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58B1 -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958B1
KR102442958B1 KR1020227009068A KR20227009068A KR102442958B1 KR 102442958 B1 KR102442958 B1 KR 102442958B1 KR 1020227009068 A KR1020227009068 A KR 1020227009068A KR 20227009068 A KR20227009068 A KR 20227009068A KR 102442958 B1 KR102442958 B1 KR 10244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pp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238A (ko
Inventor
후미히데 고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71Ke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무선 네트워크에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보유한다. 보유되는 커넥터를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당해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가 보유되어 있는 경우, 당해 커넥터와 보유 정보를 DPP에 준하여 당해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휴대 전화·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이들 기기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 기기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암호 방식, 암호 키, 인증 방식, 인증 키 등의 다양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들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서, QR 코드(등록 상표) 등을 이용한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프로토콜(Wi-Fi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이하 DPP라 칭함)이 책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DPP에서는,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한 안전한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및 무선 접속 처리를 행하기 위한 구성이 규정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DPP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컨피규레이터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인 커넥터라는 정보를,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엔롤리에 제공한다. 또한 엔롤리는 컨피규레이터로부터 제공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인증이나 통신에 사용하는 키의 생성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또한 비특허문헌 1의 DPP에서는, 컨피규레이터가, DPP를 이용하지 않는 종래의 접속 처리에 이용되는 PSK나 패스프레이즈를 엔롤리에 제공해도 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Wi-Fi Alliance, Wi-Fi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DPP) DRAFT Technical Specification v0.0.23
컨피규레이터가, 어느 액세스 포인트가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로서 DPP용 커넥터와 비DPP용 PSK 또는 패스프레이즈를 양쪽 보유하고 있던 경우를 생각한다.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컨피규레이터가 DPP용 커넥터만을 엔롤리에 제공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엔롤리가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처리에 실패한 경우, 다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여 엔롤리는 통신 파라미터를 다시 취득할 필요가 생긴다. 즉, 다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여 비DPP용 PSK 또는 패스프레이즈를 취득해야만 하여, 접속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편리성이 나빠지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DPP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할 때에 접속까지의 시간의 단축과 편리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보유하는 제1 보유 수단과, 무선 네트워크에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보유하는 제2 보유 수단과, 상기 제1 보유 수단에 의하여 보유되는 제1 커넥터를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상기 제2 보유 수단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정보를 DPP에 준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준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에, 무선 네트워크에 DPP에 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1 커넥터와, 무선 네트워크에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1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한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한 DPP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제1 실행 수단과, 상기 제1 실행 수단에 의한 접속 처리가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한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실행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PP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할 때에 접속까지의 시간의 단축과 편리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통신 장치 간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5는 통신 파라미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통신 장치 파라미터 제공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통신 장치 파라미터 수신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따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802.11 시리즈에 준거한 무선 LAN 시스템을 이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통신 형태는, 반드시 IEEE802.11 준거의 무선 LAN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302), 스마트폰(304), 프린터(305) 및 무선 LAN 네트워크(303)(이하, 네트워크(30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액세스 포인트(302)가 형성하는 네트워크(303)에 프린터(305)를 참가시키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폰(304)은 DPP에 규정되는 컨피규레이터로서 동작하며, 프린터(305)에, 액세스 포인트(302)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장치를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및 프린터로 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카메라, PC,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 워치, PDA 등의 다른 장치여도 된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장치 수를 3대로 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2대 또는 4대 이상이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3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액세스 포인트(302), 스마트폰(304) 및 프린터(305))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01은 장치 전체를 나타낸다. 102는, 기억부(103)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102)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하여 구성된다. 103은, 제어부(10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후술하는 각종 동작은, 기억부(1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102)가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기억부(103)는, 예를 들어 ROM, RAM, HDD, 플래시 메모리, 또는 착탈 가능한 SD 카드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104는, IEEE802.11 시리즈에 준거한 무선 LAN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부이다. 