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090B1 -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090B1
KR102441090B1 KR1020207034366A KR20207034366A KR102441090B1 KR 102441090 B1 KR102441090 B1 KR 102441090B1 KR 1020207034366 A KR1020207034366 A KR 1020207034366A KR 20207034366 A KR20207034366 A KR 20207034366A KR 102441090 B1 KR102441090 B1 KR 10244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ensing
button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011A (ko
Inventor
리밍 황
융성 장
자오펑 중
웨이원 궈
셴차오 류
웨이지 시
Original Assignee
히타치 빌딩 테크놀로지(광저우)컴퍼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빌딩 테크놀로지(광저우)컴퍼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타치 빌딩 테크놀로지(광저우)컴퍼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모듈과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되고; 여기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거리 감지 모듈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며; 거리 감지 모듈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신호 처리 모듈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2020년 04월 01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0250190.8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버튼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버튼은 모두 기계식으로, 즉 실제 버튼을 푸쉬하는 방식을 통해 버튼 도체가 도통되어 신호 입력 기능을 구현하며, 기계적 변형이 필요하지 않는 접촉식의 전자 센싱 버튼도 있으나, 이러한 버튼은 모두 직접적으로 접촉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식 커패시터에 의해 센싱되는 비접촉식 버튼도 있으나, 이러한 버튼이 요구하는 근접 거리가 비교적 가까우므로, 버튼이 환경의 간섭을 쉽게 받아 오작동 현상이 나타나며 제어가 어렵다.
본 발명은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버튼의 센싱 영역을 조정하고,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버튼 사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비접촉식 버튼을 제공하고, 해당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거리 감지 모듈과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상기 거리 감지 모듈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거리 감지 모듈은 상기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상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거리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비접촉식 버튼에 응용되는 버튼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상기 비접촉식 버튼에서의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해 거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거리 신호는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상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됨-;
상기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버튼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비접촉식 버튼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버튼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버튼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전부 내용이 아닌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만 개시하였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접촉식 버튼을 제공하고,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버튼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 거리 감지 모듈(20) 및 신호 처리 모듈(30)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모듈(20)과 신호 처리 모듈(30)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거리 감지 모듈(20)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고;
거리 감지 모듈(20)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신호 처리 모듈(30)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 거리 감지 모듈(20) 및 신호 처리 모듈(30)을 포함한다. 거리 감지 모듈(20)과 신호 처리 모듈(30) 사이는 연결된다. 여기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거리 감지 모듈(20)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고, 거리 감지 모듈(20)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설정된다. 센싱 영역은 버튼 유닛에서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물체를 감지 가능한 공간 범위이며, 예를 들면,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이 거리 감지 모듈(20)의 센싱 영역을 증가하는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이 거리 감지 모듈(20)의 센싱 영역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의 센싱 영역(b)으로부터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을 설정한 후의 센싱 영역(a)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구현되며, 즉 광 영역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센싱 영역을 조정한다.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거리 감지 모듈(20)의 센싱 영역을 축소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된다. 거리 감지 모듈(20)이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 거리 감지 모듈(20)은 센싱 영역 내의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에 따라 거리 신호를 생성하도록 더 설정된다. 거리 감지 모듈(20)과 신호 처리 모듈(30) 사이는 통신 연결된다. 거리 감지 모듈(20)은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에 전송할 수 있고, 신호 처리 모듈(30)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버튼을 제어한다. 거리 감지 모듈(20)과 신호 처리 모듈(30) 사이의 연결 방식은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일 수 있으며, 여기서, 거리 감지 모듈(20)과 신호 처리 모듈(30) 사이의 연결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의 설정은 버튼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밖에, 근접식 커패시터 센싱을 통해 비접촉 버튼을 구현하며, 이러한 버튼이 요구하는 검측될 물체의 근접 거리가 비교적 가깝고, 제어가 어려우며, 환경의 간섭을 쉽게 받아 오작동 현상이 발생하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거리 감지 모듈(20)은 먼 거리에서 물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버튼의 센싱 영역 증가를 구현하고 버튼의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버튼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거리 감지 모듈(20)은 비행 시간 센서(time-of-flight sensor)를 포함한다. 비행 시간 센서는 물체가 매체를 경과하여 전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비행 시간 센서가 파동 펄스를 방출한 후 물체에 반사되어 비행 시간 센서로 돌아오는 사이의 경과 시간을 거리로 환산하는 것을 통해 비행 시간 센서와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비행 시간 센서는 0mm 내지 100mm 범위 내 또는 더 큰 범위에서 3mm 해상도로 물체를 정확하게 감지한다. 거리 감지 모듈(20)은 버튼의 센싱 영역을 증가하고 버튼의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버튼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요를 충족시킨다.
