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288B1 - Pre-cooled dryer using differential pressure - Google Patents
Pre-cooled dryer using differential press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1288B1 KR102441288B1 KR1020200128265A KR20200128265A KR102441288B1 KR 102441288 B1 KR102441288 B1 KR 102441288B1 KR 1020200128265 A KR1020200128265 A KR 1020200128265A KR 20200128265 A KR20200128265 A KR 20200128265A KR 102441288 B1 KR102441288 B1 KR 102441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door
- case
- differential pressure
- rotation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4—Climbing-ro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8—Seals, locks, e.g. gas barriers or air curtains, for drying enclos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압 예냉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여 과일을 일정 온도 이하로 예냉하며 건조시키는 예냉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차압 예냉건조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와,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지지단을 형성하는 트레이거치유닛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며, 농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내부공간에 차압을 발생시켜 기류를 형성시키는 차압발생유닛과; 농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지지단에 거치되어 수용부가 내부공간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와, 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도어 및 도어와 마주보는 케이스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거치부 이외의 경로로 이동하는 기류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트레이;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cooling dryer for pre-cooling and drying fruit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by forming an air stream using a pressure differe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a do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tray holding unit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to form a support end; a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differential pressure in an internal space to dry agricultural products to form an airflow; A receiving part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gricultural products, a holding part mounted on a support end so that the receiving part can be suppor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and the door,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tray including a sealing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each and blocks the airflow moving in a path other than the mounting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압 예냉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여 과일을 일정 온도 이하로 예냉하며 건조시키는 예냉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cooling dryer for pre-cooling and drying fruit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by forming an air stream using a pressure difference.
일반적으로 예냉이라 함은 산지(논, 밭, 유리온실 등)에서 수확된 농작물을 수확 직후 곧바로 미리 냉각시키는 냉각작용을 일컫는 것으로써, 이는 수확된 농산물이 수확된 후에도 지속적인 생명활동, 이를테면 호흡작용 및 신진대사를 계속하여 행하기 때문에 수분이나 에틸렌과 같은 성분의 발생으로 인해 성분분해 및 노화가 촉진되고 이에 따라 부패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상품성 및 식품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바, 이러한 작용을 억제시키기 위한 일련의 냉동보관법 중 하나이다.In general, pre-cooling refers to the cooling action of pre-cooling the crops harvested in the mountainous areas (paddy fields, fields, glass greenhouses, etc.) immediately after harvest, which continues life activities, such as respiration and As the metabolism continues, decomposition and aging are accelerated due to the generation of components such as moisture or ethylene, and thus the decay proceeds rapidly, which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commercial value and food value. It is one of a series of cryopreservation methods for
이러한 예냉방식에는 크게 진공예냉(vacuum cooling)과 냉수예냉(hydro cooling)으로 대별된다.These pre-cooling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vacuum pre-cooling and hydro cooling.
진공예냉의 경우에는, 농산물을 진공의 챔버 속에 저장한 후 챔버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감압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품온의 저하를 유도하여 농산물을 냉각시키도록 하는 냉각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냉각 방식은 설비비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소량의 농산물을 예냉시킬 때에는 적합하지만 대량의 경우에는 비용이 매우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vacuum pre-cooling, it is a cooling method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are stored in a vacuum chamber and then the pressure in the chamber is reduced below atmospheric pressure, thereby inducing a decrease in product temperature to cool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is cooling method is suitable for pre-cooling a small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because the equipment cost is very high,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is greatly increased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냉수예냉의 경우에는, 적재된 농산물에 냉동기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수를 뿌려 냉각시키도록 한 샤워방식이다. 이는 세척작용도 수반하고 있으므로 엽채류나 근태류에 적합하다. 그러나, 냉수샤워 방식이기 때문에 이 또한 소량의 농산물에 적합하며 대상 품목이 상기한 엽채류나 혹은 근태류와 같은 것에 극히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cold water pre-cooling, it is a shower method that cools the loaded agricultural products by spraying cold water through the freezer. It also involves a cleaning action, so it is suitable for leafy vegetables and root crops. However, since it is a cold water shower method, it is also suitable for a small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arget items are extreme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leafy vegetables or root vegetables.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서 강제통풍을 통한 통풍식 예냉방식들이 등록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entilation-type pre-cooling methods through forced ventilation have been registered in the prior art.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08812호에 게시된 신선 농산물의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는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냉풍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예냉예건유니트와 콘덴싱유니트를 독립된 장치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예냉예건유니트와 콘덴싱유니트 사이에서 냉매가 상호 유통되게 하는 플렉시블 연결배관부로 연결하며, 플렉시블 연결배관부는 플레시블한 파이프로서 예냉예건유니트와 콘덴싱유니트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있다.For example, the mobile pre-cooling and pre-drying device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s publish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08812 has a movable structure and separates the pre-cooling and pre-drying unit and the condensing unit that selectively generate cold or hot air as independent devices, It is connected by a flexible connecting pipe that allows the refrigerant to flow between the pre-cooling and pre-drying unit and the condensing unit, and the flexible connecting pipe is a flexible pipe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pre-cooling and pre-drying unit and the condensing unit.
