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990B1 - 저온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온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990B1
KR102441990B1 KR1020220018102A KR20220018102A KR102441990B1 KR 102441990 B1 KR102441990 B1 KR 102441990B1 KR 1020220018102 A KR1020220018102 A KR 1020220018102A KR 20220018102 A KR20220018102 A KR 20220018102A KR 102441990 B1 KR102441990 B1 KR 10244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curtain
air
storage system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
강성찬
박인우
박정회
박선룡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990B1/ko
Priority to PCT/KR2022/002217 priority patent/WO2023153547A1/ko
Priority to KR1020220112029A priority patent/KR2023012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990B1/ko
Priority to TW112103398A priority patent/TW20240005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08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저온 저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은, 물품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저온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물품이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반과,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결합되는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도어 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커튼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도어 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는 공기가 상하로 통과하는 통과 영역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저온 저장 시스템 {COLD STORAGE SYSTEM}
본 발명의 저온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식품이나 기타 저온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대량 저장할 수 있는 저온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저장고(Cold storage)는 각종 농축산물, 어패류, 식품, 의약품, 주류, 식물 종자 등의 물품으로 저온으로 보관하기 위해 제작된 구조물이다. 저온저장고는 상업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며, 상업용 저온저장고로서 사람이 직접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워크인(walk-in) 저온저장고와, 사람이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서 도어를 열어 저장 공간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리치인(reach-in) 저온저장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편의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는 워크인 방식과 리치인 방식이 혼합된 방식의 저온저장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저온저장고의 저장 공간 내부로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바로 물품을 반출할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리치인 방식이 적용된 저온저장고가 상업 영역에서 사용되는 경우 도어의 잦은 개폐로 인한 과도한 냉기 유출 및 외기 유입에 의해 저온저장고의 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에어커튼(C)은 도어의 내측면에 공기 흐름 막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 흐름 막에 의해 저장 공간의 내측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기가 저장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커튼 효과는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에어커튼 유닛이 하방으로 공기를 강하게 송풍하는 방식을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저온저장고에서는 에어커튼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하류로 갈수록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도어의 하부 영역의 에어커튼의 효과가 낮아지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쿨러에 의해 형성된 냉기가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까지 원활하게 도달하지 못하여,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의 냉장 및/또는 냉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커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온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의 냉장 및 냉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저온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은 물품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저온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물품이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반; 및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결합되는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반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도어 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커튼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도어 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는 공기가 상하로 통과하는 통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의 유속 저하를 최소화하고,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커튼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쿨러에 의해 형성되 냉기가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의 냉장 및/또는 냉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도어 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불어나오는 송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송풍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도어의 반대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과 상기 제3 부분의 상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도어의 반대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선반은 각각의 상기 도어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기 선반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공간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쿨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쿨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중앙 영역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도어 측 면에는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의 유속 저하를 최소화하고,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커튼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쿨러에 의해 형성되 냉기가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장 공간의 하부 영역의 냉장 및/또는 냉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확대사시도로서,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내부에 선반이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로서, 도 6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하우징(110)과, 도어(120)와, 점검구(130)와, 제1 레일(140)와, 제2 레일(150)과, 브라켓(160)과, 쿨러(170)와, 에어커튼 유닛(180)과, 선반(19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생략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 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제1 방향(x)으로 지칭할 수 있고, 이 중 좌측 방향을 제1 방향(x) 일측, 우측 방향을 제1 방향(x) 타측으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에 수직한 측 방향을 제2 방향(y)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하우징(110)의 양면에 도어(120)가 설치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제1 방향(x) 일측과 제1 방향(x) 타측에서 저장 공간(S)의 내측에 배치되는 선반(190)에 접근할 수 있는 저온 저장 시스템(1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하우징(110)의 제1 방향(x) 일측 벽에만 도어(120)가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을 뿐 외부에서 직접 선반(190)에 접근할 수 있는 도어(12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내측에 저장 공간(S)이 형성되어 물품을 저온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현장시공을 통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이 설치되는 공간에 붙박이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로 제작된 후 저온 저장 시스템(100)이 설치되는 공간에 운반되어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측에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측벽(111)과 천장(1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1)은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10)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이고, 천장(112)은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10)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부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측벽(111)과 천장(112)은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20)는 측벽(111)에 결합되어 저장 공간(S)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20)는 저온 저장 시스템(100)이 배치되는 장소 및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용도에 따라 여닫이문 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미닫이 문 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도 도어(120)를 개방하여 저장 공간(S)에 적재된 물품에 접근할 수 있다.
