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171B1 -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171B1
KR102440171B1 KR1020210119689A KR20210119689A KR102440171B1 KR 102440171 B1 KR102440171 B1 KR 102440171B1 KR 1020210119689 A KR1020210119689 A KR 1020210119689A KR 20210119689 A KR20210119689 A KR 20210119689A KR 102440171 B1 KR102440171 B1 KR 10244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ser
fa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규
정상곤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센
Priority to KR102021011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사 등의 서비스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단말기에서 QR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QR이미지에 의하여 공항의 게이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QR이미지에 포함된 항공권 정보 혹은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출입국심사 이후에도, 상기 QR이미지를 이용하여 공항 내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공항내에서 공항 안면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irport Face Certification}
본 발명은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사 등의 서비스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단말기에서 QR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QR이미지에 의하여 공항의 게이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QR이미지에 포함된 항공권 정보 혹은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출입국심사 이후에도, 상기 QR이미지를 이용하여 공항 내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공항내에서 공항 안면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의 종류에는 1차원 코드, 2차원 코드가 있다.
1차원 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식이고, 2차원 코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1차원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방식이다. 1차원 코드는 알파벳, 숫자, 제한된 문자만을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비해, 2차원 코드는 한글, 한문은 물론, 그림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2차원 코드는 데이터의 용량에서도 1차원 코드와 비교가 안되며, 인쇄와 판독에 있어서도 1차원 코드보다 월등한 기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는 1차원 코드로서, 간단한 정보만 표현할 수 있는 수준이다. 즉, 바코드는 굵기가 서로 다른 흰색 바(bar)와 검은색 바를 조합하여 1차원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원하는 알파벳이나 숫자, 특수 문자 등을 데이터로 표현한다. 이 외에도 1차원 코드로는 UPC(Universal Product Code), EAN(European Article Numbering), code 39/93/128/11 등이 있다.
2차원 코드로 대표적인 것은 PDF417코드, QR 코드, Data Matrix 등이 있다.
이중 QR 코드는 디코딩이 빠르고 기존 사용하고 있는 코드에 비해 대용량, 고밀도, 오류 정정 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일 예로 도서 커버에 책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부착하거나 인쇄하여 배포하고 있으며, 또는 회전 초밥집의 접시에 프린트하거나 거리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QR 코드는 생활 전반에 필요한 정보인 즉, 명함, 전화번호, 문자, 홈페이지 URL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QR 코드 기반 서비스는 QR 코드 하나에 하나의 컨텐츠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편적인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QR 코드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하자, 그럼 이러한 QR 코드를 인식할 시 서버의 연동 없이 바로 QR 코드를 통해 해당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다른 예로, QR 코드에 'URL' 정보를 기록한 경우에는 코드 인식시 서버와 연동하여 즉, URL 정보와 매칭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로부터 관련 컨텐츠를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 QR 코드 기반 서비스는 제공할 컨텐츠와 코드간 일대일 매칭으로 단편적인 서비스 제공 방식이어서 서비스 확장에 제한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신분증 등을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7932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공항에서의 게이트 통과시 본인 인증 등을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사 등의 서비스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단말기에서 QR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QR이미지에 의하여 공항의 게이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QR이미지에 포함된 항공권 정보 혹은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출입국심사 이후에도, 상기 QR이미지를 이용하여 공항 내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공항내에서 공항 안면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단말기,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 및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는 안면정보송신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기등록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를 검증하는 사용자검증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 및 QR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QR이미지등록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QR이미지전송단계; 사용자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인식이미지전송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서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와 대조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검증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검증정보를 상기 스캐너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는,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정보를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입력단계; 입력받은 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 및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암호화하는 안면특징정보암호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서버에 안면인증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안면이미지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이미지등록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록용 안면이미지를 입력받는 등록안면이미지입력단계; 입력받은 등록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등록특징정보검출단계; 및 등록특징정보를 인증이 불가능하는 조각으로 분리한 후, 분할저장하는 등록특징정보분할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검증단계는, 상기 안면송신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안면특징정보를 복호화하는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 분할저장된 상기 등록특징정보를 조합하는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 및 상기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에서 복호화한 특징정보 및 상기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에서 조합한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검증하는 특징정보검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의 인증QR이미지는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다시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 재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 및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인증QR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정보가 포함된 인증QR이미지는, 공항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식이미지전송단계는,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입력받는 스캐너안면이미지입력단계; 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고, 인식된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스캐너특징정보비교단계; 및 상기 스캐너특징정보비교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인식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인증QR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외부의 항공사서버로 송신하는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에서는, 상기 항공사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QR이미지와 상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토대로 항공사QR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항공사QR이미지는 해당 사용자의 탑승권을 대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단말기,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 