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394B1 -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 Google Patents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394B1
KR102441394B1 KR1020160158350A KR20160158350A KR102441394B1 KR 102441394 B1 KR102441394 B1 KR 102441394B1 KR 1020160158350 A KR1020160158350 A KR 1020160158350A KR 20160158350 A KR20160158350 A KR 20160158350A KR 102441394 B1 KR102441394 B1 KR 10244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e
elastic
rigidity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9139A (en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394B1/en
Publication of KR2018005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구조는, 제 1 면부 및 상기 제 1 면부를 마주하는 제 2 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면부와 제 2 면부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와 체결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러버; 상기 코어가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이격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탄성부 간의 접촉과 제 2 면부와 지지부 간의 접촉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증감되는 변위에 따른 마운트의 강성값이 완만하게 증감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으로 발생하는 저크 현상 및 서지 현상 등의 순간적인 큰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mou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facing the first surface portion; a co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 portions; a rub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and having a support part selectiv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fastening part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bridge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fastening part; a bracket having a fixing part to which the core is fastened and a bent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re,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and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made step by step.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tiffness value of the mount according to the increased or decreased displacement is increased or decreased gentl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large instantaneous vibration such as a jerk phenomenon and a surg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ackward direction.

Description

브라켓에 탄성부가 구비되는 마운트 구조{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Mounting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part is provided in the bracket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본 발명은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강성을 완만하게 증감시킬 수 있는 마운트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 structure, and in more detail, to a mount structure capable of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rigidity.

일반적으로, 마운트의 길이가 길어지면 마운트의 회전 반경이 커지므로, 마운트의 변위량이 증가한다. 또한, 차제 중량 감소 등을 위하여 마운트의 갯수를 줄이면 각 마운트당 분담해야 하는 하중이 증가되어 마운트의 변위량이 증가한다. 또한, 고토크 엔진을 장착하는 경우에 PT롤각이 증가하여 마운트의 변위량이 증가한다. In general, as the length of the mount increases,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unt increases, and thus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mount increases.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mounts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 load to be shared for each mount is increased, and thus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mount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a high-torque engine is mounted, the PT roll angle increases and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mount increas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마운트(1)는 이동 수단의 차체(미도시)에 연결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부에 배치되며, 이동 수단의 엔진(미도시)에 연결되는 코어(3), 상기 하우징(2)과 코어(3)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러버(4)를 포함한다. 1 is a view showing a mou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 mount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housing 2 connect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of a moving mean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 and mounted on an engine (not shown) of the moving means. It includes a core 3 to be connected, and a rubber 4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2 and the core 3 .

상기 마운트(1)는 상기 하우징(2)과 상기 코어(3)의 상대 운동을 제한하여, 상기 코어(3)에 연결된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상기 하우징(2)에 연결된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mount (1) restricts the relative motion of the housing (2) and the core (3) so that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engine connected to the core (3)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connected to the housing (2). prevent.

상기 코어(3)는 체결홀(3a)을 구비하여 브라켓(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엔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러버(4)는 상기 코어(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된 하우징(2)의 내면을 가압하는 지지부(4a),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체결부(4b) 및 상기 지지부(4a)와 체결부(4b)를 연결하여 상기 코어(3)의 이동을 억제하는 브릿지부(4c)를 포함한다. The core 3 may be fastened to a bracket (not shown)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3a, and the bracket may be connected to the engine. The rubber 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3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4a that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 fastening portion 4b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and a bridge part 4c connecting the support part 4a and the fastening part 4b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ore 3 .

종래기술에 따른 마운트(1)에 의하면, 상기 코어(3)가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릿지부(4c)가 상기 지지부(4a)와 체결부(4b)의 거리를 유지시켜 상기 코어(3)의 이동을 억제하고(제 1 단계), 상기 코어(30)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릿지부(4c)가 상기 코어(3)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4a)가 상기 하우징(2)의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코어(3)의 이동을 억제한다(제 2 단계). According to the mount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core 3 move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ridge part 4c maintain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4a and the fastening part 4b, and the core ( 3) suppresses the movement (first step), and when the core 30 move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ridge portion 4c suppresses the movement of the core 3 as well as the support portion 4a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ore 3 (second step).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마운트(1)는 두 개의 단계로 코어(30)의 이동을 억제하게 되므로, 특정 지점(소정 거리)을 기준으로 강성값의 급격하게 변화하는 문제가 생기며, 이에 따라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mount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ppresses the movement of the core 30 in two steps, there is a problem of abruptly changing the stiffness value based on a specific point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us vibration This can happen.

