrode)일 수 있다. 테일러 콘(40)과 콜렉터(50)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약 5∼20 cm 정도일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60)는 노즐(30)과 콜렉터(50) 사이에 고전압(high voltage)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서플라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워 서플라이(60)에 의해 노즐(30)과 콜렉터(5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은 교류 전압(DC)으로, 그 크기는 약 10∼30 kV 정도일 수 있다.
노즐(30)과 콜렉터(5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테일러 콘(40)으로부터 폴리머 섬유(70)가 방사되어 콜렉터(50) 상에 나노섬유(80)의 웹(web)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나노섬유(80)는 도 1의 S50 단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에 대응될 수 있다.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점도(농도), 용매의 종류,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 공중합체 용액의 압출 속도(유속), 노즐(30)과 콜렉터(50) 사이의 거리 등의 조건에 따라, 나노섬유(80)의 직경(굵기), 비드(bead) 생성 여부 등이 제어/결정될 수 있다.
[실험예 1]: 상기 제 1 소스 물질로 PLA (Mw = 10000 Da)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소스 물질로 MPEG (Mn = 750 Da)를 사용하여 원-포트 개환 중합(one-pot ring-opening polymerization) 공정을 통해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형성하였다. 질소 분위기 하에서 촉매로 stannous octoate [Sn(Oct)2], 즉, tin(Ⅱ) 2-ethylhexanoate (농도: 92.5∼100 %)를 원료 조성물 전체의 0.5 wt% 만큼 첨가하였다. 촉매와 개시제가 첨가된 원료 조성물을 120℃ 온도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료 조성물에 형성된 공중합체를 헥산 용액(500 mL)에서 침전시키고 원심 분리를 통해 침전물(즉, 공중합체)을 분리하였다. 그 다음, 상기 침전물을 진공 조건(0.1 mbar at 25℃)에서 건조하여, 고체 형태의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물성을 평가하였고, 수득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제 2 용매에 용해시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한 후, 이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였다. 상기한 실험예 1에서 수득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1:1 이었다.
[실험예 2]: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3:1 이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3]: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5:1 이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4]: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7:1 이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5]: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9:1 이 되도록 하였다.
아래의 표 1은 상기한 실험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로부터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된 방사용 용액의 전기전도도 및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20125259729-pat00001
상기한 표 1을 참조하면, PLA와 PEG의 중량비 조건에서 PL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조건으로 제조된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 조건에 따른 유리전이온도(Tg) 및 용융온도(Tm)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의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LA와 PEG의 중량비 조건에서 PLA의 함량이 감소할수록(즉, PEG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LA-PEG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 및 용융온도(Tm)는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각각 상기한 실험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형성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 이미지(A 도면) 및 입경 분포(입도 분포) 특성(B 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험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형성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로부터 점도, 인가 전압, 유속 등의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전자방사 공정을 수행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 후,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 6은 상기한 실험예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1:1 이었다.
도 7은 상기한 실험예 2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3:1 이었다.
도 8은 상기한 실험예 3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5:1 이었다.
도 9는 상기한 실험예 4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7:1 이었다.
도 10은 상기한 실험예 5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9:1 이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합성된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에 따라서, 제조되는 나노섬유의 미세 구조(조직) 및 입경 분포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가 약 4:1 내지 7:1 범위인 경우, 점도 및 전기전도도 등의 조건 제어가 용이할 수 있고,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직경 분포 특성을 제어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나노섬유는 필터 부재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적용한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부재는 미세입자 차단용 마스크 부재 또는 비말 차단용 마스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는 공기청정기용 헤파 필터 부재 또는 물여과용 멤브레인 부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는 약물 전달체, 창상 피복제 등과 같은 의료용 부재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소재가 공중합된 생분해성 복합 소재(즉,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복수의 용매를 이용해서 상기 생분해성 복합 소재를 적절히 용해한 후,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 소재에 의해 향상된 물성/특성을 갖는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적용하면,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 생분해성 부재, 예를 들어, 생분해성 필터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생분해성 나노섬유 및 생분해성 부재는 친환경적인 소재/제품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환,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나노섬유는 필터 부재뿐 아니라 그 밖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S10∼S50 : 단계들 10 : 시린지 부재
20 : 폴리머 용액 30 : 노즐
40 : 테일러 콘 50 : 콜렉터
60 : 파워 서플라이 70 : 폴리머 섬유
80 : 나노섬유

Claims (17)