무선부(104)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칩에 의하여 구성된다. 105는, 각종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이며, LCD나 LED와 같이 시각으로 인지 가능한 정보의 출력, 또는 스피커 등의 음 출력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다. 표시부(105)는, 시각 정보 및 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표시부(105)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표시하는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보유하는 VRAM(Video RAM)을 갖는다. 표시부(105)는, VRAM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LCD나 LED에 계속해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106은, 촬상 소자, 렌즈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사진이나 동화상의 촬영을 행하는 촬영부이다. 촬영부(106)는, 1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의 2차원 코드 등의 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107은, 안테나(108)의 출력 제어를 행하는 안테나 제어부이며, 108은, 무선 LAN으로 통신하기 위한 2.4㎓대 및/또는 5㎓대에서 통신 가능한 안테나이다. 109는, 유저가 각종 입력 등을 행하여 통신 장치(101)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입력부(109)는 입력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기억부(103) 등의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한 도 1의 예는 일례이며, 통신 장치가 그 외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가 프린터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 외에 인쇄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302)인 경우에는 촬영부(106)나 표시부(105)는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는, 후술하는 통신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통신 장치의 기능 블록은 각각 기억부(103)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며, 제어부(102)에 의하여 당해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시된다. 제어부(102)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하드웨어의 제어, 및 정보의 연산이나 가공을 행함으로써 각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기능 블록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기능 블록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2에 있어서, 201은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 전체를 나타낸다. 202는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이다.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202)는, 장치 간에서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에 있어서는, 제공 장치가 수신 장치에,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파라미터에는, 네트워크 식별자로서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암호 방식, 암호 키, 인증 방식, 인증 키 등의, 무선 LAN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또한 DPP에 규정되는 커넥터, MAC 어드레스, PSK, 패스프레이즈, IP층에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IP 어드레스, 상위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 등도 포함해도 된다.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202)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는 DPP인 것으로 한다. 그러나 통신 파라미터 제어부(202)가 실행하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는 WPS(Wi-Fi Protected Setup) 또는 Wi-Fi Direct 등 다른 처리여도 되며, DPP에 한정되지 않는다.
203은 바코드 판독 제어부이다. 바코드 판독 제어부(203)는, 촬영부(106)에 의하여 촬영된 1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의 2차원 코드 등의 화상을 해석하여, 부호화된 정보를 취득한다. 바코드 판독 제어부(203)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를 실행할 때에 사용되는 공개 키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를 촬영부(106)에 의하여 촬영하고, 촬영한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코드 정보는 CP 코드 혹은 QR 코드 등의 2차원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1차원 코드여도 된다. 바코드 판독 제어부(203)는, 촬영부(106)의 촬영에 의하여 취득한 코드 정보의 화상을 해석하여, 부호화된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드 정보에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정보는, 인증 처리에 사용되는 공개 키나 장치의 식별자 등의 정보이다. 또한 공개 키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 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용되는 정보이며, 증명서 또는 패스워드 등의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공개 키는, 공개 키 암호 방식에서 사용되는 암호 키의 일종이다.
204는 바코드 생성 제어부이다. 1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의 2차원 코드 등을 생성하고, 생성한 1차원 바코드, 2차원 코드 등을 표시부(105)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바코드 생성 제어부(204)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를 실행할 때에 사용되는 공개 키나 통신 장치의 식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205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있어서의 서비스 제어부이다. 여기서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란, OSI 참조 모델에 있어서의 제5 층 이상의 상위 레이어에 있어서의 서비스 제공층을 가리킨다. 즉, 서비스 제어부(205)는 무선부(104)에 의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쇄 처리나 화상 스트리밍 처리나 파일 전송 처리 등을 실행한다.
206은 패킷 수신부, 207은 패킷 송신부이며, 상위 레이어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모든 패킷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또한 패킷 수신부(206) 및 패킷 송신부(207)는, 대향 장치와의 사이에서 IEEE802.11 규격에 준거한 패킷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기 위하여 무선부(104)를 제어한다.