한편, 이와 같은 진동은, 자동차의 급격한 조작으로 인한 가속 또는 변속 시에서 더 심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속 페달을 조작에 따라 Tip-in/Tip-out 등의 저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급격한 조작이 없더라도 비정상적인 엔진 RPM 변동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서지 현상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vibrations may be more severe during acceleration or shifting due to abrupt manipul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jerk phenomenon such as tip-in/tip-out may occur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lso, vibration may occur due to a surge phenomenon in which abnormal engine RPM fluctuations occur regularly even if there is no abrupt manipulation.

위와 같은 진동은 차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승차감이 떨어뜨리거나, 진동이 차체를 통하여 조향 장치로 전달되어 운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Vib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vehicle body to reduce riding comfort, or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device through the vehicle body, thereby reducing drivability.

이와 같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엔진 마운트와 TM 마운트 간의 강성비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예로, 엔진 마운트는 전방 및 후방 이동 시 동일한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하고, TM 마운트는 전방 이동 시의 강도가 후방 이동 시의 강도보다 2배 높게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선행 기술에 의해서도, Tip in/out 조건에서 저크 및 서지 진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다.In order to prevent such vibration, a method of adjusting the stiffness ratio between the engine mount and the TM mount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the engine mount is designed to have the same rigidity w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TM mount can be designed so that the strength during the forward movement is twice as high as the strength during the rearward movement. However, even by such prior art,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jerk and surge vibration in the tip in/out condition.

한편, 스트롱 및 소프트 페달 필터(strong & soft pedal filter)를 적용하여 진동 및 충격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스트롱 페달 필터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나 차량의 가속 성능을 심각하게 악화시킬 수 있으며 소프트 페달 필터는 충격을 줄이기에는 부족하여, 충격을 줄이면서 가속 성능이 악화되지 않게 설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필터의 추가에 의해 직결감이 떨어지며, 연비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and shock by applying a strong and soft pedal filter has been proposed. Although the strong pedal filter can reduce the shock, it may seriously deteriorate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Since the pedal filter is insufficient to reduce the impact,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pedal filter so that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while reducing the impac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ense of direct connection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the filter, and fuel efficiency loss occurred.

본원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강성값이 완만하게 증감되는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 structure in which a stiffness value is gently increased or decreased so a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또한, 저크 현상 또는 서지 현상으로 발생되는 이동 수단의 전진 및 후진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는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 structure that suppresses vibr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a moving means generated by a jerk phenomenon or a surge phenomen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구조는, 제 1 면부 및 상기 제 1 면부를 마주하는 제 2 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면부와 제 2 면부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와 체결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러버; 상기 코어가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면부 또는 제 2면부의 외면과 이격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1 면부 또는 제 2 면부의 외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탄성부의 접촉과 제 2 면부와 지지부의 접촉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A mou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facing the first surface portion; a co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 portions; a rub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and having a support part selectiv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bridge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fastening part; a bracket having a fixing part to which the core is fastened and a bent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urface part; and an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part or the second surface part; Including,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re, the contact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and the contact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made step by step.

또한, 상기 코어의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 1 면부와 탄성부의 접촉이 상기 제 2 면부와 지지부의 접촉보다 먼저 이루어지는 마운트 구조.In addition, as the displacement of the core increases, the first surface part and the elastic part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in contact before the mounting structure.

또한, 상기 코어가 평형 상태일 때,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탄성부는 제 1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2 면부와 상기 지지부는 제 2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re is in a balanced state,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may be spaced apart by a first distance,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may be spaced apart by a second distance, and the first distance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distance .

또한, 상기 제 1 면부는 이동 수단의 전진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후진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portion may include one surface of the housing facing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may include one surface of the housing facing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면부와 이격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면부와 이격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후진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절곡부로부터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part includes a first bent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part and a second bend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rface part, and the elastic part is the first bent part. and a first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part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second bent part in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코어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면부와 제 2 탄성부가 접촉한 이후에 제 1 면부와 상기 지지부가 접촉하며,상기 코어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면부와 제 1 탄성부가 접촉한 이후에 제 2 면부와 상기 지지부가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re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ome into contact after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come into contact, and when the core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After the first elastic part contacts, the second surface part may contact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에 어긋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disposed in a direction deviated from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and the fixing part moves for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t may extend in a direction and a back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외면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탄성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2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ortion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the elastic portion includes a first elastic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the It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part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housing from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코어가 평형 상태일 때,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3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탄성부는 제 4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3 거리와 제 4 거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re is in a balanced state,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elastic part are spaced apart by a third distance,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elastic part are spaced apart by a fourth distance, and the third distance and the fourth distan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ourth distance. They may have different lengths.

