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039B1 -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 Google Patents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039B1
KR102444039B1 KR1020200153363A KR20200153363A KR102444039B1 KR 102444039 B1 KR102444039 B1 KR 102444039B1 KR 1020200153363 A KR1020200153363 A KR 1020200153363A KR 20200153363 A KR20200153363 A KR 20200153363A KR 102444039 B1 KR102444039 B1 KR 10244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vating
slip
weight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7076A (en
Inventor
박훈규
이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Priority to KR102020015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039B1/en
Publication of KR2022006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에 삽입되며, 상면에 통과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통과홀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공에 접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드릴비트; 상기 드릴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릴비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ampl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horizontal hole between an upper structure and a lower structure, the cas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drill bit installed to be elevated along the through hole and drill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hol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rill bit; and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drill bit.

Description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Sampling device for concrete structures for safety inspection of faciliti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드릴링하여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mpling apparatus for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for collecting a powder sample by drilling the concrete structure.

건설분야에서 시멘트 콘크리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며, 이와 관련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Cement concrete occupies an absolute por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and research to secure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related concrete structures is steadily progressing.

특히, 해안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염화물(Chloride) 침투에 의한 철근 부식 문제의 심각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a coastal environment, the seriousness of the rebar corrosion problem due to chloride penetration is being raised.

만약 철근 부식이 발생할 경우, 내부 응력의 증가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탈락 현상이 발생하고, 철근 단면의 감소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결함이 야기될 것이다.If reinforcing bar corrosion occurs, cracking and dropping of the concrete structure will occur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al stress, and structural defects of the concrete structure will be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cross section.

따라서 콘크리트 내에서 철근 부식의 주요 인자인 염화물 함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 on a method for measuring the chloride content, which is a major factor in rebar corrosion in concret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이러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함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은 전동드릴에 의한 시료 채취 방식이 있다. 전동드릴에 의한 시료 채취 방식은 전동드릴로 콘크리트를 드릴링하여 발생하는 분말을 시료로 채취한다.A method of measuring the chloride content of such concrete is a sampling method using an electric drill. In the sampling method using an electric drill, the powder generated by drilling concrete with an electric drill is collected as a sample.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concrete bridg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량은 상부 구조물(예를 들면, 거더 등)과 하부 구조물(예를 들면, 교각 등)로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는 수직공과 수평공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crete bridge is composed of an upper structure (eg, a girder, etc.) and a lower structure (eg, a pier, etc.), a vertical hole and a horizontal hole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상기한 콘크리트 교량이 해안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교량에 침투하는 염화물은 수직공을 따라 낙하하여 수평공에 주로 축적된다.When the above-mentioned concrete bridge is exposed to the coastal environment, chloride penetrating into the concrete bridge falls along the vertical hole and mainly accumulates in the horizontal hole.

따라서 상부 구조물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경우, 수평공의 상측에 접하는 상부구조물의 하면을 드릴링하여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collecting a powder sample from the upp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collect the powder sample by drill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hole.

이러한 콘크리트 교량의 분말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43970호의 콘크리트 염화물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 모듈이 개시된 바 있다.As a technique for collecting a powder sample of such a concrete bridge, a sampling module for a concrete chloride tes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3970 has been disclosed.

그런데 종래기술은 전동드릴을 수평공에 수평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전동드릴의 수평방향 드릴링은 가능하나 전동드릴의 상하방향 드릴링은 불가능하므로, 수평공의 상측에 접하는 상부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drill is inserted horizontally into the horizontal hole, horizontal drilling of the electric drill is possible, but vertical drilling of the electric drill is not 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collected.

한국등록특허 제10-1743970호(2017.05.31)Korean Patent No. 10-1743970 (2017.05.3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that can collect a powder sample from a predetermined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ball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mpl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면에 통과홀(112)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통과홀(112)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공(30)에 접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드릴비트(200); 상기 드릴비트(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릴비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 sampl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lower structure 20, and a case in which a through hole 1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110); a drill bit 200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along the through hole 112 and drill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hole 30;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rill bit 200; and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drill bit 200 .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는 승하강플레이트(410); 상기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좌우방향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제1경사면(4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1경사면(421)에 맞닿는 제2경사면(43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 및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421)이 상기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경사면(431)에 맞닿는 상기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drill bit 200, elevating plate 410; A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421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orward and backward means for moving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 It slides along (431), and thus,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s raised and lowered, the elevating block (420) is raised and lowered.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의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가이드블록(45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가이드홈(45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승하강바(4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ir of the elevating blocks 420 facing each other, guide grooves 45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pposite surface opposite to the elevating block 420 . ) is formed in a pair of guide blocks 450; including, the elevating block 420 is an elevating bar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451 on the opposite surface opposite to the guide block 450. (4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전후진블록(430)은 상기 제2경사면(43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2)가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제1경사면(42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그립부(423)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그립부(423)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연장부(432)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block 430 is formed with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432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elevating block 420 is the first A pair of grip parts 42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421 are formed, and the pair of grip parts 423 grip the pair of extension parts 432, respectively. .

