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186B1 -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186B1
KR102202186B1 KR1020190099269A KR20190099269A KR102202186B1 KR 102202186 B1 KR102202186 B1 KR 102202186B1 KR 1020190099269 A KR1020190099269 A KR 1020190099269A KR 20190099269 A KR20190099269 A KR 20190099269A KR 102202186 B1 KR102202186 B1 KR 10220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uch
light
touch sensing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욱
Original Assignee
김근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욱 filed Critical 김근욱
Priority to KR102019009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사각형 틀 안쪽에 다수의 초음파센서를 부착하여 건너편까지의 거리를 기준점으로 틀 안쪽의 빈 공간에 손가락이나 펜 혹은 물체를 넣으면 그 지점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구하고 모든 위치를 좌표화할 수 있는 터치 인식이 실행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USB 포트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 블루투스로 핸드폰이나 기타 장비에 연결하여 해당 화면상의 공간에서 터치 좌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빔 프로젝트와 연결하여 빔을 유리면에 쏘고 장치를 부착할 시 유리면에 아무런 회로를 구성하지 않아도 터치가 가능. 헤드업 디스플레이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간터치 인식 장치를 투명한 아크릴이나 유리판위에 올리고 컴퓨터에 연결할 경우 기존 사용 중인 모니터에서도 터치 인식이 지원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SPACE TOUCH RECOGNITION APPARATUS WITH BUILT-IN TOUCH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형 틀의 프레임 안쪽으로 다수의 터치감지 모듈을 부착하여 틀 안쪽의 모든 위치를 좌표화할 수 있는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파악한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터치스크린은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패널(Touch Panel)을 덧붙여서 손끝이나 기타 물체가 소정영역에 접촉할 때 해당 영역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인지하여 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화면 표시 장치에 문자나 그림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능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어떤 특정한 장치에는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지를 않아서 효과적인 사용자의 입력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369(2011.12.30.)에서 3차원 터치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갖는 3차원 터치 스크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상기 종래 기술의 3차원 터치 위치 검출 장치는 3차원 공간 상에서 터치광 및 초음파를 송신하는 송신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터치광 및 초음파를 각각 수신하는 제1 수신기, 제2 수신기 및 제3 수신기를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신기들 각각에 수신된 상기 터치광 및 초음파의 수신 시간들을 기초로 하여 상기 송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는 상기 터치광을 발생하는 하나의 터치광 발생기 및 상기 초음파를 발생하는 하나의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송신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3차원 터치 위치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터치광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는 있으나, 이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언제든지 휴대하고 다니면서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자 하는 필요한 기기에 연결하여 프레임의 틀 내측에서의 터치 좌표를 추출하며, 상기 프레임 틀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작동되어 크기를 조정하면서 터치 좌표를 인식하게 하는 장치와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두께의 프레임을 갖는 사각형의 틀 형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터치감지 모듈이 내장되어 틀의 내측 공간상에서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공간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이동이 용이하도록 길이가 변화 가능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며, 터치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모니터 장치에서 다양한 크기의 영역을 설정하면서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은 일정 두께의 프레임을 갖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하좌우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터치감지 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터치감지 모듈이 상기 틀의 내측 공간상으로 작동되어, 공간상에서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공간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터치감지 모듈은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터치감지 모듈은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터치감지 모듈은 적외선을 이용한 거리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상기 터치감지 모듈 사이에서,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이 일정간격 이중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에 내측 프레임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의 바깥 측 일면에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구비하여 USB 방식 전원 공급 및 USB 방식으로 외부 장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언제든지 휴대하고 다니면서 터치 인식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모니터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동하여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사각형 틀로 구성되어 다양한 모니터의 크기에 맞게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빔 프로젝트와 연결하여 빔을 유리면에 쏘고 장치를 부착할 시 유리면에 아무런 회로를 구성하지 않아도 터치가 가능하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포트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과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동글을 통한 핸드폰이나 기타 장비에 연결하여 해당 화면상의 공간에서 터치 좌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는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는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구비되는 착탈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프레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의 예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100)는 일정 두께의 프레임(도 7의 100a 참조)을 갖는 사각형의 틀 형상을 구비하고, 터치 감지 모듈(110), 제어부(120) 및 USB 포트(130)를 구비하며, 프레임의 측면에 전원 버튼(140)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감지 모듈(110)은 사각형 프레임의 상하좌우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 장착되어진다.
