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555B1 -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555B1
KR102441555B1 KR1020220092609A KR20220092609A KR102441555B1 KR 102441555 B1 KR102441555 B1 KR 102441555B1 KR 1020220092609 A KR1020220092609 A KR 1020220092609A KR 20220092609 A KR20220092609 A KR 20220092609A KR 102441555 B1 KR102441555 B1 KR 102441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martphone
unit
smart phon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석명진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위더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더스 (주) filed Critical 위더스 (주)
Priority to KR102022009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555B1/ko
Priority to PCT/KR2023/010580 priority patent/WO20240252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나 학원 등에서 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수거하여 보관하고, 보관 중인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복수의 스마트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공간부에 복수의 충전포트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선택된 충전포트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택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복수의 개별공간이 형성되며, 각 개별공간에는 각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개별공간에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이 더 구성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Smartphone Storage and Recharger Apparatus}
본 발명은 학교나 학원 등에서 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수거하여 보관하면서 보관 중인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군대, 기숙 학원, 학교 등과 같은 조직체에서는 하루 중에 소정시간 동안 병사 또는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고 일과 시간이 지나거나 하교 후 스마트폰을 돌려주어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군대에서 일반 병사의 경우 평일 오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만 스마트폰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으며, 기숙 학원, 학교 등에서는 수업 시간 중 스마트폰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고, 수업 종료 후에 스마트폰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하루 중에 스마트폰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시간에는 모든 대상자들의 스마트폰을 수거하여 보관하고, 허용 시간에만 보관함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반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수거하게 되면 비닐봉투나 쇼핑백 등과 같은 가방 또는 사물함 형태의 수납공간에 스마트폰을 보관하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보관을 위한 목적으로만 이용되고 있으며, 관리자가 일일이 스마트폰을 수거하기 때문에 전체 인원 중 일부 인원의 수거가 누락되어도 이를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등 스마트폰의 수거 및 반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학교 등에서도 학생들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 충전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학교 등에서 수십 많게는 수백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대기시간 없이 원활한 충전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30 포트 이상의 멀티 충전기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어야 하지만, 이러한 고용량의 멀티 충전기는 워낙 고가 장비이기 때문에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하여 학급 단위의 설치가 현실적으로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41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충전기와 스마트폰이 1:1로 충전하는 고가의 멀티 충전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1개의 충전기로 다수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스위칭 해주는 방식으로 경제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칭함)은, 내부에 복수의 스마트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공간부에 복수의 충전포트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선택된 충전포트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택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복수의 개별공간이 형성되며, 각 개별공간에는 각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개별공간에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의 소모전류를 계측하는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계로부터 계측되는 각 스마트폰의 소모전류값을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배터리양이 적은 순위로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충전부는, N 개의 충전포트를 하나의 단위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단위그룹별 N 개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각 단위그룹별마다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각 단위그룹별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계로부터 계측되는 각 스마트폰의 소모전류값을 분석하여 각 스마트폰별로 잔여 배터리양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스마트폰별로 필요한 충전시간을 산출하여 스마트폰별 충전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폰별로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둘 이상의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수거 여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출력되는 인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부의 공간부에 대한 스마트폰의 수거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자가발전수단은, 상기 개별공간의 하면에 복수로 장착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개별공간의 측벽에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스마트폰의 비안치시는 압전소자와 이격을 형성하고 스마트폰의 안치시 압전소자와 접하게 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스프링은 상기 측벽에 탄성재질의 완충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충전포트에 연결된 각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이 충전되게 함으로써, 고가의 멀티 충전장치 없이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충전기를 이용하여 많은 수의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하여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에 적은 비용으로도 충전장치를 학교 단위가 아닌 학급 단위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충전장치의 보급율 증대에 따라 학생들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수거 및 반출 상태 등의 정보가 관리자로 하여금 모니터링되게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수거 및 반출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복수의 스마트폰(1)을 수납하기 위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수납된 스마트폰(1)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0) 및 상기 충전부(20)의 충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내부에 복수의 스마트폰(1)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는 공지의 다양한 수납함 구조 중 적합한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부(10)는 복수 개의 보관함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캐비넷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00)는 복수의 측판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개별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획된 개별 공간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1)이 수용 및 보관되어 관리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공간부(10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를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시건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부(100)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별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 상기 개폐도어 역시 개별 공간마다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10)에는 보관 중인 스마트폰(1)에 대한 살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ultraviolet)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V(ultraviolet)램프는 본체부(10)의 보관 상태 즉 스마트폰(1)이 수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공간부(100)에 복수의 충전포트(200)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선택된 충전포트(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택된 스마트폰(1)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스마트폰(1)의 입력 전원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회로와, 변환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각 충전포트(200)로 분배하는 분배 회로 및 연결된 스마트폰(1)의 충전 과정에서 과전압 내지 과전류 등을 방지되게 하는 다양한 보호 회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200)는 5pin, Type-C 등의 다양한 유선 연결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유선포트(201)와,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무선포트(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200)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1)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스마트폰(1)이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20)의 전원 인가를 제어한다.
