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67B1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967B1
KR102443967B1 KR1020187017220A KR20187017220A KR102443967B1 KR 102443967 B1 KR102443967 B1 KR 102443967B1 KR 1020187017220 A KR1020187017220 A KR 1020187017220A KR 20187017220 A KR20187017220 A KR 20187017220A KR 102443967 B1 KR102443967 B1 KR 10244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dci
pdsch
rnti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012A (ko
Inventor
빈 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기가 제1 DCI와 제2 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동일한 캐리어 내에서 동적으로 다수의 TTI를 지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기는 하나의 캐리어에서의 전송채널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시간 지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도 고려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통신기술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과 응용의 끊임없는 확장과 더불어 시간 지연을 저하시키는 것은 핵심적인 성과 지표의 하나가 되었다. 예하면 이동단말기의 실시간 원격 컴퓨팅(Real-time remote computing for mobile terminals)의 단대단(end-to-end) 시간 지연 요구는 10ms 미만이고 고효율 안전 서비스(Traffic efficiency and safety)의 시간 지연 요구는 5ms이며 기존의 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LTE)기술의 전송시간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TTI)의 기간은 1ms이다.
데이터 처리 및 디코딩 시간 지연은 주요하게 TTI의 길이와 관련되므로 전송 시간 지연의 핵심기술에서의 하나는 TTI를 단축시키는 것이다. 현재 진화형 롱 텀 에볼루션(LTE-Advanced, LTE-A) 버전13(Release 13, Rel-13)은 이미 더욱 짧은 TTI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것을 결정하였다. 짧은 TTI의 장점은 전송 시간 지연을 단축시키는 것이지만 이에 상응한 대가는 제어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높고 주파수 스펙트럼의 효율이 낮은 것이다. 동시에 여러가지 유형의 서비스가 존재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만약 제일 작은 시간 지연 요구의 서비스에 근거하여 통일된 TTI를 결정하게 되면 리소스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 외에 짧은 TTI 전송을 지지하는 캐리어에서 기존 LTE시스템에 대한 호환성을 보장할 없는 바, 즉 1ms TTI를 겸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동일한 캐리어 내에서 동적으로 다수의 TTI를 지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간 지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제1 양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와 제2 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동일한 캐리어 내에서 동적으로 다수의 TTI를 지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기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전송채널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시간 지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제1 양태와 결부하면 첫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NTI의 우선순위는 제1 RNTI우선순위와 제2 RNTI우선순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NTI우선순위는 시스템 정보 RNTI, 호출 RNTI, 랜덤 액세스 RNTI, 임시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NTI우선순위는 셀 RNTI, 반정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두번째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RNTI우선순위이면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RNTI우선순위이면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RNTI우선순위이면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RNTI우선순위이면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 임의의 한가지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 임의의 한가지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네번째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 임의의 한가지 가능한 실현방식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현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기는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ACK/NACK)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기는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정보를 발송, 깻미수신 PDSCH에 대응하는 NACK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고,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2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1 PDSCH이다.
제 2 양태는 단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와 제2 DCI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수신유닛이 수신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유닛은 또한 상기 결정유닛이 결정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및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양태는 단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와 제2 DCI를 수신하는 수신기, -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결정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양태 및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양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와 제2 DCI를 발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을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기기의 피득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득백 정보는 상기 단말기기가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ACK/NACK)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피득백 정보는 상기 단말기기가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정보 및 상기 단말기기가 미수신 PDSCH에 대응하는 NACK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고,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2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1 PDSCH이다.
