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002B1 -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002B1
KR102441002B1 KR1020200145976A KR20200145976A KR102441002B1 KR 102441002 B1 KR102441002 B1 KR 102441002B1 KR 1020200145976 A KR1020200145976 A KR 1020200145976A KR 20200145976 A KR20200145976 A KR 20200145976A KR 102441002 B1 KR102441002 B1 KR 10244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llow
section
pressur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225A (ko
Inventor
김승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테크
Priority to KR102020014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제1중공이 형성되는 노즐몸체부; 상기 노즐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 상기 노즐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노즐분사구가 형성되는 노즐헤드부; 상기 제1중공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조절부; 상기 제2중공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조절부와 맞닿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체크핀;을 포함하되, 상기 체크핀의 일측은 상기 노즐분사구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일측 둘레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막형성홈과, 상기 선단부의 타측 둘레방향에 일정각도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홈과, 상기 체크핀의 타측은 상기 개폐조절부와 맞닿는 지지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One fluid injection nozzle assembly}
본 발명은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되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증가시키고 노즐 내부에 적재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한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나 인삼밭을 비롯하여 각종 시설농업에서는 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거나 필요시 약제를 분사하여 각종 세균이나 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저장조나 탱크에 저장된 물이나 양액 또는 약제를 펌프로 펌핑하여 작물이 자라는 시설의 상부에 설치된 배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한편, 일반 급수용 노즐이나 스프링클러를 사용할 경우, 작은 노즐 구멍이 물이나 양액 또는 약제에 포함된 고형 입자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노즐을 청소해주어야 하거나 노즐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관수설비의 유지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노즐 내부에 필터나 스트레이너를 삽입한 경우 이 필터나 스트레이너도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바, 이러한 노즐의 유지관리를 제대로 해주지 못할 경우, 일부 작물이 물이나 양액을 공급받지 못해 균일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은 물론, 방제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의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용 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방제의 시작과 끝에 발생하는 물방울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약제의 과소모를 방지하고, 토양을 보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은 본체의 내부에 고압의 액상비료 또는 농약이 흐르면 본체 내부의 압력으로 인하여 밸브가 용수분사캡의 밸브지지부를 닫아 고압의 액상 비료 등이 용수 분사캡으로 흐르지 않고 노즐팁 부재를 통해 분사되고, 저압의 용수가 흐르면 밸브가 스프링에 의해 용수분사캡이 밸브지지부와 이격되어 용수가 용수분사캡을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어 용수를 농산물의 뿌리와 근접한 지면에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10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38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지지부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가압부를 통과하며 가압되고, 선단부를 통과하며 다시 감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가 회전유도홈에 접촉과 동시에 체크핀이 회전함으로서 유입되는 유체에 일정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서 고속의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중공이 형성되는 노즐몸체부;
상기 노즐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
상기 노즐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노즐분사구가 형성되는 노즐헤드부;
상기 제1중공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조절부;
상기 제2중공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조절부와 맞닿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체크핀;을 포함하되,
상기 체크핀의 일측은 상기 노즐분사구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일측 둘레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막형성홈과, 상기 선단부의 타측 둘레방향에 일정각도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홈과, 상기 체크핀의 타측은 상기 개폐조절부와 맞닿는 지지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외경은 상기 가압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외경은 상기 가압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외경은 상기 선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체가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부를 통과하며 가압이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가 상기 선단부를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막형성홈은,
상기 선단부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중공의 일측 단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유도홈은,
상기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체크핀이 상기 유체의 일정압력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볼;
상기 탄성볼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유입부에 상기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면, 상기 스프링이 길이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유체유입부를 개폐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에 따르면, 유체가 지지부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가압부를 통과하며 가압되고, 선단부를 통과하며 다시 감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가 회전유도홈에 접촉과 동시에 체크핀이 회전함으로서 유입되는 유체에 일정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서 고속의 유체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의 체크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핀과 제1, 2중공 간의 이격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의 체크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핀과 제1, 2중공 간의 이격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는 크게, 노즐몸체부(100)와, 유체유입부(200)와, 노즐헤드부(300)와, 개폐조절부(400) 및 체크핀(5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는, 냉각용, 습도 조절용, 살균용 또는 미세먼지 억제용, 공기 정화기용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의 