도어(120)의 중앙 영역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20)의 중앙 영역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도어(12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선반(190)에 진열된 물품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어(120)는 측벽(111) 중 서로 마주보는 두 측벽(11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20)는 측벽(111) 중 제1 방향(x) 일측 벽과 제1 방향(x) 타측 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양 측에서 도어(120)를 개방하여 물품을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점검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점검구(130)는 측벽(11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검구(130)는 측벽(111)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150) 및 쿨러(170)는 점검구(130)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점검구(130)는 도어(120)가 형성되는 측벽(1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130)는 제1 방향(x) 일측 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온 저장 시스템(100)을 기준으로 도어(120)가 형성되는 측에는 충분한 외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점검구(130)가 도어(120)가 형성되는 측벽(1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쿨러(170)의 반출 내지 유지관리를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제2 방향(y) 일측 또는 타측 영역에 작업자가 쿨러(170)를 반출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면, 점검구(130)는 측벽(111) 중 제2 방향(y) 일측 벽 및/또는 타측 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점검구(130)는 쿨러(170)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쿨러(170)는 후술할 제1 레일(140) 및 제2 레일(150)에 의해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 때, 쿨러(170)는 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점검구(130)를 통해 저장 공간(S)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는 점검구 도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점검구 도어(131)는 점검구(130)를 개폐할 수 있다. 점검구 도어(131)는 측벽(111) 또는 천장(112)과 동일하게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검구 도어(131)는 여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검구 도어(131)는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패킹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부재(132)는 점검구 도어(131)와 점검구(130)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킹 부재(132)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패킹 부재(132)는 점검구 도어(131)와 점검구(13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패킹 부재(132)를 통해 점검구(130)로 저장 공간(S)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제1 레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140)은 저장 공간(S)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레일(140)은 천장(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140)은 점검구(130)를 통해 쿨러(170)가 저장 공간(S)의 외부로 반출될 때, 쿨러(17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 레일(140)은 점검구(13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14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레일(140)은 천장(11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제1 레일(140)은 천장(112)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레일(140)은 천장(112)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쿨러(170)는 최대한 천장(112)과 밀접하게 되어, 에어커튼 유닛(180)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레일(140)은 제1 방향(x)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방향(x) 일측 벽과 제1 방향(x) 타측 벽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저장 공간(S)의 내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레일(140)의 상단은 천장(112)의 하부면에서 이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 방식을 통해, 쿨러(17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레일(140)은 2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일(140)의 2개의 부재는 쿨러(170)의 제2 방향(y) 길이보다 넓은 폭으로 배치되어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쿨러(170)는 양 측면이 제2 레일(150)을 통해 제1 레일(140)에 매달릴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레일(140)은 1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쿨러(170)는 상부면의 중앙 부분이 제2 레일(150)에 의해 제1 레일(140)에 매달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제2 레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일(150)은 제1 레일(1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일(150)은 제1 레일(14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150)은 제1 레일(140) 및 제2 레일(15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레일(150)은 제1 레일(140)이 점검구(130)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점검구(13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140)이 제1 방향(x)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2 레일(150)도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레일(150)은 점검구(130)를 통해 저장 공간(S)의 외부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150)은 점검구 도어(13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 레일(140)의 연장 범위 내에 위치해 있다가, 점검구 도어(131)가 열리면 제1 레일(140)에 대해 제1 방향(x)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저장 공간(S)의 외부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