또한, 상기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441);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를 치합하는 타이밍 벨트(442); 및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이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pass through each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screws 441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in place; a timing belt 442 for engaging the pair of screws 441; and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any one of the pair of screws 441, wherein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in-place rotation of the pair of screws 441.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110)가 얹어지는 슬라이드(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슬라이드(1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the slide 130 on which the case 110 is placed; it further includes, and the case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lides along the slide 130.

또한, 상기 슬라이드(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슬립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ip member (50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130).

또한,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lip member 500 includes 10 to 2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based slip agent,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ide-based slip agent, 0.1 to 3 parts by weight of a wax-based slip age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parts by weight.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5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2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이고,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p member 500 includes,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1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based slip agent, 5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ide-based slip agent, 2 parts by weight of a wax-based slip agent, and 1.5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and the polyolefin resin is a mixture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silicone slip agent is a mixture of silicone acrylate and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 in a 3:7 weight ratio, the fatty acid amide slip agent is stearic acid amide, and the wax The slip agent is a polypropylene wax, and the viscosity modifier is sodium acetate.

또한, 상기 슬립부재(500)의 관통공(510)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상기 슬립부재(500)보다 얇은 상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through-holes 510 of the slip member 500; further comprising, the non-slip member 600 has a lower vertical thickness than the slip member 500 characterized by having.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600)의 상하 두께는 상기 슬립부재(500)의 상하 두께의 8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p and bottom thickness of the non-slip member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85% to 95% of the top and bottom thickness of the slip member (500).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0~70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50 to 70 wt% of a binder resin, 20 to 30 wt% of non-slip particles, 5 to 12 wt% of organic beads, and 5 to 8 wt% of a curing agent.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이고,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600 includes 58 wt% of a binder resin, 26 wt% of non-slip particles, 10 wt% of organic beads, and 6 wt% of a curing agent, and the binder resin is polyvinyl chlorid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2 It is a mixture mixed in a 1: 1 weight ratio, the non-slip particles are cerium oxid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35 to 40 μm, and the organic beads are a mixture of spherical polypropylene and polyester having a diameter of 12 to 18 μm, and the curing agent is hexadecim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ethylenetetramin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 sampl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collect a powder sample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ball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하강 및 정지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상승 및 작동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concrete bridg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mpling device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sampling fac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of 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the drill bi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art of the sampling device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the drill bit.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art of the sampling apparatus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the drill bit.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of the sampling device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wered the drill bi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is a process show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a powder sample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ball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by the sampling device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p member and a non-slip member in a lowered and stopped state of the drill bit of 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p member and a non-slip member in the rising and operating state of the drill bit of 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a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ll bit is lowered by the elevating part of the sampling device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of 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a drill bit, and FIG. 7 is a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of the sampl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lowers the drill bit,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to 10 are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collecting a powder sample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hole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콘크리트 교량처럼 상부 구조물(10)(예를 들면, 거더 등)과 하부 구조물(20)(예를 들면, 교각 등)로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에는 수직공과 수평공(30)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수평공(30)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여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이다.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upper structure 10 (eg, a girder, etc.) and a lower structure 20 (eg, a pier, etc.) like a concrete bridge, In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vertical hole and a horizontal hole 30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lower structure 20,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hole 30 is drilled to obtain a powder sample. It is a collecting device.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케이스(110), 받침통(120), 슬라이드(130), 드릴비트(200), 구동부 및 승하강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10 ,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 sampl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 a support barrel 120 , a slide 130 , a drill bit 200 , and a driving unit. and an elevating unit.

케이스(110)는 후술할 드릴비트(200), 구동부, 승하강부를 수납한다. 케이스(11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드릴비트(200)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112)이 형성된다. 통과홀(112)은 드릴비트(2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드릴비트(200)가 통과홀(112)을 통과할 때, 통과홀(112)의 내주면과 드릴비트(200)의 외주면 간에 간섭을 방지 할 수 있다.The case 110 accommodates a drill b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 driving unit, and an elevating unit. 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drill bit 200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 The through hole 112 has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bit 200 . Therefore, when the drill bit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it 200 can be prevented.

케이스(110)는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의 수평공(30)에 삽입된다. 이 때, 케이스(110)를 하부 구조물(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경우, 케이스(110)와 하부 구조물(20) 간에 마찰로 인하여 케이스(110)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는데, 슬라이드(130)가 케이스(11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110)는 후방에 U자 형태의 손잡이(111)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11)는 케이스(110)의 수동 이동을 위한 것이다.The case 11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of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lower structure 20 . At this time, when the case 1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structure 20 in a sliding manner, the surface of the case 110 may be damag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lower structure 20 . ) serves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case 110 . Meanwhile, the case 110 may have a U-shaped handle 111 installed at the rear thereof. The handle 111 is for manual movement of the case 110 .

받침통(120)은 후술할 드릴비트(200)의 드릴링에 의해 발생하는 분말 시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받침통(120)은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barrel 120 stores a powder sample generated by drilling of a drill b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 Here, the support tube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screw coupling.