208은 스테이션 기능 제어부이며, IEEE802.11 규격에 정해진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있어서의 스테이션(STA)으로서 동작하는 STA 기능을 제공한다. STA 기능 제어부(208)는 STA로서 동작할 때에 인증·암호 처리 등을 실시한다. 또한 209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 제어부이며, IEEE802.11 규격에 정해진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AP 기능을 제공한다. AP 기능 제어부(209)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STA에 대한 인증·암호 처리 및 STA의 관리 등을 실시한다. 210은 데이터 기억부이며, 소프트웨어 자체, 및 통신 파라미터나, 바코드류의 정보의 기억부(103)에 대한 기입 및 읽기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 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302)인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 제어부(203) 등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액세스 포인트(302)는 네트워크(303)를 구축하고 있으며, 스마트폰(304)은 네트워크(303)에 접속 가능한 통신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304)에 있어서의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302)가 DPP에 비대응인 경우에는 WPS나 AOSS 등의 기존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302)가 DPP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DPP를 이용한 자동 설정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입력부(109)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입력해도 된다.
액세스 포인트(302), 스마트폰(304) 및 프린터(305) 간에 실시되는 처리 동작 시퀀스를 도 4에 나타낸다. 스마트폰(304)은, 유저로부터 처리 개시 지시를 받은 프린터(305)가 표시하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QR 코드로부터 인증 정보를 취득한다(F401). 또한 F401에 있어서 취득되는 인증 정보는 공개 키여도 된다. 스마트폰(304)은 QR 코드로부터 얻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인증 처리에 이용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스마트폰(304)은, QR 코드에 포함되는 공개 키에 대한 해시값을 계산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얻는다. 식별 정보를 계산한 후, 스마트폰(304)은 프린터(305)에 대하여 인증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F402). 스마트폰(304)은 프린터(305)에 대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인증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F402). 인증 요구 신호는 인증 처리를 요구하기 위한 신호이다. 여기서는, 인증 요구 신호는 802.11 시리즈에 규정된 Action 프레임을 이용한다.
프린터(305)는 인증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프린터(305)의 공개 키로부터 계산한 식별 정보와 당해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305)는, 수신한 인증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계산한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프린터(305)는, 인증 처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증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여기서는 인증 처리가 성공한 경우의 설명을 행한다. 프린터(305)는, 수신한 인증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계산한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인증 응답 신호를 스마트폰(304)에 송신한다(F403). 또한 인증 응답 신호에는, 인증 요구 신호의 송신원에 있어서, 인증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인증 응답 신호에는, 인증 응답 신호의 송신원에 있어서, 계산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스마트폰(304)은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인증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실시한다. 스마트폰(304)은, 수신한 인증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QR 코드로부터 얻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인증을 행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304)은, 인증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키를 생성하거나, 또는 인증 응답 신호로부터 공통 키를 취득한다.
스마트폰(304)은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인증 확인 신호를 프린터(305)에 송신한다(F404). 프린터(305)는 인증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설정 요구 신호를 스마트폰(304)에 송신한다(F405). 스마트폰(304)은 설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설정 응답 신호를 프린터(305)에 송신한다(F406). 여기서 통신 파라미터는, 인증 처리에서 공유한 공통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상태로 통신된다. 또한 설정 응답 신호는 DPP에 규정되는 DPP Configuration Response 프레임이어도 된다.
F406에서 송신되는 통신 파라미터는, DPP를 이용한 경우, 비특허문헌 1에 의하면 도 5와 같이 되어 있다. DPP Credential이라는 전체 구성 중에 AKM, 레거시 PSK/패스프레이즈, Connector(커넥터), Expiry(유효 기한) 등이 설정된다. AKM이란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ype의 약기이며, 통신 시에 어느 인증 프로토콜이나 키 교환 알고리즘을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레거시 PSK/패스프레이즈는, 종래의 WPA나 IEEE802.11에 기초한 인증·키 교환을 실시할 때의 암호 키이다. 즉, 레거시 PSK/패스프레이즈는,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커넥터는, DPP가 정한 인증 프로토콜이나 키 교환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각종 정보이다. 커넥터는, DPP에 준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프린터(305)는 설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303)에 대한 접속 요구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302)에 송신한다(F407). 또한 프린터(305)는, 수신한 설정 응답 신호에 커넥터가 유효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또는 커넥터가 무효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DPP에 준한 접속 요구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302)에 송신한다.