제2 레일(150)의 가동 범위는 쿨러(170)의 제1 방향(x) 타단과 점검구(130)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레일(150)은 쿨러(170)가 저장 공간(S)의 외부로 완전히 반출될 수 있을 만큼의 가동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2 레일(150)은 2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150)의 2개의 부재는 쿨러(17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배치되어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쿨러(170)는 양 측면이 브라켓(160)에 의해 제2 레일(15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레일(140)이 1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레일(150)도 1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쿨러(170)는 상부면의 중앙 부분이 제2 레일(150)에 결합될 수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쿨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쿨러(170)는 저장 공간(S)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쿨러(170)는 저장 공간(S)을 냉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쿨러(170)가 저장 공간(S)의 내측에 하나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쿨러(170)는 저장 공간(S)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쿨러(17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점검구(130)는 쿨러(17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쿨러(17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쿨러(170)는 에어커튼 유닛(18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쿨러(170)는 에어커튼 유닛(180)과 측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쿨러(170)가 점검구(130)를 통해 반출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쿨러(170)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미도시)에서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에서 공급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팽창 밸브(미도시)에서 공급된 냉매를 다시 저온 저압의 기체로 변환하는 증발기(171)로 이루어진 냉각 싸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쿨러(170)는 증발기(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증발기(171)를 지나면서 열교환을 할 수 있고, 열교환을 마친 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매는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므로, 주변 공기는 냉각될 수 있다.
쿨러(170)는 송풍팬(17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72)은 증발기(171)에서 발생된 냉기를 저장 공간(S) 내부로 송풍시킬 수 있다. 송풍팬(172)은 쿨러(17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72)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172)은 냉기를 수평 방향으로 불어낼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불어나간 냉기는 그 밀도가 주변 공기보다 높으므로 저장 공간(S)의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쿨러(170)는 드레인판(173)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판(173)은 증발기(171)의 열 교환 과정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판(173)은 쿨러(170)의 케이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판(173)은 경사진 바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레인판(173)으로 모이는 응축수는 경사진 바닥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구수(176)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냉매관(174)을 통해 증발기(171)로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171)에서 열교환을 마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는 가스관(17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냉매관(174)의 직경은 가스관(175)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쿨러(170)는 점검구(130)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쿨러(170)를 분리하기 위해 저장 공간(S)의 내부에 적재된 물품을 비워내고 직접 저장 공간(S)의 내부로 들어갈 필요 없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외부에서 점검구(130)를 통해 손 쉽게 쿨러(170)를 반출할 수 있다.
쿨러(170)는 제2 레일(150)에 결합될 수 있다. 쿨러(170)는 브라켓(160)에 의해 제2 레일(150) 2개의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60)에 의해 쿨러(170)가 제2 레일(150)에 결합되는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쿨러(170)는 제2 레일(150)이 상기 저장 공간(S)의 외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저장 공간(S)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쿨러(170)는 저장 공간(S)의 외부로 반출된 후 제2 레일(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쿨러(170)가 반출되어 유지관리되는 과정은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에어커튼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은 에어커튼 유닛(180)은 도어(120)가 형성되는 측벽(11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은 도어(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커튼 유닛(180)은 도어(120)가 형성되는 측벽(111)의 인방(引防) 부분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은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80a)와,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불어나오는 송풍구(180b)과,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에어커튼 팬(fan)(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 팬은 원통형 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에어커튼 팬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에어커튼 팬은 원통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에어커튼 팬은 흡입구(18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송풍구(180b)로 빠르게 불어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에서는, 쿨러(170)의 송풍팬(172)으로부터 불어나온 냉기가 에어커튼 유닛(180)의 흡입구(180a)로 유입되어 송풍구(180b)를 통해 아래로 빠르게 유동할 수 있다.