제4 양태와 결부하면 한가지 가능한 실현방식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PDSCH를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5 양태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와 제2 DCI를 발송하는 발송유닛, -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을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단말기기의 피득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4 양태 및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6 양태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와 제2 DCI를 발송하는 송신기, -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을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단말기기의 피득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4 양태 및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7 양태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양태 및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8 양태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양태 및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9 양태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양태 및 이의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의 임의의 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양태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4 양태 및 이의 여러가지 실현방식에서의 임의의 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PDSCH와 제2 PDSCH의 관계의 하나의 개략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PDSCH를 수신하는 하나의 개략도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PDSCH를 수신하는 하나의 개략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첫번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의 또 다른 구조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또 다른 구조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또 다른 예시적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단말기기(20)는 기지국(10)과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기기(20)와 기지국(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시스템, LTE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시스템, LTE시분할 이중 통신 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일 수 있고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일 수도 있으며 또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이거나 또는 미래 5G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 기기 등 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네트워크 기기, 네트워크측 장치 등으로 불릴수도 있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기는 무선접속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단말기기는 접속 단말기,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국, 이동 스테이션, 원거리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통신기기, 사용자 대리 또는 사용자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단말기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전화,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휴대용 기기, 계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기기, 차량용 기기, 착용 가능한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기 등 일 수 있다.
단축 TTI는 전송 시간 지연을 저하시키는 핵심기술로서 현재 LTE-A Rel-13은 이미 더욱 짧은 TTI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연구하기 시작하였으나, 짧은 TTI 전송을 지지하는 캐리어에서 기존 LTE시스템에 대한 호환성을 지지하도록 요구, 즉 1ms TTI를 동시에 겸용할 것을 요구한다. 전송 시간 지연이 시스템 효율을 동시에 고려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이때에 동적 스케줄링하여 단말기로 하여금 상이한 TTI 길이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데, 즉 짧은 시간 지연 서비스를 전송할 경우 짧은 TTI를 사용하고, 다른 서비스를 전송할 경우 통상적인 TTI를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 동적 스케줄링하여 단말기로 하여금 상이한 TT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은 명확한 기술적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적으로 여러가지 TTI를 지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201: 기지국(10)이 단말기기(20)에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기존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방식을 사용하여 PDCCH를 발송할 수 있다. PDCCH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20)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DCI는 전송 대기중인 제1 PDSCH에 대한 스케줄링이고, 전송 대기중인 제1 PDSCH는 타겟 캐리어에서 전송하게 되며, 전송 대기중인 제1 PDSCH는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PDCCH는 더 나아가 제2 DCI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DCI는 단말기기(20)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PDSCH와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일부 중첩될 수 있는데,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수평방향은 타임 리소스를 나타낸다. 이 외에 도 3의 (a)에서 PUCCH는 제1 DCI와 제2 DCI를 포함한다. 도 3의 (b)에서 PUCCH는 제1 DCI를 포함하나 제2 DCI는 포함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TTI는 제2 TTI와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TTI가 제2 TTI보다 작거나, 제2 TTI가 제1 TTI보다 작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후속적인 실시예는 제1 TTI가 제2 TTI보다 작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계 S201에서 단말기기(20)는 기지국(10)이 발송한 제1 DCI와 제2 DCI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기(20)는 제1 DCI와 제2 DCI를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기기(20)는 먼저 제1 DCI를 수신한 후 그 다음 제2 DCI를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기기(20)는 먼저 제2 DCI를 수신한 후 그 다음 제1 DCI를 수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202: 단말기기(20)는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기기(20)는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DCI의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낮음을 결정할 수 있는데, 바꾸어 말하면 제1 DCI와 제2 DCI는 상이한 우선순위를 가진다. 단말기기(20)는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DCI의 우선순위와 같음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바꾸어 말하면 제1 DCI와 제2 DCI는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단계 S202에서 단말기기(20)는 제1 DCI와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NTI 우선순위는 제1 RNTI우선순위와 제2 RNTI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RNTI의 우선순위는 시스템 정보 RNTI(System Information RNTI, SI-RNTI), 호출 RNTI(Paging RNTI, P-RNTI), 랜덤 액세스 RNTI(Random Access RNTI, RA-RNTI), 임시 RNTI(Temporary RNTI)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RNTI우선순위는 셀 RNTI(Cell RNTI, C-RNTI), 반정적 스케줄링 RNTI(Semi-Persistent Scheduling RNTI, SPS-RNTI)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NTI의 우선순위는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하면 제1 RNTI우선순위, 제2 RNTI우선순위와 제3 RNTI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계 S202에서 단말기기(20)는 먼저 제1 DCI의 RNTI와 제2 DCI의 RNTI를 획득하고,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와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기기(20)는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와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제1 DCI의 우선순위와 제2 DCI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약 상기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한다.