또한, 상기 코어의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마운트 구조는 제 1 강성, 제 2 강성 및 제 3 강성을 순차적으로 가지며, 상기 제 1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의 강성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2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 및 탄성부의 강성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3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 탄성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강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displacement of the core increases, the mount structure has a first rigidity, a second rigidity, and a third rigidity sequentially, the first rigidity is determined by the rigidity of the bridge part, and the second rigidity is The rigidity of the bridge part and the elastic part may be determined, and the third rigidity may be determined by the rigidity of the bridge part, the elastic part, and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제 1 강성, 제 2 강성 및 제 3 강성은 순서대로 증가하는 강성값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iffness, the second stiffness, and the third stiffness may have stiffness values that increase in order.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증감되는 변위에 따른 마운트의 강성값이 완만하게 증감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tiffness value of the mount according to the increased or decreased displacement is increased or decreased gently.

아울러,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uppress vibrations gen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ackward direction.

또한, 진동이 차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해서 조향 장치가 영향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vehicle body feeling, and preventing the steering device from being affected by the vibration.

또한, 3점 마운트 시스템에도 4점 이상의 마운트 시스템과 동일한 강건함을 제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ree-point mount system should be provided with the same robustness as the four-point or higher mount system.

또한, 각 마운트에 하중 분산을 통하여, 동일 토크 전달계의 저강성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PT 변위를 감소하여 승차감 및 거동일체감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istributing the load to each mount, it is possible to achieve low rigidity of the same torque transmission system, and by reducing the PT displace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riding comfort and unity of movement.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사시도.
도 3 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상면도.
도 4 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정면도.
도 5 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배면도.
도 6 은 코어의 이동량이 증가함에 따른 마운트의 구조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은 코어의 이동량이 증가함에 따른 마운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은 코어의 이동량이 증감함에 따른 마운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감을 보여주는 도면.
도 9 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사시도.
도 10 은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상면도.
도 11 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정면도.
도 12 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일측면도.
1 is a view showing a mou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mount as the movement amount of the core increases.
7 is a view showing an increase in the load applied to the mount as the moving amount of the core increases.
8 is a view show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load applied to the mount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movement amount of the co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op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탄성부가 구비되는 마운트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ount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part is provided on a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상면도이며,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배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mou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mou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mou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10)는 이동 수단의 차체(프레임)에 연결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수단의 엔진(구동부)에 연결되는 코어(30), 상기 코어(30)와 상기 하우징(20)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0)과 코어(30)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는 러버(40), 상기 코어가 고정되는 브라켓(50) 및 상기 브라켓(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0)과 코어(30)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는 탄성부(60)를 포함한다.2 to 5 , the mount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 connected to a vehicle body (frame) of a moving means, and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 The core 30 connected to the engine (drive unit) of the moving means, and a rubber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to suppress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housing 20 and the core 30 . (40), a bracket (50) to which the core is fixed, and an elastic part (6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50) to suppress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housing (20) and the core (30).

상기 하우징(20)는 제 1 면부(21)와 상기 제 1 면부(2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면부(21)와 제 2 면부(22)는 도면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양 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housing 20 includes a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22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face part 21 and the second face part 22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both sides of the housing.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면부(21)는 상기 하우징의 전진 방향에 배치되는 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제 2 면부(22)는 상기 하우징의 후진 방향에 배치되는 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 surface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is loc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It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 surface on which it is disposed.

한편, 도면의 도시 방향과 이동 수단의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이동 수단의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을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으로 정의하고, 이동 수단의 양측 방향을 상기 주행 방향의 수직한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도면 상의 전후 방향은 이동 수단의 양측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좌우 방향은 이동 수단의 전진/후진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avoid confusion between the illustrated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moving mean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moving means are defined as the running directions of the moving means, and both directions of the moving means are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defined as one direction.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e drawing may be understood as both directions of the moving mea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drawing may be understood as forward/reverse directions of the moving means.

상기 코어(3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코어(30)는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된 어느 한 면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30)는 체결홈(31)을 통해서 상기 이동수단의 엔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The core 3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 . The core 30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20 through any one of the open surfaces of the housing 20 . The core 30 may be connected to the engine of the moving means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31 , and may be moved a certain distance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engine.

