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217B1 - 충격 흡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217B1
KR102444217B1 KR1020210170024A KR20210170024A KR102444217B1 KR 102444217 B1 KR102444217 B1 KR 102444217B1 KR 1020210170024 A KR1020210170024 A KR 1020210170024A KR 20210170024 A KR20210170024 A KR 20210170024A KR 102444217 B1 KR102444217 B1 KR 102444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ck absorbing
absorbing structure
imp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선
최다현
Original Assignee
(주)두리안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리안컴퍼니 filed Critical (주)두리안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7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17B1/ko
Priority to EP22833524.6A priority patent/EP4365460A1/en
Priority to PCT/KR2022/009083 priority patent/WO2023277468A1/ko
Priority to CN202280059562.6A priority patent/CN11789756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7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 damp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92Sen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16F2222/126Fluid damping us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fibre-reinforced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선박, 도로시설물 등에 설치되어 충돌이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일정 이상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가해대상물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면(前面)과 후면을 팽팽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섬유사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해대상물이 몸체의 일 지점에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가할 시, 상기 일 지점 부근에 연결된 섬유사가 끊어져, 일 지점 부근이 가해대상물을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구조체{Shock absorbing structure}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선박, 도로시설물 등에 설치되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다른 차량 또는 사람, 외부 물체와의 충돌 시 충격력을 감소시켜 차량 등의 손상, 탑승자, 보행자 등의 부상을 경감시키고자 전방과 후방에 범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퍼에도 불구하고 큰 피해를 야기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도로 상에 정차하여 작업하는 차량의 경우, 충돌 사고시 충격 흡수가 어려워 충격력이 차량이나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도로에서 정차하여 작업하는 차량에는 TMA(Truck Mounted Attenuator), 일명 트럭 부착형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하면서 큰 사고를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시작지점 또는 도로의 분리 지점 등에서 도로시설물과 차량 간의 충돌 사고가 빈번히 발생됨을 고려하여, 도로시설물에도 차량과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한편, 선박은 선체가 파도와 늘 부딪침은 물론, 항만에 접안하는 과정에서 항만시설과 부딪힘이 발생되며, 부유물, 암초 또는 타 선박과 충돌 여지가 항시 존재한다. 따라서, 선박은 선체 중 부딪힘이 자주 발생되는 부분에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도로시설물, 선박 등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 장치는, 통상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충돌 사고가 1차적으로 발생되면 해당 충격 흡수 장치가 충격력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모두 배출되어, 2차, 3차 사고에 따른 피해를 줄이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충격 흡수 장치는 일정 이상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으나,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흡수할 수 있는 충격력에 큰 차이가 있어, 이를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인적/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되는 충돌 사고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충격 흡수 장치는 무게가 상당하여 이를 차량, 도로시설물, 선박 등에 설치됨에 있어 많은 부품이 필요하고, 특히 차량의 경우 무게 증가로 연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7591호 '충격 흡수 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선박, 도로시설물 등에 설치되어 충돌이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일정 이상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가해대상물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면(前面)과 후면을 팽팽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섬유사가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는, 탄성에 의해 입구가 밀폐되도록 스프링이 구비되어, 몸체에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외측에서 가해질 시 입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이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구비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섬유사의 끊어짐에 따른 가해다상물의 감쌈과, 공기배출구를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치 않은 충격 발생시, 터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표면의 강도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약하게 형성된 터짐유도부가 적어도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해대상물이 몸체의 일 지점에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가할 