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683B1 -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683B1
KR102441683B1 KR1020200122135A KR20200122135A KR102441683B1 KR 102441683 B1 KR102441683 B1 KR 102441683B1 KR 1020200122135 A KR1020200122135 A KR 1020200122135A KR 20200122135 A KR20200122135 A KR 20200122135A KR 102441683 B1 KR102441683 B1 KR 102441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portfolio
safe
risky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238A (ko
Inventor
김소정
Original Assignee
스마트핀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핀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핀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6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는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 및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FUND INVESTMENT BASED ON REBALANCING PROPORTION OF ASSETS IN PORTFOLIO}
본 발명은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권형 펀드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되는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각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설정함으로써 투자자의 펀드 투자를 관리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드(Fund)는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소액의 자금을 모아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여 얻은 수익실적에 따라 배당하는 간접투자 방식의 금융상품을 일컫는 것이며, 증권사 또는 은행 등 판매자가 펀드 운용 기관을 선정하여 펀드 상품을 판매하면, 이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들이 지불한 금액으로 펀드 기금을 조성하고, 펀드 운용 기관의 펀드 매니저가 펀드의 목적에 따라 투자하여 운용기간이 종료하였을 때에 수익률을 평가한 후 그 수익률에 따라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것이다.
이러한 펀드 투자의 목적은 펀드를 운용하는 전문가에게 투자를 맡김으로써 간접투자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직접투자에 비해 높은 투자수익을 얻기 위한 것이다. 투자자가 예측하기 어려운 큰 변동성을 가지는 주식 시장에서 손실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펀드 상품은 투자자에게 항상 관심의 대상이 되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투자자의 성향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펀드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펀드의 수익률은 투자 대상에 따라 차이를 가지지만, 종래의 펀드 운용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또는 현재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된 비율에 따라 주식/채권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면서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손실률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다만, 종래의 펀드 운용 시스템은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채권형 펀드 및 주식형 펀드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수익률을 최대화하기 위한 전략이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0479호(2001.11.1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채권형 펀드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되는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각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하기 위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제시된 기준에 따라 포트폴리오 내의 각 자산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재조정함으로써 투자자의 수익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는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상기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 및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포트폴리오 내의 상기 안전자산에 속하는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는 안전자산 지수와, 상기 포트폴리오 내의 상기 위험자산에 속하는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는 위험자산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준 밴드는,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는데 활용되는 제1 기준 밴드와,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데 활용되는 제2 기준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밴드의 폭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준 밴드를 결정하되, 상기 제2 기준 밴드의 폭은 상기 제1 기준 밴드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에 해당하며,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밴드 내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기준 밴드 내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기준 밴드를 벗어난 영역으로서 상기 제2 기준 밴드 내의 영역인 제2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밴드를 벗어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유지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른 특정 시점이 된 경우, 또는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최우선순위로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1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밴드를 재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은, 제3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3 기간은 상기 제2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서버는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고,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상기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상기 비중 조정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방법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상기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상기 비중 조정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 내의 안전자산(채권형 펀드) 및 위험자산(주식형 펀드)의 비중을 초기 설정한 상태에서, 포트폴리오 내의 각 자산의 수익률의 격차를 토대로 각 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기준 밴드와 비교한 후,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각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포트폴리오 내의 각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하기 위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충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수익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및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및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이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100),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 및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각 모듈(100, 200, 300, 400)을 본 실시예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10)의 하위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하위 구성이 펀드 투자 관리 서버(10)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10)의 동작을 각 모듈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00)에는 투자 대상이 되는 펀드가 유형별로 사전에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 대상 펀드가 국내 채권형, 선진국 채권형, 글로벌 채권형, 미국 주식형, 아시아 주식형, 유럽 주식형, 한국 주식형, 중남미 주식형의 유형으로 사전에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테마 펀드(원자재, 달러)가 추가적으로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펀드 잔고가 설정 금액(예: 500억) 미만인 펀드와 펀드 설정일 이후 경과일이 기준 기간(예: 1년) 미만인 펀드는 제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펀드 중 채권형 펀드는 안전자산을 구성하고 주식형 펀드는 위험자산을 구성한다.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펀드 종목을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여 투자 대상이 되는 펀드 종목을 선정한 후,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안전자산(채권형 펀드) 및 위험자산(주식형 펀드)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초기 설정하는 모듈로서 기능한다.