DPP에 준한 접속 요구 신호에는 커넥터가 포함된다. 커넥터에는, 적어도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 장치(컨피규레이터)가 스마트폰(304)인 것을 나타내는 관리 장치 정보가 포함된다. 액세스 포인트(302)는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 중의 관리 장치 정보와 자신이 기억하는 관리 장치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한 장치(스마트폰(304))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동일한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액세스 포인트(302)는, 프린터(305)의 접속을 허가하는 접속 허가 신호를 프린터(305)에 송신한다(F408). 또한 프린터(305)는 접속 요구 신호에 암호 키 등의, 스마트폰(304)으로부터 취득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302)는, 접속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암호 키가 네트워크(303)에서의 통신에 필요한 암호 키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한 경우에 접속 허가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프린터(305)는 접속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302)와의 사이에서 4-Way Handshake 등의 필요한 접속 처리를 실시하여 네트워크(303)에 참가한다(F409).
다음으로, 스마트폰(304)에서 실행되는 처리 흐름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스마트폰(304)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흐름도의 각 스텝은, 스마트폰(304)의 기억부(1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102)가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스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어 ASIC 등의 하드웨어에서 실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6의 흐름도는, 스마트폰(304)이 입력부(109)에 의하여, 유저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를 실행하라는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개시된다. 스마트폰(304)은, 대향 장치인 프린터(305)의 인증 정보인 공개 키를 QR 코드 촬영에 의하여 취득한다(F401, S601). 또한 여기서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QR 코드만에 한정되지 않으며, NFC, Bluetooth(등록 상표), USB, 또는 유저에 의한 문자열 입력 등 다른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DPP에서는 인증 정보의 취득을 Bootstrap이라는 명칭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304)은, 도 4의 F402 내지 F404에 있어서 설명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S602). 또한 스마트폰(304)은, 인증 처리에 실패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마트폰(304)은 인증 처리에 성공한 경우, 프린터(305)로부터 설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3, F405). 스마트폰(304)은, 프린터(305)로부터 설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스마트폰(304)은, 프린터(305)로부터 설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제공해야 할 DPP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4). S604의 판단 결과, DPP의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S61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S604의 판단 결과, DPP의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폰(304)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파라미터 설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규로 DPP용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메모리 상에 보유한다(S615). 또한 신규로 생성하는 DPP용 파라미터는 유저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해도 되고, 랜덤으로 생성된 문자열이어도 된다.
스마트폰(304)은, 제공하는 DPP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WPA나 IEEE802.11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레거시라 칭함)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2).
S612의 판단 결과, 레거시의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304)은 DPP의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할 설정 응답 신호의 커넥터를 저장해야 할 영역에 설정한다(S613). 또한 스마트폰(304)은, 송신할 설정 응답 신호의 AKM을 저장해야 할 영역에, DPP를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S614).
한편, S612의 판단 결과, 레거시용 통신 파라미터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DPP의 통신 파라미터를, 송신할 설정 응답 신호의 커넥터를 저장해야 할 영역에 설정한다(S609). 또한 스마트폰(304)은, 송신할 설정 응답 신호의 레거시 PSK/패스프레이즈를 저장해야 할 영역에, 보유하고 있는 레거시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610). 스마트폰(304)은, AKM에는, 레거시 및 DPP의 양쪽을 보유함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S611). 스마트폰(304)은 S611 또는 S614의 처리 후에 생성한 설정 응답 신호를 프린터(305)에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608, F406).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마트폰(304)이 송신할 F406의 설정 응답 신호에 설정되는, 도 5에 나타낸 DPP Credential의 커넥터 정보와 레거시 정보는,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처에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처인 프린터(305)가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처리에 실패한 경우, 프린터(305)는 레거시용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스마트폰(304)을 사용하여 다시 프린터(305)의 QR 코드를 촬영하는 등의 수고를 들이지 않더라도 프린터(305)는 레거시용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4)이,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DPP Credential을 설정한 설정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통신 파라미터 수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프린터(305)에서 실행되는 처리 흐름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프린터(305)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흐름도의 각 스텝은, 프린터(305)의 기억부(1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102)가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스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어 ASIC 등의 하드웨어로 실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7의 흐름도는, 프린터(305)가 입력부(109)에 의하여, 유저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를 실행하라는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개시된다. 프린터(305)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인 공개 키를, 대향 장치인 스마트폰(304)으로 송부한다(F401, S701).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설명에서는, 프린터(305)는, 통신 파라미터 공유 처리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인 공개 키를, QR 코드를 표시함으로써 공개 키를 송부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공개 키를 송부하는 방법은, NFC, Bluetooth, USB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대향 장치로 송부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프린터(305)는 대향 장치와, 도 4의 F402 내지 F404에 있어서 설명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프린터(305)는 인증 처리에 성공한 경우, F405에서 설명한 설정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프린터(305)는, 설정 요구 신호의 응답으로서 수신한 설정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통신 파라미터인 DPP Credential을 수신한다(S702).