즉 학교 또는 학원 등에서는 학생의 스마트폰(1)을 장시간 보관하기 때문에 이러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30)는 N 개의 스마트폰(1)을 N개의 충전원으로 충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전원으로 충전 순위를 부여하여 N개의 스마트폰(1)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충전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30)의 제어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는 고가의 대용량 충전장치 없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치를 통해 여러 대의 스마트폰(1)을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0)는, 스마트폰(1)의 소모전류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200)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1)의 소모전류를 계측하는 전류계(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류계(300)로부터 계측되는 각 스마트폰(1)의 소모전류값을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배터리양이 적은 순위로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설정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우선순위설정모듈(310)은 소모전류가 가장 많은 충전포트(200)에 연결된 스마트폰(1)을 배터리양이 가장 적은 폰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배터리양이 적은 순대로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우선순위설정모듈(310)은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선택된 충전포트(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충전부(2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충전 우선순위에 따라 충전되는 스마트폰(1)의 충전 시간을 설정하는 충전시간설정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시간설정모듈(320)은 각 스마트폰(1)별로 충전에 필요한 예상시간을 추정하고, 각 스마트폰(1)별로 추정된 예상시간 동안만 충전이 실시되게 한다.
이러한 충전시간설정모듈(320)은 상기 전류계(300)로부터 계측되는 각 스마트폰(1)의 소모전류값을 분석하여 각 스마트폰(1)별로 잔여 배터리양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스마트폰(1)별로 필요한 충전시간을 산출하여 스마트폰(1)별 충전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스마트폰(1)의 소모전류값을 통해 잔여 배터리양을 분석하는 방법은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시간설정모듈(320)은 사전 설정된 충전시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충전을 실시하게 되는 각 스마트폰(1)별로 상기 충전부(20)의 전원 인가 시간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충전원으로 소모전류 인식을 통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N 개의 스마트폰(1)을 차례로 충전하게 되는 것으로, 유/무선 포트 한 쌍을 하나의 포트로 처리하고 제어부(30)에서는 우선순위 결정시 포트 셀렉터를 스위칭해 가면서 소모전류를 분석하고 충전할 스마트폰(1)이 결정되면 해당 포트를 선택 후 지정 시간동안 충전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포트 셀렉터는 상기 전류계(30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는 포트 셀렉터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유무선 포트의 전류값은 측정할 필요 없이 '0'이기에 전류계(300)가 유무선 모든 포트 앞에 위치하지 않고 전류 흐름의 최상위 입구인 포트 셀렉터 앞 부분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충전이 100프로 완료된 스마트폰(1)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100% 아래로 떨어지게 되지만 우선순위 경쟁에서 배체되어 더 이상의 충전시간은 할당되지 않고 나머지 스마트폰(1)들에게 충전기회가 주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전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개의 충전포트(200)를 하나의 단위그룹(21, 22, 2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부(20)는 복수의 단위그룹(21, 22, 2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그룹(21, 22, 23)은 유선포트(201) 또는/및 무선포트(202)로 구성되는 N 개의 충전포트(2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각 단위그룹(21, 22, 23)별로 N 개의 충전포트(200)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1)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각 단위그룹(21, 22, 23) 마다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각 단위그룹(21, 22, 23)별로 스마트폰(1)이 순차적으로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20)의 전원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각 단위그룹(21, 22, 23)별로 복수의 충전포트(200)가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각 단위그룹(21, 22, 23) 마다 하나의 충전포트(200)를 통해서만 충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가의 대용량 충전장치 없이도 많은 수의 스마트폰(1)을 충전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일시에 많은 수의 스마트폰(1)을 충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부하를 최소화함으로 장치의 고장이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3에서는 3개의 단위그룹(21, 22, 23)과 각 단위그룹(21, 22, 23)별로 4개의 충전포트(200)가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시되고 있을 뿐, 단위그룹(21, 22, 23)의 수와 단위그룹(21, 22, 23)별 충전포트(200)의 수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학교 또는 학원의 학급별 학생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상기 스마트폰(1)의 수거 및 수납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인식부(40)와 모니터링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공간부(100)에 수용된 둘 이상의 스마트폰(1)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수거 여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망은 스마트폰(1)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근거리 통신망인 Wifi나 Bluetooth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40)는 접속된 