및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는 안면정보송신부; 서비스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기등록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를 검증하는 사용자검증부; 서비스서버에서,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 및 QR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QR이미지등록부;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QR이미지전송부; 사용자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부;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인식이미지전송부; 서비스서버에서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서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를 대조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정보생성부; 및 상기 검증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검증정보를 상기 스캐너장치에 송신하는 부;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정보에 기반한 QR이미지를 통해, 공항 내에서의 체크인 및 출입국수속 절차에 있어서 종래의 절차보다 시간을 단축시고, 준비과정을 간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만큼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인증QR이미지가 악용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서버와 통신할 때, 종단간 암호화과정을 통해서, 통신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안문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사서버로 인증QR이미지를 전송하면, 항공사서버에서는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 및 항공권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항공권QR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항공권QR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항공권과 여권을 동시에 구비하지 않고, 항공권QR이미지 하나로 공항 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QR이미지에 사용자의 카드정보가 입력 되어있어, 공항 내의 면세구역 혹은 편의시설에 하나의 인증QR이미지를 이용하여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 관리 아키텍처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서비스서버에 등록되는 바이오 정보를 분할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출 사고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이미지등록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정보송신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검증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 및 인증QR이미지가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에서 수행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모듈”, “컴포넌트”에 대한 해석도 전술한 “~부”에 따르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스마트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방법 혹은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설치되어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한국공항공사가 운영 혹은 제공하거나, 또는 제3업체가 한국공항공사를 대신하여 운영 혹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와 협약을 맺은 금융사에서 제공 혹은 운영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QR이미지”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에 대한 이미지이며, 상기 QR코드는 컴퓨터가 만든 흑백 격자무늬 패턴 코드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코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QR이미지는 종래의 QR코드보다 같은 크기일 경우 80% 늘어난 정보량을 저장할 수 있는 iQR코드에 대한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 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서비스서버(1000), 사용자단말기(2000), 및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서비스서버(1000)에서 사용자단말기(2000)와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상기 안면정보에 기초하여 QR이미지를 생성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공항 내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QR이미지를 본인인증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0) 및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생성된 QR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금융사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1 이상의 메모리 및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검증하고, 검증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 혹은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생성된 QR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카드정보 및 항공권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QR이미지를 이용하여 공항 내 편의시설을 종래의 본인인증절차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몇 실시 예에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와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이하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공항 이용객의 신원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스캐너 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스캐너장치와 QR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공항 내에서 출입국 심사 및 비행기 탑승 전 게이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서비스서버(1000)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는 안면정보송신단계(S100);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신한 상기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기등록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를 검증하는 사용자검증단계(S101); 서비스서버(1000)에서,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 및 QR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QR이미지등록단계(S102);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S102)에서 생성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2000)에 송신하는 QR이미지전송단계(S103);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0)에 전송하는 인식이미지전송단계; 서비스서버(1000)에서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서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S102)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와 대조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검증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검증정보를 상기 스캐너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S100)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안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한다. 상기 안면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그대로의 모습이 담긴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안면이미지에서 추출한 특징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프로세스는 딥-러닝(Deep-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안면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검증단계(S101)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안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기등록된 안면정보와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를 검증한다. 상기 기등록된 안면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공항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본인의 안면정보를 미리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등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등록된 안면정보는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S102)에서는, 단계 S101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검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검증결과에 대한 정보 및 QR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고 등록한다.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되는 QR식별정보에는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생성된 인증QR이미지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상기 생성된 인증QR이미지 대한 정보는 상기 인증QR이미지 자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인증QR이미지의 생성정보, 즉 생성시간, 생성장소, 혹은 유효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등록되며, 등록된 상기 인증QR이미지는 후술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QR이미지전송단계(S103)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로 단계 S102에서 생성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전송한다.