송풍구(180b)에서 불어나온 냉기는 도어(12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로 빠르게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송풍구(180b)는 에어커튼 팬과 마찬가지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송풍구(180b)를 빠져나온 냉기는 일종의 에어커튼(air curtain)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커튼은 도어(120)의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은 이를 기준으로 양 측의 공기를 서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20)가 개방되었을 때, 에어커튼은 외기가 저장 공간(S)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저장 공간(S)의 내측에 있는 냉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연이나 냄새 등이 저장 공간(S)의 내외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은 각각의 도어(12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의 폭은 각각의 도어(120)의 폭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도어(120)의 상부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느 도어(120)가 개방되는지와 무관하게 에어커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은 쿨러(17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은 점검구(13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쿨러(170)가 점검구(130)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때, 에어커튼 유닛(180)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선반(19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90)은 저장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물품은 선반(190)에 적재됨과 동시에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진열될 수 있다. 선반(19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반(190)은 에어커튼 노즐(193)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플레이트(192)의 도어(120) 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에서 하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에어커튼 유닛(18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에어커튼 노즐(193)로 효과적으로 유입되기 위해서, 에어커튼 노즐(193)은 에어커튼 유닛(18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에어커튼이 도어(120)의 하부 영역까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커튼 노즐(193)은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저장 공간(S)의 하부 영역까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저장 공간(S)의 하부 영역까지 냉기가 도달하지 못하여 냉장 및/또는 냉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반(190)은 스토퍼(stopper)(19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의 도어(120) 반대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에 적재되는 물품이 스토퍼(194)가 형성되는 지점을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물품은 플레이트(192)에서 에어커튼 노즐(193)과 스토퍼(19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쿨러(17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하게 움직이는 공기의 흐름을 쿨러(17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 공간(S) 내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19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190)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111)에 형성되는 각각의 도어(120)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도어(12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선반(190)은 서로 등을 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선반(190)에 형성되는 스토퍼(19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 냉기는 상기 스토퍼(194)의 사이 영역을 통해 쿨러(170)가 위치하는 저장 공간(S)의 상부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94)는 물품이 상기 스토퍼(194)의 사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영역으로 유동하는 냉기는 물품의 방해 없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 및 스토퍼(194)의 세부 구성 및 작용 등은 도 4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확대사시도로서,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일 유닛의 선반(19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레이트(192)가 프레임(191)에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플레이트(192)와 이에 결합되는 에어커튼 노즐(193) 및 스토퍼(194)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플레이트(192)와 이에 결합되는 에어커튼 노즐(193) 및 스토퍼(194)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선반(19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선반(190)은 프레임(191)과, 플레이트(192)와, 에어커튼 노즐(193)과, 스토퍼(19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 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도 4를 기준으로, 제1 방향(x) 일측은 좌하방을, 제1 방향(x) 타측은 우상방을, 제2 방향(y) 일측은 좌상방을, 제2 방향(y) 타측은 우하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반(190)은 프레임(191)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9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세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91)은 플레이트(192)를 지지하는 구조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191)은 결합 홈(191a)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91a)은 프레임(191)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91a)은 각각의 프레임(191)에서 플레이트(192)와 인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91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9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반(190)은 플레이트(19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92)는 수평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수평에 근접한 각도로 약간 경사져서 구비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92)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192)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19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플레이트(192)에는 물품이 놓일 수 있다.