하기 표 1은 상기한 미리 정의된 조건의 예시를 나타낸다.
필터링 순서 설명
전체 종목에서 유형별 12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20개의 종목 선정
①에서 선정된 20종목 중 9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15개의 종목 선정
②에서 선정된 15종목 중 6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10개의 종목 선정
③에서 선정된 10종목 중 3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5개의 종목 선정
④에서 선정된 5종목 중 베타지수가 가장 높은 종목을 최종 선정
베타지수가 같을 경우 1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을 최종 선정
1개월 수익률이 같을 경우 순자산이 큰 종목을 최종 선정
표 1의 조건은 채권형 펀드 및 주식형 펀드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표 1의 조건에 따른 필터링 결과 각 유형별로 선정된 채권형 펀드 및 주식형 펀드가 각각 포트폴리오 내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을 구성하게 된다.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을 구성할 채권형 펀드 및 주식형 펀드가 선정되면,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은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은 투자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 투자자가 입력한 투자 성향 정보를 상기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자 성향 정보로는 투자자의 현재 나이, 은퇴 나이, 소득 현황, 수입 전망, 총 자산 중 금융자산의 비중, 투자 예상 기간, 투자 경험이 있는 투자 상품군, 투자 목적, 투자 위험(risk) 수용 범위, 기대 수익률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은 상기와 같은 투자자의 투자 성향이 파악되면, 각 투자 성향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투자자의 투자 유형을 결정할 수 있으며(투자 성향 정보로부터 투자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이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에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결정된 투자 유형에 매핑되어 있는 비중으로 포트폴리오 내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투자 유형과 그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나타낸다.
투자 유형 설명 안전자산 : 위험자산
초기 비중
절대안정형 1년 미만 단기투자나 원금보존을 목적으로 단기자금운용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원금의 손실위험은 최소화하고, 이자소득 & 배당소득 수준의 안정적인 투자를 목표로 한다. 90% : 10%
안정형 1-2년 이하의 투자기간을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에는 그에 상응하는 투자위험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자소득 & 배당소득 수준 이상의 수익을 추구하며, 적은 수준의 손실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를 목표로 한다. 75% : 25%
안정균형성장형 2-3년 이하의 투자기간을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에는 그에 상응하는 투자위험이 있음을 충분히 인식하고, 일정수준의 손실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약간의 손실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를 목표로 한다. 50% : 50%
안정성장형 3-4년 이하의 투자기간을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에는 그에 상응하는 투자위험이 있음을 완벽히 인식하고, 시장평균 수준의 수익을 기대하며, 이를 위해 일정 수준의 손실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를 목표로 한다. 40% : 60%
성장형 4-5년 이하의 투자기간을 확보한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원금의 보전보다는 위험을 감내한 높은 수준의 투자이익을 추구하는 투자를 목표로 한다. 25% : 75%
절대성장형 5년 이상의 투자기간을 확보한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시장평균수익률을 훨씬 넘어서는 높은 수준의 투자수익을 추구하며, 이를 위해 자산가치의 변동에 따른 손실위험을 적극 수용할 수 있는 투자를 목표로 한다. 15% : 85%
한편, 표 2에는 구체적으로 표기하지 않았으나, 안전자산을 구성하는 유형별 채권형 펀드 각각의 비중과 위험자산을 구성하는 유형별 주식형 펀드 각각의 비중 또한 각 투자 유형별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대 안정형의 경우 안전자산의 비중인 90%는 국내 채권형 25%, 선진국 채권형 45%, 글로벌 채권형 20%로 구성될 수 있고 위험자산의 비중인 10%는 미국 주식형 5%, 아시아 주식형 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정형의 경우 안전자산의 비중인 75%로는 국내 채권형 25%, 선진국 채권형 35%, 글로벌 채권형 15%로 구성될 수 있고 위험자산의 비중인 25%는 미국 주식형 10%, 아시아 주식형 10%, 유럽 주식형 5%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투자 유형이 경우에도 유형별 채권형 펀드 각각의 비중과 위험자산을 구성하는 유형별 주식형 펀드 각각의 비중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에 의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가 최초 설정되면, 본 실시예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10)은 설정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투자자의 펀드 투자를 관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먼저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기준지수로서 안전자산 지수(Fixed Income Index) 및 위험자산 지수(Growth Index)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자산 지수는 포트폴리오 내의 안전자산에 속하는 각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고, 위험자산 지수는 포트폴리오 내의 위험자산에 속하는 각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안전자산 지수의 등락률을 기준으로 안전자산의 수익률을 산출하고, 마찬가지로 위험자산 지수의 등락률을 기준으로 위험자산의 수익률을 산출하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기준 밴드의 결정 및 비중 조정 여부의 판단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기 표 3은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와 그 기간별 수익률의 예시를 나타낸다.