단계 S103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 S104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상기 인증QR이미지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가 수행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S102)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를 수신한 이후에, 별도의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증절차를 완료한 경우, 상기 인증QR이미지는 기설정된 시간만큼만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절차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인증QR이미지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인증절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S105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증QR이미지가 공항 내 스캐너 장치에 스캔된 이후,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는 단계 S106 내지 단계 S108에 해당하는 상기 인식이미지전송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6에서는, 공항 내 스캐너 장치를 통하여 단계 S105에서 스캔된 인증QR이미지와 함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스캐너안면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스캐너안면이미지는 현장에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상기 공항 내 스캐너 장치로 스캔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단계 S107은 스캔정보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캔정보는 단계 S106에서 입력 받은 스캐너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특징정보; 및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특징정보;를 의미한다.
단계 S108은, 단계 S107에서 비교 검증을 완료한 경우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 입력 받은 인증QR이미지가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109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 내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단계 S105에서 스캔된 인증QR이미지를 단계 S102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와 대조하여 검증한 후, 검증결과에 대한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정보생성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110에서는 단계 S109 이후에,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검증정보가 상기 스캐너장치로 송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0), 서비스서버(1000), 및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 수행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 및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QR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0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을 통해 수행되는 안면정보송신단계(S100) 및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의 내부구성에 포함되는 상기 안면정보송신부(2110) 및 QR이미지디스플레이부(2120)에서 수행될 수 있고, 각 단계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 및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1000) 내에서 사용자정보 및 안면이미지정보를 등록 및 저장;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QR이미지를 생성 및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를 참고하여, 사용자검증단계(S101), QR이미지등록단계(S102), QR이미지전송단계(S103), 검증정보생성단계, 안면이미지등록단계, 및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는 각각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포함되는 사용자검증부(1010), QR이미지등록부(1020), QR이미지전송부(1030), 검증정보생성부(1040), 안면이미지등록부(1100), 및 항공사QR이미지전송부(12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DB를 포함한다. 상기 DB는 1 이상의 메모리 및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서버(1000) 내부에 위치하거나,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외부에 위치하여 통신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공항 내에 설치되어 공항 이용객의 안면이미지 및 상기 공항 이용객에 해당하는 QR이미지를 스캔함으로써,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항 내에서 출입국 심사 및 탑승구 게이트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 및 상기 서비스서버(10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혹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상기 컴퓨팅장치가 수신한 뒤, 해당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이미지전송단계가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 포함된 인식이미지전송부(301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이미지등록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안면인증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안면이미지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이미지등록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록용 안면이미지를 입력받는 등록안면이미지입력단계(S200); 입력받은 등록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등록특징정보검출단계(S201); 및 등록특징정보를 인증이 불가능하는 조각으로 분리한 후, 분할저장하는 등록특징정보분할저장단계(S2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록안면이미지입력단계(S20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본인의 등록안면이미지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등록안면이미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안면이미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안면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그 이후에 상기 등록안면이미지가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상기 등록안면이미지를 등록하는 경우, 상기 등록안면이미지는 별도의 암호화과정을 통해 암호화되어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과정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등록특징정보검출단계(S201)에서는, 상기 등록안면이미지입력단계(S200)에서 입력받은 상기 등록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등록특징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등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특징정보로, 상기 안면이미지등록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사용자검증단계(S101)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등록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데 있어서 딥-러닝 기반의 추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등록특징정보분할저장단계(S202)에서는, 상기 등록특징정보검출단계(S201)에서 검출한 등록특징정보를 분할하여 저장한다. 상기 등록특징정보를 분할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저장되는 상기 안면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분할된 등록특징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DB 내에서 분리된 구역에 저장될 수 있고, 혹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금융결제원의 바이오정보 분산관리센터에서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정보송신단계(S1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S100)는, 사용자단말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정보를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 입력받은 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S301); 및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암호화하는 안면특징정보암호화단계(S30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S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2100)을 통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 상에서 입력받은 안면이미지에서 특징정보를 검출하여 암호화한 뒤,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에 상기 안면이미지를 입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에서는, 안면인식 Fake 방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안면인식 Fake 방지 기능은, 상하/좌우/눈 깜빡임 등의 얼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안면모션 인식; 혹은 고객과의 UI(User Interface) 또는 UX(User Experience)를 활용한 라이브니스(Liveness) 체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살아 움직이는 얼굴에 대해서만 안면인식이 이뤄지도록 하여, 사진 또는 이미지를 통한 안면인식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안면인식 Fake 방지 기능은 선글라스 또는 마스크착용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S301)에서는, 입력받은 