터치감지 모듈(110)은 프레임의 내측 공간 상에서 물체를 감지한다. 일례로, 터치감지 모듈(110)은 프레임 내측의 빈 공간에 손가락이나 펜 혹은 물체를 넣으면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좌표값을 산출하여 공간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
터치감지 모듈(110)은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감지 센서(이하 초음파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감지 센서(이하 레이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감지 모듈(110)은 또 다른 구현에서 사각 프레임 내에서 손가락이나 물체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적외선 방식의 거리 측정 센서(이하 적외선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초음파 센서는 벽이나 물체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튕겨서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센서로서, 거리측정을 위한 초음파 센서가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뉘어져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레이저센서는 물체를 감지해 거리를 맵핑하는 센서로서, 광학 펄스로 목표물을 비춘 후 반사된 반송 신호의 특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쏘아서 반사되어온 값을 이용해 거리값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예의 터치감지 모듈(110)은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의 틀 내에서 물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공간 터치 인식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식에 따라 사각형 프레임의 구조가 약간씩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사각형 프레임의 구조내에 장착되어 동작되는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터치감지 모듈(110)은 그 특성에 따른 감지범위를 적용하여 사각형의 프레임 내측 공간상에서 사각 지대(dead zone)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하좌우 프레임 내측으로 일정 거리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질 수 있다.
또한, 각 터치감지 모듈(110)은 제어부(120)로 통하는 신호 연결선(111)을 통하여 연결되어지며, 이때 신호 연결선(115, 116, 117, 118 및 도 6의 119 참조)은 외측 프레임(101)과 내측 프레임(102)이 겹쳐지는 영역에서, 외측 프레임(101)에 내측 프레임(102)이 넣었다 빠질 때의 길이에 맞게 신호 연결선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여분의 길이를 가지고 선로가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신호 연결선(115)은 복수의 발광소자(111)를 구비한 제1 발광모듈(110a)과 제어부(120)를 연결하고, 제2 신호 연결선(116)은 복수의 수광소자(112)를 구비하고 제1 발광모듈(110a)의 발광소자들의 적외선을 수신하거나 감지하는 제1 수광모듈(110b)과 제어부(120)를 연결한다. 또한, 제3 신호 연결선(117)은 복수의 발광소자(113)를 구비한 제2 발광모듈(110c)과 제어부(120)를 연결하고, 제4 신호 연결선(118)은 복수의 수광소자(114)를 구비하고 제2 발광모듈(110c)의 발광소자들의 적외선을 수신하거나 감지하는 제2 수광모듈(110d)과 제어부(120)를 연결한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터치감지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USB 포트(130)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감지 모듈(110)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100)는 USB 포트(130)를 구비하는데, USB 컨넥트 타입은 범용 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USB 포트(130)는 사각 프레임의 바깥 측 일면에 구비되어, USB 방식 전원 공급 및 USB 방식으로 외부 장비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전원 공급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USB 방식을 사용하나 내장 배터리를 장착하여 이를 통한 전원 공급도 가능하다.