또한, 받침통(120)은 드릴비트(200)가 통과하는 통과홀(1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드릴비트(200)의 드릴링에 의해 낙하하는 분말 시료를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rel 120 is prefer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drill bit 200 passes. Then, it will be possible to conveniently store the powder sample falling by the drilling of the drill bit 200 .

또한, 받침통(120)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통(120)의 하면에는 통과홀(112)과 연통되는 연통홀(121)이 형성된다. 연통홀(121)은 드릴비트(2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드릴비트(200)가 연통홀(121)을 통과할 때, 연통홀(121)의 내주면과 드릴비트(200)의 외주면 간에 간섭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tube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tub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 communication hole 121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hole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tube 120 . The communication hole 121 has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bit 200 . Therefore, when the drill bit 200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hole 12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it 200 .

슬라이드(130)는 수평공(30)에 우선 삽입되고, 상면에서 케이스(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여, 케이스(110) 표면의 슬라이딩에 의한 손상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130)는 케이스(110)와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130)는 케이스(110)의 슬라이딩 폭을 넓히는 차원에서 케이스(110)보다 전후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ide 130 is first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 and guides the sliding of the case 110 from the upper surface, and serves to reduce damage caused by sliding of the surface of the case 110 . The slide 1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friction with the case 110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The slide 130 is preferably formed wid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n the case 110 in order to widen the sliding width of the case 110 .

드릴비트(200)는 수평공(30)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을 드릴링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에 수납되고, 후술할 승하강부에 의해 통과홀(112)을 따라 승하강된다.The drill bit 200 drill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hole 30 ,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and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through hole 112 by an elevat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드릴비트(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드릴비트(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절삭용 칼날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드릴비트(200)는 외주면에 다수의 절삭용 칼날이 형성된 형태보다 드릴링 범위가 넓어지므로, 분말 시료를 충분히 채취할 수 있다. The drill bit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are rad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ll bit 200 . Since the drill bit 200 of this type has a wider drilling range than the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llect a powder sample.

구동부는 드릴비트(2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구동모터(310), 제1베벨기어(320), 제2베벨기어(330), 고정축(340), 제1스프로켓(350), 제2스프로켓(360), 체인(370) 및 스플라인축(380), 제1승하강기어(391), 제2승하강기어(392)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serves to drive the drill bit 200 .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310 , a first bevel gear 320 , a second bevel gear 330 , a fixed shaft 340 , a first sprocket 350 , a second sprocket 360 , and a chain 370 . ) and a spline shaft 380 , a first elevating gear 391 , and a second elevating gear 392 .

구동모터(310)는 본체(311) 및 구동축(312)을 갖는다. 본체(311)는 구동축(312)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구동축(312)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전방이 케이스(110)의 후방에 관통되며 본체(311)의 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구동축(312)은 제1베어링(710)과 제2베어링(720)을 매개로 축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베어링(710)은 구동축(312)의 일측을 축지지하며 슬라이드(13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2베어링(720)은 구동축(312)의 타측을 축지지하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The driving motor 310 has a body 311 and a driving shaft 312 . The main body 311 generates power for driving the drive shaft 312 , and is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cas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riving shaft 312 is dispo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penetrates through the rear of the case 110 , and is rotated as a rotation 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power of the main body 311 . The driving shaft 312 may be axially supported through the first bearing 710 and the second bearing 720 . Specifically, the first bearing 710 axially supports one side of the drive shaft 312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130 , and the second bearing 720 axially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shaft 312 and the case 110 .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제1베벨기어(320)는 구동축(312)의 전방에 결합되며, 구동축(312)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The first bevel gear 32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rive shaft 312 , and is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a rotation axi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312 .

제2베벨기어(330)는 제1베벨기어(320)와 수직하게 맞물리며, 제1베벨기어(3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The second bevel gear 330 is vertically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320 , and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bevel gear 320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고정축(340)은 상단이 제2베벨기어(330)의 중심축을 관통하고 하단이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축(340)과 제2베벨기어(330) 사이에는 제3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축(340)은 고정되고 제2베벨기어(330)는 고정축(340)의 둘레를 따라 회전된다. The fixed shaft 340 has an upper end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evel gear 330 and a lower e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 Here, a third bearing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shaft 340 and the second bevel gear 330 . Accordingly, the fixed shaft 340 is fixed and the second bevel gear 330 is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xed shaft 340 .

제1스프로켓(350)은 제1베벨기어(32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2베벨기어(3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The first sprocket 35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evel gear 320 and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330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제2스프로켓(360)은 제1스프로켓(350)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second sprocket 36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irst sprocket 35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체인(370)은 제1스프로켓(350)과 제2스프로켓(360)을 치합한다. 따라서 체인(370)에 의해 제1스프로켓(350)과 제2스프로켓(360)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연동 회전된다.The chain 370 meshes the first sprocket 350 and the second sprocket 360 . Accordingly, the first sprocket 350 and the second sprocket 360 are interlocked and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by the chain 370 .

스플라인축(380)은 상단이 제2스프로켓(360)의 중심축에 결합되고 하단이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스플라인축(380)은 제2스프로켓(36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스플라인축(380)은 후술할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상면 후방에 관통된다.The spline shaft 380 has an upper end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sprocket 360 and a low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 Accordingly, the spline shaft 380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rocket 360 a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The spline shaft 380 is passed through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410 to be described later.

