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679B1 -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 Google Patents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679B1
KR102441679B1 KR1020200139115A KR20200139115A KR102441679B1 KR 102441679 B1 KR102441679 B1 KR 102441679B1 KR 1020200139115 A KR1020200139115 A KR 1020200139115A KR 20200139115 A KR20200139115 A KR 20200139115A KR 102441679 B1 KR102441679 B1 KR 10244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andle
groove
swing practice
tennis 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5043A (en
Inventor
임지헌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679B1/en
Publication of KR2022005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5Frames with easily dismountable parts, e.g. heads, shafts o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8Frames with head subframes for replacing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8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6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of mallet type, e.g. for croquet or pol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으로, 테니스 공을 헤드 정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는 경우에만 손잡이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함은 물론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을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며, 연결부재를 손잡이 안에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and by notifying a user through a display unit installed on a handle only when a tennis ball is accurately aligned with a head position, correct posture during swing practice, as well as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3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so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since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tored in the handle,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storage and portability.

Description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본 발명은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that can correct incorrect posture during swing practice and is convenient to store and carry.

일반적으로 테니스는 코트 중앙에 네트를 치고, 코트 양쪽에서 라켓으로 공을 주고받아 승부를 겨루는 구기 경기를 말하며, 남녀 단식과 복식, 혼합 복식 따위의 경기 방식이 있다.In general, tennis refers to a ball game in which a net is struck in the center of the court and balls are exchanged with racquets on both sides of the court to compete.

도 1은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tennis racket.

종래 테니스 라켓은 헤드 프레임(1), 상기 헤드 프레임(1) 내에 격자형상으로 고정되는 줄(string; 3), 상기 헤드 프레임(1)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를 구비한다.A conventional tennis racket includes a head frame (1), a string (3) fixed in a grid shape within the head frame (1), and a handle (2)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frame (1) and can be gripped by a user to provide

그러나 종래 테니스 라켓은, 헤드 프레임과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테니스 라켓 전체 길이가 너무 길어서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스윙 연습 시 테니스 라켓의 헤드 프레임(스트링이 있는 타격부)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는 때에도 테니스 공은 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헤드 프레임의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맞히지 못하는 잘못된 자세가 반복되어 그대로 굳어지고 습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nnis racket, the overall length of the tennis racket is too long because the head frame and the handle are integrally formed, so storage is not easy. Since the tennis ball can be hit even when it cannot be hit, the wrong posture that does not hit the tennis ball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ead frame is repeated and hardened and becomes a habit.

국내 공개특허 제10-2019-0012347호 (센싱장치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타점 및 플레이어 자세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2019. 02. 11 공개)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2347 (Tennis racquet with sensing device,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RBI and player posture, published on February 11, 2019)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는 경우에만 손잡이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함은 물론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을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며, 연결부재를 손잡이 안에 보관할 수 있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handle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accurately hit, so as to correct the wrong posture during swing practice, as well as dividing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into three par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which can keep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hand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테니스 공을 타격하기 위한 헤드(110);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0); 및 상기 헤드(110)와 상기 손잡이(1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0);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110)는 원기둥 형상 또는 크라킷 라켓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110 for striking a tennis ball; a handle 130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 connection member 120 connecting the head 110 and the handle 130 ; Including, the head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or a racquet racquet.

또한,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헤드(110)와 상기 손잡이(130)를 연결하며, 상단부는 상기 헤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손잡이(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120 connects the head 110 and the handle 130 , an upp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110 , and a low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130 . may be configured to couple.

또한, 상기 손잡이(130)의 내부에는 공간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공간부(135) 안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pace 135 may be formed in the handle 130 ,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space 135 , or may be configured to be withdrawn and used.

또한, 상기 헤드(110)에는 히팅 포인트(hitting point)가 형성되고, 상기 히팅 포인트에는 압력센서(S)와 엘이디(L)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30)에는 표시부(D)가 설치되되, 상기 헤드(110)의 히팅 포인트에 테니스 공을 맞춘 경우에만, 상기 표시부(D)에서 정 위치 타격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110 is formed with a heating point (hitting point), a pressure sensor (S) and an LED (L) are installed at the heating point, and a display part (D) is installed on the handle 130, Only when the tennis ball hits the hitting point of the head 110, the display unit (D) may be configured to inform the user that it is a direct hit.