선택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케이스(40)를 더 포함하고,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케이스(40)의 상단 내표면에 고정되며, 거리 감지 모듈(20)은 케이스(40) 내에 배치되고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신호 처리 모듈(30)은 케이스(40) 내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비접촉식 버튼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튼 유닛은 케이스(40)를 더 포함하고,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케이스(40)의 상단 내표면에 고정되며, 거리 감지 모듈(20)은 케이스(40) 내에 배치되고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신호 처리 모듈(30)은 케이스(4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버튼 유닛은 케이스(40)를 더 포함하여 버튼의 패킷 구조를 형성한다. 버튼 유닛에서의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케이스(40)의 상단 내표면에 고정되고, 거리 감지 모듈(20)은 케이스(40)의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거리 감지 모듈(20)과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대향되게 배치된다. 신호 처리 모듈(30)은 케이스(40)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모듈(30)을 케이스(40)의 외부에 배치하여, 외부의 신호 처리 모듈(30)을 통해 거리 감지 모듈(20)에 의해 수집된 거리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버튼 유닛과 각각의 신호 처리 모듈(30)은 일일이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렌즈(11)를 포함하고, 렌즈(11)는 대향되게 배치된 평면 및 오목 아크면을 포함하며, 평면은 상기 케이스(40)의 내표면에 고정된다. 렌즈(11)의 재료 및/또는 호도 반경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렌즈(11)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 영역 크기를 조정한다. 렌즈(11)의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빛이 렌즈(11)를 통과하여 발산한 후의 발산각(divergence angle)이 크므로, 센싱 영역의 범위를 증가하는 것을 구현하며, 즉 렌즈(11)는 오목 렌즈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방안에서, 렌즈(11)의 재료 및/또는 호도 반경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렌즈(11)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며, 이때, 렌즈(11)는 대향되게 배치된 평면 및 볼록 아크면을 포함하고, 평면은 상기 케이스(40)의 내표면에 고정되며, 즉 렌즈(11)는 볼록 렌즈이다.
선택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을 더 포함하고,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케이스(40)의 외측에 배치되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버튼 상태 신호를 피드백하도록 설정되고, 여기서, 버튼 상태 신호는 접근하는 물체가 없다는 표시 신호, 물체가 접근한다는 표시 신호, 물체가 센싱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표시 신호 및 센싱 성공 표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신호 처리 모듈(30)과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이 연결되고, 신호 처리 모듈(30)은 거리 신호에 근거하고 기설정된 센싱 거리 및 기설정된 센싱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디스플레이 소자 및/또는 음성 소자를 포함하여, 버튼 유닛이 물체에 대한 센싱 상태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피드백한다.