제1승하강기어(391)는 스플라인축(380)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주면이 스플라인축(380)의 외주면에 맞물리며, 후술할 승하강플레이트(410)에 대하여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elevating gear 391 is installed to be elev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line shaft 38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line shaft 380, and can be rotated in place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plate 41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제2승하강기어(392)는 제1승하강기어(391)에 맞물리고 중심축에 드릴비트(200)가 결합되며 후술할 승하강플레이트(410)에 대하여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평기어와 드릴비트(200)는 스플라인축(38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The second elevating gear 392 is engaged with the first elevating gear 391 , the drill bit 200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plate 41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spur gear and the drill bit 200 ar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pline shaft 380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승하강부는 드릴비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부는 승하강플레이트(410),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 전후진수단 및 가이드블록(450)를 포함한다.The elevating unit serves to elevate the drill bit 200 . Specifically,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plate 410 , a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 a forward and backward means and a guide block 450 .

승하강플레이트(410)는 케이스(110)에 수납되고 상면 전방에 평기어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평기어의 중심축에 드릴비트(2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하강플레이트(410)는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The elevating plate 41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and the spur ge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since the drill bit 200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spur gear, the elevating plate 410 serves to support the drill bit 200 .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상면 후방에는 스플라인축(380)이 관통된다. 이 때, 승하강플레이트(410)와 스플라인축(380) 사이에는 제4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승하강플레이트(410)는 제4베어링을 통하여 스플라인축(380)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A spline shaft 380 passes through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410 . At this time, a fourth bearing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elevating plate 410 and the spline shaft 380 . Accordingly, the elevating plate 410 may be elevated along the spline shaft 380 through the fourth bearing.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은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좌우방향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제1경사면(421)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421)은 후술할 제2경사면(431)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A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disposed to abut against a second inclined surface 431 to be described later.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은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제2경사면(431)이 형성된다. 제2경사면(431)은 제1경사면(421)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경사면(421)에 맞닿도록 배치된다.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and is disposed to abut against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은 후술할 전후진수단에 의해 전후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의 전후진에 의해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에 연동되어 제2경사면(431)에 맞닿는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된다.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 되면, 제1경사면(421)을 갖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도 승하강될 것이다.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forward and backward means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sli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 ) is raised and lowered.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raised and lowered,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hav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will also be raised and lowered.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상대적으로 후진된 상태에서는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의 하부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경사면(421)을 가진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과 승하강플레이트(41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To describe this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re relatively moved back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abuts agains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 do. Accordingly, a pair of elevating block 420 and elevating plate 410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421 are disposed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또한, 도 6 내지 도 7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상대적으로 전진된 상태에서는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의 상부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과 승하강플레이트(41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때, 드릴비트(200)는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통과홀(112)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re relatively advanc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 Therefore, a pair of elevating block 420 and elevating plate 410 is to be arrang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drill bit 200 is interlocked with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plate 410 and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it may protrude upward of the through hole 112 .

한편, 종래에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기어결합부위를 통하여 드릴비트의 드릴링에 의한 압축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이러한 압축하중에 의하여 기어결합부위가 파손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과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은 제1경사면(421)과 제2경사면(431)의 면접촉구조를 통하여 드릴비트(200)의 드릴링에 의한 압축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이러한 압축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as the compression load by drilling of the drill bit was supported through the gear coupling portion of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the gear coupling portion was damaged by the compression loa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nd a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are drilling of the drill bit 200 through the surface contact structur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 By supporting the compressive load by

한편, 제2경사면(431)은 제1경사면(421)보다 전후방향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폭이 넓어지므로, 제1경사면(421)이 승하강되는 폭도 넓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 In this case, since the sliding widt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s increased, the width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s raised and lowered is also increased.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전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스크류(441), 타이밍 벨트(442) 및 회전수단을 가질 수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serves to move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forward and backward. Specifically, 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may have a pair of screws 441 , a timing belt 442 and a rotation means.

한 쌍의 스크류(441)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스크류(441)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의 중심축에 형성된 나사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스크류(441)가 제자리 회전되면,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각각 한쌍의 스크류(441)를 따라 전후진될 것이다.A pair of screws 441 penetrate each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place. Here, the pair of screws 441 are respectively screw-coupled to the screw holes form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 Therefore, when the pair of screws 441 are rotated in place,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will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pair of screws 441 , respectively.

스크류(441)는 제5베어링(730)과 제6베어링(740)을 매개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5베어링(730)은 스크류(441)의 전방을 지지하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제6베어링(740)은 스크류(441)의 후방을 지지하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The screw 441 may be installed rotatably in place via the fifth bearing 730 and the sixth bearing 740 . The fifth bearing 730 supports the front of the screw 441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 and the sixth bearing 740 supports the rear of the screw 441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 is coupled to

타이밍벨트는 한 쌍의 스크류(441)를 치합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에 의해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만 회전되어도, 양방이 모두 회전될 수 있다.The timing belt engages a pair of screws 441 . Therefore, even if only one of the pair of screws 441 is rotated by the timing belt, both may be rotated.