또한, 상기 헤드(110)의 하부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연결 유닛(140)(240)(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unit 140, 240, 34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110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제1 연결 유닛(140)은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120)의 아암(122)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 홀(H) 안에 관통하는 앵커볼트(141); 및 상기 앵커볼트(141)에 결합하여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체결하는 조임너트(142);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unit 14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the anchor bolt 141 penetrating in the bolt hole (H)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arm 122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and a tightening nut 142 coupled to the anchor bolt 141 to fasten the connecting member 1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1 연결 유닛(240)은 상기 연결부재(120)의 아암 상단부에 형성되며, 볼트 홀(H)을 갖는 결합 브래킷(241);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 브래킷(241)의 볼트 홀(H) 안에 관통하는 앵커볼트(242); 및 상기 앵커볼트(242)에 결합하여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상기 결합 브래킷(241)을 체결하는 조임너트(243);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unit 24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rm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the coupling bracket 241 having a bolt hole (H); An anchor bolt 242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nd penetrating in the bolt hole H of the coupling bracket 241; and a tightening nut 243 coupled to the anchor bolt 242 to fasten the coupling bracket 24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1 연결 유닛(340)은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홈(34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41) 안에 상기 연결부재(120)의 아암 상단부(34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connection unit 340, a cut-out groove 34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arm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is formed in the cut-out groove 341 ( 34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elastically fitted and coupled.

또한, 상기 손잡이(13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135) 안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제2 연결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connection unit 150 for install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0 and accommodating and stor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in the space portion 135 may be further included. can

또한, 상기 손잡이(130)에는 그립 가이드(16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guide 16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13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는, 테니스 공을 헤드의 정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는 경우에만 손잡이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handle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accurately aligned with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ead,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wrong posture during swing practice.

또한,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며, 연결부재를 손잡이 안에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so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since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tored in the handle,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storage and portability.

또한, 헤드에 히팅 포인트(hitting point)가 형성되고, 히팅 포인트에는 압력센서와 엘이디가 설치되는바, 엘이디의 발광(發光)을 통해서 야간에도 히팅 포인트에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출수 있도록 하며, 헤드의 히팅 포인트에 테니스 공을 맞춘 경우에만, 표시부에서 정 위치 타격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hitting point is formed in the head, and a pressure sensor and LED are installed at the heating point. Through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the tennis ball can be accurately hit at the heating point even at night, and the heating of the head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hit at the point, the display unit informs the user that it is a direct hit, thereby correcting an incorrect posture during swing practice.

도 1은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제2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연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연결 유닛의 로킹을 설명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상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원기둥 형상(a)과 크라킷 라켓 형상(b)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크라킷 라켓 형상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손잡이에 부착되는 그립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tennis racke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ion unit i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of FIG. 5 .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n order to explain the locking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of FIG. 5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ylindrical shape (a) and a racquet shape (b) i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variations of the shape of the racquet racquet i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rip guide attached to a handle i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상, 테니스 연습용 라켓은 테니스의 스윙(포핸드, 백핸드 등)을 연습하는 경우 정확한 타점 형성과 자세 유지를 위한 연습이 필요한데, 종래와 같이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으로 연습을 하는 경우, 테니스 라켓의 헤드(또는 헤드 프레임) 정 위치에 공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는 경우라도 라켓의 헤드가 넓은 타격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공을 맞출 수는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테니스 라켓의 헤드 정 위치에 공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라도 여전히 공을 칠 수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자세가 잘못된 자세임을 인지하기 어렵고, 반복된 연습으로 잘못된 자세가 그대로 굳어지고 습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when practicing tennis swing (forehand, backhand, etc.), a tennis practice racquet requires practice to form an accurate RBI and maintain posture. Frame)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hit the ball precisely in the correct position, it is possible to hit the ball because the head of the racquet forms a wide striking part. However, even if the ball cannot be hit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ead of the tennis racke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till hit the ball, so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at his or her posture is an incorrect posture, and the wrong posture is hardened and habituated through repeated practice. .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면 테니스 공을 칠 수 없도록 헤드를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보다 협소하게 구성하고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는 경우에만 손잡이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또는 폼)를 교정하도록 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nnis racqu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narrower head than a general tennis racquet so that the tennis ball cannot be hit if the tennis ball is not accurately aligned with the head, and is installed on the handle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accurately hit. By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e wrong posture (or form) is corrected during swing practice.