플레이트(192)는 복수의 부재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92)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 부재(192a)와, 가장자리 부재(192a)의 내측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1 방향(x)으로 배열되는 거더 부재(192b)와, 거더 부재(192b)와 상하로 중첩되고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y)으로 배열되는 조이스트 부재(192c)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장자리 부재(192a)와, 거더 부재(192b)와, 조이스트 부재(192c)는 서로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192)는 복수의 부재들이 사선으로 연장 및 배열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플레이트(192)는 물품이 올려질 수 있는 구조이면 그 형상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92)는 결합 부재(192d)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92d)는 플레이트(192)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92d)는 플레이트(192)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192d)는 플레이트(192)가 프레임(191)과 인접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192d)는 플레이트(19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192)와 별도로 제조되어 플레이트(192)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192d)는 프레임(191)의 결합 홈(191a)과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192d)는 일부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 홈(191a)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92d)가 결합 홈(191a)에 걸림에 따라 플레이트(192)는 프레임(191)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결합 부재(192d)는 상하로 배열된 복수의 결합 홈(191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트(192)는 그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선반(190)은 에어커튼 노즐(193)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플레이트(19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커튼 노즐(193)은 플레이트(192)의 도어(120) 측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에어커튼 노즐(193)은 플레이트(192)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플레이트(192)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192)와 별도로 제조되어 기계적인 결합 방식을 통해 플레이트(19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과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제1 부분(19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93a)은 도어(12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193a)은 제1 방향(x) 일측단에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193a)은 가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193a)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193a)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93a)은 수직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제1 부분(193a)의 도어(120)측 면에는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93a)의 제1 방향(x) 일측 면은 도어(120)를 통해 외부에서 직접 보이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193a)의 외측면에 플레이트(192)에 적재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플레이트(192)에 적재된 물품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품에 대한 정보는 가격, 수량, 또는 바코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제2 부분(19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93b)은 제1 부분(193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93b)은 제1 부분(193a)을 기준으로 도어(12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193b)은 제1 부분(193a)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부분(193b)은 가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193b)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193b)은 제1 부분(193a)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193b)은 도어(120) 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분(193b)의 하부 영역은 아래로 갈수록 제1 부분(193a)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과 영역(P)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부분(193b)은 전체적으로 도어(120) 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도록 기울어진 판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사이에는 통과 영역(P)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 영역(P)은 공기가 상하로 통과하는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과 영역(P)은 하부가 상부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과 영역(P)은 제2 부분(193b)이 도어(120) 측으로 기울어진 부분을 적어도 포함함으로서, 하부로 갈수록 더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기준으로, 에어커튼 노즐(193)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과 영역(P)을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통과 영역(P)의 하부가 상부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통과 영역(P)의 하부로 빠져나오는 공기의 유속은 통과 영역(P)의 상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르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192)의 하부 영역의 에어커튼 효과가 개선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플레이트(192)가 상하로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도어(120)의 하부 영역까지 에어커튼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 공간(S)의 내외부 간의 공기 흐름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냄새나 오염 물질 등이 저장 공간(S)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커튼 노즐(193)은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저장 공간(S)의 하부 영역까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커튼 노즐(193)은 이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냉기가 주변 공간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기가 저장 공간(S)의 하부 영역까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브릿지부(193c)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부(193c)는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부(193c)는 제1 부분(193a)의 하단과 제2 부분(193b)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부(193c)를 통해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릿지부(193c)는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중앙 부분 또는 상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브릿지부(193c)는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조체 역할만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193)은 