단계 S203: 단말기기(20)는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제1 PDSCH 또는 제2 PDSCH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DCI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단말기기(20)는 타겟 캐리어에서 제1 PDSCH를 수신한다.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DCI의 우선순위보다 낮으면 단말기기(20)는 타겟 캐리어에서 제2 PDSCH를 수신한다.
제1 DCI와 제2 DCI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면, 단말기기(20)는 비교적 작은 TTI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DCI와 제2 DCI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제1 TTI가 제2 TTI보다 작으면, 단말기기(20)는 타겟 캐리어에서 제1 PDSCH를 수신한다. 제1 DCI와 제2 DCI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제1 TTI가 제2 TTI보다 크면 단말기기(20)는 타겟 캐리어에서 제2 PDSCH를 수신한다.
바꾸어 말하면,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한다. 도 4의 (a)와 (b)가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에서의 “×”는 제2 PDSCH를 수신하지 아니함을 나타낸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며 제1 TTI가 제2 TTI보다 작으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며 제1 TTI가 제2 TTI보다 크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DCI와 제2 DCI는 모두 제2 우선순위를 가지고 제1 TTI가 제2 TTI보다 크며 도 5에서의 “×”는 제1 PDSCH를 수신하지 아니함을 나타낸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계 S203에서 단말기기(20)가 제1 PDSCH를 수신하는 것은 단말기기(20)가 제1 PDSCH를 복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단말기기(20)가 제2 PDSCH를 수신하는 것은 단말기기(20)가 제2 PDSCH를 복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b)가 도시한 바와 같은 장면에 대하여 단말기기(20)는 먼저 PDCCH에서 제1 DCI를 수신하고 단말기기(20)가 제1 DCI를 수신할 때 다른 DCI를 검출하지 못하였으면 단말기기(20)는 제1 DCI를 수신한 후 제1 PDSCH에 대한 복조를 시작할 수 있다. 단말기기(20)가 제1 PDSCH에 대하여 복조하는 과정에서 제2 DCI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기(20)는 다시 단계 S202를 수행할 수 있는데, 만약 단말기기(20)가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DCI의 우선순위보다 높다고 결정하면(예하면,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 또는 제1 DCI와 제2 DCI는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나 제1 TTI가 제2 TTI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기(20)는 계속하여 제1 PDSCH에 대해 복조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기(20)가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DCI의 우선순위보다 낮다고 결정하면(예하면,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또는 제1 DCI와 제2 DCI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나 제1 TTI가 제2 TTI보다 큰 경우), 단말기기(20)는 제1 PDSCH에 대한 복조를 멈추고 제2 PDSCH에 대해 복조를 시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계 S203 이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4: 단말기기(20)가 기지국(10)에 피득백 정보를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기(20)는 업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에 긍정 응답(Acknowledgement, ACK) 또는 부정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 정보를 피드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기(20)는 업링크 물리적 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ACK/NACK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만약 단계 S203에서 단말기기(20)는 제2 PDSCH를 수신하게 되면 단계 S203 이후에 단말기기(20)는 제2 PDSCH를 수신하는 성공여부에 근거하여 기지국에 제2 PDSCH에 대한 ACK 또는 NACK메시지를 피드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단말기기(20)는 기지국에 제1 PDSCH에 대한 NACK메시지를 피드백하거나 또는 단말기기(20)는 기지국에 제1 PDSCH에 대한 메시지를 피드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기기(20)가 기지국(10)에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제2 PDSCH에 대한 ACK/NACK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기(20)가 기지국(10)에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제2 PDSCH에 대한 ACK/NACK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PDSCH에 대한 NACK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만약 단계 S203에서 단말기기(20)가 제1 PDSCH를수신하게 되면 단계 S203이후에 단말기기(20) 는 제1 PDSCH를 수신하는 성공여부에 근거하여 기지국에 제1 PDSCH에 대한 ACK 또는 NACK메시지를 피드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단말기기(20)는 기지국에 제2 PDSCH에 대한 NACK메시지를 피드백하거나 또는 단말기기(20)는 기지국에 제2 PDSCH에 대한 메시지를 피드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기기(20)가 기지국(10)에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제1 PDSCH에 대한 ACK/NACK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기(20)가 기지국(10)에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제1 PDSCH에 대한 ACK/NACK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PDSCH에 대한 NACK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기(20)가 업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메시지를 피드백하는 개략도이다. 도6의 (a)에서 단말기기(20)는 기지국(10)에 제1 PDSCH에 대한 ACK 또는 NACK메시지를 피드백 하지만 기지국에 제2 PDSCH에 대한 메시지는 피드백하지 않는다. 도 6의 (b)에서 단말기기(20)는 기지국(10)에 제1 PDSCH에 대한 ACK 또는 NACK메시지를 피드백함과 동시에 기지국(10)에 제2 PDSCH에 대한 NACK메시지를 피드백한다.
