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804B1 - 매트 - Google Patents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804B1
KR102442804B1 KR1020200096132A KR20200096132A KR102442804B1 KR 102442804 B1 KR102442804 B1 KR 102442804B1 KR 1020200096132 A KR1020200096132 A KR 1020200096132A KR 20200096132 A KR20200096132 A KR 20200096132A KR 102442804 B1 KR102442804 B1 KR 10244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at
angle
circumferential surface
foa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734A (ko
Inventor
장명근
라윤호
민병기
서자덕
성재완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정성훈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9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8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출원은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매트에 의하면, 결합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방향에 관계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MAT}
본 출원은 매트에 관한 것이다.
다세대 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등과 같은 2층 이상의 건물에서 아이들이 뛰는 소리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의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트 단위체의 테두리에는 돌기 및 홈이 교호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 홈에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의 돌기가 삽입되어 매트 단위체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매트 단위체에는 이음 부분이 직각으로 되어 시공이 불편하고, 측면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매트 단위체에는 한 변에 돌기 및 홈이 끊어지는 부분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체결 구조로 인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홈과 돌기가 없는 종래의 매트 단위체의 경우, 결합력이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및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매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결합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방향에 관계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매트는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단위체는 상부면, 하부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면을 갖는 폼 바디;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외곽으로 돌출된 제1 이음부;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상기 제1 이음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접촉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이음부; 및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상기 제2 이음부의 함몰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접촉 내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다.
또한, 상기 폼 바디는 폴리우레탄(PU) 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단위체는 상기 폼 바디의 상부에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80℃ 내지 1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은 제1 접촉 내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상기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가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1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윗부분에 제1-1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아랫부분에 제2-1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에 제1-2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에 제2-2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2 테이퍼부의 각도(θ4')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2 테이퍼부의 각도(θ4'')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및 제2 이음부는 폼 바디의 동일한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를 측면에 대하여 대칭 시, 제1 이음부와 제2 이음부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폼 바디로부터 이격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폼 바디와의 이격 간격이 3.5 mm 내지 5.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폼 바디로부터 이격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폼 바디와의 이격 간격이 3.5 mm 내지 5.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단위체는 상기 폼 바디의 상부에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매트는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매트 단위체는 상부면, 하부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면을 갖는 폼 바디;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외곽으로 돌출된 제1 이음부;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상기 제1 이음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접촉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이음부; 및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상기 제2 이음부의 함몰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접촉 내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다.
또한,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에 의해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매트에 의하면, 결합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방향에 관계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폼 바디에 돌출된 제1 이음부 및 결합 돌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폼 바디에 함몰된 제2 이음부 및 결합 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매트 단위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매트 단위체의 체결 전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매트 단위체의 체결 후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매트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매트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폼 바디에 돌출된 제1 이음부 및 결합 돌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폼 바디에 함몰된 제2 이음부 및 결합 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매트는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단위체는 폼 바디(110), 제1 이음부(120), 결합 돌기(130), 제2 이음부(140) 및 함몰부(150)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매트는 결합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방향에 관계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폼 바디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몸체로서, 상부면(111), 하부면(112)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113)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은 4개일 수 있다. 상기 폼 바디는 전술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폼 바디는 폴리우레탄(PU) 폼일 수 있다. 상기 폼 바디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폴리에틸렌(PE) 폼, 폴리염화비닐(PVC) 폼 등에 비해 쿠션성 및 복원력이 우수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매트 단위체는 상기 폼 바디의 상부에 필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층일 수 있다. 상기 필름층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신축성이 우수하고, 상기 폼 바디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매트의 눌림 변위에 대한 우수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는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 체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외곽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폼 바디의 하부 변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는 전술한 위치에서 돌출됨으로써,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폼 바디의 상부 변을 따라 함몰되는 제2 이음부와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이음부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의 제2 이음부와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된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이음부 상에 상기 제1 이음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접촉 외주면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면서, 수직, 평행, 직교 또는 수평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인 수직, 평행, 직교 또는 수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조 오차(error) 또는 편차(variation) 등을 감안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경우는, 약 ±15˚ 이내의 오차, 약 ±10˚ 이내의 오차 또는 약 ±5˚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다. 