또한,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며 연결부재를 손잡이 안에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tored in the handle, so storage and portability are convenie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제2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제2 연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제2 연결 유닛의 로킹을 설명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상단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원기둥 형상(a)과 크라킷 라켓 형상(b)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크라킷 라켓 형상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정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 손잡이에 부착되는 그립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i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of Figure 5,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n order to explain the locking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of FIG.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variations of the shape of a racquet racquet in the tennis racqu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grip guide attached to the handle in the tennis racqu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우선,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테니스 공을 타격하기 위한 헤드(110),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0), 및 상기 헤드(110)와 손잡이(130)를 연결하며 상단부가 상기 헤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손잡이(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대략 Y자형의 연결부재(12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5 ,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110 for striking a tennis ball, a handle 130 that a user can grip, and the head 110 and the handle ( 130) and includes an approximately Y-shaped connecting member 1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d 11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130 at the lower end.

상기 연결부재(120)를 중심으로 헤드(110)와 손잡이(130)를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헤드(110) 또는 손잡이(130) 중 어느 한 쪽의 무게를 더 무겁게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구성하여 실제 테니스 라켓의 밸런스를 동일하게 모사할 수 있다.The head 110 and the handle 130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detached based on the connecting member 120, and through this, the weight of either the head 110 or the handle 130 is made heavier. It is possible to replicate the balance of an actual tennis racket by configuring it or configuring it identically.

상기 헤드(110)는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과는 다르게, 원기둥 형상 또는 야구배트 형상으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보다 협소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헤드(110)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는 경우에만 타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head 11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baseball bat shape to be narrower than a general tennis racquet, unlike a general tennis racquet. Through this,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hitting is possible only when the user accurately aligns the tennis ball to the exact position of the head 110 .

상기 손잡이(130)의 내부에는 공간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공간부(135) 안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pace 135 may be formed inside the handle 130 ,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space 135 or configured to be taken out and used.

상기 헤드(110)에는 전술한 정 위치로서의 히팅 포인트(hitting point)가 형성되고, 히팅 포인트에는 압력센서(S)와 엘이디(L)가 설치되며, 손잡이(130)에는 표시부(D)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S)는 히팅 포인트의 정 중앙에 설치되고, 엘이디(L)는 히팅 포인트의 외곽 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The head 110 is formed with a heating point as the above-mentioned fixed position, a pressure sensor (S) and an LED (L) are installed at the heating point, and a display part (D) is installed on the handle 130 . can The pressure sensor (S)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heating point, and the LED (L) may be installed in the outer line of the heating point.

상기 헤드(110)의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맞춘 경우에만, 상기 표시부(D)에서 정 위치 타격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구성이다.Only when the tennis ball is hit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ead 110, the display unit (D) is configured to inform the user that it is a direct hit.

또한,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헤드(110)의 하부에 연결부재(1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140)(240)(34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onnection unit 140, 240, 34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110. ) is further included.

우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140)은 헤드(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연결부재(120)의 아암(122)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 홀(H) 안에 관통하는 앵커볼트(141), 및 앵커볼트(141)에 결합하여 헤드(110)의 하면에 연결부재(120)를 체결하는 조임너트(142)를 구비한다.First, as shown in FIGS. 2 and 5 , the first connec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arm 122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 An anchor bolt 141 penetrating through the bolt hole (H) formed therein, and a tightening nut 142 coupled to the anchor bolt 141 to fasten the connecting member 1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240)은 연결부재(120)의 아암(122) 상단부에 형성되며 볼트 홀(H)을 갖는 결합 브래킷(241), 헤드(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결합 브래킷(241)의 볼트 홀(H) 안에 관통하는 앵커볼트(242), 및 앵커볼트(242)에 결합하여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결합 브래킷(241)을 체결하는 조임너트(243)를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connect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rm 122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and is a coupling bracket having a bolt hole (H). 241, an anchor bolt 242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nd penetrating in the bolt hole H of the coupling bracket 241, and an anchor bolt 242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 tightening nut 243 for fastening the coupling bracket 241 is provided.