상기한 신선 농산물의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는 냉동장치가 결합됨으로서 냉풍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각종 농산물의 예냉 또는 예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작업장 내에서 이동하는 운반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이며 균일한 예냉 또는 예건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pre-cooling and pre-drying device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s is advantageous in that it effectively performs pre-cooling or pre-drying of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cold or hot air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refrigeration device and can also perform a transport function to move within the workplace, but it is expensive and unifor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 pre-cooling or pre-drying performanc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8479호에 게시된 이동식 예건장치는 냉각장치 적용에 따른 비용증가 요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의 후면측으로 송풍을 행하는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후면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면에는 농산물이 채워진 운반상자가 적층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송풍팬의 풍압이 진행하는 방향을 제외한 운반상자의 양측면을 차폐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습도 감지기를 통해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obile dry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8479 is proposed to solve the cost increase factor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cooling device. A blower fan for receiving power to blow air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moving cart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s wheels to be movable, and a transport box filled with agricultural products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above; A cover for shielding both sides of the transport box excep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ing fan travels,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through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blowing fan.
상기한 이동식 예건장치는 대차에 적층된 농산물에 송풍팬에 의한 풍압을 가하여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경제적으로 예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적층상태에서 송풍팬에 의한 풍압이 고루 미치지 못하여 예건 균일성을 달성하기 어렵다. 또한, 대량의 농산물의 예건에 적합한 장치로 소량의 농산물의 예건에는 비효율적이다.The above-mentioned mobile fore-drying device is us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surface by applying wind pressure to agricultural products stacked on the bogie by a blower fan. It is difficult to achieve uniformity of fore conditions because the wind pressure is not 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it is a device suitable for pruning of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it is inefficient for pruning of a small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압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예냉건조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cool and dry agricultural products uniformly as a whole using differential press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산물이 적재된 트레이가 적재되어 건조하되, 트레이의 외측을 통과하는 기류를 차단하여 건조효율이 향상된 차압 예냉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with improved drying efficiency by blocking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tray while drying the tray o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are loa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지지단을 형성하는 트레이거치유닛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농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차압을 발생시켜 기류를 형성시키는 차압발생유닛과; 농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지지단에 거치되어 상기 수용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거치부 이외의 경로로 이동하는 기류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트레이;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a do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body portion having a tray holding unit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to form a support end; a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ner space to dry agricultural products to form an airflow; A receiving part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gricultural products, a hold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end so that the receiving part can be supported in the inner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includes the door and the door; and a tray including a sealing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each other and blocks the airflow moving in a path other than the mounting part.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도어의 사이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중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측면과의 사이를 기밀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도어의 사이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중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측면과의 사이를 기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part includes an edge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oor an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and the accommodating part.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im portion and includes a handle portion that seals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door and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together with the rim portion.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도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테두리변과,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테두리변과, 상기 제1 테두리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도어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제1 유동방지날개와, 상기 제2 테두리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2 유동방지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1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2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지지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대를 연결하는 제1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3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3 회전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4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3 회전지지대 및 상기 제4 회전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2 손잡이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rim portion includes a first rim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ward the door, a second rim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and the first A first flow preventing wing protruding from the edge side and protruding to contact the door, and a second flow preventing wing protruding from the second edge side and protruding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flow prevention wing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edge side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 protruding equal to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irst flow prevention wing and A second rotation support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low prevention wing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and protruding to the same length a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econd flow prevention wing, and A first handle having a first gripper for connecting the second rotation support,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ow-preventing wing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rim, the protrusion of the first flow-preventing wing A third rotation support protruding equal to the length and the third rotation support ar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low prevention w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edge side, and protrude the second flow prevention wing and a second handle having a fourth rotation support protruding to have the same length and a second gripper connecting the third rotation support and the fourth rotation support.