프린터(305)는 수신한 DPP Credential로부터 AKM 정보를 확인한다(S703).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AKM이란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ype의 약기이며, 통신 시에 어느 인증 프로토콜이나 키 교환 알고리즘을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프린터(305)는 AKM 정보에, DPP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704).
S704의 판정 결과, AKM 정보에, DPP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305)는 계속해서 AKM 정보에, 레거시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705). S705의 판정 결과, AKM 정보에, 레거시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305)는 처리를 에러 종료로 한다(S706). 즉, 도 4의 F407 이후의 시퀀스는 실행되지 않으며, 표시부(105)에 에러라는 취지를 통지하여 처리를 마친다.
또한 S705의 판정 결과, AKM 정보에, 레거시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린터(305)는 DPP Credential 중의 레거시 PSK/패스프레이즈를 참조하여 자 장치의 암호 키로서 설정한다(S707). 그 후, 프린터(305)는 기존의 WPA·WPA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처리를 행하여 통신을 실시한다(S708).
한편, S704의 판정 결과, AKM 정보에, DPP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DPP Credential 중의 커넥터 정보를 참조하여 프린터(305)는, DPP에 의한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처리를 시행한다(S709). S709의 접속 처리의 시행 결과, DPP Credential 중의 커넥터 정보에 의하여 접속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10). S710의 판정 결과, 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710에 있어서 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아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지 못한 경우에는, 프린터(305)는 수신한 DPP Credential로부터 AKM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린터(305)는 AKM 정보에, 레거시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11). S711의 판정 결과, 레거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305)는 처리를 에러 종료한다(S714). 한편, S711의 판정 결과, 프린터(305)는, AKM 정보에, 레거시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DPP Credential 중의 레거시 PSK/패스프레이즈를 참조하여 자 장치의 암호 키로서 설정한다(S712). 그 후, 프린터(305)는 기존의 WPA·WPA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을 행하여 통신을 확립한다(S713).
이와 같이, 프린터(305)는, 한 번의 DPP의 시퀀스로 DPP용 커넥터와 비DPP용 PSK 또는 패스프레이즈를 제공받은 경우, 먼저,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프린터(305)는, DPP에 준한 것보다 안전하게 무선 접속의 확립을 시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305)는, DPP의 접속 처리에 실패한 경우에도 레거시용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DPP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할 때에 접속까지의 시간의 단축과 편리성의 향상을 실현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QR 코드의 화상을 이용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장치 간에서 주고받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QR 코드의 촬영 대신 NFC나 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IEEE802.11ad 또는 트랜스퍼 제트(TransferJet)(등록 상표)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판독할 QR 코드는,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QR 코드뿐 아니라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 시일 등의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여도 된다. 또한 판독할 QR 코드는 취급 설명서나 통신 기기의 판매 시의 골판지 등의 포장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QR 코드가 아니라 1차원 바코드, QR 코드 이외의 2차원 코드여도 된다. 또한 QR 코드 등의 기계가 판독 가능한 정보 대신, 유저가 판독할 수 있는 형식의 정보여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 간의 통신을 IEEE802.11 준거의 무선 LAN 통신에 의하여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와이어리스 USB, Bluetooth, ZigBee, NFC 등의 무선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UWB는, 와이어리스 USB, 와이어리스 1394, WINET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하여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6년 9월 6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특원2016-173744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6)

  1. 통신 장치이며,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보유하는 제1 보유 수단과,
    무선 네트워크에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보유하는 제2 보유 수단과,
    유저로부터 DPP에 관한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DPP에 따르는 AKM(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ype)과 함께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DPP에 준하여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수단 - AKM은,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DPP에 따르는 파라미터 및 DPP에 따르는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나타냄 -
    을 갖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유 수단에 의하여 보유되는 정보는, WPA 또는 IEEE802.11에 기초하는 접속 처리를 행하기 위한 PSK 또는 패스프레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유 수단은, WPS, AOSS, 또는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하여 취득되는 상기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더 갖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수단은,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취득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통신 장치이며,
    유저로부터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관한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DPP에 준하는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DPP에 따르는 AKM(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ype)과 함께, DPP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커넥터 및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 AKM은,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DPP에 따르는 파라미터 및 DPP에 따르는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나타냄 -,