시, 상기 일 지점 부근에 연결된 섬유사가 끊어져, 상기 몸체의 일 지점 부근이 가해대상물을 감싸게 되는바, 몸체가 마련된 설치대상물은 물론, 몸체와 부딪히는 가해대상물에 대하여도 충돌이 가해지는 방향과 관계없이 일정 이상의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충돌 사고로 인한 인적ㆍ물적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고 섬유사로 전면(前面)과 후면이 연결된 몸체는, 종래 충격 흡수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게 제작이 가능한바, 충격 흡수 구조체를 설치함에 따라 연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몸체가 터지는 것이 아니라, 충격량에 따라 몸체 내부의 공기가 소정의 양만큼만 배출되는바, 1차 사고 이후 발생될 수 있는 2차, 3차 사고도 대비할 수 있어,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가 설치대상물에 설치되고 가해대상물과 충돌이 발생될 시 변화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의 전면(前面)에 강도보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에 공기주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에 적용되는 공기배출구가 작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에 적용되는 공기배출구에 거름망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에 터짐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에 조임줄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에서 조임줄이 구비된 몸체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가 복수 개의 몸체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가 설치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차량, 선박, 도로시설물 등에 설치되어 충돌이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일정 이상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가해대상물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면(前面)과 후면을 팽팽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섬유사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해대상물이 몸체의 일 지점에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가할 시, 상기 일 지점 부근에 연결된 섬유사가 끊어져, 일 지점 부근이 가해대상물을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충격 흡수 구조체(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몸체(1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선박, 가드레일, 도로시설물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대상물(20)을 향해 이동하여 충돌하는 가해대상물(10)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치대상물(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설치대상물(20)에 몸체(100)가 설치되는 위치도 다양할 수 있는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가 긴 통 형태를 이루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별도의 설치대상물(2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놓여져 추락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부상을 방지하는 안전매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는 소정의 충격력에도 견딜 수 있으면서 신축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신축성이 우수한 우레탄계열의 테라스틱 TPU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우레탄계열의 테라스틱 TPU 재질 특성상, 충돌시 접촉 면적이 넓고 충돌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해대상물(10) 또는/및 설치대상물(20)의 거동성을 감소시켜 튕김이나 빗나감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전면(前面)과 후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섬유사(110)가 구비된다. 이때, 섬유사(110)는, 강도와 신축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의 섬유사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강화 나일론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섬유사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내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복수 개가 몸체(100)의 전면(前面)과 후면을 팽팽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섬유사(110)의 개수는 몸체(100)의 크기,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섬유사(110)는 모두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몸체(100)의 전면(前面)과 후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를 선택적으로 달리하여 충격 흡수 구조체(A)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설치대상물(20)의 종류, 예상되는 가해대상물(10)의 종류 등에 따라 몸체(100)의 전면(前面)과 후면이 굴곡진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섬유사(110)는 충격 흡수 구조체(A)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설치대상물(20)의 종류, 예상되는 가해대상물(10)의 종류 등에 따라 굵기, 개수, 강도 등이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전면(前面)과 후면이 섬유사(110)에 의해 연결된 몸체(100)는, 전면(前面)이 설치대상물(20)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몸체(100)의 전면(前面)이란, 몸체(100)에서 설치대상물(20)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된 면을 의미한다. 또한, 몸체(100)의 전면(前面)과 후면을 잇는 몸체(100)의 표면 부분을 몸체(100)의 측면이라 칭한다.
몸체(100)가 설치된 설치대상물(20)에 대한, 차량, 선박 등과 같은 가해대상물(10)의 충돌 시, 충격력이 일정 미만인 경우 몸체(100)의 소재 특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나, 충격력이 일정 이상인 경우 몸체(100)가 가해대상물(10)을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해대상물(10)이 몸체(100)의 일 지점에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가하게 되면, 몸체(100)의 일 지점 부근에 연결된 섬유사(110)가 끊어져, 몸체(100)의 일 지점 부근이 가해대상물(10)을 감싸게 된다.