한편, 본원 발명에서 상기 코어(3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대 운동은, 상기 하우징(20)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코어(30)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30)을 기준으로 하는 하우징(20)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기재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코어(3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대 운동은 코어(30)의 이동으로 간략하게 기재하며, 상기 코어(3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대 운동량은 코어의 이동량(변위량)으로 기재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motion of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may mean the movement of the core 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 and the relative motion of the core 30 with respect to the core 30 . It may mean the movement of the housing 20 to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relative motion of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is briefly described as the movement of the core 30 , and the relative momentum of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 is to be described as the movement amount (displacement amount) of the core.

상기 러버(40)는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코어(30)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코어(30)를 감싸도록 상기 코어(3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rubber 40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20 and the core 30 , and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30 to surround the core 30 .

상기 러버(40)는 상기 코어(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면부(21) 또는 제 2 면부(22)에 접촉되는 지지부(41),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체결부(42) 및 상기 지지부(41)와 체결부(42)를 연결하는 브릿지부(43)를 포함한다. The rubber 40 is faste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41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part 21 or the second surface part 22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re 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 It includes a part 42 and a bridge part 43 connecting the support part 41 and the fastening part 42 .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제 1 면부(21) 또는 제 2 면부(22)에 면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 1 면부(21)와 제 2 면부(22)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수단의 전진 후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41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part 21 or the second surface part 22 . The contact surfac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be formed to fac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moving means.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제 1 면부(21) 및 제 2 면부(22) 중 어느 하나와 제 2 거리(d2) 이격되며, 상기 코어(30)가 상기 제 1 면부(21) 및 제 2 면부(22)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제 2 거리(d2)이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제 1 면부(21) 및 제 2 면부(2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코어(30)의 이동을 억제한다. (도 6 참조)The support portion 41 is spaced apart from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by a second distance d2 , and the core 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 When the second distance d2 is moved toward any one of (22), the support part 41 comes into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irst face part 21 and the second face part 22, and the core 30 ) to inhibit the movement of (See Fig. 6)

상기 지지부(41)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30)가 상기 제 2 거리(d2) 이상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41)는 압축되고 탄성력으로 상기 코어(30)를 가압하여 이동을 억제한다.The support part 4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including rubber, and when the core 30 is moved more than the second distance d2, the support part 41 is compressed and the core 30 is held by elastic force. Pressurize to inhibit movement.

상기 체결부(42)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42)는 도 4에 도식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20)의 상면, 상면 및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42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astening part 42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s illustrated in FIG. 4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0 . .

상기 브릿지부(43)는 상기 코어(30)에 접하는 지지부(41)와 상기 하우징(20)에 접하는 체결부(42)를 연결하므로, 상기 코어(30)와 하우징(20)의 상대 운동을 억제한다. 상기 브릿지부(43)는 상기 지지부(41)와 상이하게 상기 코어(30)의 이동 거리와 무관하게 상기 코어(3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bridge part 43 connects the support part 41 in contact with the core 30 and the fastening part 42 in contact with the housing 20 ,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is suppressed. do. Unlike the support part 41 , the bridge part 43 may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ore 30 irrespective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ore 30 .

상기 브릿지부(43)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30)의 이동에 의해 변형되고, 복원력으로 상기 코어(30)의 이동을 억제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41), 체결부(42) 및 브릿지부(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bridge part 43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including rubber, and is de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core 30 , and suppresses the movement of the core 30 by restoring force. Meanwhile, the support part 41 , the fastening part 42 , and the bridge part 43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made of a single elastic body.

상기 브라켓(50)은 상기 코어(30)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외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절곡부(52)를 포함한다. The bracket 50 is disposed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from a fixing part 51 to which the core 30 is fastened, and a fixing part 51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 , from the fixing part 51 . It includes a bent portion 52 to be.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고정부(52)의 일단에서 상기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고정부(52)의 양단에서 도면의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면부와 이격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면부와 이격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51 may exten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and the bent part 52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xing part 5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bent part 52 ma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52 toward the front of the drawing. For example, the bent part may include a first bent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x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part, and a second bending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rface part.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제 1 면부(21) 및 제 2 면부(22)를 향하여 배치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면부(21) 및 제 2 면부(2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52 may include a surface disposed toward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placed so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절곡부(51)에 일측에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절곡부(51)에서 상기 제 1 면부(21) 또는 제 2 면부(22)를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절곡부(51)로부터 상기 제 1 면부(21) 또는 제 2 면부(22)를 향하여 일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후진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절곡부로부터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ent part 51 . In more detail, the elastic part 60 may be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part 21 or the second surface part 22 from the bent part 51 , and the elastic part 60 is the bent part 51 .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 51 toward the first surface part 21 or the second surface part 22 . For example, the elastic part 6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bent part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second bent part in the forward direction.