또한, 상기 케이스는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차압발생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의 내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켜 상기 내부공간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ase has an inlet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bet is discharg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includes a fan modul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bet in the inner space to the outlet to generate a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하면서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발생유닛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vortex generating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inlet to form a vortex while air passes through.
또한, 상기 와류발생유닛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유도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vortex generating unit includes a body installed in the inlet, and at least one vortex inducing unit formed in the body.
또한, 상기 와류유도부는 원의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1 곡선슬릿들로 이루어지는 써클타공부와, 상기 써클타공부의 주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써클타공부를 향하고 타측은 상기 써클타공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굽어지는 다수의 제2 곡선슬릿과, 다수의 상기 제2 곡선슬릿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슬릿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을 회전하며 유동하게 하는 제2 곡선깃을 구비하는 커브타공부와, 상기 제2 곡선슬릿들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슬릿과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지며 상기 제2 곡선슬릿보다 짧은 다수의 제3 곡선슬릿과, 다수의 상기 제3 곡선슬릿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3 곡선슬릿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을 회전하며 유동하게 하는 제3 곡선깃을 포함하는 서브타공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vortex induction part is formed to be penetrat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ircle piercing part and a circle perforated par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rst curved slits formed to be penetra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ircle, and one side is the circle ta A plurality of second curved slits that are ben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hile facing the study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ircle perforated portion, respectively,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curved slits, the second curve A curved perforated portion having a second curved blade for al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slit to flow while rotating in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second curved slits and is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curved slit. A plurality of third curved slits shorter than the second curved slit, and a third curved line respectively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third curved slits to allow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curved slit to flow while rotating in the inner space It is provided with a sub-perforated portion including a feather.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해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유입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차압발생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킨다.In addition, the case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to divide the interior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an inlet formed in the case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first space; The generating unit discharges the air of the second space to the outside of the case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via the first space.
또한,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와류발생유닛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vortex generating unit installed at the inlet to form a vortex whil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는 차압을 이용하여 내부의 기류를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농산물의 균일한 예냉건조를 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precool and dry agricultural products by uniformly forming an internal airflow us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가 실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트레이의 외측으로 통과하는 기류를 차단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rying efficiency by blocking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tray by having the tray having a sealing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와류발생유닛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y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tray in Figure 1 is cut in the retracted state,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Figure 1 cu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vortex generating unit of Figure 1 cu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압 예냉건조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압예냉건조기가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1)는 내부공간(12)을 형성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13)와 내부공간(12)으로 돌출되어 지지단(15)을 형성하는 트레이거치유닛(14)을 구비하는 본체부(2)와, 본체부(2)에 설치되어 농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내부공간(12)에 차압을 발생시켜 기류를 형성시키는 차압발생유닛(4)과, 농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트레이(6)를 구비한다.1 to 4 , the differential
본체부(2)는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된 케이스(11)와, 케이스(11)에 설치되어 케이스(1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3)와, 내부공간(12)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트레이거치유닛(14)과, 후술하는 차압발생유닛(4)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유닛(20)을 구비한다.The
케이스(11)는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다. 케이스(11)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케이스(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17)가 형성된다.The
도어(13)는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케이스(11)의 개구를 개폐한다. 또한, 도어(13)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부(13a)를 구비한다.The
트레이거치유닛(14)은 케이스(11)의 내부공간(12)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트레이거치유닛(14)의 상면에는 지지단(15)이 형성된다. 트레이거치유닛(14)은 케이스(11)의 개구가 형성된 전면의 양측면, 즉 케이스(11)의 좌, 우측면에서 각각 내부공간(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거치유닛(14)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측은 도어(13)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며, 타측은 케이스(11)의 후면까지 연장형성된다. 후술하는 트레이는 트레이거치유닛(14)의 지지단(15)에 거치된다.The
와류발생유닛(20)은 유입구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 발생을 유도한다. 와류발생유닛(20)은 유입구에 결합되는 바디(21)와, 바디(2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면 와류를 일으키는 적어도 2개의 와류유도부(22)를 구비한다.The
바디(21)는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턱이지도록 형성된다. 바디(21)는 유입구에 인입되게 설치되며 턱이 케이스(11)에 거치된다. 바디(21)는 케이스(11)의 상부에서 유입구를 덮는 형태로 결합된다.The
와류유도부(22)는 써클타공부와, 커브타공부와, 서브타공부를 구비한다.The vortex induction unit 22 includes a circle perforated portion, a curved perforated portion, and a sub perforated portion.