구조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코팅 또는 도포용 노즐, 세척용 노즐 또는 분배기용 노즐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의 적용 분야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상기 노즐몸체부(100)는, 내부 길이방향으로 제1중공(1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1중공(110)의 일측 끝단의 내경은 이하 설명될 유체유입부(200) 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제1중공(110)은 이하 설명될 개폐조절부(4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조절부(400)는 상기 제1중공(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이하 설명될 체크핀(500)을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중공(110)의 일측은 상기 개폐조절부(400)에 구성된 탄성볼(410)의 일측 단면(반구형상)과 대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중공(110)의 타측 끝단은 이하 설명될 노즐헤드부(300)와 결합을 위한 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구(111)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헤드부(300)와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중공(110)의 내경은 상기 결합구(1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외주면으로는 복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를 파지하여 이하 설명될 유체유입구(20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유체공급수단(미도시)과 결합될 경우, 미끄러지지 않게 파지함으로서 상기 유체공급수단(미도시)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몸체부(100)의 일측에 별도의 역압부(미도시)가 설치되되, 상기 역압부(미도시)는 상기 제1중공(11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역압부(미도시)의 역압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몸체부(100) 내부에 잔류하는 상기 유체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노즐몸체부(100)의 내부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유입부(200)는, 상기 노즐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다양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유체유입부(200)는 상기 제1중공(110)과 연통되는데, 상기 유체공급수단(미도시)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중공(110)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유입부(200)의 내경은 상기 제1중공(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상술된 상기 제1중공(110)의 일측 끝단의 내경이 상기 유체유입부(200) 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형상 즉, 상기 유체유입부(200)의 내경 보다 상기 제1중공(11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유입부(200)에서 상기 제1중공(110) 측으로 확산되며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부(200)의 일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필터(미도시)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는 직경이 0.01 ㎜ 이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이하 설명될 노즐분사구(32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헤드부(300)는, 상기 노즐몸체부(100)의 타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2중공(310)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노즐분사구(320)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노즐헤드부(300)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구(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구(330)는 상기 결합구(111)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노즐몸체부(100)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중공(310)에는 이하 설명될 체크핀(5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크핀(500)은 상기 개폐조절부(400)의 슬라이딩과 동시에 상기 제2중공(3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노즐분사구(320)는 상기 노즐헤드부(30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유입부(200)로 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최종적으로 공기중에 미립자 또는 액적 형태로 분무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분사구(320)의 단면은 입구 내경보다 출구 내경이 더 큰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유체를 공기중으로 확산시켜 분무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부(400)는, 상기 제1중공(110)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유입부(200)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조절부(400)는, 상기 유체유입부(20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볼(410)과, 상기 탄성볼(4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42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개폐조절부(400)는, 상기 유체유입부(200)로 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가해지면, 상기 탄성볼(410)과 접촉된 후 상기 스프링(420)이 길이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유체유입부(200)가 개방되고, 다시 압력이 감소하면 상기 스프링(420)이 길이방향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볼(410)이 상기 유체유입부(200)를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이하 설명될 상기 체크핀(500)의 선단부(510)로 공급되면, 상기 체크핀(500)은 상기 유체의 유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폐쇄되면 상기 체크핀(500)은 상기의 유체의 분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의 분사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체크핀(500)의 선단부(510)와 상기 노즐분사구(320)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 즉,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선단부(510)와 상기 노즐분사구(320) 간에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개방 즉, 수압이 온(ON)되면 상기 체크핀(500)의 선단부(510)와 상기 노즐분사구(3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폐쇄 즉, 수압이 오프(OFF)되면 상기 체크핀(500)의 선단부(510)와 상기 노즐분사구(3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조절부(400)를 통해 상기 유체유입부(200)의 개폐하는 구조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체크핀(500)은, 상기 제2중공(310)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조절부(400)와 맞닿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체크핀(500)의 일측은 상기 노즐분사구(32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선단부(510)와, 상기 선단부(510)의 일측 둘레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막형성홈(520)과, 상기 선단부(510)의 타측 둘레방향에 일정각도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홈(530)과, 상기 체크핀(500)의 타측은 상기 개폐조절부(400)와 맞닿는 지지부(540)와, 상기 선단부(510)와 상기 지지부(540)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압부(5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540)는 상기 제1중공(110)에 위치되고, 상기 선단부(510)와 상기 가압부(550)는 상기 