기준지수 기준지수가격 기간별 수익률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9개월 1년
안전자산 지수 13,530 1.15 2.39 1.44 2.21 2.9 3.52 8.44 12.24
위험자산 지수 448,715 -1.99 -3.24 -12.76 -16.4 -24.5 -24.96 -25.34 -28.41
위 설명에 기초하여, 기준 밴드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기준 밴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기준 밴드는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밴드로서 기능한다. 제1 기간은 중장기적인 시구간으로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3개월의 시구간으로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기간이 3개월로 설정된 예시를 상정할 때,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기준 밴드를 결정하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3개월 동안의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기준 밴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3개월의 시구간 동안의 각 자산의 수익률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을 이용하여 기준 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중복 기술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의 평균'을 '격차 평균'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밴드는,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는데 활용되는 제1 기준 밴드와,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데 활용되는 제2 기준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격차 평균을 이용하여 기준 밴드의 폭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기준 밴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기준 밴드의 폭은 제1 기준 밴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하기 표 4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No. 제1 기간
수익률
격차 격차 평균 배율 1 배율 2 제1 기준 밴드 제2 기준 밴드
안전자산 위험자산 상한 하한 상한 하한
1 0.76 -3.34 4.10 1.42 0.5 0.75 0.71 -0.71 1.06 -1.06
2 0.71 -3.06 3.77 1.42 0.5 0.75 0.71 -0.71 1.06 -1.06
3 0.96 -2.35 3.31 1.42 0.5 0.75 0.71 -0.71 1.06 -1.06
4 1.15 -4.35 5.50 1.42 0.5 0.75 0.71 -0.71 1.06 -1.06
5 1.15 -6.69 7.84 1.42 0.5 0.75 0.71 -0.71 1.06 -1.06
6 1.2 -6.69 7.86 4.90 0.5 0.75 2.45 -2.45 3.68 -3.68
7 1.23 -7.31 8.54 4.90 0.5 0.75 2.45 -2.45 3.68 -3.68
상기 표 4의 No. 1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과거 제1 기간(3개월)에 대하여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이 1.42로 산출되었으며, 산출된 격차 평균을 토대로 제1 및 제2 기준 밴드의 폭이 결정된다. 이 경우, 산출된 격차 평균에 각각 다른 배율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 기준 밴드의 폭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표 4는 배율 1 및 배율 2가 0.5 및 0.75로 설정된 예시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제1 기준 밴드의 상한값은 1.42 * 0.5 = 0.71, 하한값은 1.42 * -0.5 = -0.71이 되고(즉, 제1 기준 밴드의 폭은 1.42), 제2 기준 밴드의 상한값은 1.42 * 0.75 = 1.06, 하한값은 1.42 * -0.75 - -1.06이 된다(즉, 제2 기준 밴드의 폭은 2.12).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기준 밴드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는 시점으로부터 과거 제1 기간에 대하여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을 토대로 결정되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상대적인 수익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격차 평균을 토대로 결정되는 기준 밴드는 그 결정 시점으로부터 과거 제1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따라서 그 결정 시점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의 등락 추세를 추정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향후 제1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의 등락 추세를 주기적으로 반영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REBALANCING' 및 'UPGRADING'의 빈번한 수행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제1 및 제2 기준 밴드를 주기적으로 재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1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제1 및 제2 기준 밴드가 다른 폭으로 주기적으로 재결정되어 형성되는 예시를 보이고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기준 밴드가 결정되면,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간은 기준 밴드를 결정하는데 적용되었던 시구간인 제1 기간보다 더 짧은, 중기적인 시구간으로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1개월의 시구간으로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중장기적인 시구간인 제1 기간을 기준으로 하는 각 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을 통해 제1 및 제2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중기적인 시구간인 제2 기간을 기준으로 하는 각 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제1 및 제2 기준 밴드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하여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중복 기술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제2 기간 격차'로 표기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및 제2 기준 밴드에서의 영역은, 제1 기준 밴드 내의 제1 영역과, 제1 기준 밴드를 벗어난 영역으로서 제2 기준 밴드 내의 영역인 제2 영역과, 제2 기준 밴드를 벗어난 제3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영역 별로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2 기간 격차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유지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 기간 격차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는, 과거 제2 기간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 간의 격차의 추세가 제1 기준 밴드에 따라 추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로 볼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현재 설정된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유지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에 의해 설정된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이 경우를 'REBALANCING'의 용어로 정의한다).