써클타공부는 원의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제1 곡선슬릿(23)들로 이루어진다. 제1 곡선슬릿(23)은 각각 호의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3개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써클타공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케이스(11)의 저면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한다. 제1 곡선슬릿(23)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ircle perforated portion is made of three first
커브타공부는 써클타공부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2 곡선슬릿(24)과, 제2 곡선슬릿(24)들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2 곡선깃(25)으로 이루어진다.The curved perforat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제2 곡선슬릿(24)은 각각 일측이 써클타공부를 향하고 타측이 써클타공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제2 곡선슬릿(24)의 폭은 동일하게 연장되며, 제2 곡선슬릿(24)들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Each of the second
제2 곡선깃(25)은 다수의 제2 곡선슬릿(24)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2 곡선깃(25)은 바디(21)에서 내부공간(12)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다. 제2 곡선깃(25)은 제2 곡선슬릿(24)을 통과하는 공기가 내부공간(12)을 회전하며 유동하도록 유도한다.The seco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는 달리 제2 곡선슬릿(24)은 시계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으며, 제2 곡선슬릿(24)은 서클타공부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제2 곡선슬릿(24)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는 달리 제2 곡선깃은 랜싱(Lancing)가공을 통하여 제2 곡선슬릿(24) 하부에 경사진 깃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Unlik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서브타공부는 제2 곡선슬릿(24)들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2 곡선슬릿(24)과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지며 제2 곡선슬릿(24)보다 짧은 다수의 제3 곡선슬릿(26)과, 다수의 제3 곡선슬릿(26)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3 곡선깃(미도시)로 이루어진다.The sub-perforated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second
제3 곡선슬릿(26)은 제2 곡선슬릿(24)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 곡선슬릿(24)의 타측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서브타공부는 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The third
제3 곡선깃(미도시)은 다수의 제3 곡선슬릿(26)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3 곡선깃(미도시)은 바디(21)에서 내부공간(12)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다. 제3 곡선깃(미도시)은 제3 곡선슬릿(26)을 통과하는 공기가 내부공간(12)을 회전하며 유동하도록 유도한다.The third curved blades (not shown) are respectively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thir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는 달리 제3 곡선슬릿(26)은 시계방향으로 굽어지거나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서브타공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는 달리 제3 곡선깃은 랜싱(Lancing)가공을 통하여 제3 곡선슬릿(26) 하부에 경사진 깃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Unlik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차압발생유닛(4)은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12)의 공기를 배출구(17)로 배출시킨다. 차압발생유닛(4)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된 커버(42)와, 커버(42)의 하부에 설치되는 팬 모듈(41)을 구비한다.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4 discharges the air of the
커버(42)는 통기가 가능한 그릴 형상이며, 팬 모듈(4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팬 모듈(41)은 커버(42)의 하부에 설치된다. 팬 모듈(41)은 공기의 기류가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팬 모듈(41)에 의해 내부공간(12)의 공기는 배출구(1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내부공간(12)의 압력은 대기압 이하로 낮아진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모듈(41)은 팬과 모터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에어펌프와 같은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The
트레이(6)는 농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62)이 형성된 수용부(60)와, 지지단(15)에 거치되어 수용부(60)가 내부공간(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70)와, 수용부(6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도어(13) 및 도어(13)와 마주보는 본체부(2)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거치부(70) 이외의 경로로 이동하는 기류를 차단하는 실링부(80)를 포함한다.The
수용부(60)는 사각함체 형상이며 수용공간(62)을 형성하는 몸체(61)를 구비한다. 몸체(61)에는 복수의 통공(63)이 형성된다.The
수용공간(62)에는 농산물이 수용된다.Agricultural products are accommodated in the
통공(63)은 복수가 몸체(6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통공(63)을 통하여 공기가 통과한다. 통공은 몸체(61)의 저면과 측면에 형성되며, 몸체(61)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거치부(70)는 몸체(61)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편(71)을 구비한다.The mounting
한 쌍의 거치편(71)은 몸체(61)의 저면과 평행하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거치편(71)의 저면이 지지단(15)에 접촉되어 한 쌍의 거치편(71)이 지지단(15)에 거치된다.A pair of mounting