스마트폰(1)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폰(1)으로부터 회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인식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50)는 상기 인식부(40)에서 출력되는 인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부(10의 공간부(100)에 대한 스마트폰(1)의 수거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거 상태 정보는 상기 인식부(40)로부터 전송되는 인식 결과에 따라 스마트폰(1)의 수거 수량, 수거 시간, 반출 수량, 반출 시간은 물론 수건 및 반출된 스마트폰(1)의 사용자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50)는 상기 수거 상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00)를 더 포함함으로써 교사 또는 강사 등의 관리자로 하여금 스마트폰(1)의 수거 상태를 포함한 관리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간부(100)는 복수의 측판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개별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획된 개별 공간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1)이 수용 및 보관되어 관리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0)에 개별공간(110)을 구성하고 이러한 개별공간(110)에 안치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스마트폰(1)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스마트폰(1) 충전의 보조수단으로 이용하거나 기타 상기에서 언급한 살균수단의 가동에 에너지로서 이용토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부(10)에는 복수의 개별공간(110)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개별공간에는 각 충전포트(200)가 구성되어 각 개별공간(110)에 안치된 스마트폰(1)은 상기에서 언급한 작동기작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개별공간(110)에는 압전소자(61)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60)이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전소자(61)란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한 압력이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 효과에 의해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상기 압전소자(61)는 충전중인 스마트폰(1)에서 전화가 걸려오거나 각종 알림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자가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압전소자(61)는 일반적으로 세라믹으로 제작된 성분으로 계속적인 기계적 충격 또는 지속적인 상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세라믹 자체의 물성에 의해 부서지는 등으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별공간(110)의 하면에 복수로 장착되는 압전소자(61)와, 상기 개별공간(110)의 측벽에 복수의 스프링(63)에 의해 연결되며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의 비안치시는 압전소자(61)와 이격(d)을 형성하고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의 안치시 압전소자(61)와 접하게 되는 가압판(62)을 제시하고 있다.
즉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의 비안치 즉 외력이 없을 시는 상가 가압판(62)이 압전소자(61)와 이격(d)을 형성하여 압전소자(61)에 상재하중이 부과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내구성 저하요인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판(62)에 스마트폰(1)을 안치시는 가압판(62)이 압전소자(61)에 접하게 되고, 스마트폰(1)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압전소자(61)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진동은 가압판(62)에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63)에 의해 진폭이 커지면서 압전소자(61)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압판(62)을 구성하는 이유는 가압판(62) 상부에 안치되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공급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체 압전소자(61) 측로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1)에서 가압판(62)에 전달된 진동에너지가 본체부(10)로 전달되어 진동에너지가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동에너지에 의한 소음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63)은 상기 측벽에 탄성재질의 완충구(64)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즉 스프링(63)을 통해 진동에너지가 측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상기 완충구(64)가 제어함으로써 진동에너지의 분산 및 소음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압전소자(6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부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에서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스마트폰(1)의 충전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살균수단의 구동에 분배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충전부
30 : 제어부 40 : 인식부
50 : 모니터링부
200 : 충전포트 300 : 전류계
310 : 우선순위설정모듈 320 : 충전시간설정모듈

Claims (8)

  1. 내부에 복수의 스마트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공간부에 복수의 충전포트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선택된 충전포트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택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복수의 개별공간이 형성되며, 각 개별공간에는 각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개별공간에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의 소모전류를 계측하는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계로부터 계측되는 각 스마트폰의 소모전류값을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배터리양이 적은 순위로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N 개의 충전포트를 하나의 단위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단위그룹별 N 개의 충전포트에 각각 연결된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각 