예시적으로,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표시등이며, 버튼 유닛이 비교적 긴 시간동안 물체를 센싱하지 못할 경우, 표시등은 브리딩라이트의 형식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없다는 표시 신호를 나타내고, 버튼 유닛은 대기 상태에 놓이며; 버튼 유닛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접근하는 물체가 있음을 발견할 경우, 표시등은 희미하게 라이팅되는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물체가 접근하고 있다는 표시 신호를 나타내고; 버튼 유닛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센싱 영역에 진입한 물체가 있음을 감지할 경우, 표시등은 빠르게 깜빡이는 형식으로 물체가 센싱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표시 신호를 나타내며; 버튼 유닛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센싱 성공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표시등은 지속적으로 라이팅되는 형식으로 센싱 성공 표시 신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버튼 유닛의 센싱 거리는 단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버튼 유닛은 단독으로 센싱 거리를 설계할 수 있다. 거리 감지 모듈(20)은 물체의 거리 신호를 수집한 후, 물체의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에 송신하고, 신호 처리 모듈(30)은 수신한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와 기설정된 센싱 거리를 비교하며, 기설정된 센싱 거리가 수신한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보다 크면, 버튼 유닛이 센싱 성공하였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방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의 센싱 거리는 조정될 수 있으며, 제품 출고 후 파라미터는 고정값일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30)을 통해 상이한 기설정 센싱 거리를 설정하여 물체의 센싱 거리를 단독으로 설계할 수 있다. 버튼 간격이 비교적 큰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증가할 수 있으며, 버튼 간격이 비교적 작은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노인 및 아동이 조작하는 경우가 많은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증가할 수 있고, 오피스 빌딩 등 인원이 밀집된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센싱 거리를 파라미터화 할 수도 있는데, 제품 교부 사용 후, 사용자가 사용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설계가 인성화 하고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버튼 유닛의 센싱 시간은 단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30)은 상이한 기설정 센싱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버튼 유닛에 대해 단독으로 센싱 시간을 설계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방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의 센싱 시간은 조정될 수 있으며, 제품 출고 후 파라미터는 고정값일 수 있다. 효율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장소에서는, 센싱 시간의 임계값 즉 기설정 센싱 시간을 다소 작게 설계할 수 있고, 공간 환경이 열악하여 간섭이 쉽게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센싱 시간의 임계값 즉 기설정 센싱 시간을 다소 크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시간을 파라미터화 할 수도 있는데, 제품 교부 사용 후, 사용자가 사용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버튼 유닛은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의 설정값보다 비교적 많이 작은 것이 감지될 경우, 이번 회에 확인한 센싱 시간을 감소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센싱 거리의 설정값이 10mm이고 기설정된 센싱 시간의 설정값이 700ms인 경우, 물체의 거리가 5mm이고 센싱 시간이 500ms를 초과하였음을 감지하면 700ms에 도달할 필요가 없이 바로 유효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튼 유닛의 환경 적응 능력 및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모듈과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된다. 여기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거리 감지 모듈의 센싱 영역을 증가하도록 설정되고; 거리 감지 모듈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신호 처리 모듈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버튼의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버튼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며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을 설정하는 것을 통해 버튼의 센싱 영역을 증가하고, 센싱 거리 및/또는 센싱 시간의 단독 설계는 버튼 유닛의 환경 적응 능력 및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접촉식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실시예의 기초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버튼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하나의 신호 처리 모듈을 공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접촉식 버튼을 제공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버튼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3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 거리 감지 모듈(20) 및 신호 처리 모듈(30)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모듈(20)과 신호 처리 모듈(30)이 연결된다.
여기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거리 감지 모듈(20)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고;
거리 감지 모듈(20)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신호 처리 모듈(30)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거리 감지 모듈(20)은 비행 시간 센서를 포함한다. 비행 시간 센서는 물체가 매체를 경과하여 전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비행 시간 센서가 파동 펄스를 방출한 후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비행 시간 센서로 돌아오는 사이의 경과 시간을 거리로 환산하는 것을 통해 비행 시간 센서와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비행 시간 센서는 0mm 내지 100mm 범위 내 또는 더 큰 범위에서 3mm 해상도로 물체를 정확하게 감지한다. 거리 감지 모듈(20)은 버튼의 센싱 영역을 증가하고 버튼의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며 버튼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요를 충족시킨다.
선택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버튼 유닛은 케이스(40)를 더 포함하고,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케이스(40)의 상단 내표면에 고정되며, 거리 감지 모듈(20)은 케이스(40) 내에 배치되고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신호 처리 모듈(30)은 케이스(40)의 외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하나의 신호 처리 모듈(30)을 공용함으로써, 비접촉식 버튼에서의 신호 처리 모듈(30)의 개수를 감소하며, 따라서, 소자의 비용 및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영역 확장 모듈(10)은 렌즈(11)를 포함하고, 렌즈(11)는 대향되게 배치된 평면 및 오목 아크면을 포함하며, 평면은 상기 케이스(40)의 내표면에 고정된다. 렌즈(11)의 재료 및/또는 호도 반경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렌즈(11)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 영역 크기를 조정한다. 렌즈(11)의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빛이 렌즈(11)를 통과하여 발산한 후의 발산각이 크므로, 센싱 영역의 범위를 증가하는 것을 구현하며, 즉 렌즈(11)는 오목 렌즈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방안에서, 렌즈(11)의 재료 및/또는 호도 반경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렌즈(11)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며, 이때, 렌즈(11)는 대향되게 배치된 평면 및 볼록 아크면을 포함하고, 평면은 상기 케이스(40)의 내표면에 고정되며, 즉 렌즈(11)는 볼록 렌즈이다.