이로 인해, 몸체(100)가 설치된 설치대상물(20)은 물론, 몸체(100)와 부딪히는 가해대상물(10)에 대하여도 충돌이 가해지는 방향과 관계없이 일정 이상의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충돌 사고로 인한 인적ㆍ물적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고 섬유사(110)로 전면(前面)과 후면이 연결된 몸체(100)는, 종래 충격 흡수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게 제작이 가능한바, 충격 흡수 구조체(A)를 설치함에 따라 연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해대상물(10)과 직접적인 충돌이 이루어지는 몸체(100)는, 필요에 따라 강도보강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20)는 일 예로, 몸체(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도보강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시 가해대상물(10)과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몸체(100)의 전면(前面)에 덧대어질 수 있음음 물론, 몸체(100) 전체에 덧대어질 수도 있다. 특히, 몸체(100)의 전면(前面)에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강도보강부재(120)를 덧댄 후 강도보강부재(120)를 몸체(100)를 형성하는 소재로 다시 감쌈으로써, 최외부 표면이 부드러우면서 강도보강부재(120)가 구비된 부분에 저압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충격의 초기값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 구조체(A)의 몸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130)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구(14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주입구(130)는 에어펌프 등과 연결되어 몸체(100) 내부에 공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기배출구(140)는 필요에 따라 몸체(100) 내에 충전된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몸체(100)가 흡수할 수 있는 정도, 몸체(100)의 크기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충격량 이상의 충돌시 몸체(1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몸체(100)가 터지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00)의 전면(前面)과 후면을 몸체(100)의 내부에서 섬유사(110)가 연결하고 있는바, 공기주입구(130) 및 공기배출구(140)는 몸체(100)의 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배출구(140)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몸체(100)에 구비됨으로써, 어떠한 방향에서든지 소정의 충격량 이상의 충돌이 발생되더라도 공기배출구(140)를 통해 공기가 원활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공기배출구(140)는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에 의해 입구가 밀폐되도록 스프링(141)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40)에 구비된 개폐구는 평상시 스프링(141)의 탄성에 의해 입구를 밀폐하여 몸체(100)의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몸체(100)가 밀폐된 상태에서 가해대상물(10)에 의한 충돌로 인해 몸체(100)에 스프링(141)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외측에서 가해질 시, 상기 개폐구가 스프링(141)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몸체(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구(140)는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141)이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이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141)이 구비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구(140) 각각은, 몸체(100)에 가해진 충격력이 스프링(141)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에만 입구가 개방되어 열리므로,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열리는 공기배출구(140)의 개수 및 공기배출구(140)의 입구가 열린 정도가 달라져, 충돌 상황에 적절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구(140)는, 충격 흡수 구조체(A)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설치대상물(20)의 종류, 예상되는 가해대상물(10)의 종류 등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입구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충격 흡수 구조체(A)가 안전매트로 사용되는 경우, 사람 등과 같은 가해대상물(10)이 추락하는 높이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열리는 공기배출구(140)의 개수, 공기배출구(140) 입구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충격 흡수 구조체(A)가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배출구(140)는 충돌이 발생되어 몸체(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만 열려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다가, 몸체(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입구가 닫히게 되어 공기의 배출이 차단되는바, 1차 사고 이후 발생될 수 있는 2차, 3차 사고도 대비할 수 있어,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구(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로 공기만이 배출되도록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망(142)이 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142)은 망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공기배출구(140)에서 입구와 연통된 지점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 내부에 구비된 섬유사(110)는 충돌과정에서 절단될 수 있고, 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절단된 섬유사(110)가 공기배출구(140)의 입구에 끼여, 추후 공기배출구(140)의 입구가 제대로 닫히지 않을 수 있는바, 거름망(142)을 통해 절단된 섬유사(110)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줌으로써, 공기배출구(14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 구조체(A)는, 섬유사(110)의 끊어짐에 따른 가해대상물(10)의 감쌈과, 공기배출구(140)를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로만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치 않은 매우 큰 충격 발생시에도 충격 흡수 기능을 상실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강도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약하게 형성된 터짐유도부(150)가 적어도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터짐유도부(150)는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짐유도부(150)는, 단시간 내 고압의 충돌 발생시에만 터지도록 구성되고, 몸체(100)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면적 대비 약 1/100 내지 1/50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격 흡수 구조체(A)는, 매우 큰 충격 발생시 공기배출구(140)를 통한 공기 배출과 함께 터짐유도부(150)의 터짐이 이루어짐으로써, 의도치 않은 몸체(100) 부분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분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띠 형태를 이루며 몸체(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조임줄(160)이 구비될 수 있다. 