즉,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는, 과거 제2 기간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 간의 격차의 추세가 제1 기준 밴드에 따라 추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중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 간의 격차가 일정 수준 이상 벌어진 경우로서 투자자의 입장에서 이익 실현을 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 경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에 의해 설정된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기간 격차가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이 경우를 'UPGRADING'의 용어로 정의한다).
즉,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는, 과거 제2 기간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 간의 격차의 추세가 제2 기준 밴드에 따라 추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는 제1 기준 밴드를 벗어난 경우 대비, 중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 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이익 실현을 하고 수익률을 극대화하며 보다 안정적인 투자를 하기 위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도록 판단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은, 이를테면 안전자산으로부터 위험자산으로, 또는 위험자산으로부터 안전자산으로 그 비중을 10% 또는 20% 이전하는 조건으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 안전자산 : 위험자산 = 70% : 30% → 안전자산 : 위험자산 = 50% : 50%)(이 경우,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이전 방향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 정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플래그는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의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투자 유형별로 각 자산의 비중의 상한치가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른 비중 이전은 투자 유형별로 정의된 하한치 이상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 표 5는 투자 유형별로 각 자산의 비중 하한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투자 유형 안전자산 비중 하한치 위험자산 비중 하한치
절대안정형 75% 5%
안정형 50% 10%
안정균형성장형 35% 15%
안정성장형 20% 20%
성장형 12.50% 25%
절대성장형 5% 30%
한편,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른 특정 시점이 된 경우(즉, 정기 REBALANCING), 또는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즉,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최우선순위로서 판단할 수 있다. 즉, 위 두 경우는 앞서 언급한 세 가지의 경우의 비중 조정 대비 강제적으로 적용되는 최우선순위에 해당한다.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에 의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가 판단되면,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400)은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400)은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이 조정될 수 있도록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매매를 최종적으로 실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400)은 제3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간은 제2 기간보다 더 짧은, 단기적인 시구간으로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1일의 시구간으로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4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중복 기술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3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제3 기간 격차'로 표기하기로 한다.
최단기적인 격차에 해당하는 제3 기간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시장 상황이 안전자산 지수 및 위험자산 지수 간의 격차가 감소하는 추세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으므로,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300)에 의해 제2 기간 격차를 토대로 REBALANCING 또는 UPGRADING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제3 기간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400)은 비중 조정을 유보할 수 있다. 즉, 제3 기간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는 비중 조정을 최종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기준치는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3 기간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에 대한 조건은 앞서 설명한,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는 최우선순위의 비중 이전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하기 표 6은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6의 No.는 표 4의 No.와 매칭된다.