또한, 연결부재(120)의 하단부에 숫나사(120a)가 형성되고, 손잡이(130) 내주면에는 암나사(130a)가 형성되어, 숫나사(120a)와 암나사(130a)의 결합과 분리를 통해서, 연결부재(120)를 손잡이(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le screw 120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and a female screw 130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130. Through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male screw 120a and the female screw 130a, 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130 .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 유닛(340)은 헤드(110)의 하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홈(341)이 형성되고, 절개홈(341) 안에 연결부재(120)의 아암 상단부(34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in the first connection unit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out groove 34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cut-out groove is formed. The upper arm portion 342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elastically fitted in the 341 and coupled thereto.

여기서, 연결부재(120)의 아암(122)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내외측으로 신축(伸縮)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아암 상단부(342)를 살짝 내측방향으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절개홈(341) 안에 끼운 후, 아암(122)의 탄성복원 성질 때문에 헤드(110)의 하면에 연결부재(12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the arm 122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formed so that i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ward and outward. After being inserted therein, it is configured to firmly couple the connecting member 1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due to the elastic restoration property of the arm 122 .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은 손잡이(130)의 상부에 연결부재(120)를 설치하고, 공간부(135) 안에 연결부재(1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제2 연결 유닛(15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to 7 ,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connection member 1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0 , and accommodates the connection member 120 in the space 135 .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unit 150 for storage.

상기 제2 연결 유닛(150)은 공간부(135) 안에 설치되는 스프링(151), 손잡이(1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152), 및 상기 스토퍼 홈(152)에 걸리도록 연결부재(12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153)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unit 150 includes a spring 151 installed in the space 135 , a stopper groove 15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30 , and a connection member ( It includes a stopper protrusion 15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120).

상기 스토퍼 홈(152)은 수직 스토퍼 홈(152a)과 수평 스토퍼 홈(152b)과 하방 슬라이드 홈(152c)과 걸림 홈(154)으로 형성되는 데, 수직 스토퍼 홈(152a)과 하방 슬라이드 홈(152c)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수직 스토퍼 홈(152a)과 수평 스토퍼 홈(152b)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걸림 홈(154)은 수평 스토퍼 홈(152b)과 연결되며, 수평 스토퍼 홈(152b)의 끝단에 형성된다.The stopper groove 152 is formed of a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 lower slide groove 152c and a locking groove 154, and includes a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nd a lower slide groove 152c. )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nd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cking groove 154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그리고 하방 슬라이드 홈(152c)의 하측에는 하방 걸림 홈(154a)이 형성되는데, 이 하방 걸림 홈(154a)에는 스토퍼 돌기(153)가 끼워져서 공간부(135) 안에 연결부재(120)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And a lower engaging groove (154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lide groove (152c), the stopper projection 153 is fitted in the lower engaging groove (154a), the connection member 120 in the space portion 135 can be stored. there will be

상기 걸림 홈(154)은 수평 스토퍼 홈(152b)과는 단차(미도시)가 형성되어 스토퍼 돌기(153)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groove 154 is formed with a step (not shown) from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153 does not arbitrarily fall out.

여기서, 도 7에서 볼 때, 수직 스토퍼 홈(152a)은 외부로 노출되지만, 하방 슬라이드 홈(152c), 걸림 홈(154), 수평 스토퍼 홈(152b)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Here, as shown in FIG. 7 ,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is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lower slide groove 152c, the locking groove 154, and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즉, 수직 스토퍼 홈(152a)은 손잡이(130)의 상면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이며, 이를 통해서 스토퍼 돌기(153)가 들어가고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That is,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is formed by c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130, and through this, the stopper protrusion 153 must enter and exit.

상기 수직 스토퍼 홈(152a)과 하방 슬라이드홈(152c)은 손잡이(130)의 내주면을 따라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부재(120)를 손잡이(130)의 공간부(135) 안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경우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nd the lower slide groove 152c are formed in a recessed structur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130 to insert or withdraw the connecting member 120 into the space 135 of the handle 130 . It can serve as a guide in some cases.

