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31B1 -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31B1
KR102444131B1 KR1020210006186A KR20210006186A KR102444131B1 KR 102444131 B1 KR102444131 B1 KR 102444131B1 KR 1020210006186 A KR1020210006186 A KR 1020210006186A KR 20210006186 A KR20210006186 A KR 20210006186A KR 102444131 B1 KR102444131 B1 KR 10244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coupled
coupling means
basic
bas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505A (ko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이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진 filed Critical 이영진
Priority to KR102021000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에 결합 되어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기본 바디 또는 체인지 바디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A separable mouthpiece for a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소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기본 바디 또는 체인지 바디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경제 성장을 통해 과거에 비해 생활이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생활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경제적 발전과 주 5일 근무제의 확대로 인해 국민들의 여가활동으로 다양한 운동과 여러 가지 취미 활동이 활발히 이루지고 있다.
특히, 피아노, 기타, 바이올린, 색소폰과 같은 악기 연주를 취미 활동으로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동호회나 아마추어 밴드 동호회에 가입해서 다른 사람들과 합주를 즐기거나 연주회를 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다양한 악기 중 하나인 색소폰은 19세기 벨기에의 아돌프 삭스에 의해 개발된 목관악기로서, 색소폰의 종류는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색소폰으로 크게 구분되며, 클래식, 재즈, 대중 음악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악기이다.
또한, 색소폰은 연주자가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마우스피스 사용이 필수적이며, 조리개를 통해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장착시킨 후 리드가 장착된 마우스피스를 섹소폰에 결합하여 음악 연주를 하게 된다.
한편, 색소폰을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피스가 자주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마우스피스는 일체형 구조가 적용되어 마우스피스의 일부만 파손되어도 마우스피스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색소폰에 결합 되어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기본 바디 또는 체인지 바디만을 교체하여 마우스피스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252호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278호 색소폰용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137463호 2중 조립구조를 갖는 섹소폰 마우스피스용 리드 조임블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색소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기본 바디 또는 체인지 바디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는,
일측이 색소폰의 보컬 넥 부분에 결합되고, 타측이 체인지 바디(200)에 결합되는 기본 바디(100)와;
일측이 연주자의 입에 접촉되고, 타측이 기본 바디(100)에 결합되는 체인지 바디(200)를 포함되되,
상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색소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기본 바디 또는 체인지 바디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일체형 마우스피스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에 비해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색소폰의 사진 1
도 3은 색소폰의 사진 2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리드가 본 발명인 마우스피스에 결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핀 결합 방식이 적용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나사 결합 방식이 적용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산발 돌기 결합 방식이 적용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연속 돌기 결합 방식이 적용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나선 결합 방식이 적용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이하 ‘본 발명’)는 색소폰에 결합 되어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마우스피스를 구성하는 기본 바디와 체인지 바디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기본 바디 또는 체인지 바디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일체형 마우스피스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에 비해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색소폰(10)은 크게 색소폰 본체(11)와 보컬 넥(12), 마우스피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주를 하지 않을 때는 색소폰(10)을 케이스에 보관할 수 있도록 색소폰 본체(11)와 보컬 넥(12)은 상호 분리되고, 마우스피스(13)도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보컬 넥(12)에서 분리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섹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1)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가 결합 된 상태의 본 발명인 섹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1)는 색소폰(10)에 결합 된 보컬 넥(12)에 결합 되고, 조리개(15)를 이용해 리드(14)가 고정 결합 된다.