기지국(10)에 있어서, 기지국(10)은 발송한 제1 DCI와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단말기기(20)에 의해 수신된 PDSCH를,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인 것으로 결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기지국(10)은 발송한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단말기기(20)가 어느 PDSCH를 수신하였는지를 결정함으로써 기지국(10)은 수신된 피드백 정보가 어느 한 PDSCH에 대한 피드백 정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10)이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방법과 상기 단말기기(20)가 상기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방법은 유사한 바,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DCI의 RNTI의 우선순위는 표준적으로 미리 규정된 것일 수 있고 RNTI의 우선순위는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동일한 캐리어 내에서 동적으로 다수의 TTI를 지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기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서의 전송채널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시간 지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도 고려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방법은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701: 단말기기가 제1 DCI와 제2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단계 S702: 단말기기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S703: 단말기기는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여기서, 도 7에서의 단계 S701는 상술한 도 2에서의 단계 S201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도 7에서의 단계 S702는 상술한 도 2에서의 단계 S202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 7에서의 단계 S703은 상술한 도 2에서의 단계 S203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계 S703이후에 본 발명은 단말기기가 피드백을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은 수신한 PDSCH에 대한 ACK/NACK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드백은 수신한 PDSCH에 대한 ACK/NACK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수신 PDSCH에 대한 NACK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한 PDSCH가 제1 PDSCH이면 미수신 PDSCH는 제2 PDSCH이다. 수신한 PDSCH가 제2 PDSCH이면 미수신 PDSCH는 제1 PDSCH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단말기기(80)는 수신유닛(801), 결정유닛(802)과 발송유닛(803)을 포함한다.
수신유닛(801)은 제1 DCI와 제2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결정유닛(802)은 수신유닛(801)이 수신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한다.
수신유닛(801)은 또한, 결정유닛(802)이 결정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여기서 결정유닛(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的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한다. 상기 RNTI의 우선순위는 제1 RNTI우선순위와 제2 RNTI우선순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RNTI우선순위는 시스템 정보 RNTI, 호출 RNTI, 랜덤 액세스 RNTI, 임시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NTI우선순위는 셀 RNTI, 반정적 스케줄링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유닛(802)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제1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제2 DCI의 RNT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RNTI우선순위에 속하면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상응하여, 수신유닛(801)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발송유닛(803)은 피드백을 발송한다. 상기 피드백은 수신한 PDSCH에 대한 ACK/NACK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드백은 수신한 PDSCH에 대한 ACK/NACK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수신 PDSCH에 대한 NACK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한 PDSCH가 제1 PDSCH이면 미수신 PDSCH는 제2 PDSCH이다. 수신한 PDSCH가 제2 PDSCH이면 미수신 PDSCH는 제1 PDSCH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유닛(801)은 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결정유닛(802)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발송유닛(803)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기(90)는 프로세서(901), 수신기(902), 송신기(903)와 메모리(9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904)는 우선순위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단말기기(90)에서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905)을 통해 커플링되는데 여기서 버스 시스템(9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신호버스를 더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의 시스템 칩(100)은 입력 인터페이스(1010), 출력 인터페이스(10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30), 메모리(10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10), 출력 인터페이스(1020), 상기 프로세서(1030) 및 메모리(1040) 사이는 버스(105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030)는 상기 메모리(1040) 내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03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단말기기(80) 또는 도 9에 도시된 단말기기(90)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 칩(100)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7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에서 설명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101: 네트워크 기기는 제1 DCI와 제2 DCI를 발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단계 S1102: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기기의 피득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도 11에서의 단계 S1101는 상술한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 S20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도 11에서의 단계 S1102는 상술한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 S204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피득백 정보는 상기 단말기기가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득백 정보는 상기 단말기기가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정보 및 상기 단말기기의 미수신 PDSCH에 대응하는 NACK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고,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2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1 PDSCH이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더 나아가,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PDSCH를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2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1 PDSCH이다.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으므로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다. 바꾸어 말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수신된 피드백 정보가 어느 한 PDSCH에 대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1 DCI의 RNTI 및 제2 DCI의RNTI를 미리 저장하고 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제1 DCI와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NTI의 우선순위는 제1 RNTI우선순위와 제2 RNTI우선순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NTI우선순위는 시스템 정보 RNTI, 호출 RNTI, 랜덤 액세스 RNTI, 임시 RNTI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RNTI우선순위는 셀 RNTI, 반정적 스케줄링 RNTI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수신한 것은 어느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PDSCH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20)는 발송유닛(1201)과 수신유닛(1202)을 포함한다.