개구부(O)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O)는 제1 부분(193a)의 하단과, 제2 부분(193b)의 하단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는 제1 부분(193a)과 제2 부분(193b)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과 영역(P)의 하부측 출구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선반(190)은 스토퍼(19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의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의 도어(120) 반대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의 제1 방향(x) 타측 가장자리에서 플레이트(192)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가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스토퍼(194)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192)와 별도로 제조되어 기계적인 결합 방식을 통해 플레이트(19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에 적재되는 물품이 플레이트(192)의 후방 영역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를 타고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냉기를 저장 공간(S)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쿨러(170) 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19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의 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토퍼(194)는 도 7 상에서 제2 부분(193b)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어(120) 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판 형상일 수도 있으며,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쿨러(170)에서 불어나오는 냉기가 에어커튼 유닛(180)에 의해 하방으로 송풍되어 에어커튼(C)을 형성하고,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으로 유동한 뒤, 다시 쿨러(170) 측을 향해 상부로 유동하는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쿨러(170)의 송풍팬(172)으로부터 불어나온 냉기는 에어커튼 유닛(18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냉기는 에어커튼 유닛(180)의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흡입구(180a)로 유입된 후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송풍구(180b)를 통해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되는 냉기는 에어커튼 유닛(180)의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에어커튼 팬(미도시)에 의해 빠른 유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에서 토출된 냉기는 선반(190)의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에어커튼 노즐(193)은 플레이트(192)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커튼 노즐(193)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복수의 에어커튼 노즐(193)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복수의 에어커튼 노즐(193)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그 유속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과하기 전의 냉기의 유속은 주변 공기의 마찰 등으로 인해 느려질 수 있는데, 이러한 냉기가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에어커튼 노즐(193)의 통과 영역(P)을 통과하면 유속이 어느정도 회복될 수 있으므로, 도어(120)의 하부 영역까지 냉기가 빠르게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커튼 유닛(180)으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효과적으로 에어커튼 노즐(193)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에어커튼 노즐(193)은 에어커튼 유닛(18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과하지 못한 일부 냉기는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는 냉기는 플레이트(192)에 적재된 물품을 지나면서, 물품을 냉장 및/또는 냉동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으로 유동한 냉기는 스토퍼(194)에 의해 흐름이 쿨러(170) 측으로 바뀔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쿨러(170)는 플레이트(192)에서 상부로 돌출되므로, 수평으로 이동하던 냉기는 스토퍼(194)에 부딪힌 후 상방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냉기는 서로 배면을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선반(190)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194)의 사이 영역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194)는 플레이트(192)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스토퍼(194)의 사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기는 원활하게 쿨러(170)까지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192)를 따라 수평으로 유동하는 냉기가 쿨러(170) 측으로 효과적으로 유도되기 위해서, 스토퍼(194)는 쿨러(17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커튼 노즐(193)을 통해 저장 공간(S)의 하부 영역까지 냉기가 빠르게 유동할 수 있으므로, 도어(120)의 내측에 에어커튼(C)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저장 공간(S)의 하부 영역까지 냉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냉장 및/또는 냉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94)에 의해 냉기의 유로에 장애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기는 쿨러(170)까지 원활하게 회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내부에 선반이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선반(190)은 1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관리자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관리 영역과 사용자가 진열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분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서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우측 영역이 관리 영역일 수 있고, 좌측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 영역에서 물품 수량을 파악하고 도어(120)를 개방하여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필요한 물품을 확인한 후 도어(120)를 개방하여 해당 물품을 반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저장 공간(S)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고도 물품의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선반(190)의 각 플레이트는 좌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관리 영역에서 물품을 적재하면 물품은 경사를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항상 선반(190)의 앞단에 진열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선반(190)은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2열의 선반(190)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관리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분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에서는 도어(120)가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양측 도어(120)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필요한 곳에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서 모두 진열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물품이 있는 곳의 도어(120)를 개방하여 물품을 반출할 수 있다.