제2중공(310)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540)의 외경은 상기 가압부(5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510)의 외경은 상기 가압부(5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540)의 외경은 상기 선단부(5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540)의 외경 끝단과 상기 제1중공(110)의 내경 끝단 사이에는 유입되는 유체를 감압시키는 제1감압구간(D1) 즉, 상기 제1중공(110)과 상기 지지부(54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감압구간(D1)은, 상기 유체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제1중공(110)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감압구간(D1)을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압부(550)의 외경 끝단과 상기 제2중공(310)의 내경 끝단 사이에는 유입되는 유체를 가압시키는 가압구간(D2) 즉, 상기 제2중공(310)과 상기 가압부(55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구간(D2)은, 상기 제1감압구간(D1)을 통과하며 감압되어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구간(D2)을 통과하며 가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선단부(510)의 외경 끝단과 상기 제2중공(310)의 내경 끝단 사이에는 유입되는 유체를 재 감압시키는 제2감압구간(D3) 즉, 상기 제2중공(310)과 상기 선단부(51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감압구간(D3)은, 상기 가압구간(D2)을 통과하며 가압되어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2감압구간(D3)을 통과하며 재 감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체가 상기 지지부(540)를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부(550)를 통과하며 가압이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가 상기 선단부(510)를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술된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감압구간(D1)은 1.5 ~ 1.9 mm2 사이로 형성하게 되고,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은 6.9 ~ 7.4 mm2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은 5.2 ~ 5.7 mm2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제1감압구간(D1)이 1.5 mm2 미만의 이격거리가 형성될 경우, 상기 유체가 상기 제1감압구간(D1)을 통과 시, 상기 유체의 유속이 급속히 증가됨으로 인해 압력이 낮아져 적정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상기 제1감압구간(D1)이 1.9 mm2 초과된 이격거리가 형성될 경우, 상기 유체가 상기 제1감압구간(D1)을 통과 시, 상기 유체의 압력이 급속히 증가됨으로 인해 유속이 낮아져 적정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1감압구간(D1)은 1.5 ~ 1.9 mm2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구간(D2)이 6.9 mm2 미만의 이격거리가 형성될 경우,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구간(D2)을 통과 시, 상기 유체의 유속이 급속히 증가됨으로 인해 압력이 낮아져 적정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상기 가압구간(D2)이 7.4 mm2 초과된 이격거리가 형성될 경우,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구간(D2)을 통과 시, 상기 유체의 압력이 급속히 증가됨으로 인해 유속이 낮아져 적정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이 상기 제1감압구간(D1) 보다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감압구간(D3)이 5.2 mm2 미만의 이격거리가 형성될 경우, 상기 유체가 상기 제2감압구간(D3)을 통과 시, 상기 유체의 유속이 급속히 증가됨으로 인해 압력이 낮아져 적정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이 5.7 mm2 초과된 이격거리가 형성될 경우, 상기 유체가 상기 제2감압구간(D3)을 통과 시, 상기 유체의 압력이 급속히 증가됨으로 인해 유속이 낮아져 적정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이 상기 가압구간(D2) 보다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즐분사구(320)에서 상기 유체가 균일하게 분사되는 정도를 판단하는 분사균일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D1 D2 D3 D2/D1 D3/D2 분사균일도
실시예 1 1.7 7.2 5.5 4.2 0.76
비교예 1 1.3 7.2 5.5 5.5 0.76 X
비교예 2 2.1 7.2 5.45 3.4 0.76 X
비교예 3 1.6 6.5 5.45 4.1 0.84 X
비교예 4 1.8 7.8 5.3 4.3 0.68 X
비교예 5 1.6 7.4 5.5 4.6 0.74
비교예 6 1.9 7.1 5.5 3.7 0.77
비교예 7 1.7 7.4 5.2 4.4 0.70
비교예 8 1.7 6.85 5.65 4.0 0.82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7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2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2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6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에서 분사균일도가 가장 균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3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2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5.5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6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 대비 정밀한 분사균일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2.1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2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4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3.4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6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1 대비 정밀한 분사균일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6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6.5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4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1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84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3에서는 실시예 1 대비 정밀한 분사균일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8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8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3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3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68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1 대비 정밀한 분사균일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6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4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6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4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5에서는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만 실시예 1 대비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6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9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1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3.7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7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6에서는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만 실시예 1 