발송유닛(1201)은 제1 DCI와 제2 DCI를 발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수신유닛(1202)은 상기 단말기기의 피득백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20)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PDSCH를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로 결정하는 처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유닛(1201)은 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발송유닛(1201)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처리유닛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130)는 프로세서(1301), 수신기(1302), 송신기(1303)와 메모리(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4)는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4)가 저장한 코드를 실행한다. 예하면 제1 DCI와 제2 DCI를 생성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후속적인 조작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130)에서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305)을 통해 커플링되는데 여기서 버스 시스템(13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신호버스를 더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또 다른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4의 시스템 칩(140)은 입력 인터페이스(410), 출력 인터페이스(14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30), 메모리(14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410), 출력 인터페이스(1420), 상기 프로세서(1430) 및 메모리(1440) 사이는 버스(145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430)는 상기 메모리(1440)에서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430)는 도 2 내지 도 7, 도 11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한다.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20) 또는 도 13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30)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 칩(100)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7, 도 11의 방법 실시예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실현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분리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 하드웨어 컴포넌트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개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 또는 수행 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그 어떤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개하는 방법의 단계와 결부하면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성하는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기억 장치,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읽으며 자신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휘발성 메모리는 일기 전용 기억 장치(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Programmable ROM,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일 수 있고 이는 외부 캐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이나 한정이 아닌 설명에 의하면 많은 방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된 동기식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유형의 메모리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공개한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하는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 것인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된 응용과 디자인 제한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적인 기술인원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의 편리와 간결함을 위하여 상기 설명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는 바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한 몇개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다 싶이 제시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하나의 논리기능의 구분일 뿐 실제 실현에서는 별도의 구분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브리가 다른 한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되거나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토론되는 서로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연결을 통할 수 있는데 이는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는데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다. 즉 한 곳에 위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방식으로 실현됨과 아울러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방식으로 체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저장매체는 USB, 이동식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또는 CD 등 여러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인 바,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밝히는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대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2)