실링부(80)는 몸체(61)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몸체(61)와 도어(13)의 사이 및 몸체(61)와 케이스(11)의 내측면 중 도어(13)와 마주보는 측면인 케이스(11)의 후면과의 사이를 기밀하는 테두리부(81)와, 테두리부(8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테두리부(81)와 함께 몸체(61)와 도어(13)의 사이 및 몸체(61)와 케이스(11)의 후면 사이를 기밀하는 손잡이부(91)를 구비한다.The sealing part 80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테두리부(81)는 몸체(61) 상부에서 도어(13)를 향하는 방향인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 테두리변(82)과, 도어(13)와 마주보는 케이스(11)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인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테두리변(83)과, 제1 테두리변(82)에서 돌출되며 도어(13)와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1 유동방지날개(84)와, 제2 테두리변(83)에서 돌출되며 케이스(11)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된 제2 유동방지날개(85)를 구비한다.The rim portion 81 has a
제1 테두리변(82)은 몸체(61) 상부에서 돌출된다. 제1 테두리변(82)의 좌우방향을 따라 양단이 각각 양측에 위치하는 거치편(71)과 연결되게 연장된다.The
제2 테두리변(83)은 몸체(61) 상부에서 돌출된다. 제2 테두리변(83)의 좌우방향을 따라 양단이 각각 양측에 위치하는 거치편(71)과 연결되게 연장된다.The
제1 유동방지날개(84)는 제1 테두리변(82)에서 돌출된다. 트레이(6)가 본체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어(13)를 닫으면, 제1 유동방지날개(84)의 돌출방향 단부는 도어(13)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1 유동방지날개(84)와 도어(13)의 사이가 밀폐되어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The first
제2 유동방지날개(85)는 제2 테두리변(83)에서 돌출된다. 트레이(6)가 본체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어(13)를 닫으면, 제2 유동방지날개(85)의 돌출방향 단부는 케이스(11)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2 유동방지날개(84)와 후면의 사이가 밀폐되어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The second
손잡이부(91)는 제1 손잡이(92)와 제2 손잡이(96)로 구성된다.The handle portion 91 includes a
제1 손잡이(92)는 제1 테두리변(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지지대(93)와, 제1 회전지지대(93)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2 테두리변(8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지지대(94)와, 제1 회전지지대(93)와 제2 회전지지대(94)를 연결하는 제1 파지부(95)를 구비한다.The
제1 회전지지대(93)는 제1 유동방지날개(84)의 우측에서 제1 테두리변(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회전지지대(93)의 좌측 단부는 제1 유동방지날개(84)까지 연장된다. 제1 회전지지대(93)의 도어를 향하는 방향 단부는 제1 유동방지날개(84)의 도어를 향하는 방향 단부와 평면이 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트레이(6)가 본체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어(13)를 닫으면, 제1 유동방지날개(84)와 마찬가지로 도어(13)에 접촉된다.The
제2 회전지지대(94)는 제2 유동방지날개(85)의 우측에서 제2 테두리변(8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회전지지대(94)의 좌측 단부는 제2 유동방지날개(85)까지 연장된다. 제2 회전지지대(94)의 케이스(11) 후면을 향하는 방향 단부는 제2 유동방지날개(85)의 케이스(11) 후면을 향하는 방향 단부와 평면이 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트레이(6)가 본체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어(13)를 닫으면, 제2 유동방지날개(85)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1)의 후면에 접촉된다.The
제1 파지부(95)는 제1 회전지지대(93)의 좌측 단부와 제2 회전지지대(94)의 좌측 단부를 연결한다.The
제2 손잡이(96)는 제1 테두리변(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회전지지대(97)와, 제2 테두리변(8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4 회전지지대(98)와, 제3 회전지지대(97)와 제4 회전지지대(98)를 연결하는 제2 파지부(99)를 구비한다.The
제3 회전지지대(97)는 제1 유동방지날개(84)의 좌측에서 제1 테두리변(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 회전지지대(97)의 우측 단부는 제1 유동방지날개(84)까지 연장된다. 제3 회전지지대(97)의 도어를 향하는 방향 단부는 제1 유동방지날개(84)의 도어를 향하는 방향 단부와 평면이 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트레이(6)가 본체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어(13)를 닫으면, 제1 유동방지날개(84)와 마찬가지로 도어(13)에 접촉된다.The
제4 회전지지대(98)는 제2 유동방지날개(85)의 좌측에서 제2 테두리변(8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 회전지지대(98)의 우측 단부는 제2 유동방지날개(85)까지 연장된다. 제4 회전지지대(98)의 케이스(11) 후면을 향하는 방향 단부는 제2 유동방지날개(85)의 케이스(11) 후면을 향하는 방향 단부와 평면이 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트레이(6)가 본체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어(13)를 닫으면, 제2 유동방지날개(85)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1)의 후면에 접촉된다.The
제2 파지부(99)는 제3 회전지지대(97)의 우측 단부와 제4 회전지지대(98)의 우측 단부를 연결한다.The
제1 테두리변(82)과 제2 테두리변(83)에는 각각 제1 파지부(95) 및 제2 파지부(99)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8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지부(95) 및 제 2 파지부(99)가 인입홈(86)에 인입됨으로써, 제1 내지 제4 회전지지대(93, 94, 97, 98)의 상면이 제1 내지 제2 유동방지날개(84, 85)의 상면과 평면이 될 수 있다.The