회전수단은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수단은 연결축(443) 및 핸들(444)을 포함한다.The rotating means rotates one of the pair of screws 441 . Specifically,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connecting shaft 443 and a handle 444 .

연결축(443)은 케이스(110)의 후방에 관통되며,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의 후방에 결합된다.The connecting shaft 443 passes through the rear of the case 110 and is coupled to the rear of one of the pair of screws 441 .

핸들(444)은 연결축(443)의 후방에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444)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돌릴 경우,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이 회전될 것이다.The handle 444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onnecting shaft 443 . Accordingly, when the handle 444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turned, one of the pair of screws 441 will be rotated.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은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은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의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며, 승하강블록(42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의 가이드홈(451)을 따라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승하강바(422)가 각각 승하강된다. 이 때, 승하강바(422)는 가이드블록(450)에 대향하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대향면에 각각 연장 형성된 것이다.The pair of guide blocks 450 serve to guide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 A pair of guide blocks 45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surfaces of one side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facing each other, and guide grooves ( 451) is formed. The elevating bar 422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is elevated along the guide groove 451 of the pair of guide blocks 45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levating bar 422 is formed to extend to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facing the guide block 450, respectively.

도 8을 참조하면, 전후진블록(430)은 제2경사면(43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연장부(432)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이다. 또한, 승하강블록(420)은 제1경사면(42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그립부(423)가 형성된다. 한 쌍의 그립부(423)는 각자의 말단이 서로를 향하여 벤딩된다. 그리하여 한 쌍의 그립부(423)는 한 쌍의 연장부(432)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를 뒤집더라도,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각각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forward/backward block 430 ,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432 respectively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432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elevating block 420 is formed with a pair of grip parts 42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The pair of grip parts 423 have their respective ends bent toward each other. Thus, the pair of grip parts 423 may grip the pair of extension parts 432 . Therefore, even if the case 110 is turned 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가 수평공(30)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도 9 내지 도 10 참조)Hereinafter, a process for collecting a powder sample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hole 30 by the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9 to 10)

우선, 상부구조물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에 슬라이드(130)를 삽입한다.(도 9 참조)First, the slide 13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20 (see FIG. 9 ).

다음으로, 수평공(30)에 케이스(110)를 삽입한 후, 케이스(110)를 슬라이드(130)의 상면에 얹어놓는다.(도 9 참조)Next, after inserting the case 110 into the horizontal hole 30 , the case 1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130 (see FIG. 9 ).

다음으로, 케이스(110)를 슬라이드(130)에 슬라이딩시켜서 수평공(30)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한다.(도 9 참조)Next, the case 110 is slid on the slide 130 and disposed adjacent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hole 30. (See FIG. 9 )

다음으로, 승하강부를 이용하여 드릴비트(200)를 상승시켜서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 밀착시킨다.(도 10 참조)Next, the drill bit 200 is raised by using the elevating part to adhere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see FIG. 10 ).

다음으로, 구동부를 이용하여 드릴비트(200)를 드릴링시켜서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한다. 이 때, 분말 시료는 낙하되어 받침통(120)에 저장된다.(도 10 참조)Next, a powder sample is collected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by drilling the drill bit 200 using the driving unit. At this time, the powder sample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support barrel 120 (refer to FIG. 1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sampling apparatus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hole 30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lower structure 2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 powder samples.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하강 및 정지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상승 및 작동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p member and a non-slip member in a lowered and stopped state of a drill bit of a sampling apparatus for a concrete structure for a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oncrete structure for a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ip member and the non-slip member in the rising and operating state of the drill bit of the sampling device of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슬립부재(500) 및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11 to 12 ,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 sampl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safety inspec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lip member 500 and a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

슬립부재(500)는 슬라이드(130)를 수평공(30)에 삽입할 때, 슬라이드(130)와 하부 구조물(20)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립부재(500)는 슬라이드(130)를 하부 구조물(20)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립부재(50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슬라이드(130)의 하면에 결합된다.The slip member 500 serves to reduc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slide 130 and the lower structure 20 when the slide 13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 That is, the slip member 500 serves to slide the slide 130 well in the lower structure 20 . The slip member 50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130 .

이러한 슬립부재(500)가 마찰을 저감하는 정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degree to which the slip member 500 reduces friction, the slip member 500 includes 10 to 2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slip agent,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ide slip agent, and a wax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0.1 to 3 parts by weight of a slip-based age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5: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The polyolefin resin may be a mixture in which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5.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The silicone-based slip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acrylate, silicone-modified polyester,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 and silicone oil, and preferably silicone acrylate and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 are 3: It may be a mixture mixed in a 7 weight ratio.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에루크산 아미드, 카프로산 아미드, 카프릴산 아미드, 라우르산 아미드, 아라키딕산 아미드, 올레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및 스테아르산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일 수 있다.The fatty acid amide slip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rucic acid amide, caproic acid amide, caprylic acid amide, lauric acid amide, arachidic acid amide, oleic acid amide, palmitic acid amide, and stearic acid amide. have. Preferably, the fatty acid amide-based slip agent may be stearic acid amide, palmitic acid amide, or a mixture thereof, and most preferably, stearic acid amide.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일 수 있다.The wax-based slip agent may be a polyethylene-based wax, a polypropylene-based wax,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a polypropylene-based wax.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슬립부재(500)의 점도를 조절하여 슬라이드(130)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일 수 있다. The viscosity modifier may be mixed to adjust the viscosity of the slip member 500 to form a uniform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slide 130 . The viscosity modifier may be sodium acetate, sodium sulfate,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sodium sulfate.