  1. 단말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 또는 제2 DCI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을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RNTI의 우선순위는 제1 RNTI우선순위와 제2 RNTI우선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RNTI우선순위는 시스템 정보 RNTI, 호출 RNTI, 랜덤 액세스 RNTI, 임시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NTI우선순위는 셀 RNTI, 반정적 스케줄링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는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ACK/NACK)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기는 수신한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정보를 발송하고, 미수신 PDSCH에 대응하는 NACK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고,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2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1 PDS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9.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 또는 제2 DCI 중 적어도 하나를 발송하는단계, - 상기 제1 DCI는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을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기기의 피득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수신한 PDSCH를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이고;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2 PDSCH 일 경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1 PDSCH이며;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제1 TTI가 상기 제2 TTI보다 작으므로 상기 수신한 PDSCH가 상기 제1 PDSCH 일 경우, 상기 미수신 PDSCH는 상기 제2 PDS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1. 단말기기로서,
    제1 다운링크 제어정보(DCI) 또는 제2 DCI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 상기 제1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타겟 캐리어에서 제1 전송시간간격(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DCI는 상기 단말기기로 하여금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제2 TTI를 사용하여 전송한 제2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작고 상기 제1 PDSCH와 상기 제2 PDSCH는 타임 리소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 - ;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유닛은 또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 또는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정유닛은,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DCI와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 관계를 결정하며,
    상기 RNTI의 우선순위는 제1 RNTI우선순위와 제2 RNTI우선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RNTI우선순위는 시스템 정보 RNTI, 호출 RNTI, 랜덤 액세스 RNTI, 임시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NTI우선순위는 셀 RNTI, 반정적 스케줄링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1 PDSCH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만약 상기 제1 DCI의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이고 상기 제2 DCI의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이면 상기 타겟 캐리어에서 상기 제2 PDSCH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87017220A 2016-03-18 2016-03-18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443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6805 WO2017156788A1 (zh) 2016-03-18 2016-03-18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012A KR20180124012A (ko) 2018-11-20
KR102443967B1 true KR102443967B1 (ko) 2022-09-15

Family

ID=5985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220A KR102443967B1 (ko) 2016-03-18 2016-03-18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10966196B2 (ko)
EP (2) EP3370358B1 (ko)
JP (1) JP6689982B2 (ko)
KR (1) KR102443967B1 (ko)
CN (4) CN112260806A (ko)
BR (1) BR112018013836A2 (ko)
DK (1) DK3370358T3 (ko)
ES (1) ES2842925T3 (ko)
HK (1) HK1251372A1 (ko)
HU (1) HUE053028T2 (ko)
PL (1) PL3370358T3 (ko)
PT (1) PT3370358T (ko)
SG (1) SG11201805025XA (ko)
TW (1) TWI725139B (ko)
WO (1) WO2017156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1246B (zh) * 2016-05-13 2020-01-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业务数据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0455570B2 (en) 2016-09-26 2019-10-22 Ofinno, Llc Selection of DCI based upon TTI
EP3566498B1 (en) * 2017-01-18 2022-03-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resource controller preserving communication in an out-of-coverage area
CN109802732B (zh) * 2017-11-17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监测方法和相关装置
CN110035545A (zh) * 2018-01-12 2019-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度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AU2018422690A1 (en) * 2018-05-11 2020-12-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ownlink channel receiving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WO2019218160A1 (zh) * 2018-05-15 2019-11-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12470507B (zh) * 2018-07-26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检测方法及相关设备
CN111800868A (zh) * 2019-04-02 2020-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EP3771132A1 (en) 2019-07-22 2021-01-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1022533A1 (zh) * 2019-08-07 2021-0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087358B1 (en) * 2020-01-16 2024-02-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rvice conflict solu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518445A (zh) * 2020-04-10 2021-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数据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US11838917B2 (en) * 2020-04-23 2023-12-05 Qualcomm Incorporated Cross-carrie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cheduling
CN113630892B (zh) * 2020-05-07 2023-04-0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4126049A (zh) * 2020-08-25 2022-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6252A1 (en) 2012-06-15 2013-12-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28260A1 (en) 2013-02-26 201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over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6173B2 (en) 2009-03-20 2013-01-0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via RNTI
KR101601288B1 (ko) * 2009-04-02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73943B1 (ko) * 2009-04-16 201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TWI628933B (zh) * 2009-10-01 2018-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傳輸上鏈控制資訊的方法及系統
US8965442B2 (en) * 2010-05-07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in aggregated 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9237555B2 (en) * 2010-05-1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 carrier indication field for a multi-carrier