선택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버튼 유닛은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을 더 포함하고,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케이스(40)의 외측에 배치되며, 버튼 상태 신호를 피드백하도록 설정되고, 여기서, 버튼 상태 신호는 접근하는 물체가 없다는 표시 신호, 물체가 접근한다는 표시 신호, 물체가 센싱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표시 신호 및 센싱 성공 표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신호 처리 모듈(30)과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이 연결되고, 신호 처리 모듈(30)은 거리 신호에 근거하고 기설정된 센싱 거리 및 기설정된 센싱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디스플레이 소자 및/또는 음성 소자를 포함하여, 버튼 유닛이 물체에 대한 센싱 상태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피드백한다.
예시적으로,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50)은 표시등이며, 버튼 유닛이 비교적 긴 시간동안 물체를 센싱하지 못할 경우, 표시등은 브리딩라이트의 형식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없다는 표시 신호를 나타내고, 버튼 유닛은 대기 상태에 놓이며; 버튼 유닛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접근하는 물체가 있음을 발견할 경우, 표시등은 희미하게 라이팅되는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물체가 접근하고 있다는 표시 신호를 나타내고; 버튼 유닛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센싱 영역에 진입한 물체가 있음을 감지할 경우, 표시등은 빠르게 깜빡이는 형식으로 물체가 센싱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표시 신호를 나타내며; 버튼 유닛의 거리 감지 모듈(20)이 센싱 성공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표시등은 지속적으로 라이팅되는 형식으로 센싱 성공 표시 신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버튼 유닛의 센싱 거리는 단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버튼 유닛은 단독으로 센싱 거리를 설계할 수 있다. 거리 감지 모듈(20)은 물체의 거리 신호를 수집한 후, 물체의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에 송신하고, 신호 처리 모듈(30)은 수신한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와 기설정된 센싱 거리를 비교하며, 기설정된 센싱 거리가 수신한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보다 크면, 버튼 유닛이 센싱 성공하였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방안에서, 버튼 유닛의 센싱 거리는 조정될 수 있으며, 제품 출고 후 파라미터는 고정값일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30)을 통해 상이한 기설정 센싱 거리를 설정하여 물체의 센싱 거리를 단독으로 설계할 수 있다. 버튼 간격이 비교적 큰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증가할 수 있으며, 버튼 간격이 비교적 작은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노인 및 아동이 조작하는 경우가 많은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증가할 수 있고, 오피스 빌딩 등 인원이 밀집된 장소에서는 버튼의 센싱 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센싱 거리를 파라미터화 할 수도 있는데, 제품 교부 사용 후, 사용자가 사용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설계가 인성화 하고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버튼 유닛의 센싱 시간은 단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30)은 상이한 기설정 센싱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버튼 유닛에 대해 단독으로 센싱 시간을 설계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방안에서, 버튼 유닛의 센싱 시간은 조정될 수 있으며, 제품 출고 후 파라미터는 고정값일 수 있다. 효율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장소에서는, 센싱 시간의 임계값 즉 기설정 센싱 시간을 다소 작게 설계할 수 있고, 공간 환경이 열악하여 간섭이 쉽게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센싱 시간의 임계값 즉 기설정 센싱 시간을 다소 크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시간을 파라미터화 할 수도 있는데, 제품 교부 사용 후, 사용자가 사용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버튼 유닛은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의 설정값보다 비교적 많이 작은 것이 감지될 경우, 이번 회에 확인한 센싱 시간을 감소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센싱 거리의 설정값이 10mm이고 기설정된 센싱 시간의 설정값이 700ms인 경우, 물체의 거리가 5mm이고 센싱 시간이 500ms를 초과하였음을 감지하면 700ms에 도달할 필요가 없이 바로 유효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튼 유닛의 환경 적응 능력 및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접촉식 버튼을 제공하고, 해당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모듈과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된다. 여기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거리 감지 모듈의 센싱 영역을 증가하도록 설정되고; 거리 감지 모듈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신호 처리 모듈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하나의 신호 처리 모듈을 공용한다. 버튼의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버튼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며,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자의 비용 및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서술한 비접촉식 버튼에 응용되는 버튼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신호 처리 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버튼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단계(S10) 내지 단계(S20)를 포함한다.