  1. PLA(poly lactic acid) 형성용 제 1 소스 물질, PEG(poly ethylene glycol) 형성용 제 2 소스 물질 및 제 1 용매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료 조성물에 개시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개시제 및 촉매가 첨가된 원료 조성물로부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제 2 용매에 용해하여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으로부터 전자방사(electrospinning) 공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매는 1차 용매 및 2차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상기 제 2 용매에 용해하여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를 상기 1차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용매와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의 혼합액을 상기 2차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용매는 메탄올(methanol) 및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의 함량은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함량 보다 높고,
    상기 1차 용매에서 상기 메탄올과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부피비(메탄올:아세토니트릴)는 1.5:1 내지 3:1 범위이고,
    상기 2차 용매는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물질은 D-LA (D-lactide), L-LA (L-lactide), meso-LA (meso-lactide), PDLA [poly(D-lactic acid)], PLLA [poly(L-lactic acid)] 및 PL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소스 물질의 중량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Mw)은 8000 내지 12000 Da 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스 물질은 MPEG [poly(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및 PEG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소스 물질의 수평균 분자량(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은 500 내지 1000 Da 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acetyl peroxide, cumyl hydroperoxide 및 potassium persulf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stannous octoate [Sn(Oct)2]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조성물에 대한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0.4∼0.6 wt% 범위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에서 PLA와 PEG의 중량비(PLA:PEG)는 4:1 내지 7:1 범위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PLA-PEG 공중합체는 원-포트 개환 중합(one-pot ring-opening polymerization) 공정에 의해 합성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10∼400 nm 범위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100∼300 nm 범위인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16.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8, 14 및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해서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나노섬유를 적용한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미세입자 차단용 마스크 부재 또는 비말 차단용 마스크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200157214A 2020-11-21 2020-11-21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44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214A KR102444296B1 (ko) 2020-11-21 2020-11-21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214A KR102444296B1 (ko) 2020-11-21 2020-11-21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59A KR20220070159A (ko) 2022-05-30
KR102444296B1 true KR102444296B1 (ko) 2022-09-16

Family

ID=8179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214A KR102444296B1 (ko) 2020-11-21 2020-11-21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2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0766A1 (ja) * 2009-09-10 2011-03-17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ポリ乳酸ステレオコンプレックス結晶の製造方法、ポリ乳酸、その成形体、合成繊維、多孔体およびイオン伝導体
KR101193972B1 (ko) 2011-05-19 2012-10-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초극세 나노파이버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016B2 (ja) * 1994-05-06 2002-11-05 カネボウ株式会社 高強力ポリ乳酸繊維の製造方法
KR101830198B1 (ko) * 2015-06-25 2018-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분자-고분자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0766A1 (ja) * 2009-09-10 2011-03-17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ポリ乳酸ステレオコンプレックス結晶の製造方法、ポリ乳酸、その成形体、合成繊維、多孔体およびイオン伝導体
KR101193972B1 (ko) 2011-05-19 2012-10-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초극세 나노파이버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cientific Reports, Nature, 2020.2.27, https://doi.org/10.1038/s41598-020-6045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59A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Biomedical application and controlled drug release of electrospun fibrous materials
Choi et al. Rapid development of dual porous poly (lactic acid) foam using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3D printing for medical scaffold application
Bellani et al. Morphologic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 (ε‐caprolactone)/poly (ε‐caprolactone)‐grafted‐cellulose nanocrystals mat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Kim et al. Control of degradation rate and hydrophilicity in electrospun non-woven poly (D, L-lactide) nanofiber scaffold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Sh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in vitro degradation of electrospun bio-nanocomposite mats from PLA and cellulose nanocrystals
Zhou et al. Biodegradable poly (ε-caprolactone)-poly (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characterization and their use as drug carriers for a controlled delivery system
Thieme et al. Electrospinning and cutting of ultrafine bioerodible poly (lactide‐co‐ethylene oxide) tri‐and multiblock copolymer fibers for inhalation applications
CN106957514B (zh) 具有高水蒸气阻隔性的pbat基生物降解复合材料
Liu et al. Controllable structure, properties, and degradation of the electrospun PLGA/PLA‐blended nanofibrous scaffolds
Cheng et al.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hexanoate) nanofibrous membranes
US9321208B2 (en) Nanofibers with excellent biodegradability and biocompati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sme et al. Development of biobased poly (lactic acid)/epoxidized natural rubber blends processed by electrospinning: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thermal properties
Mujica-Garcia et al. Influence of the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electrospinning of biopolymeric fibers
Nuamcharoen et al. Influence of volatile solvents and mixing ratios of binary solvent systems on morphology and performance of electrospun poly (vinylidene fluoride) nanofibers
Bhattarai et al. Biodegradable electrospun mat: Novel block copolymer of poly (p‐dioxanone‐co‐l‐lactide)‐block‐poly (ethylene glycol)
Fakhrali et al. Electrospun PGS/PCL nanofibers: From straight to sponge and spring‐like morphology
JP2009144012A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からなる多孔質微粒子の製造方法
Shen et al. Effects of the glycerophosphate-polylactic copolymer formation on electrospun fibers
Teng et al. Synthesis and degradability of a star-shaped polylactide based on l-lactide and xylitol
De Geyter et al. Non-thermal plasma surface modific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s
Shen et al. Effect on electrospun fibres by synthesis of high branching polylactic acid
KR102444296B1 (ko)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필터 부재의 제조 방법
CN111979593A (zh) 聚乳酸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Meng et al. Recent Progress in Modification and Preparations of the Promising Biodegradable Plastics: Polylactide and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KR101863955B1 (ko) 역미셀을 이용하여 다공성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나노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