또한, 내장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USB 포트(130)에 블루투스 동글(dongle)을 연결하여 무선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 내의 터치 좌표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120)는 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며, 논리회로, 프로그래밍 로직 컨트롤러,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USB 포트(130)와 연결되는 USB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각 프레임의 바깥 측 일면에는 온오프(on/off) 선택 가능한 전원 버튼(140)이 구비된다. 전원 버튼(140)으로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전원 버튼(140)의 온 상태에 따라 제어부(120)가 동작되고, 제어부(120)는 터치감지 모듈(110)의 발신 주기를 제어하고,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공간상의 터치 감지를 인식하여 상하좌우 각각의 터치감지 모듈(110)에서 산출되는 거리 좌표를 계산하여 정확한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산출된 터치 위치 좌표를 연결된 USB 포트(130)를 통하여 외부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는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구비되는 착탈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100)는 착탈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착탈부(150)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100)의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장치나 빔프로젝트용 스크린 등에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착탈부(1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이 개방되도록 세워진 'ㄷ'자 모양의 꺽쇠 형태로서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151, 152)의 길이 중 하나가 짧은 형태를 구비하고,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 사이의 중간 부분(155)이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중간 부분(155)은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154)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니터의 전면 상에 결합될 때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 중 어느 한쪽의 외측에 위치하는 나사형식의 손잡이(156)를 돌려 중간 부분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151, 152)이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니터의 프레임 상단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150)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니터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에 의해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151, 152)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에 각각 부착되는 탄성부재(153)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엠보싱 형태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두께의 판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착탈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니터의 상단부 양측 두 곳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구현에 따라서 착탈부(150)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의 프레임의 하단에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니터의 상단부 양측 두 곳과 하단부 양측 두 곳에 맞물려 디스플레이 장치나 모니터 전면에 고정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프레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 인식 장치(100)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터치 감지 모듈(110),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고, 터치 감지 모듈(110)과 제어부(130)는 신호 연결선(11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사각형의 프레임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터치감지 모듈 사이에서는 한쪽이 외측 프레임(101)으로 다른 한쪽이 내측 프레임(102)으로 구별되며, 일정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측 프레임(102)이 외측 프레임(101)의 안쪽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프레임(101)과 내측 프레임(102)의 길이를 조절할 시에 적절한 길이에 맞추어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외측 프레임(101)과 내측 프레임(102)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a)는 그 가로 길이의 변경을 위해 프레임의 일부가 착탈가능하는 구조 혹은 조립 구조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a)에는 착탈부품구조부(103)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착탈부품구조부(103)는 두 개로 나누어지는 프레임 본체들 사이에 끼워맞춤되고, 지지봉 등에 의해 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발광모듈이나 수광모듈은 최종적인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준비된 특정 길이의 발광모듈이나 수광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설명에서는 가로 길이를 가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세로 길이를 가변으로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외측 프레임(101)에 내측 프레임(102)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일정 한도 내에서 어느 정도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크기가 변화하는 사각형의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서 휴대가 용이하며, 터치 인식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다양한 크기의 모니터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동하여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감지 모듈(110)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100)는 길이가 조절되는 사각형 틀 형상의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서, 빔 프로젝트와 연결하여 화면이 제공되는 벽이나 유리면에서 화면 크기에 적합하게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프레임 내측 공간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물체를 상하좌우 방향에서의 터치감지 모듈에 의해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터치 인식 장치의 내측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또는 특정 물체의 공간터치 감지를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 틀 안쪽에 다수의 초음파센서를 부착하여 건너편까지의 거리를 기준점으로 틀 안쪽의 빈 공간에 손가락이나 펜 혹은 물체를 넣으면 그 지점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구하고 모든 위치를 좌표화할 수 있는 터치 인식이 실행되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USB 포트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 블루투스로 핸드폰이나 기타 장비에 연결하여 해당 화면상의 공간에서 터치 좌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빔 프로젝트와 연결하여 빔을 유리면에 쏘고 장치를 부착할 시 유리면에 아무런 회로를 구성하지 않아도 터치가 가능. 헤드업 디스플레이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틀을 투명한 아크릴이나 유리판위에 올리고 컴퓨터에 연결할 경우 기존 사용 중인 모니터에서도 터치 인식이 지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공간터치 인식 장치 101: 외측 프레임