No. 기준일 제3 기간 수익률
(1일)
제3 기간 격차 기준치 최종 Action
안전자산 위험자산
1 20200102 0 0 0.00 1 No Action
2 20200103 -0.05 0.56 0.61 1 No Action
3 20200106 0.07 0.49 0.42 1 No Action
4 20200107 0.02 0.18 0.16 1 No Action
5 20200108 0.07 -1.58 1.65 1 UPGRADING
6 20200109 0.1 0.48 0.38 1 No Action
7 20200110 0.12 0.56 0.44 1 No Action
표 4에서 No.1 내지 7에 해당하는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위치하여 REBALANCING 또는 UPGRADING으로 판단되더라도, 표 6에서 제3 기간 격차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는 No.5만이 해당하므로, No.5의 시점에서 UPGRADING이 이루어진다(제2 기간 격차가 제3 영역에 위치한 것을 전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비중 조정 과정의 일 예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200)에 의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2 기간 격차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① 구간에서는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이 유지된다.
제2 기간 격차가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② 구간) REBALANCING이 수행되며 현재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은 초기 비중이므로 현재의 비중이 유지된다.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으로부터 제3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③ 구간) UPGRADING이 수행되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은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된다.
제2 기간 격차가 제3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④ 구간) REBALANCING이 수행되어야 하는 상황이며, 이때 제3 기간 격차가 기준치 미만이어서 REBALANCING이 유보되고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은 ③ 구간에서 변경된 비중으로 유지된다.
제2 기간 격차가 제2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⑤ 구간) 최우선순위의 비중 조정이 수행되어,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은 초기 비중으로 변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며, 앞서 설명한 내용과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시계열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10)의 각 모듈(200, 300, 400), 또는 펀드 투자 관리 서버(10)가 될 수 있다.
먼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한다(S100).
이어서,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한다(S200). 여기서, 기준 밴드는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는데 적용되는 제1 기준 밴드와,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데 적용되는 제2 기준 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재결정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포트폴리오 내의 안전자산에 속하는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는 안전자산 지수와, 포트폴리오 내의 위험자산에 속하는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는 위험자산 지수를 이용하여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을 산출한다.
또한, S200 단계에서,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을 이용하여 기준 밴드의 폭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기준 밴드를 결정하며, 제2 기준 밴드의 폭은 제1 기준 밴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S200 단계에서의 제2 기간은 제1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에 해당하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제1 및 제2 기준 밴드 내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하여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밴드 내의 영역은, 제1 기준 밴드 내의 제1 영역과, 제1 기준 밴드를 벗어난 영역으로서 제2 기준 밴드 내의 영역인 제2 영역과, 제2 기준 밴드를 벗어난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200 단계에서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유지하도록 판단한다.
또한, S200 단계에서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판단한다.
그리고, S200 단계에서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도록 판단한다.
한편, S200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른 특정 시점이 된 경우, 또는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최우선순위로서 판단한다.
S200 단계 이후,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S2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한다(S300). S300 단계에서, 제3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S2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한다. 제3 기간은 제2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 내의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비중을 초기 설정한 상태에서, 포트폴리오 내의 각 자산의 수익률의 격차를 토대로 각 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기준 밴드와 비교한 후,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각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포트폴리오 내의 각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하기 위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충족되는 범위 내에서 수익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펀드 투자 관리 서버
100: 데이터베이스
200: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
300: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
400: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

Claims (14)

  1.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는 포트폴리오 초기 설정 모듈;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상기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로서, 상기 기준 밴드는 그 결정 시점으로부터 과거로 역산되는 상기 제1 기간을 기준으로 결정되어, 향후의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밴드인,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 및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포트폴리오 내의 상기 안전자산에 속하는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는 안전자산 지수와, 상기 포트폴리오 내의 상기 위험자산에 속하는 펀드의 기준가격의 합으로 정의되는 위험자산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밴드는,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는데 활용되는 제1 기준 밴드와,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데 활용되는 제2 기준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밴드의 폭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준 밴드를 결정하되, 상기 제2 기준 밴드의 폭은 상기 제1 기준 밴드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에 해당하며,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밴드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기준 밴드 내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기준 밴드를 벗어난 영역으로서 상기 제2 기준 밴드 내의 영역인 제2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밴드를 벗어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유지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미리 정의된 비중 이전 조건에 따라 변경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른 특정 시점이 된 경우, 또는 상기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상기 초기 비중으로 변경하도록 최우선순위로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은, 상기 제1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 밴드를 재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실행 모듈은, 제3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트폴리오 재설정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3 기간은 상기 제2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13.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고,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상기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상기 비중 조정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되,
    상기 기준 밴드는 그 결정 시점으로부터 과거로 역산되는 상기 제1 기간을 기준으로 결정되어, 향후의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서버.