손잡이(130)의 상부에 연결부재(120)의 하단부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스프링(151)이 연결부재(120)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스토퍼 돌기(153)가 수직 스토퍼 홈(152a)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30)를 90°회전시키면, 스토퍼 돌기(153)가 수평 스토퍼 홈(152b)을 따라 이동하여 걸림 홈(154) 안으로 삽입 안착되어, 손잡이(130)의 상부에 연결부재(120)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couple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0 , the spring 151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 so the stopper protrusion 153 forms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 in the inserted state, when the handle 130 is rotated 90°, the stopper protrusion 153 moves along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nd is inserted and seated into the locking groove 154,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0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configured to be firmly coupled.

반면에, 연결부재(120)를 손잡이(130)의 공간부(135) 안으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30)를 반대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스토퍼 돌기(153)가 걸림홈(154)에서 빠지면서 수평 스토퍼 홈(152b)을 거쳐서 수직 스토퍼 홈(152a) 안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 후, 스프링(151)의 탄발력을 극복하고 연결부재(120)를 하방으로 눌러서, 스토퍼 돌기(153)가 하방 슬라이드 홈(152c)을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되고, 이후 하방 걸림홈(154a)에 걸리게 됨에 따라 연결부재(120)를 손잡이(130)의 공간부(135) 안으로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연결부재(120)의 아암(122)는 탄성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로 구성되므로, 내측으로 좁혀져서 공간부(135) 안으로 충분히 삽입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to be stored in the space 135 of the handle 130, the handle 130 is rotated 90°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153 is removed from the engaging groove 154. After maintaining the inserted state into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through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while falling out,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51 and pressing the connecting member 120 downward, the stopper protrusion 153 is It is guided downward along the lower slide groove 152c, and is configured to store the connecting member 120 into the space 135 of the handle 130 as it is caught in the lower engaging groove 154a thereafter. At this time, since the arm 122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g, synthetic resin, etc.), it is narrowed inward so that it can be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35 .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는 전술한 원기둥 형상(혹은 야구배트 형상)(a) 뿐만 아니라, 크라킷 라켓 형상(b), 또는 다른 형상(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110)의 형상은 스윙 연습을 위한 다른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어느 경우에도 헤드(110)의 형상을 기존 테니스 라켓 보다 협소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the head 110 may be configured in the above-described cylindrical shape (or baseball bat shape) (a), as well as a racquet shape (b), or other shapes (not shown). have. The shape of the head 110 may be variously changed to other shapes for swing practice, but in any cas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hape of the head 110 to be narr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tennis racket.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가 크라킷 라켓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헤드(110)에 줄(string)(111)이 전체에 설치되는 구성(a) 혹은 일부에 설치되는 구성(b) 내지 구성(d) 중 어느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줄(111)이 설치되는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 테니스 라켓의 타격감과 동일한 타격감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 when the head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acquet racquet, a string 111 is installed in the entire configuration (a) or a part of the head 110. Any of the configurations (b) to (d) may be optionally used. When us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ring 111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same hitting feeling as that of an actual tennis racket can be implement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130)는 실제 테니스 라켓과 같이 8각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제 라켓을 파지하는 느낌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30)에는 그립 가이드(16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the handl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n octagonal shape like an actual tennis racket to implement a feeling of gripping the actual racket, and the handle 130 has a grip guide ( 16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상기 그립 가이드(160)는 사용자가 라켓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라켓의 파지 시 검지와 중지 간 사이가 벌어진 채로 라켓을 파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파지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 해당한다. 그립 가이드(160)는 손잡이(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말굽 또는 U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라켓의 파지 시 검지와 중지 사이에 그립 가이드(160)가 위치하도록 하여 올바른 파지법을 익힐 수 있다.The grip guide 160 guides the user to correctly grip the racket, and when the user grips the racket, the user must grip the racket with a gap between the index and middle fingers. do. The grip guide 160 may be configured in a horseshoe or U shap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13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Through this, the user can learn the correct gripping method by placing the grip guide 160 between the index and middle fingers when gripping the racke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에서는, 헤드(110)의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면 테니스 공을 칠 수 없도록 하고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추는 경우에만 손잡이(130)에 설치된 표시부(D)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폼)를 교정하도록 함은 물론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을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며, 연결부재(120)를 손잡이(130) 안에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the tennis racquet for sw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f the tennis ball is not accurately hit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ead 110, the tennis ball cannot be hit, and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accurately hit, the display part (D) installed on the handle 130 By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store and carry.