도 9의 (b)를 기준으로, 2열의 선반(190)의 각 플레이트는 저장 공간(S)의 중앙 영역 측이 높고 도어(120) 측이 낮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품은 경사면을 따라 항상 도어(120) 측으로 쏠려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나 관리자가 물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선반(190)은 2열로 구비되되, 각 열의 선반(19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열의 선반(190)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저온 저장 시스템(100)은 하우징(110)의 양 측 영역이 모두 디스플레이 영역이면서 선입선출(先入先出)이 중요한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저온 저장 시스템(100)에서는 관리자가 직접 하우징(110)의 내부에 들어가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c)에 도시된 저온 저장 시스템(100)에는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출입구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자가 선반(190)의 뒤쪽에서 새로운 물품을 적재하면 기존에 선반(190)에 적재되어 있던 물품을 새로운 물품보다 도어(120) 측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먼저 적재된 물품을 반출할 수 있다. 이로써, 물품의 선입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 공간(S)의 외부에서 도어(120)를 개방한 후 물건을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유형의 저온 저장 시스템(100)에서는 사람이 직접 저장 공간(S)의 내부에 진입하여 물품의 재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품이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양 측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의 (c) 를 기준으로, 2열의 선반(190)의 각 플레이트는 저장 공간(S)의 중앙 영역 측이 높고 도어(120) 측이 낮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품은 경사면을 따라 항상 도어(120) 측으로 쏠려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나 관리자가 물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내측에 선반(190)이 배치되는 방식은 도 9에 도시된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방식들이 조합되거나, 도 9에서도 도시되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로서, 도 6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200)의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9과 관련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저온 저장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에어커튼 노즐(293)은 제3 부분(29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293d)은 제2 부분(293b)을 기준으로 저장 공간(S)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분(293d)은 가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부분(293d)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부분(293d)은 도어(220) 반대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293d)은 통과 영역(P)으로 유입되지 못한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커튼 노즐(293)의 상부로부터 에어커튼 노즐(293)로 유입되는 냉기 중 일부는 통과 영역(P)으로 유입될 수 있고, 통과 영역(P)을 통과하지 못한 냉기의 일부는 제3 부분(293d)에 의해 유동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 때, 제3 부분(293d)에 부딪히는 공기는 제3 부분(293d)의 도어(220) 반대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3 부분(293d)에 의해 냉기는 기존의 유속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선반(290)의 깊숙이 적재된 물품까지 냉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부분(293b)의 상단과 제3 부분(293d)의 상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293b)과 제3 부분(293d)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냉기가 제2 부분(293b)과 제3 부분(293d)의 사이로 불필요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저온 저장 시스템 110 : 하우징
111 : 측벽 112 : 천장
120 : 도어 130 : 점검구
131 : 점검구 도어 132 : 패킹 부재
140 : 제1 레일 150 : 제2 레일
160 : 브라켓 170 : 쿨러
171 : 증발기 172 : 송풍팬
173 : 드레인판 174 : 냉매관
175 : 가스관 176 : 배수구
180 : 에어커튼 유닛 180a : 흡입구
180b : 송풍구 190 : 선반
191 : 프레임 191a : 결합 홈
192 : 플레이트 192a : 가장자리 부재
192b : 거더 부재 192c : 조이스트 부재
192d : 결합 부재 193 : 에어커튼 노즐
193a : 제1 부분 193b : 제2 부분
193c : 브릿지부 194 : 스토퍼
P : 통과 영역 O : 개구부
C : 에어커튼

Claims (10)

  1. 물품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저온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물품이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반; 및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결합되는 에어커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도어 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커튼 노즐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도어의 반대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도어 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는 공기가 상하로 통과하는 통과 영역이 형성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도어 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저온 저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불어나오는 송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노즐은 상기 송풍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가로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도어의 반대측을 향해 내리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저온 저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과 상기 제3 부분의 상단은 서로 연결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측벽 중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선반은 각각의 상기 도어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기 선반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는 서로 이격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쿨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쿨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중앙 영역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도어 측 면에는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저온 저장 시스템.