    상기 수신 수단이 AKM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이용한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 또는 상기 커넥터를 이용한 DPP에 준한 접속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갖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이 AKM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이용한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커넥터를 이용한 DPP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커넥터를 이용한 DPP에 준한 접속 처리가 실패한 경우, 상기 정보를 이용한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PSK 또는 패스프레이즈인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WPA 또는 IEEE802.11에 기초하는,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화상으로부터 취득되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다른 통신 장치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화상은, QR 코드를 나타내는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더 갖는, 통신 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DPP에 관한 처리가 성공하지 않은 경우, 유저에게 에러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AKM이,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DPP에 따르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지도 않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DPP에 따르는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지도 않는 경우, 유저에게 에러를 통지하는, 통신 장치.
  14.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보유하는 제1 보유 공정과,
    무선 네트워크에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보유하는 제2 보유 공정과,
    유저로부터 DPP에 관한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지시가 접수되는 경우, DPP에 따르는 AKM(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ype)과 함께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DPP에 준하여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공정 - AKM은,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DPP에 따르는 파라미터 및 DPP에 따르는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나타냄 -
    을 갖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15.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유저로부터 DPP에 관한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지시가 접수되는 경우,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에 준하는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DPP에 따르는 AKM(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type)과 함께, DPP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커넥터 및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 AKM은,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DPP에 따르는 파라미터 및 DPP에 따르는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나타냄 -,
    상기 수신 공정에서 AKM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를 이용한 DPP와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준한 접속 처리 또는 상기 커넥터를 이용한 DPP에 준한 접속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공정
    을 갖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로서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7009068A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42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3744 2016-09-06
JP2016173744A JP6716399B2 (ja) 2016-09-06 2016-09-06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217029952A KR102377669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CT/JP2017/030740 WO2018047653A1 (ja) 2016-09-06 2017-08-28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52A Division KR102377669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38A KR20220041238A (ko) 2022-03-31
KR102442958B1 true KR102442958B1 (ko) 2022-09-14

Family

ID=6156199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068A KR102442958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97009133A KR102305207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17029952A KR102377669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133A KR102305207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17029952A KR102377669B1 (ko) 2016-09-06 2017-08-28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60121B2 (ko)
JP (1) JP6716399B2 (ko)
KR (3) KR102442958B1 (ko)
CN (2) CN109691220B (ko)
WO (1) WO2018047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6399B2 (ja) * 2016-09-06 2020-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54341B2 (ja) * 2017-12-22 2022-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638146B2 (en) 2018-03-28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Onboarding multiple access point (Multi-AP) device using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DPP)
JP7155581B2 (ja) 2018-03-30 2022-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35385B2 (ja) * 2018-03-30 2022-09-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15066B2 (ja) * 2018-03-30 2023-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24559B2 (ja) * 2018-03-30 2022-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端末装置、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91781B2 (ja) 2018-03-30 2022-06-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57744B2 (ja) * 2018-04-25 202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245190A1 (ko) * 2018-06-22 2019-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618475A1 (en) * 2018-08-27 2020-03-0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device to establish a wireless secure link while maintaining privacy against tracking
EP3618382A1 (en) * 2018-08-30 2020-03-04 Koninklijke Philips N.V. Non-3gpp device access to core network
JP7296701B2 (ja) * 2018-09-06 202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62950B2 (ja) * 2018-09-11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62949B2 (ja) 2018-09-11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92971A1 (en) 2018-11-02 2020-05-07 Google Llc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with enrollee feedback
JP7292861B2 (ja) * 2018-11-22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09345B2 (ja) * 2018-11-27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24001B2 (ja) 2018-12-28 2023-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59334B2 (ja) * 2019-01-09 2023-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と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78087B2 (ja) 2019-01-31 202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3694238A1 (en) * 2019-02-11 2020-08-12 Koninklijke Philips N.V. Previous connection status report