특히,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슬립부재(500)에 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슬립성, 내열성 및 점착성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슬립성, 내열성 및 점착성이 모두 고르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In particular,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in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slip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adhesive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slip member 500 by a conventional meth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in other conditions and in other numerical ranges, when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satisfied, the slip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adhesion were all uniformly excellent.

①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5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2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②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③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④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이고, ⑤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이고, ⑥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일 수 있다.① The slip member 500 contains 1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based slip agent, 5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ide-based slip agent, 2 parts by weight of a wax-based slip agent, and 1.5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② The polyolefin The resin is a mixture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③ the silicone slip agent is a mixture of silicone acrylate and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 in a 3:7 weight ratio, ④ the fatty acid amide slip agent is stearic acid amide and ⑤ the wax-based slip agent may be a polypropylene wax, and ⑥ the viscosity modifier may be sodium acetate.

다만, 상기 6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성 및 내열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되었고, 점착성이 낮아 흘러내리면서 슬립부재(500)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지 않았다.However, when any one of the above six conditions is not satisfied, the slip property and heat resistance were lowered as a whole, and the slip member 500 was not formed to a uniform thickness as the adhesiveness was low and flowed down.

논슬립부재(600)는 후술할 다수의 논슬립부재(600)이 각각 설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510)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관통공(510)은 전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격자로 배열될 수 있다.The non-slip member 60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510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to be described later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510 may b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in a grid.

한편, 슬립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압축하중에 의해 하부 구조물(20)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던 슬라이드(130), 케이스(110) 및 승하강부도 미끄러지면서 드릴비트(200)의 편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드릴비트(200)가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중에 한하여 슬립부재(500)를 하부 구조물(20) 상에 고정시켜서, 드릴비트(200)의 편향을 방지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lip member 500 may slide on the lower structure 20 by the above-described compressive load. As a result, the slide 130, the case 110, and the elevating part supporting the drill bit 200 are also slid. Deflection of the drill bit 200 is generated. Therefore, the slip member 500 is fixed on the lower structure 20 only while the drill bit 200 is drill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drill bit 200 .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드릴비트(200)가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중에 한하여 슬립부재(500)를 하부 구조물(20)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다수의 관통공(510)에 각각 설치되며, 슬립부재(500)보다 얇은 상하 두께를 갖는다.The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serve to fix the slip member 500 on the lower structure 20 only while the drill bit 200 drill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510 and hav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thinner than the slip members 500 .

도 11을 참조하면, 드릴비트(200)의 하강 및 정지상태에 있어서,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으며, 슬립부재(500)는 슬라이드(130)가 하부 구조물(20) 상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lowered and stopped state of the drill bit 200 , the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do not play a special role, and the slip member 500 slides 130 on the lower structure 20 . It does a good job of gliding.

도 12를 참조하면, 드릴비트(200)의 상승 및 작동상태(즉, 드릴비트(200)가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중)에 있어서, 슬립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압축하중에 의해 압축되고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슬립부재(500)의 압축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부 구조물(20) 상에 밀착되어 논슬립 작용을 하여 슬립부재(500)를 하부 구조물(20)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12, in the lifting and operating state of the drill bit 200 (that is, the drill bit 200 is drill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the slip member 500 is described above Compressed by a compressive load, and at least one non-slip member 6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tructure 20 by the compression of the slip member 500 to perform a non-slip action to move the slip member 500 to the lower structure 20 ) to be fixed on the top.

한편, 논슬립부재(600)의 상하 두께는 슬립부재(500)의 상하 두께의 8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and bottom thickness of the non-slip member 600 is 85% to 95% of the top and bottom thickness of the slip member 500 .

또한,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0~70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600 may include 50 to 70% by weight of a binder resin, 20 to 30% by weight of non-slip particles, 5 to 12% by weight of organic beads, and 5 to 8% by weight of a curing agent. Preferably, the non-slip member 600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58 wt% of a binder resin, 26 wt% of non-slip particles, 10 wt% of organic beads, and 6 wt% of a curing agent.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The binder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chloride, dioctyl terephthalate, polymethyl methacrylate, ethylene vinyl acetate, and an elastomer. Preferably, it may be a mixture in which polyvinyl chlorid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2:1.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0 내지 50 ㎛이고,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및 실리콘카바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일 수 있다.The non-slip particles may have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oxide, magnesium oxide, cerium oxide and silicon carbide, and preferably cerium oxid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35 to 40 μm.