상기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은 딥-러닝 기반의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 및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안면이미지를 인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특징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의 DB(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특징정보는 본 발명의 방법 혹은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 프로세스에 포함된 딥-러닝 기술이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의 DB를 통해 특징정보 검출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빠른 안면인식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안면특징정보암호화단계(S302)에서는, 상기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S301)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한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암호화과정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에서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특징정보를 추출한 암호화된 이미지를 송신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과정에서는 Key Diversification 기반의 E2E 키를 생성하고, 공개키를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암호화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과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사전 공유된 E2E키를 통해 종단간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에서는 상기 안면이미지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 국적, 개인식별번호, 혹은 여권번호 등 여권 상에서 얻을 수 있는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검증단계(S101)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검증단계(S101)는, 상기 안면송신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안면특징정보를 복호화하는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S400); 분할저장된 상기 등록특징정보를 조합하는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S401); 및 상기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S400)에서 복호화한 특징정보 및 상기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S401)에서 조합한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검증하는 특징정보검증단계(S4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S400)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상기 안면특징정보암호화단계(S302)를 거쳐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된 상기 특징정보를 추출한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신된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과 공유된 E2E 키를 활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S401)는, 상기 등록특징정보분할저장단계(S202)에서 분할저장된 등록특징정보를 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S40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구역 또는 금융결제원의 바이오정보 분산관리센터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0)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DB로부터 상기 분할저장된 등록특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조합할 수 있으며, 조합이 완료된 등록특징정보는 상기 등록특징정보검출단계(S201)에서 생성한 등록특징정보와 동일한 특징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특징정보검증단계(S402)는, 상기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S400)에서 복호화한 이미지에서 특징정보를 검출한 뒤, 상기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S401)에서 조합한 상기 등록특징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상기 복호화한 이미지에서 검출된 특징정보와 상기 등록특징정보가 일치하거나 혹은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일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통한 본인인증이 완료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검증단계(S101)가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는 QR이미지등록단계(S102)를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인코딩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생성된 인증QR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QR이미지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생성시간, 생성장소, 혹은 유효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QR이미지에는 해당 QR이미지의 유효기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유효기간이 지난 인증QR이미지를 통해서는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없다. 즉, 대부분의 경우에 생성된 인증QR이미지는 일회성에 그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성된 인증QR이미지를 도용하는 등의 악용사례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기간은 1분 내지 수 초 이내의 짧은 시간으로 설정할수록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지만 너무 짧은 시간으로 설정할 경우 본인인증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효기간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운영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1000) 내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는 유효기간이 지나게 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0) 혹은 서비스서버(1000)와 연결된 DB 내에서 폐기될 수 있으며,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S102)에서는, 사용자단말기(2000)로부터 사용자검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새로운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인증QR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로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 및 인증QR이미지가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는, 사용자단말기(20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100)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다시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S500); 재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S501); 및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S501)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의 어플리케이션(2100)을 통해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인증QR표시단계(S50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상기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는, 로컬에서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그 자리에서 사용자검증과정을 한 번 더 수행한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의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인증QR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2차 검증과정을 통해 인증QR이미지를 악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S500)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다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S500)에서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미지 입력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S501)는, 재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미지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재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S301)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QR표시단계(S502)는,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S501)에서의 사용자검증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이 사용자단말기(2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인증QR이미지뿐만 아니라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에서 입력한 상기 사용자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S500)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S100)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S500)와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S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 내에서 동일한 기술로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2100)은 상기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에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캡쳐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QR이미지가 