대비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7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7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7.4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2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4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0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7에서는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만 실시예 1 대비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8에서는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을 1.7 mm2 ,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을 6.85 mm2 ,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을 5.65 mm2 로 형성한 후 분사균일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0배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82배의 감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8에서는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만 실시예 1 대비 분사균일도가 균일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표 1의 실시예 1과 같이 상기 제1감압구간(D1)의 단면적은 1.5 ~ 1.9 mm2 사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간(D2)의 단면적은 6.9 ~ 7.4 mm2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감압구간(D3)의 단면적은 5.2 ~ 5.7 mm2 사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구간(D2)과 상기 제1감압구간(D1)에서 4.0 ~ 4.4배의 가압과, 상기 제2감압구간(D3)과 상기 가압구간(D2)에서 0.72 ~ 0.80배의 감압을 통해 분사균일도가 우수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막형성홈(520)은, 상기 선단부(510)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중공(310)의 일측 단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노즐분사구(32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막형성홈(520)에는 상기 유체의 유입 시 일정량의 유체가 충진하게 되는데, 상기 수막형성홈(520)에 상기 유체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단부(510)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중공(310)의 일측 단면이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선단부(510)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중공(310)의 일측 단면의 면접촉으로 인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체크핀(500)의 후퇴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유도홈(530)은, 상기 체크핀(500)을 일정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유도홈(530)은 상기 선단부(510)의 타측 둘레방향에 일정각도 편심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유도홈(530)은 상기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유체의 일정압력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체크핀(500)이 회전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유도홈(530)은 일정각도 편심되는 유입단(L1)과 유출단(L2)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단(L1)을 접촉하면서 상기 유입단(L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유입단(L1)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단(L2)을 가압한 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체크핀(50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일정압력의 상기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회전유도홈(530)에 접촉과 동시에 상기 체크핀(500)에 일정 회전력을 부가하게 되는데, 상기 체크핀(500)이 회전하면서 상기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고속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단(L1)에서 상기 유출단(L2)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입단(L1)에서 상기 유출단(L2)으로 갈수록 폭이나 깊이가 작아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노즐분사구(320)를 통해 분사될 경우, 상기 유체의 유속을 가속시켜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입단(L1)에서 상기 유출단(L2)으로 갈수록 폭이나 깊이가 넓어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노즐분사구(320)를 통해 분사될 경우,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가압하여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막형성홈(520)과 상기 회전유도홈(530)은 상호 교차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막형성홈(520)과 상기 회전유도홈(530)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될 경우, 상기 회전유도홈(530)에서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수막형성홈(520)에 충진된 일정량의 유체가 상기 유체의 이동압력에 의해 제거됨으로서, 상기 선단부(510)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중공(310)의 일측 단면의 면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상기 체크핀(500)이 후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막형성홈(520)과 상기 회전유도홈(530)은 상호 교차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의 유체 분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유체유입구(200)에 상기 유체공급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유체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유입구(200)로 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는 상기 제1중공(110)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상기 제1중공(110)의 일측 끝단의 내경은 상기 유체유입부(200) 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유체가 확산되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유입부(200)로 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는 상기 개폐조절부(400) 즉, 상기 탄성볼(410)에 일정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420)이 길이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유체유입부(200)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유체가 상기 제1중공(110)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상기 유체는, 상기 지지부(540)를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부(550)를 통과하며 가압이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가 상기 선단부(510)를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상기 선단부(5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선단부(510)의 타측 둘레방향에 일정각도 편심되도록 복수개 형성된 상기 회전유도홈(530)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단(L1)을 접촉하면서 상기 유입단(L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유입단(L1)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단(L2)을 가압한 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체크핀(500)을 회전하면서 상기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는 와류를 형성되며 상기 노즐분사구(320)를 통해 최종적으로 공기중에 미립자 또는 