또한, 제1 파지부(95)와 제2 파지부(99)가 인입홈(86)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1 파지부(95)와 제2 파지부(99)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통기로형성돌기(87)가 형성될 수 있다. 통기로형성돌기(87)는 하나의 트레이(6)와 상부에 적층되는 또 다른 트레이(6)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여 통기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를 제공함으로써, 트레이와 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함으로써 과일과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예냉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By providing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in contact with the fruit by suppressing the flow of air mov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tray and the case, thereby increasing the pre-cooling drying efficiency.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S. 5 to 6 show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압예냉건조기(101)는 본체부(102)와 차압발생유닛(104)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5 to 6 , in the differential
본체부(102)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된 케이스(111)와, 내부공간(112)을 제1 공간(112a)와 제2 공간(112b)으로 구획되게 형성된 격벽(118)과, 제1 공간(112a)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도어(113)와 제2 공간(112b)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2 도어(114)와, 제1 공간(112a)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과, 제2 공간(112b)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The
케이스(111)는 육면체 형상이며,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제1 공간(112a)과 제2 공간(112b)에서 외부로 통하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다. 케이스(111)에는 제1 공간(112a)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도어(113)와 제2 공간(112b)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2 도어(114)가 설치된다. 제1 도어(113)와 제2 도어(114)에는 각각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부(113a)와 제2 관통부(114a)가 형성된다.The
케이스(111)는 내부공간(112)을 제1 공간(112a)와 제2 공간(112b)으로 구획하는 격벽(118)을 구비한다. 격벽(118)은 케이스(111)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격벽(118)은 케이스(111)의 전면과 수직을 이룬다. 제1공간(112a)에서 제2 공간(112b)으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격벽(118)은 케이스(111)의 저면과 이격된다. 제1 공간(112a)의 공기는 케이스(111)의 하부에서 제2 공간(112b)으로 이동된다.The
유입구는 케이스(111)의 상면에서 사각형으로 관통형성된다. 유입구는 제1 공간(112a)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공간(112a)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inle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차압발생유닛(104)은 유입구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가 제1 공간(112a)을 경유하여 제2 공간(112b)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공간(112b)의 공기를 케이스(11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차압발생유닛(104)은 제2 공간(112b) 상부의 케이스(111) 상면에 설치된다. 차압발생유닛(104)은 공기가 배출되도록 케이스(111)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덮는 커버(142)와, 커버(142)의 하부에 설치되는 팬모듈(141)을 구비한다.The differential
커버(142)는 통기가 가능한 그릴형상이다. 커버(142)는 배출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팬 모듈(141)은 커버(142)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제2 공간(112b)의 공기를 케이스(111) 외부로 배출시켜 제2 공간(112b)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낮춘다.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팬 모듈(141)은 팬과 모터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에어펌프와 같은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압 예냉건조기를 제공함으로써, 내부공간이 확장된 장치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By providing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an apparatus with an expanded internal spa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tilt-variabl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차압 예냉건조기 2: 본체부
4: 차압발생유닛 6: 트레이
11: 케이스 14: 트레이거치유닛
20: 와류발생유닛 60: 수용부
70: 거치부 80: 실링부1: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2: Main body
4: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6: Tray
11: Case 14: Tray mounting unit
20: vortex generating unit 60: receiving part
70: mounting part 80: sealing part
Claims (8)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농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차압을 발생시켜 기류를 형성시키는 차압발생유닛과;
농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지지단에 거치되어 상기 수용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거치부 이외의 경로로 이동하는 기류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도어의 사이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중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측면과의 사이를 기밀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부와 함께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도어의 사이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중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측면과의 사이를 기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예냉건조기.a main body including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a do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tray holding unit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to form a support end;