또한, 헤드에 히팅 포인트(hitting point)가 형성되고, 히팅 포인트에는 압력센서(S)와 엘이디(L)가 설치되는바, 엘이디(L)의 발광을 통해서 야간에도 히팅 포인트에 테니스 공을 정확하게 맞힐수 있도록 하며, 헤드(110)의 정 위치에 테니스 공을 맞춘 경우에만, 표시부(D)에서 정 위치 타격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스윙 연습 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hitting point is formed in the head, and a pressure sensor (S) and an LED (L) are installed at the heating point. And,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hit at the normal position of the head 110, the display unit D informs the user that the hit is in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correcting the wrong posture during swing practice.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have appropriate concepts of terms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110: 헤드 120: 연결부재
120a: 숫나사 122: 연결부재의 아암
130: 손잡이 130a: 암나사
135: 공간부 140: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유닛
150: 제2 연결 유닛 152: 스토퍼 홈
152a: 수직 스토퍼 홈 152b: 수평 스토퍼 홈
152c: 하방 슬라이드 홈 154: 걸림 홈
154a: 하방 걸림 홈 160: 그립 가이드
240: 제2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유닛 241: 결합 브래킷
242: 앵커볼트 243: 조임너트
340: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유닛 341: 절개홈
342: 아암 상단부 H: 볼트 홀
S: 압력센서 L: 엘이디
D: 표시부
110: head 120: connecting member
120a: male thread 122: arm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handle 130a: female thread
135: space 140: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50: second connection unit 152: stopper groove
152a: vertical stopper groove 152b: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c: lower slide groove 154: locking groove
154a: lower catch groove 160: grip guide
240: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twenty-first embodiment 241: coupling bracket
242: anchor bolt 243: tightening nut
340: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341: cut-out groove
342: arm upper part H: bolt hole
S: Pressure sensor L: LED
D: display

Claims (10)

테니스 공을 타격하기 위한 헤드(110);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0); 및
상기 헤드(110)와 상기 손잡이(1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0);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110)는 원기둥 형상 또는 크라킷 라켓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헤드(110)와 상기 손잡이(130)를 연결하며, 상단부는 상기 헤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손잡이(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30)의 내부에는 공간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공간부(135) 안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13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135) 안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제2 연결 유닛(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유닛(150)은, 상기 공간부(135) 안에 설치되는 스프링(151), 상기 손잡이(1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152), 및 상기 스토퍼 홈(152)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부재(12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153)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홈(152)은 수직 스토퍼 홈(152a), 수평 스토퍼 홈(152b), 하방 슬라이드 홈(152c) 및 걸림 홈(15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스토퍼 홈(152a)과 상기 하방 슬라이드 홈(152c)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 스토퍼 홈(152a)과 상기 수평 스토퍼 홈(152b)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걸림 홈(154)은 상기 수평 스토퍼 홈(152b)과 연결되되 상기 수평 스토퍼 홈(152b)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방 슬라이드 홈(152c)의 하측에는 하방 걸림 홈(154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a head 110 for striking a tennis ball;
a handle 130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 connecting member 120 connecting the head 110 and the handle 130; includes,
The head 11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croquet racket shape,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The head 110 and the handle 130 are connected, the upp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110,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130,
A space portion 135 is formed inside the handle 13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is stored in the space portion 135 and is configured to be stored or taken out for use,
A second connection unit 150 for install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on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130 and accommodating and stor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in the space part 135 is further include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50 may be caught by a spring 151 installed in the space 135 , a stopper groove 15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30 , and the stopper groove 152 . and a stopper protrusion 15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The stopper groove 152 includes a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 lower slide groove 152c and a locking groove 154,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nd the lower slide groove (152c)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stopper groove (152a) and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r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cking groove 154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stopper groove 152b,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engaging groove (154a) is further formed below the lower slide groove (152c).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에는 히팅 포인트(hitting point)가 형성되고, 상기 히팅 포인트에는 압력센서(S)와 엘이디(L)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30)에는 표시부(D)가 설치되되,
상기 헤드(110)의 히팅 포인트에 테니스 공을 맞춘 경우에만, 상기 표시부(D)에서 정 위치 타격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The method of claim 1,
A heating point is formed on the head 110, a pressure sensor (S) and an LED (L) are installed at the heating point, and a display part (D) is installed on the handle 130,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form the user that the hit is in place in the display unit (D) only when the tennis ball is hit at the hitting point of the head (1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의 하부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연결 유닛(140)(240)(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unit (140, 240, 34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nection member (1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1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닛(140)은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120)의 아암(122)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 홀(H) 안에 관통하는 앵커볼트(141); 및
상기 앵커볼트(141)에 결합하여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상기 연결부재(120)를 체결하는 조임너트(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nection unit 140 is
an anchor bolt 141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nd penetrating in the bolt hole H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rm 122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and
a tightening nut 142 coupled to the anchor bolt 141 to fasten the connecting member 1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닛(240)은
상기 연결부재(120)의 아암 상단부에 형성되며, 볼트 홀(H)을 갖는 결합 브래킷(241);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 브래킷(241)의 볼트 홀(H) 안에 관통하는 앵커볼트(242); 및
상기 앵커볼트(242)에 결합하여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상기 결합 브래킷(241)을 체결하는 조임너트(2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nection unit 240 is
a coupling bracket 24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rm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and having a bolt hole (H);
An anchor bolt 242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nd penetrating in the bolt hole H of the coupling bracket 241; and
a tightening nut 243 coupled to the anchor bolt 242 to fasten the coupling bracket 24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닛(340)은
상기 헤드(110)의 하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홈(34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41) 안에 상기 연결부재(120)의 아암 상단부(34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nection unit 340 is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10, cut-out grooves 341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arm 342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elastically fitted into the cut-out groove 341 to be coupled.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30)에는 그립 가이드(16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테니스 라켓.
The method of claim 1,
A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a grip guide 16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130 .
KR1020200139115A 2020-10-26 2020-10-26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KR102441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15A KR102441679B1 (en) 2020-10-26 2020-10-26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15A KR102441679B1 (en) 2020-10-26 2020-10-26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43A KR20220055043A (en) 2022-05-03
KR102441679B1 true KR102441679B1 (en) 2022-09-07