다른 소프트웨어에 의해 캡쳐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외의 다른 촬영장치를 통해 상기 인증QR이미지의 사본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표시되는 인증QR이미지는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지난 인증QR이미지는 사용자인증에 사용될 수 없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정보가 포함된 인증QR이미지는 공항 내에서 출입국심사 이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금융사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서버(1000)를 운영하는 금융사의 고객인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카드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S102)에서 생성되는 인증QR이미지에 카드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항 내의 면세구역 혹은 편의시설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카드정보가 포함된 인증QR이미지를 결제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이미지전송단계는,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입력받는 스캐너안면이미지입력단계(S300); 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고, 인식된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스캐너특징정보비교단계; 및 상기 스캐너특징정보비교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인식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0)에 전송하는 인증QR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안면스캐너장치(3100) 및 QR스캐너장치(3200)를 포함한다. 상기 안면스캐너장치(3100)는 공항 이용객이 기설정된 자리에 서있을 때, 내장된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공항 이용객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공항 이용객의 안면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공항 이용객의 다양한 키를 고려하여, 상기 안면스캐너장치(3100)는 상하위치가 조절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는 상기 안면스캐너장치(3100)를 통해 입력된 공항 이용객의 안면이미지 상의 특징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S301)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상기 공항이용객의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QR스캐너장치(3200)는 내장된 적외선센서를 활용하여 상기 공항 이용객의 사용자단말기(20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인증QR이미지를 스캔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S501)에서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QR스캐너장치(3200)를 통해 입력받은 인증QR이미지상에 포함된 특징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는 안면스캐너장치(3100)와 QR스캐너장치(3200)를 통해 얻은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스캔된 인증QR이미지가 상기 공항 이용객에 대한 인증QR이미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스캐너를 통해 입력받은 특징정보가 일치한다면, 입력받은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 수행되는 인식이미지전송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수행되는 안면정보송신단계(S100) 및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S104)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 프로그래밍 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의 어플리케이션(2100)과 동일한 기술로 설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에서 입력받은 상기 인증QR이미지가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되면,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는 상기 검증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검증정보송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사용자검증을 완료한 후, 공항 이용객에 대한 검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공항 내 스캐너장치(3000)는 상기 검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항 이용객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에서 수행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외부의 항공사서버로 송신하는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에서는, 상기 항공사서버가 사용자단말기(2000)로부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QR이미지와 상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토대로 항공사QR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항공사QR이미지는 해당 사용자의 탑승권을 대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체크인정보요청단계(S600)에서는, 상기 항공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사용자의 체크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크인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탑승권에 대한 항공편 정보, 좌석정보, 혹은 여권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체크인입력단계(S601)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상기 항공사서버로부터 모바일체크인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항공사서버가 요청한 체크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항공사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QR이미지를 전송(S602)받은 뒤, 상기 인증QR이미지와 상기 체크인정보에 기초하여 항공권QR이미지를 생성(S603)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혹은 사용자정보 및 카드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권QR이미지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효기간정보를 가지고 있어 상기 항공권QR이미지를 악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권QR이미지에는 사용자정보, 해당 사용자의 카드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항공권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면세구역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여권, 항공권, 및 결제수단을 모두 지참해야 하는 종래의 구매방식에 비해, 하나의 QR이미지를 이용하여 빠르고 간편한 구매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의 컴퓨팅 장치는 전술한 서버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1000), 혹은 노드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2100)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정보에 기반한 QR이미지를 통해, 공항 내에서의 체크인 및 출입국수속 절차에 있어서 종래의 절차보다 시간을 단축시고, 준비과정을 간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만큼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인증QR이미지가 악용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서버와 통신할 때, 종단간 암호화과정을 통해서, 통신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안문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사서버로 인증QR이미지를 전송하면, 항공사서버에서는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 및 항공권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항공권QR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항공권QR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항공권과 여권을 동시에 구비하지 않고, 항공권QR이미지 하나로 공항 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QR이미지에 사용자의 카드정보가 입력 되어있어, 공항 내의 면세구역 혹은 편의시설에 하나의 인증QR이미지를 이용하여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 관리 아키텍처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서비스서버에 등록되는 바이오 정보를 분할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출 사고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210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사용자단말기,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 및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는 안면정보송신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기등록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를 검증하는 사용자검증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 및 QR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QR이미지등록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QR이미지전송단계;
    사용자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인식이미지전송단계;
    서비스서버에서, 인식이미지전송단계에서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와 대조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검증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검증정보를 상기 스캐너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QR이미지등록단계에서의 인증QR이미지는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다시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
