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98B1 -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98B1
KR102443198B1 KR1020220067185A KR20220067185A KR102443198B1 KR 102443198 B1 KR102443198 B1 KR 102443198B1 KR 1020220067185 A KR1020220067185 A KR 1020220067185A KR 20220067185 A KR20220067185 A KR 20220067185A KR 102443198 B1 KR102443198 B1 KR 102443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ol
swap
coin
provider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22006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중앙화된 예치 서비스를 바탕으로 하는 가상자산 금융거래를 트레이더와 가상화폐 공급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과 트레이더 단말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pool)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이 상기 유동성 풀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하는 카운팅부, 제1 공급자단말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상기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하는 풀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CRYPTOCURRENCY EXCHANGE PLATFORM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중앙화된 예치 서비스를 바탕으로 하는 가상자산 금융거래를 트레이더와 가상화폐 공급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와 통화, 화폐란 뜻을 가진 'currency'의 합성어로,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나 DAG(Directed Acyclic Graph)을 기반으로 한 분산 원장(DistributedLedger) 위에서 동작한다. 암호화폐로 가장 유명한 것이 비트코인(bitcoin)인데, 암호화폐의 종류로는 비트코인 이전의 것으로는 이캐시(ecash), 해시캐시(hashcash), 비머니(B-Money), 비트골드(bit gold) 등이 있으며, 비트코인(bitcoin) 계열의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계열의 이더리움(ethereum) 등과 기타 익명성을 보장하는 다크 코인으로서 모네로(Monero), 대시(Dash), 지캐시(ZCash), 코모도(Komodo), 버지(Verge), 바이트코인(Bytecoin)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암호화폐가 개발되고, 다양한 암호화폐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그 스마트 계약을 위한 기술적인 개발의 시도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암호화폐 간의 교환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용자들이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암호화폐 간의 교환을 위해, 이중의 교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교환 수수료가 낮으면서 암호화폐 간의 교환이 용이한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인교환 서비스를 트레이더에 제공하는 동시에 가상화폐 공급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상화폐 공급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보안이 강화된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과 트레이더 단말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pool)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이 상기 유동성 풀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하는 카운팅부, 제1 공급자단말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상기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하는 풀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서로 환전시킬 수 있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상기 트레이더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코인교환 서비스의 환전비율은 미리 설정된 환전 알고리즘을 통해 정해지고, 상기 트레이더 단말은 상기 코인교환 서비스의 이용의 대가로 미리 정의된 환전수수료를 상기 코인교환 서비스를 통해 상기 풀관리부에 지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1 풀기여도에 기초하여, 상기 환전수수료에 대한 분배금을 할당하여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분배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제2 공급자단말로부터 제2 풀코인을 예치받을 수 있고, 상기 제2 풀코인의 제2 예치개수와 기설정된 이자율에 따라 풀코인이자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공급자단말에 미리 정의된 이자지급코인으로 상기 풀코인이자를 지급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2 공급자단말에 상기 이자지급코인을 지급하기 위한 이자지급코인 계좌내역으로부터 확인되는 기설정된 연동서비스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이자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연동서비스는 상기 이자지급코인으로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 간의 일일평균 환전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일일평균 환전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더 단말의 접속을 제한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타업체 유동성 풀에 예치된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 중 어느 하나를 제1 공급자단말(10_1)로부터 유동성 풀(111)로 이전(migration)받는 경우, 상기 일일평균 환전횟수의 변화에 비례하는 추가기여도를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부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과 트레이더 단말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poo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이 상기 유동성 풀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하는 단계, 제1 공급자단말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상기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환전하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상기 트레이더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지불받는 환전수수료를 상기 제1 풀기여도에 따라 분배금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인교환 서비스를 트레이더에 제공하는 동시에 가상화폐 공급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가상화폐 공급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은 풀생성부(110), 카운팅부(120), 계산부(130) 및 풀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풀생성부(110)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과 트레이더 단말(13)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Uniswap protocol) 기반의 유동성 풀(Liquidity Pool, 111)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111)은 각 단말(11~13)을 통해 스왑코인쌍, 풀코인, 이자지급코인 및 각 단말의 계좌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블록체인 방식으로 누적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왑코인쌍은 특정 개수 비율로 조합된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스왑코인은 10:1의 비율로 조합되는 코인쌍일 수 있다.