이때, 마우스피스(1)에 고정 결합 되는 리드(14)는 주로 갈대 나무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는데, 리드(14)의 두께는 두꺼워질수록 소리가 커지고 고음을 낼 수 있으며 두께가 얇아질수록 저음을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색소폰의 보컬 넥 부분에 결합되고, 타측이 체인지 바디(200)에 결합되는 기본 바디(100)와;
일측이 연주자의 입에 접촉되고, 타측이 기본 바디(100)에 결합되는 체인지 바디(2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 바디(100)는 일측이 색소폰(10)의 보컬 넥(12) 부분에 결합 되고, 타측이 체인지 바디(200)에 결합 되는 구성으로서, 기본 바디 몸체(110), 제1 리드 안착부(120), 제1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 바디 몸체(110)는 체인지 바디(200)를 통해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이 관통해 색소폰(10)의 보컬 넥(12)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구인 제1 챔버(111)가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외측면에는 제1 리드 안착부(120)가 형성되고,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되는 부분에는 제1 결합수단(130)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는 리드(14)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평탄도로 기본 바디 몸체(110) 외측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제1 리드 안착부(120)는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후술할 체인지 바디(200)에 형성된 제2 리드 안착부(220)와 함께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하여 리드(14)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 몸체(110)의 일측(체인지 바디(200)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할 체인지 바디(200)의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형성된 제2 결합수단(230)과의 결합을 통해 기본 바디 몸체(110)와 체인지 바디 몸체(210)가 상호 결합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체인지 바디(200)는 일측이 연주자의 입에 접촉되고, 타측이 기본 바디(100)에 결합 되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체인지 바디 몸체(210), 제2 리드 안착부(220), 제2 결합수단(230), 개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배플(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체인지 바디 몸체(210)는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이 관통해 기본 바디(1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구인 제2 챔버(211)가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외측면에는 제2 리드 안착부(220)와 개구부(240)가 형성되고,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일측(기본 바디 몸체(110)와 결합 되는 부분)에는 제2 결합수단(230)이 형성된다.
도 6의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리드 안착부(220)는 리드(14)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평탄도로 체인지 바디 몸체(210) 외측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제2 리드 안착부(220)는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상술한 기본 바디(100)에 형성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함께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하여 리드(14)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일측(기본 바디(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술한 기본 바디(100)의 기본 바디 몸체(110)에 형성된 제1 결합수단(130)과의 결합을 통해 기본 바디 몸체(110)와 체인지 바디 몸체(210)가 상호 결합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가 결합 되면, 도 6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하게 되어 리드(14)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240)는 연주자 입이 접촉되는 제2 리드 안착부(220) 부분에 일정 면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평탄면 상에 리드(14)가 안착되면,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개구부(240)에는 연주자가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는 바람구멍인 팁이 형성된다.
도 6의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배플(baffle, 250)은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의 흐름이 연주하는 음악 장르에 맞게 변경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배플(250)은 체인지 바디 몸체(210) 내부에 형성된 제2 챔버(211) 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플(250)의 형상은 연주하고자 하는 음악 장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된다. 즉, 배플(250)의 형태는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의 흐름이 음악 장르에 맞게 변경될 수 있도록 체인지 바디(200) 별로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클래식을 연주하는 경우는 A 형상을 갖는 배플이 형성된 체인지 바디(200)를 기본 바디(100)에 결합시키고, 째즈를 연주하는 경우는 B 형상을 갖는 배플이 형성된 체인지 바디(200)를 기본 바디(100)에 결합시키고, 팝(대중음악)을 연주하는 경우는 C 형상을 갖는 배플이 형성된 체인지 바디(200)를 기본 바디(100)에 결합시켜 연주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은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은 핀 결합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산발 돌기 결합 방식, 연속 돌기 결합 방식, 나선 결합 방식 등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도 7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핀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핀(131)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기본 바디 몸체(110)에 접촉되는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핀 삽입 홈(2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돌출 핀(131)들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핀 삽입 홈(231)들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돌출 핀(131)들과 상기 복수의 핀 삽입 홈(231)들은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자연스럽게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에 의해 하나의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정합 위치에 상기 복수의 돌출 핀(131)들과 핀 삽입 홈(231)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도 8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132)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챔버(211)에 형성되는 암나사(23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수나사(132)는 제2 챔버(211)에 형성되는 암나사(232)와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나사(132)와 암나사(232)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 수는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상호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수만큼 형성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자연스럽게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에 의해 하나의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정합 수 만큼의 나사산이 수나사(132)와 암나사(232)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도 9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산발 돌기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링형 돌기(133)와 링형 돌기(133) 둘레에 산발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산발 돌기(1331)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상기 링형 돌기(133)와 복수의 산발 돌기(13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 돌기(133)와 복수의 산발 돌기(1331)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본 바디 몸체(110)에 접촉되는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링형 돌기(133)와 복수의 산발 돌기(1331)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에 삽입된다.