한편, 상기 탄성부(60)는 끝단은 상기 제 1 면부(21) 또는 제 2 면부(22)와 제 1 거리(d1)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코어(30)가 제 1 거리(d1)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제 1 면부(21) 또는 제 2 면부(22)에 접촉하고, 상기 코어(30)가 제 1 거리(d1) 이상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60)는 압축되어, 상기 제 1 면부(11) 또는 제 2 면부(22)를 가압한다. 이 때, 상기 제 1 거리(d1)는 상기 제 2 거리(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Meanwhile, the end of the elastic part 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part 21 or the second surface part 22 by a first distance d1 . When the core 30 moves a first distance d1, the elastic part 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ace part 21 or the second face part 22, and the core 30 moves a first distance ( d1) When it moves or more, the elastic part 60 is compressed and presses the first surface part 11 or the second surface part 22 . In this case, the first distance d1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distance d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도 6은 코어의 이동량이 증가함에 따른 마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코어의 이동량이 증가함에 따른 마운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는 코어의 이동량이 증감함에 따른 마운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감을 보여주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 as the moving amount of the core increases,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crease in the load applied to the mount as the moving amount of the core increases. 8 is a view show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load applied to the mount as the movement amount of the core increases or decreases.

도 6 (a)는 상기 코어(30)와 하우징(20)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 즉, 코어(30)가 평형상태일 때의 마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b)는 코어(30) 및 브라켓(50)이 제 1 거리(d1) 후진 방향으로 이동된 마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c)는 코어(30) 및 브라켓(50)이 제 2 거리(d2) 후진 방향으로 이동된 마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 when the relative motion of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does not occur, that is, when the core 30 is in a balanced state, Fig. 6 (b)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 in which the core 30 and the bracket 50 are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first distance d1, and FIG. 6 (c) is the core 30 and the bracket 50 by the second distance (d2) It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30)와 하우징(20)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 즉, 코어(30)가 평형상태 일때는, 도 6 (a)와 같이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제 1 면부(21)의 외면과 제 1 거리(d1)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제 2 면부(22)의 내면과 제 2 거리(d2) 이격되게 배치된다. 6 to 8, when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does not occur, that is, when the core 30 is in a balanced state, as shown in FIG. 6(a), the elastic part ( 6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ace part 21 by a first distance d1, and the support part 4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ce part 22 by a second distance d2 .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상기 코어(30)가 제 1 거리(d1) 미만으로 이동되면(도 7의 구간 1), 상기 브릿지부(43)의 복원력에 의해서 진동이 억제된다. 이 때 마운트의 강성을 ‘제 1 강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43)의 강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core 30 move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d1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engine (section 1 of FIG. 7 ), the vibration is suppres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ridge part 43 .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mount may be defined as 'first rigidity', and the first rigidity may be determined by the rigidity of the bridge part 43 .

한편, 엔진의 진동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코어(30)가 제 1 거리(d1) 이상 제 2 거리(d2) 미만으로 이동되면(도 7의 구간 2, 도 6 (b) 참조), 상기 탄성부(60)가 상기 제 1 면부(21)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부(60)가 상기 제 1 면부(21)를 가압하여 이동을 억제한다, 다만, 상기 지지부(41)와 상기 제 2 면부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마운트의 강성을 ‘제 2 강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43)의 강성과 상기 탄성부(60)의 강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vibration of the engine increases, when the core 30 moves more than the first distance d1 and less than the second distance d2 (see section 2 of FIG. 7 and FIG. 6 (b)), the elasticity The portion 6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elastic portion 60 presses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to suppress movement, provided that the support portion 4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can maintain a stat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mount may be defined as 'second rigidity', and the second rigidity may be determined by the rigidity of the bridge part 43 and the rigidity of the elastic part 60 .

한편, 엔진의 진동이 더 커짐에 따라, 상기 코어(30)가 제 2 거리(d2) 이상으로 이동되면(도 7의 구간 3, 도 6 (c) 참조), 상기 지지부(41)와 상기 제 2 면부(22)가 접촉하고, 상기 지지부(41)가 상기 제 2 면부(22)를 가압하여 상기 코어(30)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 때, 마운트의 강성을 ‘제 3 강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43)의 강성, 상기 탄성부(60)의 강성 및 상기 지지부(41)의 강성을 모두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vibration of the engine increases, when the core 30 is moved beyond the second distance d2 (see section 3 of FIG. 7 and FIG. 6 (c)), the support part 41 and the second The two surface portions 22 are in contact, and the support portion 41 presses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ore 30 .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mount may be defined as 'third rigidity', and the third rigidity includes all of the rigidity of the bridge part 43 , the rigidity of the elastic part 60 , and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art 41 . can be determined by