a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ner space to dry agricultural products to form an airflow;
A receiving part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gricultural products, a holding part mounted on the support end so that the receiving part can be supported in the inner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includes the door and the door; and a tray including a sealing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each other and blocks the airflow moving in a path other than the mounting part; and
The sealing part includes a rim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seal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oor an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which faces the door, and is rot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possible and includes a handle part that seals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oor, an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side facing the door among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case together with the edge part. dryer.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1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2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지지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대를 연결하는 제1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3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3 회전지지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테두리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방지날개의 돌출길이와 같게 돌출되는 제4 회전지지대와 상기 제3 회전지지대 및 상기 제4 회전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2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예냉건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m portion includes a first rim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ward the door, and a second rim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 a first flow preventing wing protruding from the first edge side and protruding to contact the door, and a second flow preventing wing protruding from the second edge side and protruding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door have wings,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flow prevention wing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edge side and corresponds to a first rotation support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 protruding to the same length a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irst flow prevention blade A second rotation support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 and the second rotation support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low prevention wing at a position where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edge and protruding to the same length a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econd flow prevention blade A first handle having a first gripper for connecting the second rotation support,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ow-preventing wing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edge side,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irst flow-preventing w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rotation support and the second flow prevention w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rotation support protruding like A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comprising a second handle having a fourth rotation support protruding like a, and a second gripper connecting the third rotation support and the fourth rotation support.
상기 차압발생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의 내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켜 상기 내부공간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예냉 건조기.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ase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bet is discharg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includes a fa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by discharging the bet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let.