이때,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산발 돌기(1331)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의 형상은 다른 산발 돌기(1331)들과 이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상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를 예를 들면, 복수의 산발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은 원형이고 나머지 산발 돌기들의 형상은 사각형이며, 원형인 산발 돌기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의 형상은 원형이고 사각형인 산발 돌기들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원형의 산발 돌기는 원형의 산발 돌기 삽입 홈에 사각형의 산발 돌기들은 사각형의 산발 돌기 삽입 홈에 삽입될 때,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복수의 산발 돌기(1331)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의 형상은 다른 산발 돌기(1331)들과 이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상이 하도록 하는 것은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키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도 10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연속 돌기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속 돌기(134)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상기 연속 돌기(1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속 돌기(134)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본 바디 몸체(110)에 접촉되는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연속 돌기(134)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에 삽입된다.
이때,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속 돌기(134)의 어느 한 부분의 돌기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의 형상은 연속 돌기(134)의 나머지 부분의 돌기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상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은 사각형이고 나머지 연속 돌기들의 형상은 원형이며, 사각형인 연속 돌기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의 형상은 사각형이고 원형인 연속 돌기들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사각형의 연속 돌기는 사각형의 연속 돌기 삽입 홈에 원형의 연속 돌기들은 원형의 연속 돌기 삽입 홈에 삽입될 때,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연속 돌기(134)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 중 어느 한 부분의 형상은 다른 연속 돌기(134)와 이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상이 하도록 하는 것은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키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도 11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나선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되, 둘레에 나선형 돌기(1351)가 형성된 나선부(135)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챔버(211)에 형성되는 나선형 홈(2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나선형 돌기(1351)는 제2 챔버(211)에 형성되는 나선형 홈(235)과 나선 결합한다.
이때, 상기 나선부(135)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1351)와 나선형 홈(235)의 길이는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상호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 결합 시, 자연스럽게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에 의해 하나의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정합 길이로 나선형 돌기(1351)와 나선형 홈(235)의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100 : 기본 바디
200 : 체인지 바디

Claims (9)

  1.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일측이 색소폰의 보컬 넥 부분에 결합되고, 타측이 체인지 바디(200)에 결합되는 기본 바디(100)와;
    일측이 연주자의 입에 접촉되고, 타측이 기본 바디(100)에 결합되는 체인지 바디(2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는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기본 바디(100)는,
    체인지 바디(200)를 통해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이 관통해 색소폰의 보컬 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구인 제1 챔버(111)가 내부에 형성된 기본 바디 몸체(110)와,
    리드(14)가 안착 되도록 일정 평탄도로 기본 바디 몸체(110) 외측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인 제1 리드 안착부(120)와,
    기본 바디 몸체(110)와 체인지 바디 몸체(210)를 결합되도록 하는 제1 결합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지 바디(200)는,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이 관통해 기본 바디(1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구인 제2 챔버(211)가 내부에 형성된 체인지 바디 몸체(210)와,
    리드(14)가 안착 되도록 일정 평탄도로 체인지 바디 몸체(210) 외측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인 제2 리드 안착부(220)와,
    기본 바디 몸체(110)와 체인지 바디 몸체(210)를 결합되도록 하는 제2 결합수단(230)과,
    연주자 입이 접촉되는 제2 리드 안착부(220) 부분에 일정 면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리드(14)가 안착되는 경우, 연주자가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는 바람구멍인 팁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구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은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핀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핀(131)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기본 바디 몸체(110)에 접촉되는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핀 삽입 홈(231)이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돌출 핀(131)들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핀 삽입 홈(231)들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 핀(131)들과 상기 복수의 핀 삽입 홈(231)들은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5. 제3항에 있어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산발 돌기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링형 돌기(133)와 링형 돌기(133) 둘레에 산발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산발 돌기(1331)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상기 링형 돌기(133)와 복수의 산발 돌기(13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 돌기(133)와 복수의 산발 돌기(1331)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본 바디 몸체(110)에 접촉되는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이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링형 돌기(133)와 복수의 산발 돌기(1331)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에 삽입되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산발 돌기(1331)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의 형상은 다른 산발 돌기(1331)들과 이에 대응되는 산발 돌기 삽입 홈(233)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상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6. 