액적 형태로 분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체공급수단(미도시)에서 상기 유체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상기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420)이 길이방향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볼(410)이 상기 유체유입부(200)를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폐쇄되면 상기 체크핀(500)은 상기의 유체의 분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개폐조절부(4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의 분사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체크핀(500)의 선단부(510)와 상기 노즐분사구(320)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 즉,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선단부(510)와 상기 노즐분사구(320) 간에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에 따르면, 유체가 지지부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가압부를 통과하며 가압되고, 선단부를 통과하며 다시 감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가 회전유도홈에 접촉과 동시에 체크핀이 회전함으로서 유입되는 유체에 일정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서 고속의 유체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노즐몸체부 110 : 제1중공
111 : 결합구 200 : 유체유입부
300 : 노즐헤드부 310 : 제2중공
320 : 노즐분사구 330 : 돌출구
400 : 개폐조절부 410 : 탄성볼
420 : 스프링 500 : 체크핀
510 : 선단부 520 : 수막형성홈
530 : 회전유도홈 540 : 지지부
550 : 가압부 L1: 유입단
L2 : 유출단

Claims (6)

  1. 내부에 제1중공이 형성되는 노즐몸체부;
    상기 노즐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부;
    상기 노즐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며, 일측단에 노즐분사구가 형성되는 노즐헤드부;
    상기 제1중공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조절부;
    상기 제2중공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조절부와 맞닿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체크핀;을 포함하되,
    상기 체크핀의 일측은 상기 노즐분사구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일측 둘레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막형성홈과, 상기 선단부의 타측 둘레방향에 일정각도 편심되어, 상기 수막형성홈과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홈과, 상기 체크핀의 타측은 상기 개폐조절부와 맞닿는 지지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압부가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경 끝단과 상기 제1중공의 내경 끝단 사이의 제1감압구간(D1), 상기 가압부의 외경 끝단과 상기 제2중공의 내경 끝단 사이의 가압구간(D2), 상기 선단부의 외경 끝단과 상기 제2중공의 내경 끝단 사이의 제2감압구간(D3)이 형성되어, 각 구간의 단면적이 D2>D3>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감압구간(D1)을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가 상기 가압구간(D2)을 통과하며 가압이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가 상기 제2감압구간(D3)을 통과하며 감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홈은,
    상기 선단부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중공의 일측 단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홈은,
    상기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체크핀이 상기 유체의 일정압력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유체유입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볼;
    상기 탄성볼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유입부에 상기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면, 상기 스프링이 길이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유체유입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KR1020200145976A 2020-11-04 2020-11-04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KR10244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976A KR102441002B1 (ko) 2020-11-04 2020-11-04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976A KR102441002B1 (ko) 2020-11-04 2020-11-04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25A KR20220060225A (ko) 2022-05-11
KR102441002B1 true KR102441002B1 (ko) 2022-09-06

Family

ID=8160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976A KR102441002B1 (ko) 2020-11-04 2020-11-04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6721A1 (en) * 2006-07-06 2008-01-10 Yu-Chiung Huang Mist nozzle
US20120261493A1 (en) * 2011-04-14 2012-10-18 Hui Ting Hsu Atomizing nozzl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014Y1 (ko) 1999-07-21 2000-11-01 주식회사효성하이테크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US6415994B1 (en) * 2000-08-29 2002-07-09 Clayton F Boggs Rotational nozzle atomizer
KR101053837B1 (ko) 2009-06-18 2011-08-08 김영환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6721A1 (en) * 2006-07-06 2008-01-10 Yu-Chiung Huang Mist nozzle
US20120261493A1 (en) * 2011-04-14 2012-10-18 Hui Ting Hsu Atomizing nozz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25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7259B1 (de) Medizinischer sprühkopf mit druckgasunterstützung
DE19520622C2 (de) Vorrichtung zum Vernebeln von Fluiden
DE60029556T2 (de) System zur Verabreichung von Arzneimittlen mit einem Arzneimittelbehälter und dessen Halterung
KR102608410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 시스템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EP2527041B1 (de) Zwischenstück für einen statischen Sprühmischer
CN105557667B (zh) 用于园林喷药装置的可调喷头
KR102077790B1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분사장치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KR102441002B1 (ko) 일류체 분사노즐 어셈블리
KR20180031117A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DE4122594A1 (de) Vorrichtung zum einstellbaren zufuehren eines fluessigen materials
WO2006012769A1 (de) Präzisions-dosimeter
KR101052270B1 (ko) 스프링클러
KR101052269B1 (ko) 스프링클러
KR101827367B1 (ko) 농약용 살포기 어셈블리
KR200495277Y1 (ko) 동적 노즐
KR20160027729A (ko)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KR102607290B1 (ko)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20240001381A1 (en) Nozzle assembly and spray system including same
CN109922894A (zh) 用于液体分配系统的配接器
DE102008049913A1 (de) Luftpinsel
KR20040080031A (ko) 액체분무용 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