또한, 풀코인은 스왑코인쌍에 대응되는 가치를 예금증서로 제공하기 위한 코인이고, 이자지급코인은 게임서비스와 타거래 플랫폼에서 게임아이템구매 및 환전용코인으로 이용가능한 코인일 수 있다.
이러한 스왑코인쌍, 풀코인 및 이자지급코인들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방식으로 생성된 가상화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카운팅부(120)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이 유동성 풀(111)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왑코인누적은 유동성 풀(111)에 누적된 제1 스왑코인에 대한 전체개수를 의미하고, 제2 스왑코인누적은 유동성 풀(111)에 누적된 제2 스왑코인에 대한 전체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카운팅부(120)는 유동성 풀(111)을 통해 누적되는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과 트레이더 단말(13)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산부(130)는 제1 공급자단말(10_1)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예치개수는 제1 공급자단말(10_1)이 유동성 풀(111)에 예치한 제1 스왑코인의 예치개수를 의미하고, 제1 스왑코인누적은 유동성 풀(111)에 누적된 제1 스왑코인의 누적개수를 의미하며, 제1 시점은 제1 공급자단말(10_1)이 스왑코인쌍을 예치함에 따라 유동성 풀(111)에 제1 예치개수가 합산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풀기여도는 스왑코인쌍을 예치하는 시점이 지연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공급자가 유동성 풀(111)에 예치한 제1 스왑코인의 제1 예치개수가 20개이고, 제1 예치개수가 합산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이 80개인 경우, 계산부(130)는 제1 예치개수와 제1 스왑코인누적 간의 비율인 25%를 제1 풀기여도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급자단말(10_1)은 스왑코인쌍 예컨대, 제1 및 제2 스왑코인 중 어느 하나의 스왑코인을 유동성 풀(111)에 예치함에 따라 풀코인을 지급받는 공급자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풀관리부(140)는 제1 공급자단말(10_1)에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풀코인은 제1 풀기여도가 정보로 포함된 풀코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제1 풀기여도에 비례하여 제1 공급자단말(10_1)에 지급되는 제1 풀코인의 지급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풀관리부(140)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서로 환전할 수 있게 지원하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트레이더 단말(13)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인교환 서비스의 스왑코인쌍에 대한 환전비율은 미리 설정된 환전 알고리즘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이때, 트레이더 단말(13)은 코인교환 서비스의 이용의 대가로 미리 정의된 환전수수료를 코인교환 서비스를 통해 풀관리부(140)에 지불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제1 풀기여도에 기초하여, 트레이더 단말(13)을 통해 지불된 환전수수료에 대한 분배금을 할당하여 제1 공급자단말(10_1)에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이더 단말(13)을 통해 지불된 환전수수료가 만원이고, 제1 공급자단말(10_1)의 제1 풀기여도가 20%인 경우, 풀관리부(140)는 제1 풀기여도에 대응되는 환전수수료에 대한 분배금을 2000원으로 할당하여 제1 공급자단말(10_1)에 분배할 수 있다.