이와 같이, 상기 코어(30)의 이동량 즉, 상기 코어(30)와 하우징(20)의 상대 거리를 세 개의 구간(구간 1, 구간 2, 구간 3)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 구간마다 상기 코어(30)의 이동을 억제하는 구성의 수가 상이하므로, 본원 발명의 마운트(10)는 코어(30)의 이동량에 따라 가변되는 3 단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way, the movement amount of the core 30, that is,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ore 30 and the housing 20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section 1, section 2, section 3), and for each section, the core ( 30) Since the number of components for suppressing the movement is different, the mou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igidity of three stages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re 30 .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급격한 강성 변화(도 7 의 점선(a)으로 표시)에 변이 구간(구간 2)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완만한 강성 변화(도 7 의 실선(b)으로 표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코어의 변위량에 상응하는 반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충돌에 따른 충격음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a transition section (section 2) can be added to the conventional abrupt stiffness chang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 in FIG. 7), so that a gentle change in stiffnes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b) in FIG. 7) can be implemented. And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ct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c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sound due to a collision.

한편, 도 8은 상기 코어(30)가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위가 증감한 경우의 하중(N)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의 급격한 강성 변화(도 8의 점선 B)가 완만한 강성 변화(도8의 실선 A)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강성 변화는 변위가 증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감소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변위가 감소하는 경우란, 증가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어(30)가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Meanwhile, FIG. 8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load N when the core 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 displacement increases or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tional abrupt change in stiffness (dashed line B in FIG. 8) is changed to a gradual change in stiffness (solid line A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such a change in stiffness is equally represented not only when the displacement is increased but also when the displacement is decreased. Here, when the displacement is decreased, it means that the core 3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reasing direction.

도 9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상면도이며, 도 11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일측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top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100)를 설명한다. 다만, 하우징(120), 절곡부(150) 및 탄성부(160)를 제외한 구성은 제 1 실시예로부터 적용 및 준용될 수 있으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9 to 12, a mount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housing 120 , the bent part 150 and the elastic part 160 can be applied and applied mutatis mutandis from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100)는 하우징(12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20)은 제 1 하우징(121)과 상기 제 1 하우징(121)으로부터 주행 방향에 어긋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122)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제 2 하우징(122)은 제 1 하우징(121)으로부터 주행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21)은 상기 전진 방향의 좌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122)은 상기 전진 방향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ou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20 , wherein the housing 120 includes a first housing 121 and a second housing disposed in a direction deviated from the driving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121 . (122). For example, the second housing 122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121 . That is,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first housing 121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housing 122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rward direction.

상기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은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second housing 122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100)는 브라켓(150)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50)은 상기 코어(30)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121)과 제 2 하우징(122)의 사이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50)은 상기 하우징(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간고정부(151) 및 상기 중간고정부(15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의 외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연장절곡부(152)를 포함한다. The mou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racket 150 , and the bracket 150 extends from the core 30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second housing 122 . can The bracket 15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second housing 122 from an intermediate fixing part 15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and one end of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151 . It includes extended bent portions 15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100)는 탄성부(16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160)는 상기 연장절곡부(15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121) 또는 제 2 하우징(122)을 향하여 일정거리 돌출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상기 탄성부(160)는 상기 연장절곡부(152)로부터 제 1 하우징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연장탄성부(161) 및 상기 연장절곡부(152)로부터 제 2 하우징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제 2 연장탄성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astic part 160 , and the elastic part 160 extends from one surface of the extended bent part 152 to the first housing 121 or the second housing 122 . It may protrude a certain distance toward. In more detail, the elastic part 160 includes a first extended elastic part 161 that protrudes from the extended bent part 152 toward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extended elastic part 161 that protrudes from the extended bent part 152 toward the second housing. A second extension elastic part 162 may be included.

상기 제 1 연장탄성부(161) 및 제 2 연장탄성부(162)는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연장탄성부(161)는 상기 제 1 하우징(121)에 제 3 거리(d3)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연장탄성부(162)는 상기 제 2 하우징(122)에 제 4 거리(d4)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거리(d3)와 제 4 거리(d4)는 동일한 거리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extended elastic part 161 and the second extended elastic part 16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second housing 1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first extended elastic part 16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121 by a third distance d3 , and the second extended elastic part 162 is attached to the second housing 122 . The fourth distance d4 may be spaced apart. The third distance d3 and the fourth distance d4 may be the same distanc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different distances.