제3항에 있어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연속 돌기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속 돌기(134)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200)가 기본 바디(100)와 결합 시, 상기 연속 돌기(1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속 돌기(134)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본 바디 몸체(110)에 접촉되는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이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연속 돌기(134)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에 삽입되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속 돌기(134)의 어느 한 부분의 돌기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의 형상은 연속 돌기(134)의 나머지 부분의 돌기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연속 돌기 삽입 홈(234)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상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7. 제3항에 있어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132)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챔버(211)에 형성되는 암나사(232)이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수나사(132)와 상기 암나사(232)는 나사 결합하며,
    상기 수나사(132)와 암나사(232)에 형성된 나사산수는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수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8. 제3항에 있어서,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수단(130)과 제2 결합수단(230)은 나선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수단(130)은,
    기본 바디(100)가 체인지 바디(200)와 결합 시, 체인지 바디 몸체(210)에 접촉되는 기본 바디 몸체(11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되, 둘레에 나선형 돌기(1351)가 형성된 나선부(135)이고,
    상기 제2 결합수단(230)은,
    체인지 바디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챔버(211)에 형성되는 나선형 홈(235)이며,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나선부(135)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1351)와 나선형 홈(235)은 나선 결합하며,
    상기 나선형 돌기(1351)와 나선형 홈(235)의 길이는 기본 바디(100)와 체인지 바디(200)의 결합 시, 상기 제1 리드 안착부(120)와 제2 리드 안착부(220)가 하나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지 바디 몸체(210) 내부에 형성된 제2 챔버(211)에는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의 흐름이 연주하는 음악 장르에 맞게 변경되도록 하는 배플(25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플(250) 형태는 연주자가 불어넣은 바람의 흐름이 음악 장르에 맞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인지 바디(200)별로 상이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KR1020210006186A 2021-01-15 2021-01-15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KR10244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86A KR102444131B1 (ko) 2021-01-15 2021-01-15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86A KR102444131B1 (ko) 2021-01-15 2021-01-15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05A KR20220103505A (ko) 2022-07-22
KR102444131B1 true KR102444131B1 (ko) 2022-09-15

Family

ID=8260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186A KR102444131B1 (ko) 2021-01-15 2021-01-15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1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0073A (en) * 1990-02-20 1991-03-19 Hite David L Construction for supporting a reed upon the mouthpiece of a musical wind instrumen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90209285A1 (en) 2008-02-15 2009-08-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input device ...
KR200453252Y1 (ko) 2009-09-11 2011-04-20 김의근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US8283540B2 (en) * 2010-12-19 2012-10-09 Slater Benita H Musical instrument tu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68278B1 (ko) 2017-05-04 2018-06-15 이종진 색소폰용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05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eprich The clarinet
US7667118B1 (en) Mouthpiece for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JP5547178B2 (ja) 調整可能なクラリネット・バレル
JP2007513359A (ja) 楽器用のアクセサリー部分または操作部分、または、楽器の構成部分
US5847300A (en) Mouthpiece system for a trumpet or other brass instruments
KR102444131B1 (ko) 색소폰용 분리형 마우스피스
US6054644A (en) Interchangeable bore clarinet barrel system
US20120085218A1 (en) Ligature for the mouthpieces of single-reed wind instruments
US5218150A (en) Brass instrument mouthpiece
JPH05507365A (ja) スピーカ・ベント
US20220148542A1 (en) Instrument mouthpiece with curvilinear air flow disruption apparatus
US3161102A (en) Wind instruments
CN201904079U (zh) 一种葫芦丝
US1012140A (en) 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JP7304026B1 (ja) 木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向け音質改善部または音質改善体
JP6799866B2 (ja) ファゴット
KR200379607Y1 (ko) 음역 조절이 가능한 국악용 관악기
US6384306B1 (en) Wind instrument
KR102507438B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Saracca A Panorama of Clarinet History: Andrea Greganti and His Clarinet Collection
Ugli FROM THE HISTORY OF THE SAXOPHONE
US20230317036A1 (en) Instrument with interior body walls having airflow disruption apparatus
Currie Excellent Single-Reed Mouthpieces Suitable for Student Use (II)
Agababa-Shaked On the History and Future of Clarinet Systems
Rozwadowska The French Art of the Natural Horn Playing and the Adaptation of Valve Mechanisms in the 19th Centu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