이때, 풀관리부(140)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제공한 제공업체에 환전수수료에 대한 기설정된 지급비율에 따라, 분배금을 할당하여 해당 제공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제2 공급자단말(10_2)로부터 유동성 풀(111)을 통해 제2 풀코인을 예치받을 때, 제2 풀코인의 제2 예치개수와 기설정된 이자율에 따라 풀코인이자를 산출하고, 미리 정의된 이자지급코인으로 풀코인이자를 제2 공급자단말(10_2)에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풀코인은 제2 공급자단말(10_2)로부터 예치받는 풀코인을 의미하고, 제2 공급자단말(12)은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 중 풀코인을 유동성 풀(111)에 예치함에 따라 이자지급코인을 지급받는 공급자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제2 공급자단말(10_2)에 이자지급코인을 지급하기 위한 이자지급코인 계좌내역으로부터 확인되는 기설정된 연동서비스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이자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연동서비스는 상기 이자지급코인으로 이용가능한 서비스 예컨대, 게임아이템구매 및 환전거래를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제1 및 제2 스왑코인 간의 일일평균 환전횟수를 계산하고, 일일평균 환전횟수에 기초하여, 트레이더 단말(13)의 접속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유동성 풀(111)에 접속된 각 단말(11~13)에 기등록된 가입정보 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요청함에 따라 응답받는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각 단말(11~13)에 대한 유동성 풀(111)의 접속 권한을 일정기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제2 공급자단말(12)로부터 유동성 풀(111)을 통해 예치받는 제2 풀코인에 대한 예치기간의 연장 횟수에 기초하여, 제2 공급자단말(12)에 기설정된 이자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회원 가입시 각 단말(11~13)에 비밀키를 제공함에 따라 비밀키를 통해 암호화된 각 코인 계좌를 유동성 풀(111)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풀관리부(140)는 비밀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각 코인 계좌를 복호화함으로써, 각 단말(11~13)의 코인 계좌로 각 코인을 지급 및 환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해 확인된 스왑코인쌍의 일일 시세 변동폭에 기초하여, 트레이더단말(13)에 구비된 레이저센서(미도시)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호흡 및 심박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풀관리부(140)는 호흡 및 심박 신호가 불안정 상태인 시점에서, 코인교환 서비스에 대한 접속을 중단시키고, 분위기전환을 위한 컬러테라피 관련 콘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관리부(140)는 타업체 유동성 풀(미도시)에 예치된 제1 및 제2 스왑코인 중 어느 하나를 제1 공급자단말(10_1)로부터 유동성 풀(111)로 이전(migration)받는 경우, 제1 및 제2 스왑코인 간의 일일평균 환전횟수의 변화에 비례하는 추가기여도를 제1 공급자단말(10_1)에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제공시스템(100)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110 단계에서, 풀생성부(110)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과 트레이더 단말(13)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카운팅부(120)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이 유동성 풀(111)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S130 단계에서, 계산부(130)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예컨대, 10_1~10_N) 중 제1 공급자단말(10_1)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40 단계에서, 풀관리부(140)는 제1 공급자단말(10_1)에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할 수 있다.
이후, S150 단계에서, 풀관리부(140)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서로 환전할 수 있게 지원하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트레이더 단말(13)에 제공함에 따라 지불받는 환전수수료를 제1 풀기여도에 따라 분배금으로 할당하여 제1 공급자단말(10_1)에 분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_1: 제1 공급자단말
10_2: 제2 공급자단말
13: 트레이더단말
100: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제공시스템
110: 풀생성부
120: 카운팅부
130: 계산부
140: 풀관리부

Claims (8)

  1.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과 트레이더 단말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pool)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이 상기 유동성 풀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하는 카운팅부;
    제1 공급자단말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상기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하는 풀관리부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서로 환전시킬 수 있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상기 트레이더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코인교환 서비스의 환전비율은 미리 설정된 환전 알고리즘을 통해 정해지고,
    상기 트레이더 단말은 상기 코인교환 서비스의 이용의 대가로 미리 정의된 환전수수료를 상기 코인교환 서비스를 통해 상기 풀관리부에 지불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1 풀기여도에 기초하여, 상기 환전수수료에 대한 분배금을 할당하여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분배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제2 공급자단말로부터 제2 풀코인을 예치받을 수 있고,
    상기 제2 풀코인의 제2 예치개수와 기설정된 이자율에 따라 풀코인이자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공급자단말에 미리 정의된 이자지급코인으로 상기 풀코인이자를 지급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2 공급자단말에 상기 이자지급코인을 지급하기 위한 이자지급코인 계좌내역으로부터 확인되는 기설정된 연동서비스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이자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 간의 일일평균 환전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일일평균 환전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더 단말의 접속을 제한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관리부는 타업체 유동성 풀에 예치된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공급자단말로부터 상기 유동성 풀로 이전(migration)받는 경우, 상기 일일평균 환전횟수의 변화에 비례하는 추가기여도를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부여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8.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과 트레이더 단말이 접속 가능한 유니스왑 프로토콜 기반의 유동성 풀(poo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급자 단말들이 상기 유동성 풀에 예치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공급자별로 분류하여 카운팅하고, 공급자별 한쌍의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누적하여 제1 및 제2 스왑코인누적을 제공하는 단계;