단계(S10)에서, 비접촉식 버튼에서의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해 거리 신호를 획득하고, 여기서, 거리 신호는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접촉식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모듈과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된다. 여기서,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거리 감지 모듈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며; 거리 감지 모듈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거리 신호는 센싱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20)에서,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모듈과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되며, 거리 감지 모듈은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거리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며; 신호 처리 모듈은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될 경우, 물체의 센싱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확정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소자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계-여기서, 기설정된 거리는 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작으며, 기설정된 시간은 기설정된 센싱 시간보다 작음-;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기설정된 거리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물체의 센싱 시간이 기설정된 센싱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확정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소자가 원래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기설정된 센싱 거리의 설정값이 10mm이고 기설정된 센싱 시간의 설정값이 700ms인 경우, 기설정된 거리는 5mm이다.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3mm인 것이 감지될 경우, 즉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감지될 경우, 물체의 센싱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500ms에 도달한 것이 확정되면, 기설정된 센싱 시간 700ms에 도달할 필요가 없이, 신호 처리 모듈은 바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소자가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8mm인 것이 감지될 경우, 즉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기설정된 거리보다 큰 것이 감지될 경우, 물체의 센싱 시간이 기설정된 센싱 시간 700ms에 도달하여야만, 신호 처리 모듈은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소자가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12mm인 것이 감지될 경우, 즉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큰 것이 감지될 경우, 신호 처리 모듈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소자가 원래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물체의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센싱 거리의 설정값보다 비교적 많이 작은 것이 감지될 경우, 이번 회에 확인한 센싱 시간을 감소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버튼의 환경 적응 능력 및 간섭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설계가 인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센싱 영역 확장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거리 감지 모듈과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이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상기 거리 감지 모듈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거리 감지 모듈은 상기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거리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버튼 상태 신호를 사용자측으로 피드백하도록 설정된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 내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거리 감지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센싱 영역 확장 모듈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영역 확장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대향되게 배치된 평면 및 오목 아크면을 포함하며, 상기 평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버튼 상태 신호는: 접근하는 물체가 없다는 표시 신호, 물체가 접근한다는 표시 신호, 물체가 상기 센싱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표시 신호 및 센싱 성공 표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거리 신호에 근거하고 기설정된 센싱 거리 및 기설정된 센싱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설정되는고,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센싱 시간은 상기 물체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센싱상태가 유지되는 시점까지의 기설정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상태 피드백 모듈은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음성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버튼 유닛과 각각의 신호 처리 모듈은 일일이 대응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은 하나의 신호 처리 모듈을 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 모듈은 비행 시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의 센싱 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유닛의 센싱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센싱 시간은 상기 물체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센싱상태가 유지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버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접촉식 버튼에 응용되는 버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버튼에서의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해 거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거리 신호는 센싱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상기 비접촉식 버튼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됨-;
    상기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튼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신호에 따라 버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제1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될 경우, 물체의 센싱 시간이 제1기설정된 센싱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확정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타겟 소자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기설정된 센싱 거리는 제2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1기설정된 센싱 시간은 제2기설정된 센싱 시간보다 작고, 상기 센싱 시간은 상기 물체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센싱상태가 유지되는 시점까지의 기간;