KR1020220018102A 2022-02-11 2022-02-11 저온 저장 시스템 KR10244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02A KR102441990B1 (ko) 2022-02-11 2022-02-11 저온 저장 시스템
PCT/KR2022/002217 WO2023153547A1 (ko) 2022-02-11 2022-02-15 저온 저장 시스템
KR1020220112029A KR20230121533A (ko) 2022-02-11 2022-09-05 저온 저장 시스템
TW112103398A TW202400055A (zh) 2022-02-11 2023-02-01 冷藏系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02A KR102441990B1 (ko) 2022-02-11 2022-02-11 저온 저장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029A Division KR20230121533A (ko) 2022-02-11 2022-09-05 저온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990B1 true KR102441990B1 (ko) 2022-09-13

Family

ID=832867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102A KR102441990B1 (ko) 2022-02-11 2022-02-11 저온 저장 시스템
KR1020220112029A KR20230121533A (ko) 2022-02-11 2022-09-05 저온 저장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029A KR20230121533A (ko) 2022-02-11 2022-09-05 저온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41990B1 (ko)
TW (1) TW202400055A (ko)
WO (1) WO20231535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124B1 (ko) * 2023-07-31 2024-04-05 (주)쿨테이너 다량의 물품 저장 및 에너지 절감형 대형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924A (ja) * 1994-10-21 1996-05-17 Sanyo Electric Co Ltd プレハブ冷却貯蔵庫付き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0348851Y1 (ko) * 2003-12-26 2004-04-29 김병호 오픈형 워크 인 쿨러
KR20050071810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크리콤 오픈형 워크 인 쿨러
KR200491606Y1 (ko) * 2018-11-02 2020-05-07 아르네코리아(주) 에어커튼 가이드 장치
KR20210022339A (ko) * 2019-08-20 2021-03-03 정한영 냉동창고용 에어 커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924A (ja) * 1994-10-21 1996-05-17 Sanyo Electric Co Ltd プレハブ冷却貯蔵庫付き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0348851Y1 (ko) * 2003-12-26 2004-04-29 김병호 오픈형 워크 인 쿨러
KR20050071810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크리콤 오픈형 워크 인 쿨러
KR200491606Y1 (ko) * 2018-11-02 2020-05-07 아르네코리아(주) 에어커튼 가이드 장치
KR20210022339A (ko) * 2019-08-20 2021-03-03 정한영 냉동창고용 에어 커튼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psm3061/222239068890 >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124B1 (ko) * 2023-07-31 2024-04-05 (주)쿨테이너 다량의 물품 저장 및 에너지 절감형 대형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547A1 (ko) 2023-08-17
TW202400055A (zh) 2024-01-01
KR20230121533A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49B1 (ko) 커튼 공기 도입 조립체
JP6534400B2 (ja) 冷凍冷蔵オープン展示ケースおよびフロー安定化装置
EP2380466B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shelf air discharge
KR102441990B1 (ko) 저온 저장 시스템
RU2667870C2 (ru) Полка с воздуховодом для прилавка-витрины с открытой передней частью (варианты)
US20070012059A1 (en) Ambient air curtain with floor air inlet
US20100024446A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dual air curtain
RU2007138614A (ru) Охлаждаемая торговая витрин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продуктов
KR20070086501A (ko) 다중-밴드 공기 커튼 분리 차단부
US20080282719A1 (en) Airflow Stabilizer for Lower Front of a Rear Loaded Refrigerated Display Case
US20240041228A1 (en) Configuration for a Heat Exchanger in a Temperature Controlled Case
KR100669308B1 (ko) 개선된 공기 커튼을 갖는 냉장 진열장
US20040055321A1 (en) Rear load refrigerated display case
KR102442001B1 (ko) 저온 저장 시스템
CN1909817A (zh) 具有改进空气幕的冷藏陈列商品柜
JP3644855B2 (ja) 冷蔵庫
US20020047506A1 (en) Refrigerator shelf
JP2009186049A (ja) 冷蔵クローズドショーケース
JPH08145532A (ja) リアロード式冷蔵ショーケース
US20240081555A1 (en) Aerothermodynamic separator for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TW202410836A (zh) 冷藏系統
JP2552522B2 (ja) 対面販売形ショーケース
TW200303974A (en) Walking open show case
US20220087447A1 (en) Open display refrigerators
KR102570748B1 (ko) 에너지 절약형 대형 냉동/냉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