조임줄(160)은, 소정의 간격마다 몸체(100)의 측면에 위치가 고정되고 몸체(100)에 공기가 충전됨에 따라 신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조임줄(160)이 통과될 수 있는 고정링이 구비된 조임줄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임줄(160)은 복수 개의 조임줄고정구에 구비된 고정링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조임줄(160)이 소정의 간격마다 몸체(100)의 측면과 접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조임줄(160)이 구비된 몸체(100)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측면이 조임줄(160)에 의해 조여져 말려 들어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충격 흡수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몸체(100)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몸체(100)가 일정한 형태로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충격 흡수 구조체(A)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몸체(10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는 일 몸체(100)의 후면과 타 몸체(100)의 전면(前面)이 인접하면서, 어느 하나의 몸체(100)의 전면(前面)이 외측을 향하게끔 복수 개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몸체(100)가 모두 충격 흡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복수 개의 몸체(100)는 이를 한꺼번에 감싸는 커버체(200)에 의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몸체(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이 외측을 향하는 제1 몸체(100a)와, 전면(前面)이 제1 몸체(100a)의 후면과 인접하게 배치됨녀서 후면이 설치대상물(2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몸체(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00a)와 제2 몸체(100b)에 동일한 압력의 공기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몸체(100a)와 제2 몸체(100b)에 상이한 압력의 공기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몸체(100b)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가해대상물(10)과 맞닿게 되는 제1 몸체(100a)는, 제2 몸체(100b)에 충전되는 공기보다 저압의 공기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속 충돌과 고속 충돌을 모두 대비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압인 제1 몸체(100a)가 가해대상물(10)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충격 흡수 구조체(A)는, 설치대상물(20)에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물(20)은 차량일 수 있으며, 몸체(100)는 설치대상물(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후방에서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설치의 일 예로, 설치대상물(20)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고정핀(320)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310)이 구비되고, 몸체(100)의 후면에 고정핀(320)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31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대상물(20)의 고정브라켓(310)과, 몸체(100)의 고정브라켓(310)이 겹쳐지도록 한 후, 고정핀(320)을 삽입하고 너트를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충격 흡수 구조체(A)를 설치대상물(20)에 설치할 수 있다.
A : 충격 흡수 구조체
10 : 가해대상물 20 : 설치대상물
100 : 몸체 100a : 제1 몸체
100b : 제2 몸체 110 : 섬유사
120 : 강도보강부재 130 : 공기주입구
140 : 공기배출구 141 : 스프링
142 : 거름망 150 : 터짐유도부
160 : 조임줄
200 : 커버체
310 : 고정브라켓 320 : 고정핀

Claims (5)

  1. 가해대상물(10)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0)는, 소정의 충격력에도 견딜 수 있으면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면(前面)과 후면을 팽팽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섬유사(110)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해대상물(10)이 몸체(100)의 일 지점에 일정 미만의 충격을 가하면, 몸체(100)의 소재 특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가해대상물(10)이 몸체(100)의 일 지점에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가하면, 상기 몸체(100)의 일 지점 부근에 연결된 섬유사(110)가 끊어져, 일 지점 부근이 가해대상물(10)을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탄성에 의해 입구가 밀폐되도록 스프링(141)이 구비되어, 몸체(100)에 스프링(141)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외측에서 가해질 시 입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이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141)이 구비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구(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섬유사(110)의 끊어짐에 따른 가해대상물(10)의 감쌈과, 공기배출구(140)를 통한 외부로의 공기 배출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치 않은 충격 발생시, 터짐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표면의 강도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약하게 형성된 터짐유도부(150)가 적어도 일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체.