    상기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상기 제2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물체의 센싱 시간이 상기 제2기설정된 센싱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거리 신호에 대응되는 거리가 상기 제2기설정된 센싱 거리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타겟 소자가 원래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제어 방법
KR1020207034366A 2020-04-01 2020-08-25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1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50190.8A CN111464168B (zh) 2020-04-01 2020-04-01 一种非接触式按键及其控制方法
CN202010250190.8 2020-04-01
PCT/CN2020/110929 WO2021196509A1 (zh) 2020-04-01 2020-08-25 非接触式按键及其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011A KR20210124011A (ko) 2021-10-14
KR102441090B1 true KR102441090B1 (ko) 2022-09-05

Family

ID=7168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366A KR102441090B1 (ko) 2020-04-01 2020-08-25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95340B2 (ko)
KR (1) KR102441090B1 (ko)
CN (1) CN111464168B (ko)
AU (1) AU2020264370B2 (ko)
WO (1) WO2021196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4168B (zh) * 2020-04-01 2022-10-1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按键及其控制方法
CN112981859B (zh) * 2021-03-12 2023-01-06 海信冰箱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4933A (ja) * 2017-10-17 2019-05-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非接触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72A (ja) * 2000-09-12 2002-03-27 Toto Ltd 衛生洗浄装置
US6621406B2 (en) * 2001-04-18 2003-09-16 U-Shin Ltd.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JP2002317482A (ja) * 2001-04-20 2002-10-31 Aisin Seiki Co Ltd 衛生洗浄装置
JP5053188B2 (ja) * 2008-06-18 2012-10-17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201616871U (zh) * 2009-12-29 2010-10-27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电视机
JP2013206836A (ja) * 2012-03-29 2013-10-07 Azbil Corp 反射型光電センサ
US9646436B1 (en) * 2013-12-31 2017-05-0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Corp. Gesture controls for remote vehicle access systems
CN104167034B (zh) * 2014-06-17 2017-03-22 武汉理工大学 基于热释电技术的人体计数装置
CN106468907A (zh) * 2015-08-17 2017-03-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的感应控制装置、方法和家用电器
CN107062623A (zh) * 2017-05-04 2017-08-18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带自动唤醒及动作识别功能的燃气热水器
CN107037884A (zh) * 2017-05-04 2017-08-11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人体智能识别及手势操作控制系统
CN206921049U (zh) * 2017-05-04 2018-01-23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人体智能识别及手势操作控制系统
CN206892582U (zh) * 2017-05-19 2018-01-16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低能耗自动感应装置
JP7056423B2 (ja) * 2018-07-10 2022-04-19 オムロン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9031332A (zh) * 2018-08-07 2018-12-18 上海炬佑智能科技有限公司 飞行时间测距传感器及其控制方法
CN110127476B (zh) * 2019-04-01 2020-06-26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楼层高度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464168B (zh) * 2020-04-01 2022-10-1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按键及其控制方法
CN111623391A (zh) * 2020-04-13 2020-09-0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感应距离调节装置的烟机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4933A (ja) * 2017-10-17 2019-05-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非接触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64370B2 (en) 2021-12-16
WO2021196509A1 (zh) 2021-10-07
CN111464168A (zh) 2020-07-28
CN111464168B (zh) 2022-10-18
KR20210124011A (ko) 2021-10-14
AU2020264370A1 (en) 2021-10-21
JP7195340B2 (ja) 2022-12-23
JP2022530929A (ja)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090B1 (ko) 비접촉식 버튼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3592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방법
US9552072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US6535694B2 (en) Finger actuated device having a proximity detector
US10423253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touch sensor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262095B1 (ko) 모션감지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321826A1 (en) Motion sensing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motion sensing according to distance detection result and related apparatus thereof
RU2018141254A (ru) Ультразвуковые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адапти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CN103793105A (zh) 触控模块及其运作方法
KR20160078944A (ko) 움직임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방법
EP3704992A1 (en) Seat cushion
JP2010160114A (ja) 光学デバイス、この光学デバイスを用いた物体検出方法及び電子機器
JP6822445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93255A (ko) 초음파 센서 기반 스마트 지팡이
JP2008250897A (ja) 座標入力装置
KR20210126775A (ko) 검출 어셈블리, 청소 로봇, 청소 로봇의 주행 도로 상황 검출 방법 및 제어 방법
US20170331313A1 (en) Wireless charging mouse, wireless input apparatus and input method
EP2631742A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remote control
WO2019096535A1 (en) A household appliance
CN112981859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2479025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가정용 소셜 로봇 장치
KR200494926Y1 (ko)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버튼
KR102202186B1 (ko)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CN212649436U (zh) 一种新型感应按钮
KR20080056348A (ko) 물체 인식의 파장을 소리로 변환해 장애물 인식을 알리는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