단위그룹별마다 부여된 충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각 단위그룹별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계로부터 계측되는 각 스마트폰의 소모전류값을 분석하여 각 스마트폰별로 잔여 배터리양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스마트폰별로 필요한 충전시간을 산출하여 스마트폰별 충전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폰별로 상기 충전부의 전원 인가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둘 이상의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수거 여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출력되는 인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부의 공간부에 대한 스마트폰의 수거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수단은, 상기 개별공간의 하면에 복수로 장착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개별공간의 측벽에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스마트폰의 비안치시는 압전소자와 이격을 형성하고 스마트폰의 안치시 압전소자와 접하게 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측벽에 탄성재질의 완충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KR1020220092609A 2022-07-26 2022-07-26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KR102441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09A KR102441555B1 (ko) 2022-07-26 2022-07-26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PCT/KR2023/010580 WO2024025266A1 (ko) 2022-07-26 2023-07-21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09A KR102441555B1 (ko) 2022-07-26 2022-07-26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555B1 true KR102441555B1 (ko) 2022-09-08

Family

ID=832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609A KR102441555B1 (ko) 2022-07-26 2022-07-26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1555B1 (ko)
WO (1) WO202402526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668B1 (ko) * 2023-06-01 2023-10-16 주식회사 성주컴텍 구역분할 충전기능을 갖는 소형기기 충전기
WO2024025266A1 (ko) * 2022-07-26 2024-02-01 위더스 (주)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KR102644778B1 (ko) 2023-02-10 2024-03-08 주식회사 스마트아이디어 스마트기기 충전 보관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60Y1 (ko) 2006-02-03 2006-04-17 노병옥 휴대폰 수납 보관함
KR101439265B1 (ko) * 2014-02-10 2014-09-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101924573B1 (ko) * 2017-11-23 2018-12-04 (주)탑인프라 배터리 충전 및 보관이 가능한 캐비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57Y1 (ko) * 2014-05-08 2014-07-17 박철배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JP6173397B2 (ja) * 2015-09-15 2017-08-02 テック・パワ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充電保管装置
KR102150370B1 (ko) * 2020-04-20 2020-09-01 더블유에스코퍼레이션주식회사 핸드폰 충전함
KR102441555B1 (ko) * 2022-07-26 2022-09-08 위더스 (주)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60Y1 (ko) 2006-02-03 2006-04-17 노병옥 휴대폰 수납 보관함
KR101439265B1 (ko) * 2014-02-10 2014-09-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101924573B1 (ko) * 2017-11-23 2018-12-04 (주)탑인프라 배터리 충전 및 보관이 가능한 캐비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66A1 (ko) * 2022-07-26 2024-02-01 위더스 (주)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KR102644778B1 (ko) 2023-02-10 2024-03-08 주식회사 스마트아이디어 스마트기기 충전 보관장
KR102589668B1 (ko) * 2023-06-01 2023-10-16 주식회사 성주컴텍 구역분할 충전기능을 갖는 소형기기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266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555B1 (ko) 스마트폰 보관 및 충전 장치
CN101060253B (zh) 平衡电路、电子设备及平衡多个电池的电压的方法
US8531160B2 (en) Rechargeable battery management
WO2012091287A1 (ko) 이차전지 셀의 퇴화 정도를 반영한 배터리 팩의 관리 장치와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20140356656A1 (en) Intelligent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Battery Set to the Best Performance
EP0992100A2 (en) Device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battery back up power source
CN109742471B (zh) 退役电池的处理系统
CN102664433A (zh) 基于双向dc/dc的电池均衡系统
CN108292847A (zh) 智能单元与控制方法和系统
US9130392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of a rechargeable battery
CN103457325B (zh) 一种直接式锂离子电池无损均衡电路及均衡控制方法
KR101770484B1 (ko) 에너지 저장소를 위한 테스트 어셈블리
Wagner et al. Charge strategies for valve-regulated lead/acid batteries in solar power applications
CN106329013B (zh) 电池包及其管理系统
CN116760146A (zh) 一种电池组的主动均衡电路及方法
JPWO2020241330A5 (ko)
US20130062946A1 (en) Hierarchical balancing system
CN201859926U (zh) 电池组自动充电及维护均衡诊断装置
CN107046153A (zh) 电池组的互补啮合以扩增能量储存系统的使用寿命、性能和容量
CN201945674U (zh) 一种电池放电容量记录器
US20200358059A1 (en) Battery Pack System Including Multi-Battery
CN208674938U (zh) 一种电池包的均衡装置
CN113125985A (zh) 新型能源电池生命周期检测系统
KR20150068732A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CN103809127A (zh) 一种远程自动蓄电池管理维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