KR1020210170024A 2021-07-02 2021-12-01 충격 흡수 구조체 KR102444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24A KR102444217B1 (ko) 2021-07-02 2021-12-01 충격 흡수 구조체
EP22833524.6A EP4365460A1 (en) 2021-07-02 2022-06-24 Shock absorption structure and shock absorption system using same
PCT/KR2022/009083 WO2023277468A1 (ko) 2021-07-02 2022-06-24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CN202280059562.6A CN117897566A (zh) 2021-07-02 2022-06-24 冲击吸收结构体以及利用所述冲击吸收结构体的冲击吸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93A KR102360018B1 (ko) 2021-07-02 2021-07-02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KR1020210170024A KR102444217B1 (ko) 2021-07-02 2021-12-01 충격 흡수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93A Division KR102360018B1 (ko) 2021-07-02 2021-07-02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217B1 true KR102444217B1 (ko) 2022-09-19

Family

ID=802660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93A KR102360018B1 (ko) 2021-07-02 2021-07-02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KR1020210170024A KR102444217B1 (ko) 2021-07-02 2021-12-01 충격 흡수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93A KR102360018B1 (ko) 2021-07-02 2021-07-02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65460A1 (ko)
KR (2) KR102360018B1 (ko)
CN (1) CN117897566A (ko)
WO (1) WO2023277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018B1 (ko) * 2021-07-02 2022-02-09 (주)두리안컴퍼니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558Y1 (ko) * 1987-10-15 1990-05-25 박흥종 자동차의 충격완화 장치
KR910009528U (ko) * 1989-11-04 1991-06-28 옥수열 수용액의 전도도 측정구
KR19990049459A (ko) * 1997-12-13 1999-07-05 정몽규 차량용 범퍼
KR20030077591A (ko) 2001-01-26 2003-10-0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충격 흡수 구조물
JP2013220775A (ja) * 2012-04-18 2013-10-28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4480B (zh) * 2019-12-31 2023-06-02 广西民族大学 一种新型汽车吸能盒及其制备方法
KR102360018B1 (ko) * 2021-07-02 2022-02-09 (주)두리안컴퍼니 충격 흡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558Y1 (ko) * 1987-10-15 1990-05-25 박흥종 자동차의 충격완화 장치
KR910009528U (ko) * 1989-11-04 1991-06-28 옥수열 수용액의 전도도 측정구
KR19990049459A (ko) * 1997-12-13 1999-07-05 정몽규 차량용 범퍼
KR20030077591A (ko) 2001-01-26 2003-10-0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충격 흡수 구조물
JP2013220775A (ja) * 2012-04-18 2013-10-28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018B1 (ko) 2022-02-09
WO2023277468A1 (ko) 2023-01-05
CN117897566A (zh) 2024-04-16
EP4365460A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594B1 (ko) 과압 보호
US4995659A (en) Shock absorber for a car
KR102444217B1 (ko) 충격 흡수 구조체
EP0936109B1 (en)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CA2193371C (en) Inflatable tubular cushions for seated occupants
US6273463B1 (en) Airbag vent valve and system
CA2706298A1 (en) Improved vehicle seat
US20030020289A1 (en) Impact protector for motor vehicles
US20090091109A1 (en) Front airbag with an adaptive venting device
JPH09329172A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
CN103303245B (zh) 用于汽车的保护装置
KR20120064007A (ko)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KR102515544B1 (ko) 길이와 높이가 가변되는 충격완화장치
KR200316361Y1 (ko) 다단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101041733B1 (ko) 소화액이 내장된 중앙분리대 완충장치
EP2809555B1 (en) Hatch protection system
KR20220090789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KR101055386B1 (ko)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US10518894B2 (en) Fuel bladder mass attenuation system
US20200386524A1 (en) Shock-absorbing seat with wall-mounted dampers
KR900004558Y1 (ko) 자동차의 충격완화 장치
RU17491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050027544A (ko) 자동차 무릎보호장치
KR200183912Y1 (ko) 보강 및 충격완화 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차체
RU2028955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