상기 결합 돌기가 전술한 위치에 전술한 각도의 제1 접촉 외주면 및 제2 접촉 외주면을 가짐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외주면 및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는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결합 돌기가 형성된 면과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35˚ 내지 55˚ 또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80˚ 내지 1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80˚ 내지 115˚, 80˚ 내지 110˚, 85˚ 내지 105˚, 85˚ 내지 100˚, 또는 85˚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매트 단위체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돌기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폼 바디의 복수 개의 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매트 단위체는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 상기 폼 바디의 모든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는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 체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폼 바디의 상부 변을 따라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는 전술한 위치에서 상부 변을 따라 함몰됨으로써,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폼 바디의 하부 변을 따라 돌출되는 제1 이음부와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이음부는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의 제1 이음부와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2 이음부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의 제1 이음부와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몰된 구조물로서,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상기 제2 이음부의 함몰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접촉 내주면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은 상기 제1 접촉 내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가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이 전술한 위치에 전술한 각도의 제1 접촉 내주면 및 제2 접촉 내주면을 가짐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내주면 및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결합 홈이 형성된 면과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는 35˚ 내지 55˚ 또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는 80˚ 내지 1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는 80˚ 내지 115˚, 80˚ 내지 110˚, 85˚ 내지 105˚, 85˚ 내지 100˚, 또는 85˚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와 전술한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가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작음으로써,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 간의 체결 구조 형성이 용이할 수 있고,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와 전술한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가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큼으로써,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 간의 체결 구조 형성이 용이할 수 있고,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제1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1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외주면과 제1 접촉 내주면의 길이는 매트 단위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의 길이가 상기 제1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김으로써,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 간의 체결 구조 형성이 용이할 수 있고,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제2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 외주면과 제2 접촉 내주면의 길이는 매트 단위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김으로써,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 간의 체결 구조 형성이 용이할 수 있고,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윗부분에 제1-1 테이퍼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윗부분」은 폼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폼 바디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 이음부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윗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이음부는 전술한 가장자리에 제1-1 테이퍼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5˚ 내지 55˚ 또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는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제1-1 테이퍼부가 형성된 면과의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아랫부분에 제2-1 테이퍼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아랫부분」은 폼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폼 바디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2 이음부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아랫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이음부는 전술한 가장자리에 제2-1 테이퍼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5˚ 내지 55˚ 또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와 전술한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가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작음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고,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가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하여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 간의 체결 구조 형성이 용이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에 제1-2 테이퍼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는 폼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폼 바디의 측면과 수직한 방향에 형성된 제1 이음부의 좌, 우 측면의 말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이음부는 전술한 가장자리에 제1-2 테이퍼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에 제2-2 테이퍼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는 폼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폼 바디의 측면과 수직한 방향에 형성된 제2 이음부의 좌, 우 측면의 말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제2 이음부는 전술한 가장자리에 제2-2 테이퍼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의 체결 구조 형성 시 측면에서 체결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매트 단위체 간에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2 테이퍼부의 각도(θ4')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2 테이퍼부의 각도(θ4'')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2 테이퍼부의 각도가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2 테이퍼부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큼으로써, 이웃하는 매트 단위체와 체결 구조 형성 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및 제2 이음부는 상기 폼 바디의 동일한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음부 및 제2 이음부는 상기 폼 바디의 어느 일 측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 및 제2 이음부가 상기 폼 바디의 동일한 측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매트 단위체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와 방향에 관계 없이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음부를 측면에 대하여 대칭 시, 제1 이음부와 제2 이음부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이음부 및 제2 이음부는 각각 폼 바디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원점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매트 단위체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와 방향에 관계 없이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폼 바디로부터 이격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발포 가스가 빠져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폼 바디와의 이격 간격이 3.5 mm 내지 5.5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폼 바디의 이격 간격은 3.8 mm 내지 5.3 mm, 4.0 mm 내지 5.0 mm 또는 4.3 mm 내지 4.7 mm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전술한 이격 간격으로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발포 가스가 빠져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폼 바디로부터 이격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발포 가스가 빠져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폼 바디와의 이격 간격이 3.5 mm 내지 5.5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홈과 상기 폼 바디의 이격 간격은 3.8 mm 내지 5.3 mm, 4.0 mm 내지 5.0 mm 또는 4.3 mm 내지 4.7 mm일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전술한 이격 간격으로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발포 가스가 빠져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매트는 전술한 매트 단위체를 복수 개로 사용하는 매트로, 후술하는 매트 단위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매트 단위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매트 단위체의 체결 전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에 포함된 매트 단위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매트 단위체의 체결 후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는 매트는 각각의 매트 단위체가 전술한 폼 바디, 제1 이음부, 결합 돌기, 제2 이음부 및 결합 홈을 포함한다. 상기 폼 바디, 제 1 이음부, 결합 돌기, 제 2 이음부 및 결합 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매트 단위체 간에 체결 구조를 형성하여 매트 단위체 간에 결합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에 의해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매트 단위체 간에 결합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매트는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 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트는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 간의 측면을 연결하여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매트 단위체의 개수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110: 폼 바디