Family

ID=8159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15A KR102441679B1 (en) 2020-10-26 2020-10-26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67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126B2 (en) * 1995-04-11 2001-03-12 株式会社アイメディカルシステム Positioning tool for correcting eyesight of simple 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imple glasses
KR200294837Y1 (en) * 2002-08-28 2002-11-13 기철 Badminton racket for appear and disappear of blow pa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025A (en) * 1996-08-31 1998-03-24 Motokiyo Uchida Racket
JP3146126U (en) * 2008-08-11 2008-11-06 合田 光▲廣▼ Racket grip aid
KR200459059Y1 (en) * 2009-02-12 2012-03-23 최민섭 Swing training device
KR101948672B1 (en) 2017-07-27 2019-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ennis racket with sensing device,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iscriminating hitting point and player’s posture
KR20200074818A (en) * 2018-12-17 2020-06-25 이진우 Tennis racquet with infrared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126B2 (en) * 1995-04-11 2001-03-12 株式会社アイメディカルシステム Positioning tool for correcting eyesight of simple 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imple glasses
KR200294837Y1 (en) * 2002-08-28 2002-11-13 기철 Badminton racket for appear and disappear of blow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43A (en)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925B1 (en) Grip training device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US20180290033A1 (en) Weighted Golf Grip
US7985147B1 (en) Swing training device
US20030069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thletic proficiency
KR102441679B1 (en)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AU657187B2 (en) Ball racket
US5653441A (en) Racket string comb
US20180043230A1 (en) Versatile batting tee adapter
US7104898B1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0723578B1 (en) Aligning apparatus for strings of racket
US8100782B2 (en) Lacrosse practice device
JPH0626293Y2 (en) Golf tee
KR101018087B1 (en) Putting training device
US20230123369A1 (en) Baseball and softball hitting training device
US6561933B1 (en) Shockproof device in the throat of a tennis racket
KR200410146Y1 (en) Golf club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US6506133B1 (en) Racket with apparatus for enhancing elasticity of network
KR200461622Y1 (en) A handle for badminton
KR102577109B1 (en) Exercise racket
KR20110007378U (en) The power bat for golf swing training
CN218961728U (en) Swing and clap training ware
CN220047025U (en) Baseball beating exercise device
CN215084742U (en) Golf swing beating practice hammer
US10799771B2 (en) Racquet flex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