CN105578599A (zh) 2010-11-16 2016-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配置指示方法及设备
US9674835B2 (en) * 2011-04-11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537862B2 (en) * 2011-06-30 2013-09-17 Blackberry Limited Transmi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with higher order modulation
KR20130008781A (ko) *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전송장치 및 방법
CN102932090B (zh) * 2011-08-08 2016-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检测、发送信息的方法及设备
US9705654B2 (en) 2011-11-08 2017-07-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xtensible and scalable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networks
CN102447538B (zh) * 2011-11-16 2017-08-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传输方法和系统
KR20130054896A (ko) * 2011-11-17 201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이중화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 송수신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19197B2 (en) * 2012-05-22 2015-08-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 scheduling
EP2894798B1 (en) 2012-09-09 2019-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O2014054904A1 (ko) 2012-10-04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067140A1 (zh) * 2012-11-02 2014-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用户设备及基站
GB2507528A (en) 2012-11-02 2014-05-07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14098701A1 (en) 2012-12-21 2014-06-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verride of multi-tti scheduling messages
US9485763B2 (en) * 2013-01-14 2016-1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US9538515B2 (en) * 2013-03-28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wnlink signaling for adaptation of an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in TDD communication systems
JP6313545B2 (ja) 2013-05-09 2018-04-18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US9380599B2 (en) * 2013-07-03 2016-06-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cheduling contro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scheduled control information
US9264963B2 (en) * 2013-08-21 2016-02-16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enhanced uplink power control
US9526112B2 (en) * 2013-09-30 2016-12-20 Apple Inc. Control signaling optimization for LTE communications
US20150189574A1 (en) * 2013-12-26 2015-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dormant cell signaling for advanced cellular network
DK3100535T3 (da) * 2014-01-29 2019-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sendinger i trådløs kommunikation
WO2016021942A1 (en) 2014-08-06 2016-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2d terminal
CN104468030B (zh) 2014-08-26 2018-06-0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基站
EP3840264A1 (en) * 2014-09-08 2021-06-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dci based reception
US10560245B2 (en) * 2014-10-21 2020-02-11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low latency, and apparatus therefor
US10021677B2 (en) * 2014-10-31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Two-stage PDCCH with DCI flag and DCI format size indicator
CN112073166B (zh) * 2015-01-28 2023-10-1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Wtru及其实施的方法
WO2016153137A1 (ko) * 2015-03-20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 tti의 주파수 대역에 다이나믹하게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한 기기
EP4087354A1 (en) * 2015-06-01 2022-11-09 Apple Inc. Latency reduction techniques for radio access networks
WO2017018758A1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0873420B2 (en) * 2015-10-07 2020-12-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6252A1 (en) 2012-06-15 2013-12-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28260A1 (en) 2013-02-26 201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over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13836A2 (pt) 2018-12-11
WO2017156788A1 (zh) 2017-09-21
TW201735686A (zh) 2017-10-01
CN112260807B (zh) 2022-04-29
KR20180124012A (ko) 2018-11-20
HK1251372A1 (zh) 2019-01-25
DK3370358T3 (da) 2021-01-25
PL3370358T3 (pl) 2021-05-31
CN108292969A (zh) 2018-07-17
CN108292969B (zh) 2020-11-03
CN112260808A (zh) 2021-01-22
EP3783830A1 (en) 2021-02-24
US20180338307A1 (en) 2018-11-22
ES2842925T3 (es) 2021-07-15
PT3370358T (pt) 2021-01-07
HUE053028T2 (hu) 2021-06-28
JP6689982B2 (ja) 2020-04-28
US10966196B2 (en) 2021-03-30
US20210076376A1 (en) 2021-03-11
JP2019512898A (ja) 2019-05-16
EP3370358B1 (en) 2020-11-25
EP3370358A4 (en) 2019-06-26
SG11201805025XA (en) 2018-07-30
CN112260807A (zh) 2021-01-22
TWI725139B (zh) 2021-04-21
CN112260806A (zh) 2021-01-22
EP3370358A1 (en)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967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1122904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KR102293203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6833875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US1086932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035402B1 (ko) 자동 재송신 요청(arq) 피드백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 무선 장치 및 그 방법들
JP7330185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装置
WO2018120107A1 (zh)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10238997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JP6585275B6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及び基地局
JP2020120393A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RU2777033C1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вяз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9136699A1 (zh) 信息传输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