111: 상부면
112: 하부면
113: 측면
120: 제1 이음부
121: 제1-1 테이퍼부
122: 제1-2 테이퍼부
130: 결합 돌기
140: 제2 이음부
141: 제2-1 테이퍼부
142: 제2-2 테이퍼부
150: 함몰부
θ1':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
θ2':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
θ3':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
θ4': 제1 이음부 상의 제1-2 테이퍼부의 각도
θ1'':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
θ2'':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
θ3'':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
θ4'': 제2 이음부 상의 제2-2 테이퍼부의 각도

Claims (28)

  1.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는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 단위체는 상부면, 하부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면을 갖는 폼 바디;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외곽으로 돌출된 제1 이음부;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상기 제1 이음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접촉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이음부; 및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상기 제2 이음부의 함몰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접촉 내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이 상기 제2 접촉 외주면과 평행하지 않은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 바디는 폴리우레탄(PU) 폼인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단위체는 상기 폼 바디의 상부에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인 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30˚ 내지 60˚인 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80˚ 내지 120˚인 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은 제1 접촉 내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상기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가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은 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내주면의 각도(θ1'')와 동일하거나 작은 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 접촉 내주면의 각도(θ2'')와 동일하거나 큰 매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1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매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접촉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매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윗부분에 제1-1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의 가장자리의 아랫부분에 제2-1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매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0˚ 내지 60˚인 매트.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30˚ 내지 60˚인 매트.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1 테이퍼부의 각도(θ3')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1 테이퍼부의 각도(θ3'')와 동일하거나 작은 매트.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는 상기 제1 이음부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에 제1-2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음부는 상기 제2 이음부가 함몰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좌, 우 측면의 가장자리에 제2-2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매트.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2 테이퍼부의 각도(θ4')는 상기 제2 이음부 상의 제2-2 테이퍼부의 각도(θ4'')와 동일하거나 큰 매트.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 및 제2 이음부는 폼 바디의 동일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매트.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를 측면에 대하여 대칭 시, 제1 이음부와 제2 이음부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매트.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폼 바디로부터 이격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여 구비되는 매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폼 바디와의 이격 간격이 3.5 mm 내지 5.5 mm인 매트.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폼 바디로부터 이격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폼 바디에 비해 외곽에 더 인접하여 구비되는 매트.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폼 바디와의 이격 간격이 3.5 mm 내지 5.5 mm인 매트.
  26. 복수 개의 매트 단위체를 포함하는 매트에 있어서,
    각각의 매트 단위체는 상부면, 하부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면을 갖는 폼 바디;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외곽으로 돌출된 제1 이음부;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상기 제1 이음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접촉 외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상기 폼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이음부; 및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상기 제2 이음부의 함몰 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2 이음부 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접촉 내주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외주면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 보다 폼 바디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의 각도(θ1')가 상기 제2 접촉 외주면의 각도(θ2')보다 작고,
    상기 제1 이음부 상의 제1 접촉 외주면이 상기 제2 접촉 외주면과 평행하지 않은 매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에 삽입이 가능한 매트.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홈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매트 단위체에 포함된 결합 돌기에 의해 삽입이 가능한 매트.
KR1020200096132A 2020-07-31 2020-07-31 매트 KR10244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132A KR102442804B1 (ko) 2020-07-31 2020-07-31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132A KR102442804B1 (ko) 2020-07-31 2020-07-31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34A KR20220015734A (ko) 2022-02-08
KR102442804B1 true KR102442804B1 (ko) 2022-09-15

Family

ID=8025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132A KR102442804B1 (ko) 2020-07-31 2020-07-31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8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78B1 (ko) * 2007-03-29 2015-01-21 프로모시오네스 브리알, 에스. 엘. 바닥 및/또는 벽 타일용 조립 시스템
US20170306637A1 (en) * 2013-11-12 2017-10-26 Grigorij WAGNER Flooring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53B1 (ko) * 2012-11-08 2014-09-26 (주)예담산업 외단열식 건축물의 단열 보강방법
KR102168339B1 (ko) * 2018-11-28 2020-10-22 주식회사 국가대표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78B1 (ko) * 2007-03-29 2015-01-21 프로모시오네스 브리알, 에스. 엘. 바닥 및/또는 벽 타일용 조립 시스템
US20170306637A1 (en) * 2013-11-12 2017-10-26 Grigorij WAGNER Flooring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34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792B2 (en)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floor system
US9567755B2 (en) Sound-absorbing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system
CN107208427A (zh) 用于形成地板覆盖物的地板镶板
US20060096223A1 (en) Floor board
US20240117641A1 (en) Panel for producing a free-lying floor covering
JP2023517687A (ja) パネル及び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442804B1 (ko) 매트
KR100918595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86210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CA3130790A1 (en)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KR20200040264A (ko) 스포츠 목적을 위한 매트 시스템
JP6872335B2 (ja) 床下断熱材
KR200392795Y1 (ko) 차음보드
KR102266434B1 (ko) 바닥 방음 조립체
KR102145800B1 (ko) 안티노이즈 패드
JP6851658B2 (ja) ログ材
KR200493148Y1 (ko)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KR102016720B1 (ko) 바닥 시공용 목재 마루판
KR102553972B1 (ko) 층간 차음재
KR20050091857A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및 그 바닥 구조
US20220195740A1 (en) Underlay element for flooring and floor assembly
JP7348765B2 (ja) 外装体
TWI780993B (zh) 樓地板抗衝擊音墊及樓地板組合
KR20130008885A (ko) 충격흡수용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