102: 내측 프레임 110: 터치감지 모듈
119: 신호연결선 120: 제어부
130: USB 포트 140: 전원 버튼

Claims (6)

  1. 사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일정 두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하좌우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터치감지 모듈,
    상기 터치감지 모듈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상으로 작동될 때, 상기 내측 공간상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에 기초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상기 터치감지 모듈 사이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의 안쪽으로 끼워져 이중 결합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 넣었다 뺐다 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착탈부는 하부측이 개방되도록 세워진 'ㄷ'자 모양의 꺾쇠 형태로서 서로 마주하는 두 변 부분들과 상기 두 변 부분들 사이의 중간 부분과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중간 부분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두 변 부분들 사이의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두 변 부분들 사이에 물체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두 변 부분들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감지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발광모듈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수광모듈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측면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발광모듈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 측면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수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모듈과 상기 제1 수광모듈과 상기 제2 발광모듈과 상기 제2 수광모듈은 신호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입출력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무선 동글(dongle)이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엠보싱 형태이며,
    상기 손잡이는 나사 형태이고, 상기 손잡이를 돌려 상기 중간 부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9269A 2019-08-14 2019-08-14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KR10220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69A KR102202186B1 (ko) 2019-08-14 2019-08-14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69A KR102202186B1 (ko) 2019-08-14 2019-08-14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186B1 true KR102202186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69A KR102202186B1 (ko) 2019-08-14 2019-08-14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1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7180A1 (en) * 2004-07-12 2006-01-12 Laurence Tremaine Touch screen image setting frame
KR20110118325A (ko) * 2010-04-23 2011-10-31 (주)나노티에스 3차원 터치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갖는 3차원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160086562A (ko) * 2015-01-12 2016-07-20 김경문 모바일 기기에 추가적인 표면터치 또는 공간터치 조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보조장치
KR20180039233A (ko) * 2016-10-07 2018-04-18 (주)코텍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5649A (ko) * 2017-06-13 2018-12-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영상 입력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7180A1 (en) * 2004-07-12 2006-01-12 Laurence Tremaine Touch screen image setting frame
KR20110118325A (ko) * 2010-04-23 2011-10-31 (주)나노티에스 3차원 터치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갖는 3차원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160086562A (ko) * 2015-01-12 2016-07-20 김경문 모바일 기기에 추가적인 표면터치 또는 공간터치 조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보조장치
KR20180039233A (ko) * 2016-10-07 2018-04-18 (주)코텍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5649A (ko) * 2017-06-13 2018-12-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영상 입력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8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control
CN102439538B (zh) 具有感测组件的电子设备以及用于解释偏移手势的方法
US20020061217A1 (en) Electronic input device
US20100328267A1 (en) Optical touch device
KR101262095B1 (ko) 모션감지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CN103354920B (zh) 用于执行在使用触摸屏的信息输入模式和使用超声波信号的信息输入模式之间的自动切换的信息输入设备和方法
US10222913B2 (en) Device for contactless interaction with an electronic and/or computer apparatus, and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device
TW201423484A (zh) 動態偵測系統
US20160070410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nd-wear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20110308159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ordinates, and display device, security device, and electronic blackboard including the same
US10042464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screen device for detect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00369B1 (ko) 3차원 터치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갖는 3차원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120067064A (ko) 좌표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시큐리티 장치 및 전자 칠판
KR102202186B1 (ko) 터치감지 모듈을 내장하는 공간터치 인식 장치
WO20170131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gestures on a touchpad
CN105718121B (zh) 光学式触控装置
JP6837496B2 (ja) タッチパネル
CN201084128Y (zh) 图像定位触摸装置
KR101414356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CN111782059A (zh) Vr键盘和vr办公装置
KR101088019B1 (ko) 원격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입력 방법
KR20160123539A (ko) 위치인식센서와 무선송수신방식을 이용한 직관적인 모니터화면 분할영상 출력제어장치
KR101213438B1 (ko) 이미지 구현 장치 및 그의 구현 방법
US20160238701A1 (en) Gaz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CN212391777U (zh) Vr键盘和vr办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