상기 유기계 비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소재이며, 1~20 ㎛의 직경을 갖는 구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organic bead is one or more polymer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urethane, epoxy, polyester and nylon, and may be spherical or polygonal having a diameter of 1 to 20 μm. Preferably, the organic-based beads may be a mixture of spherical polypropylene and polyester having a diameter of 12 to 18 μm.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폴리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사케틸렌테트라민일 수 있다.The curing agent may be hexamethylenetetramine, polyamide,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hexaketylenetetramine.

특히,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논슬립부재(600)에 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논슬립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논슬립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모두 고르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In particular,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in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the non-slip member 600 was evaluated for mechanical properties of non-slip property, impact resistance and durability by a conventional meth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in other conditions and in other numerical ranges, all of the non-slip properties, impact resistance and durability were evenly excellent when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satisfied.

①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고, ②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③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이고, ④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⑤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일 수 있다.① The non-slip member 600 includes 58 wt% of a binder resin, 26 wt% of non-slip particles, 10 wt% of organic beads, and 6 wt% of a curing agent ② The binder resin contains 2 polyvinyl chlorid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It is a mixture mixed in a 1: 1 weight ratio, ③ the non-slip particles are cerium oxid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35 to 40 μm, ④ the organic beads are a mixture of spherical polypropylene and polyester having a diameter of 12 to 18 μm, ⑤ the above The curing agent may be hexamethylenetetramine.

다만, 상기 5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논슬립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되었으며, 일부는 박리가 발생하였다.However, when any one of the above five conditions was not satisfied, the overall non-slip property, impact resistance and durability were lowered, and some peeling occurr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 : 상부 구조물
20 : 하부 구조물
30 : 수평공
110 : 케이스
111 : 손잡이
112 : 통과홀
120 : 받침통
121 : 연통홀
130 : 슬라이드
200 : 드릴비트
310 : 구동모터
311 : 본체
312 : 구동축
320 : 제1베벨기어
330 : 제2베벨기어
340 : 고정축
350 : 제1스프로켓
360 : 제2스프로켓
370 : 체인
380 : 스플라인축
391 : 제1승하강기어
392 : 제2승하강기어
410 : 승하강플레이트
420 : 승하강블록
421 : 제1경사면
422 : 승하강바
423 : 그립부
430 : 전후진블록
431 : 제2경사면
432 : 연장부
441 : 스크류
442 : 타이밍 벨트
443 : 연결축
444 : 핸들
450 : 가이드블록
451 : 가이드홈
500 : 슬립부재
510 : 관통공
600 : 논슬립부재
710 : 제1베어링
720 : 제2베어링
730 : 제5베어링
740 : 제6베어링
10: superstructure
20: substructure
30: horizontal ball
110: case
111: handle
112: through hole
120: support barrel
121: communication hole
130: slide
200: drill bit
310: drive motor
311: body
312: drive shaft
320: first bevel gear
330: second bevel gear
340: fixed shaft
350: first sprocket
360: second sprocket
370 : chain
380: spline shaft
391: first elevating gear
392: second elevating gear
410: elevating plate
420: elevating block
421: first slope
422: elevating bar
423: grip part
430: forward and backward block
431: second slope
432: extension
441: screw
442: timing belt
443: connecting shaft
444 : handle
450: guide block
451: guide home
500: slip member
510: through hole
600: non-slip member
710: first bearing
720: second bearing
730: fifth bearing
740: sixth bearing