이와 같이, 제 3 거리(d3)와 제 4 거리(d4)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마운트의 강성 변화가 4개의 단계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더욱 완화된 강성변화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third distance d3 and the fourth distance d4 ar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rigidity change of the mount can be changed in four steps differently from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a more relaxed change in rigidity can be obtained. hav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20)이 주행 방향의 양측에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하우징(121, 122) 사이에 상기 중간고정부(151)가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하우징(120)에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하여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중간고정부(151)가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20 is provided in plurality on both sides of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151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usings 121 and 1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it can be understood that one housing 120 has through-holes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151 is disposed through the through-holes.

10 110 마운트 20 120 하우징
30 코어 40 러버
41 지지부 42 체결부
43 브릿지부 50 150 브라켓
51 고정부 52 절곡부
60 탄성부
d1 제 1 거리 d2 제 2 거리
d3 제 3 거리 d4 제 4 거리
10 110 Mount 20 120 Housing
30 core 40 rubber
41 Support 42 Fastening
43 Bridge 50 150 Bracket
51 Fixed part 52 Bending part
60 elastic
d1 first distance d2 second distance
d3 3rd street d4 4th street

Claims (11)

제 1 면부(21) 및 상기 제 1 면부(21)를 마주하는 제 2 면부(22)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면부(21)와 제 2 면부(22)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코어(30);
상기 코어(3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부(41)와.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고정되는 체결부(42)와. 상기 지지부(41)와 체결부(42)를 연결하는 브릿지부(43)를 구비하는 러버(40);
상기 코어(30)가 체결되는 고정부(51) 및 상기 고정부(5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외면과 이격되는 절곡부(52)를 구비하는 브라켓(50); 및
상기 절곡부(52)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외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부(60);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3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면부(21)가 상기 탄성부(60)에 접촉한 이후에 상기 제 2 면부(22)가 상기 지지부(41)에 접촉하고
상기 코어(3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면부(22)가 상기 탄성부(60)에 접촉한 이후에 상기 제 1 면부(21)가 상기 지지부(41)에 접촉하는 마운트 구조.
a housing 20 having a first face 21 and a second face 22 facing the first face 21;
a core 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 and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a support part 41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30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a fastening part 42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 a rubber 40 having a bridge part 43 connecting the support part 41 and the fastening part 42;
a bracket 50 having a fixing part 51 to which the core 30 is fastened and a bent part 52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51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an elastic part (60) protruding from the bent part (52)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includes,
When the core 30 is moved to one side, after the first surface part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astic part 60 , the second surface part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41 , and
When the core 30 is moved to the other side, after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60 ,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4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30)의 변위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 1 면부(21)와 탄성부(60) 간의 접촉이 상기 제 2 면부(22)와 지지부(41) 간의 접촉보다 먼저 이루어지는 마운트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s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core (30) increases,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the elastic portion (60) is made prior to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and the support portion (4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30)가 평형 상태일 때, 상기 제 1 면부(21)와 상기 탄성부(60)는 제 1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2 면부(22)와 상기 지지부(41)는 제 2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core 30 is in a balanced state, the first face part 21 and the elastic part 60 are spaced apart by a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face part 22 and the support part 41 are spaced apart by a second distance. and the first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secon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부(21)는 이동 수단의 전진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우징(20)의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부(22)는 상기 이동 수단의 후진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우징(20)의 일면을 포함하는 마운트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includes one surface of the housing 20 facing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and the second surface 22 includes one surface of the housing 20 facing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Including mount structu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고정부(5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면부(21)와 이격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고정부(5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면부(22)와 이격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60)는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후진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절곡부로부터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는 마운트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ent portion 5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xing portion 51 to a first ben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and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ortion 51 to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 ) and a second bent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The elastic part 60 includes a first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bent part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the second bent part in the forward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30)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면부(22)가 제 2 탄성부에 접촉한 이후에 제 1 면부(21)가 상기 지지부(41)에 접촉하고,
상기 코어(30)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면부(21)가 제 1 탄성부에 접촉한 이후에 제 2 면부(22)가 상기 지지부(41)에 접촉하는 마운트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core 3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41 after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astic portion,
When the core (30)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second surface portion (22) contacts the support portion (41) after the first surface portion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portion (4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제 1 하우징(121) 및 상기 제 1 하우징(121)으로부터 상기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121)과 제 2 하우징(122)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고정부(151)를 포함하는 마운트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using 20 includes a first housing 121 and a second housing 122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back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121,
and an intermediate fixing part (151)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ackward direction through between 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second housing (1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15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21) 및 제 2 하우징(122)의 외면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연장절곡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절곡부(152)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121)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연장탄성부(161) 및 상기 연장절곡부(152)로부터 상기 제 2 하우징(122)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2 연장탄성부(162)를 포함하는 마운트 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It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151 and includes an extension bent part 152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second housing 122,
A first extension elastic part 161 protrudes from the extended bent part 152 toward the first housing 121 and a second extension protrudes from the extended bent part 152 toward the second housing 122 . Mount structure including an elastic part (16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30)가 평형 상태일 때, 상기 제 1 하우징(121)과 상기 제 1 연장탄성부(161)는 제 3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2 하우징(122)과 상기 제 2 연장탄성부(162)는 제 4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 3 거리와 제 4 거리는 서로 다른 길이인 마운트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core 30 is in a balanced state, the first housing 121 and the first extended elastic part 161 are spaced apart by a third distance, and the second housing 122 and the second extended elastic part ( 162) is a fourth distance spaced apart, the third distance and the fourth distance is a mount structure of different length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어(30)의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마운트 구조는 제 1 강성, 제 2 강성 및 제 3 강성을 순차적으로 가지며,
상기 제 1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43)의 강성값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2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43) 및 탄성부의 강성값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3 강성은 상기 브릿지부(43), 탄성부 및 상기 지지부(41)의 강성값에 의해 결정되는 마운트 구조.
The mount structure of any one of claims 1 to 8,
As the displacement of the core 30 increases, the mount structure has a first rigidity, a second rigidity, and a third rigidity sequentially,
The first rigidity is determined by the rigidity value of the bridge part 43 , the second rigidity is determined by the rigidity values of the bridge part 43 and the elastic part, and the third rigidity is determined by the bridge part 43 . ), a mount structure determined by the stiffness value of the elastic part and the support part 41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성, 제 2 강성 및 제 3 강성은 순서대로 증가하는 강성값을 가지는 마운트 구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rigidity, the second rigidity, and the third rigidity have a rigidity value sequentially increasing.
KR1020160158350A 2016-11-25 2016-11-25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KR102441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50A KR102441394B1 (en) 2016-11-25 2016-11-25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50A KR102441394B1 (en) 2016-11-25 2016-11-25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39A KR20180059139A (en) 2018-06-04
KR102441394B1 true KR102441394B1 (en) 2022-09-07