    재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 및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인증QR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정보가 포함된 인증QR이미지는, 공항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수 없고,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외부의 항공사서버로 송신하는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에서는,
    상기 항공사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QR이미지와 상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토대로 항공사QR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항공사QR이미지는 해당 사용자의 탑승권 및 결제수단을 대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체크인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탑승권에 대한 항공편정보, 좌석정보 및 여권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는,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정보를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입력단계;
    입력받은 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안면특징정보검출단계; 및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암호화하는 안면특징정보암호화단계;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서버에 안면인증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안면이미지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이미지등록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록용 안면이미지를 입력받는 등록안면이미지입력단계;
    입력받은 등록안면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안면이미지에 대한 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등록특징정보검출단계; 및
    등록특징정보를 인증이 불가능하는 조각으로 분리한 후, 분할저장하는 등록특징정보분할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검증단계는,
    상기 안면정보송신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안면특징정보를 복호화하는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
    분할저장된 등록특징정보를 조합하는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 및
    상기 안면특징정보복호화단계에서 복호화한 특징정보 및 상기 등록특징정보조합단계에서 조합한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검증하는 특징정보검증단계;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이미지전송단계는,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입력받는 스캐너안면이미지입력단계;
    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고, 인식된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스캐너특징정보비교단계; 및
    상기 스캐너특징정보비교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인식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인증QR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8. 삭제
  9. 사용자단말기,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 및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는 안면정보송신부;
    서비스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기등록된 안면이미지 혹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를 검증하는 사용자검증부;
    서비스서버에서,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 및 QR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QR이미지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QR이미지등록부;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QR이미지등록부에서 생성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QR이미지전송부;
    사용자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부;
    공항 내의 스캐너장치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인식이미지전송부;
    서비스서버에서, 인식이미지전송부에서 인식된 인증QR이미지를 상기 QR이미지등록부에서 생성된 인증QR이미지와 대조하여 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검증정보생성부; 및
    상기 검증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검증정보를 상기 스캐너장치에 송신하는 부;를 포함하고, 상기 QR이미지등록부에서의 인증QR이미지는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QR이미지디스플레이부에서 수행되는 QR이미지디스플레이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다시 입력받는 안면이미지재입력단계;
    재입력받은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QR이미지에 포함된 인코딩된 안면이미지의 특징정보와 비교하는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 및
    상기 로컬특징정보비교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QR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인증QR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정보가 포함된 인증QR이미지는, 공항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인증QR이미지는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수 없고,
    상기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인증QR이미지를 외부의 항공사서버로 송신하는 항공사QR이미지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공사QR이미지전송부에서 수행되는 항공사QR이미지전송단계에서는,
    상기 항공사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QR이미지와 상기 모바일체크인정보를 토대로 항공사QR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항공사QR이미지는 해당 사용자의 탑승권 및 결제수단을 대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체크인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탑승권에 대한 항공편정보, 좌석정보 및 여권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시스템.
KR1020210119689A 2021-09-08 2021-09-08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44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89A KR102440171B1 (ko) 2021-09-08 2021-09-08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89A KR102440171B1 (ko) 2021-09-08 2021-09-08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171B1 true KR102440171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689A KR102440171B1 (ko) 2021-09-08 2021-09-08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1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399A (ko) * 2017-03-20 2018-10-01 한상택 출입국 정보 자동 기입 장치 및 방법
KR20210100839A (ko) * 2020-02-07 2021-08-18 신한카드 주식회사 얼굴 정보를 이용한 등록 및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399A (ko) * 2017-03-20 2018-10-01 한상택 출입국 정보 자동 기입 장치 및 방법
KR20210100839A (ko) * 2020-02-07 2021-08-18 신한카드 주식회사 얼굴 정보를 이용한 등록 및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5435A1 (en) Single Step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ing Proximity and Biometric Input
US81083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a terminal
US10504111B2 (en) Secure mobile device transactions
US20220067695A1 (en) Financial payment method and pay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US10984420B2 (en) Transaction device
CN113469698A (zh) 注册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7182387A (ja) パスポート情報利用システム
US10430792B2 (en) Transaction device
TW202022663A (zh) 識別認證系統及其方法
KR102440171B1 (ko) 공항 내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20210224814A1 (en) Universal biometric system
JP743280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230024631A (ko) 안면인증 기반 qr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70247A1 (en) Method for checking individuals with simplified authentication
JP2024007701A (ja) 決済システム、端末装置、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06478A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ー端末、ユーザー媒体、認証方法、被認証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7182388A (ja) パスポート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