Claims (13)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면에 통과홀(112)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통과홀(112)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공(30)에 접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드릴비트(200);
상기 드릴비트(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릴비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는 승하강플레이트(410);
상기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좌우방향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제1경사면(4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1경사면(421)에 맞닿는 제2경사면(43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 및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421)이 상기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경사면(431)에 맞닿는 상기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승하강되며,
상기 승하강부는,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의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가이드블록(45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가이드홈(45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승하강바(4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The case 11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0 and the lower structure 20,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 drill bit 200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along the through hole 112 and drill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hole 30;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rill bit 200; and
Includes;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drill bit 200;
The elevating unit,
Elevating plate 410 for supporting the drill bit 200;
A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421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431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d a forward and backward means for moving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forward and back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slides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 and there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431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 As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421 is raised and lowered, the elevating block 420 is raised and lowered,
The elevating unit,
A pair of elevating blocks 4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surfaces of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guide grooves 451 ar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s opposite to the elevating blocks 4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block 450;
The elevating block 420 is,
A sampl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elevating bar (422)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451)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guide block (4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블록(430)은,
상기 제2경사면(43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2)가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제1경사면(42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그립부(423)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그립부(423)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연장부(432)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rward and backward block 430 is,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432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1 are formed,
The elevating block 420 is,
A pair of grip parts 42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21 are formed,
A sampl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grip parts 423 grip the pair of extension parts 432,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441);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를 치합하는 타이밍 벨트(442); 및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이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a pair of screws 441 passing through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a timing belt 442 for engaging the pair of screws 441; and
Including; rotation means for rotating any one of the pair of screws (441);
A sampling apparatus for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30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in-place rotation of the pair of screws 4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110)가 얹어지는 슬라이드(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슬라이드(1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ole 30, the slide 130 on which the case 110 is placed; further comprising,
A sampling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110) slides along the slide (13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슬립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ip member (50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13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lip member 500,
A facility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 resin, 10 to 2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slip agent,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ide slip agent, 0.1 to 3 parts by weight of a wax-based slip age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Sampling device for concrete structures for safety insp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5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2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이고,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lip member 500,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15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slip agent, 5 parts by weight of a fatty acid amide slip agent, 2 parts by weight of a wax-based slip agent, and 1.5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The polyolefin resin is a mixture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silicone-based slip agent is a mixture of silicone acrylate and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 in a 3:7 weight ratio,
The fatty acid amide slip agent is stearic acid amide,
The wax-based slip agent is a polypropylene-based wax,
The viscosity control agent is a sample collection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sodium acet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500)의 관통공(510)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상기 슬립부재(500)보다 얇은 상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600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s 510 of the slip member 500;
The non-slip member 600,
A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upper and lower thickness than the slip member (50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600)의 상하 두께는,
상기 슬립부재(500)의 상하 두께의 8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of the non-slip member 600 are,
A sampling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85% to 95% of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slip member 50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0~70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non-slip member 600,
Binder resin 50-70% by weight, non-slip particles 20-30% by weight, organic beads 5-12% by weight, and curing agent 5-8% by weight of a concrete structure sampling devic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이고,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non-slip member 600,
58 wt% of binder resin, 26 wt% of non-slip particles, 10 wt% of organic beads, and 6 wt% of a curing agent,
The binder resin is a mixture of polyvinyl chlorid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in a 2:1 weight ratio,
The non-slip particles are cerium oxid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35 to 40 μm,
The organic beads are a mixture of spherical polypropylene and polyester having a diameter of 12 to 18 μm,
The curing agent is a sample collection device of a concrete structure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characterized in that hexamethylenetetramine.
KR1020200153363A 2020-11-17 2020-11-17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KR102444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63A KR102444039B1 (en) 2020-11-17 2020-11-17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63A KR102444039B1 (en) 2020-11-17 2020-11-17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76A KR20220067076A (en) 2022-05-24
KR102444039B1 true KR102444039B1 (en) 2022-09-19

Family

ID=8180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363A KR102444039B1 (en) 2020-11-17 2020-11-17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0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01B1 (en)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of facilities
CN116556446B (en) * 2023-07-10 2023-09-05 合肥工大共达工程检测试验有限公司 Bored pile body integrity detection device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89B1 (en) * 1998-09-18 2003-02-14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Structure supporting apparatus
KR101219026B1 (en) 2012-07-19 2013-01-10 이윤재 Narrow portion a boring machine
JP2014006055A (en) * 2012-06-21 2014-01-16 East Nippon Expressway Co Ltd Concrete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2017751B1 (en) 2018-12-28 2019-09-03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Anchor hole perforation apparatus for narrow part
KR102159215B1 (en) 2020-07-01 2020-09-23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Hammer dri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057A (en) * 2007-04-26 2008-10-30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Apparatus for gathering pulverization sample
KR101743970B1 (en) 2016-11-25 2017-06-12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Sample picking module for testing chloride in concre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89B1 (en) * 1998-09-18 2003-02-14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Structure supporting apparatus
JP2014006055A (en) * 2012-06-21 2014-01-16 East Nippon Expressway Co Ltd Concrete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219026B1 (en) 2012-07-19 2013-01-10 이윤재 Narrow portion a boring machine
KR102017751B1 (en) 2018-12-28 2019-09-03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Anchor hole perforation apparatus for narrow part
KR102159215B1 (en) 2020-07-01 2020-09-23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Hammer dr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76A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039B1 (en) 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CN116202812A (en) Hydraulic hammering type full-automatic soil sampling device
CN210742024U (en) Drop hammer impact test device
CN113295460A (en) Drill rod of core drilling machine for road detection
CN111157281B (en) Sampling equipment for polluted soil regeneration
CN211602474U (en) Sample collecting and layering device for soil restoration
CN216160190U (en) Marine geological environment detection equipment
CN114837239A (en) Foundation pile detection device for constructional engineering and use method thereof
CN205685280U (en) A kind of top plate drilling special stretchable lever machinery arm
CN108755372B (en) Floor tile lifting device
CN108979119B (en) Construction attaches wall scaffold cantilever device convenient to use
CN201183128Y (en) Apparatus for boring on horizontal lathe
CN217033084U (en) Sampling device is used in research of asphalt concrete road surface layer
CN116223108B (en) Deep sampling analysis equipment of environmental monitoring
CN218362226U (en) Building material drilling equipment
CN219265887U (en) Building concrete sample block strength testing device
CN214096652U (en) Drilling sampling device for building material detection
CN116839986B (en) River mud collection sampling device
CN220377855U (en) Civil engineering building templates connecting device
CN219038424U (en) Road engineering detects uses sampler
CN220006087U (en) Auxiliary device for reinforcing bar planting hole drilling of constructional column
DE102018006732A1 (en) Mobile lifting / lowering cylinder drilling device
CN219908869U (en) Foundation bearing capacity detection device
CN220260308U (en) Pushing mechanism for drill bit machining
CN220251409U (en) Engineering geology reconnaissance sam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