    제1 공급자단말이 제1 스왑코인을 예치한 제1 예치개수와 상기 제1 예치개수를 합산한 제1 시점의 제1 스왑코인누적의 비율에 대응되는 제1 풀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상기 제1 풀기여도를 가지는 제1 풀코인(pool-coin)을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왑코인을 환전하는 코인교환 서비스를 상기 트레이더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지불받는 환전수수료를 상기 제1 풀기여도에 따라 분배금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1 공급자단말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20067185A 2022-05-31 2022-05-31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4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185A KR102443198B1 (ko) 2022-05-31 2022-05-31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185A KR102443198B1 (ko) 2022-05-31 2022-05-31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98B1 true KR102443198B1 (ko) 2022-09-14

Family

ID=8327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185A KR102443198B1 (ko) 2022-05-31 2022-05-31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1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56A (ko) * 2017-08-10 2019-02-20 박성훈 수익 배당 시스템
KR20190132706A (ko) * 2018-05-21 2019-11-29 황성록 가상화폐 상호간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682A (ko) * 2019-05-10 2020-02-11 주식회사 스트리미 암호화폐 교환을 위한 트랜잭션을 매칭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51460A (ko) * 2019-10-30 2021-05-10 김은희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안전거래 중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56A (ko) * 2017-08-10 2019-02-20 박성훈 수익 배당 시스템
KR20190132706A (ko) * 2018-05-21 2019-11-29 황성록 가상화폐 상호간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682A (ko) * 2019-05-10 2020-02-11 주식회사 스트리미 암호화폐 교환을 위한 트랜잭션을 매칭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51460A (ko) * 2019-10-30 2021-05-10 김은희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안전거래 중개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9607A1 (en) Minting and Use of Digital Money
US20200082668A1 (en) Mobile gaming and peer to peer gifting, receiving and donating platform using block chain integration of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public ledgers for gaming elements to form, encrypt and distribute digital or crypto currency
KR20190110377A (ko)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US20190015740A1 (en) Mobile gaming and peer to peer gifting, receiving and donating platform using block chain integration of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public ledgers for gaming elements to form, encrypt and distribute digital or crypto currency against server generated gaming
US20040034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icropayment transactions, corresponding client terminal and trader equipment
JP2020140400A (ja) 電子通貨、プログラム及び電子通貨取引システム
KR102309779B1 (ko)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탈중앙화 거래소 환경에서의 토큰 지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21694A (ko) 참가자의 활동에 의해 블록체인 화폐가 생성되는 미래예측 플랫폼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200114845A (ko) 지분증권과 연동된 블록체인 기반 지분증권형 토큰 발행 및 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지분증권형 토큰 발행 및 거래 방법
JP201913929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製造方法
KR101020137B1 (ko) 공모주 청약 대출방법
KR20190099545A (ko)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KR102443198B1 (ko) 가상화폐 교환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1139A (ko)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화폐를 통해 대출을 진행하는 대출관리서버
KR100382668B1 (ko) 지적재산권 분할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104646B1 (ko) 블록 체인 기반의 복권 발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0982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94532A (ko) 블록체인 기반 가상 지점을 이용한 개인 대상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3162A (ko)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KR20210061001A (ko) 블록 체인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WO2019147069A1 (ko)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을 매개체로 하는 환전 및 외환거래 방법
KR20200074362A (ko) 전송수수료를 지원하는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KR102245928B1 (ko) 매개 포인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수수료 거래 방법
KR102539481B1 (ko)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AU2021290326A1 (en) Private distributed ledger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