JP7387283B2 (ja) * 2019-04-22 2023-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60779B1 (ko) * 2019-07-18 2021-06-07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의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JP7338329B2 (ja) 2019-08-30 2023-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と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38372B2 (ja) * 2019-09-27 2023-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19728B2 (ja) * 2019-09-27 2024-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00303B2 (ja) * 2019-09-27 2023-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06893B2 (ja) * 2019-10-16 2023-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031390B (zh) * 2019-12-17 2022-10-2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输出大小固定序列行列式点过程视频概要方法
JP7056680B2 (ja) * 2020-02-13 2022-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設定装置、設定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32904B2 (ja) * 2020-05-29 2024-08-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通信装置
JP2023034115A (ja) * 2021-08-30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4082763A (ja) * 2022-12-09 2024-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548A (ja) 2012-07-05 2014-01-30 Canon Electronics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および画像入力装置
US20150229475A1 (en) 2014-02-10 2015-08-13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device provisioning in a network
US20150256627A1 (en) 2014-03-06 2015-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seeker device and a targe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5476B2 (ja) * 2011-01-21 2014-03-1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13198B2 (en) * 2011-07-05 2014-08-19 Apple Inc. Configuration of accessories for wireless network access
US9031050B2 (en) * 2012-04-17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mobile device to enable another device to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JP6080548B2 (ja) * 2012-12-28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情報端末、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575768B1 (en) * 2013-01-08 2017-02-21 Marvell International Ltd. Loading boot code from multiple memories
JP6080561B2 (ja) * 2013-01-18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生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1843B2 (ja) * 2013-02-22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154025B2 (en) * 2013-03-15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Seamless device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6305023B2 (ja) * 2013-11-13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60109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간 연결 방법 및 장치
US20160360407A1 (en) * 2015-06-05 2016-12-08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configurator entity
US10148769B2 (en) * 2015-09-11 2018-12-04 Blackberry Limited Pre-association discovery of services
US10873842B2 (en) * 2016-04-08 2020-12-22 Blackberry Limited Managed object to provision a device according to one of plural provisioning techniques
US20180048632A1 (en) * 2016-08-12 2018-02-15 Qualcomm Incorporated Precursory client configuration for network access
JP6716399B2 (ja) * 2016-09-06 2020-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548A (ja) 2012-07-05 2014-01-30 Canon Electronics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および画像入力装置
US20150229475A1 (en) 2014-02-10 2015-08-13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device provisioning in a network
US20150256627A1 (en) 2014-03-06 2015-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seeker device and a target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Fi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DPP) DRAFT Technical Spec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60121B2 (en) 2021-10-26
KR20190049774A (ko) 2019-05-09
CN109691220B (zh) 2022-10-14
JP6716399B2 (ja) 2020-07-01
KR102377669B1 (ko) 2022-03-24
KR102305207B1 (ko) 2021-09-28
KR20210118239A (ko) 2021-09-29
KR20220041238A (ko) 2022-03-31
US20220015161A1 (en) 2022-01-13
US11770864B2 (en) 2023-09-26
US20190215878A1 (en) 2019-07-11
JP2018042058A (ja) 2018-03-15
CN115604860A (zh) 2023-01-13
CN109691220A (zh) 2019-04-26
WO2018047653A1 (ja)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958B1 (ko)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702833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及びプログラム
JP6794191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59011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655272B (zh) 通信装置、通信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614983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
KR101934809B1 (ko)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7258493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655275B (zh) 通信装置、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406893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42057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25623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135435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10575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213614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