상기 와류유도부는 원의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1 곡선슬릿들로 이루어지는 써클타공부와,
상기 써클타공부의 주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써클타공부를 향하고 타측은 상기 써클타공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굽어지는 다수의 제2 곡선슬릿과, 다수의 상기 제2 곡선슬릿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슬릿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을 회전하며 유동하게 하는 제2 곡선깃을 구비하는 커브타공부와,
상기 제2 곡선슬릿들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슬릿과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지며 상기 제2 곡선슬릿보다 짧은 다수의 제3 곡선슬릿과, 다수의 상기 제3 곡선슬릿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3 곡선슬릿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을 회전하며 유동하게 하는 제3 곡선깃을 포함하는 서브타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예냉건조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includes a body installed in the inlet, and at least one vortex inducing unit formed in the body,
The vortex inducing part comprises a circle perforated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curved slits formed to be penetra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ircle;
A plurality of second curved slits formed to be penetrat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ircle perforated portion, one side facing the circle perforated portion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ircle perforated portion, and bent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curved perforated portion having second curved blades respectively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second curved slits and al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urved slits to flow while rotating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third curved slit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second curved slits,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curved slit, and shorter than the second curved slit, and a plurality of third curved slits respectively formed below the plurality of third curved slits and a sub-perforated portion including a third curved blade for al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curved slit to flow while rotating in the inner space.
내부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해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유입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차압발생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예냉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se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side to divide the inner spac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It further includes; an inlet formed in the case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ing unit is
Differential pressure precooling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via the first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4102 | 2020-05-06 | ||
KR20200054102 | 2020-05-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812A KR20210136812A (en) | 2021-11-17 |
KR102441288B1 true KR102441288B1 (en) | 2022-09-08 |
Family
ID=7870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8265A KR102441288B1 (en) | 2020-05-06 | 2020-10-05 | Pre-cooled dryer using differential press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1288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75039A (en) * | 2005-09-15 | 2007-03-29 | Mitsuo Suzuki | Vacuum dryer for foods, and vacuum drying method for foods |
US20140352929A1 (en) * | 2013-05-31 | 2014-12-04 | The Boeing Company | Dual-Function Food Tray Support Tubes for a Galley Car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8812B1 (en) | 2001-07-13 | 2003-12-18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Portable precooling and curing system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e |
KR100838479B1 (en) | 2007-11-27 | 2008-06-16 | 송종명 | Pre-drying device |
-
2020
- 2020-10-05 KR KR1020200128265A patent/KR1024412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75039A (en) * | 2005-09-15 | 2007-03-29 | Mitsuo Suzuki | Vacuum dryer for foods, and vacuum drying method for foods |
US20140352929A1 (en) * | 2013-05-31 | 2014-12-04 | The Boeing Company | Dual-Function Food Tray Support Tubes for a Galley C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812A (en) | 202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62777A (en) | Systems for cleaning and cooling produce | |
KR100643430B1 (en) | Apparatus for gas treatment of products | |
JP2009287817A (en) | Refrigerator | |
US20050166628A1 (en) | Method for surface crust freezing of food product | |
KR20040036154A (en) | Vegetable room optimum preserv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RU95113412A (en) | DEVICE FOR GAS PROCESSING OF PRODUCTS | |
KR0152149B1 (en) | A refrigerator | |
KR102441288B1 (en) | Pre-cooled dryer using differential pressure | |
JP2022008439A (en) | Food freez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ozen food | |
KR101446071B1 (en) | Food dryer | |
KR101425768B1 (en) | blueberry precooling and predrying device in using cold container | |
JP2995622B2 (en) | Dry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unit to be dried | |
KR101767983B1 (en) | Drying unit which is controlled by the humidity | |
JP2012117803A (en) | Humidifier for refrigerator and cold storage and method of maturing fruits using the same | |
JP4792061B2 (en) | Drying equipment | |
KR20180033002A (en) | Apparatus for drying food using cool or warm air | |
JP2014122757A (en) | Refrigerator | |
EP4424174A1 (en) | Food steaming apparatus and food processing system | |
JP7562227B2 (en) | Refrigeration and freezing equipment | |
JPH0956327A (en) | Drying of food containing water and its device | |
JP7186428B2 (en) | high freshness storage | |
JP6931938B2 (en) | Room temperature drying device for food | |
CN216114875U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ES2735224T3 (en) |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 product | |
JP7017230B2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