  14.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선정된 펀드 종목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적용하여, 채권형 펀드로 구성된 안전자산 및 주식형 펀드로 구성된 위험자산 간의 초기 비중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제1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토대로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밴드를 결정하고, 제2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안전자산의 수익률과 상기 위험자산의 수익률 간의 격차를 상기 기준 밴드와 비교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준 밴드는 그 결정 시점으로부터 과거로 역산되는 상기 제1 기간을 기준으로 결정되어, 향후의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 조정의 기준이 되는 밴드인, 단계; 및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의 매매를 실행하여, 상기 비중 조정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트폴리오의 상기 안전자산 및 상기 위험자산 간의 비중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방법.
KR1020200122135A 2020-09-22 2020-09-22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4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35A KR102441683B1 (ko) 2020-09-22 2020-09-22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35A KR102441683B1 (ko) 2020-09-22 2020-09-22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38A KR20220039238A (ko) 2022-03-29
KR102441683B1 true KR102441683B1 (ko) 2022-09-13

Family

ID=8099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135A KR102441683B1 (ko) 2020-09-22 2020-09-22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6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26B1 (ko) 2011-12-07 2012-04-27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운용과정 기반의 포트폴리오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771054B1 (ko) * 2016-07-08 2017-08-25 (주) 인텔리퀀트 증권 포트폴리오를 위한 리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리스크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377A (ko) * 2016-09-12 2018-03-21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38937A (ko) * 2016-11-28 2016-12-06 엔에이치농협증권 주식회사 자산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26B1 (ko) 2011-12-07 2012-04-27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운용과정 기반의 포트폴리오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771054B1 (ko) * 2016-07-08 2017-08-25 (주) 인텔리퀀트 증권 포트폴리오를 위한 리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리스크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38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gast et al. Data abundance and asset price informativeness
Gomber et al. Competition between equity markets: A review of the consolidation versus fragmentation debate
US8244617B2 (en) Cash flow rating system
Subrahmanyam et al. Limit order placement by high-frequency traders
US201201663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balancing investment vehicles
Gang et al. Investment horizons, cash flow news, and the profitability of momentum and reversal strategies in the Chinese stock market
Morahan et al. Survey of reserve managers: lessons from the crisis
Zhang Need for speed: Hard information processing in a high‐frequency world
Mavroudis Market manipulation as a security problem: attacks and defenses
Mayer The financialization of commodity markets and commodity price volatility
Gomber et al. Spoilt for choice: Order routing decisions in fragmented equity markets
KR102441683B1 (ko)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 재조정 기반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am et al. Liquidity and stock returns: evidence from the Chinese stock market
Carapella et al. Dealers’ insurance, market structure, and liquidity
Nguyen et al. An analysis of the opening mechanisms of Exchange Traded Fund markets
Plantier Regulated funds, emerging markets, and financial stability
Gagnon et al. Central bank policy sets the lower bound on bond yields
KR102476591B1 (ko) 리밸런싱 기반의 변액보험 펀드 투자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Min et al. Cross-sectional variation of intraday liquidity, cross-impact, and their effect on portfolio execution
US10275831B2 (en) System implementing smart beta factor deposition based on assets in existing portfolio
Detzer New instruments for banking regulation and monetary policy after the crisis
Pagnotta Speed, fragmentation, and asset prices
Jacobsen et al. Does trade reporting improve market quality in an institutional market? Evidence from 144A corporate bonds
Shear Speculation and returns’ volatility: Evidence from Pakistan Mercantile Exchange
Lehnert Big moves of mutual f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