Family

ID=6262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350A KR102441394B1 (en) 2016-11-25 2016-11-25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3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141A (en) 1999-02-08 2000-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Vibration proof mount and image pickup unit
JP2004232756A (en) 2003-01-30 2004-08-19 Tokai Rubber Ind Ltd Engine mount
KR100489108B1 (en) 2003-06-26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unt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141A (en) 1999-02-08 2000-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Vibration proof mount and image pickup unit
JP2004232756A (en) 2003-01-30 2004-08-19 Tokai Rubber Ind Ltd Engine mount
KR100489108B1 (en) 2003-06-26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unt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39A (en)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5602B2 (en) Anti-vibration support structure for engine mount and power unit
KR101846568B1 (en) Engine mount structure
KR102441394B1 (en) Mounting structure with elastic part on bracket
JP2010060022A (en) Vibration damping bushing
JP6148897B2 (en) Stabilizer bush
WO2009107810A1 (en) Vibration-damping device
JP5916502B2 (en) Anti-vibration support structure
JP2004085295A (en) Fitting device for weight measuring device
KR101818344B1 (en) Grommet assembly for transmission cable of vehicles
KR102496488B1 (en) Mount Core Structure with Core Cushion Part
JP6182077B2 (en) Cylindrical vibration isolator
KR20050027694A (en) A roll mounting device of vehicles
WO2019131510A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electric automobile vibration isolating device
KR101551958B1 (en) Hydro roll rod having improved vibration insulation
WO2019180896A1 (en) Tubular motor mount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511303Y2 (en) Vehicle power unit support device
JP2007112318A (en) Stabilizer bush
CN219119693U (en) Suspension bush and vehicle
CN220816411U (en) Suspension device and vehicle
JP7121719B2 (en) Cylindrical anti-vibration device with bracket
KR100460929B1 (en) A mounting device of transmission in vehicles
KR20240055251A (en) Transmission mount for vehicle
JPH08133103A (en) Steering gear box supporter
KR20040029782A (en) Transmission mounting device jont device of engine room for car
JP2010221862A (en) Axle h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