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882B1 -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882B1
KR102439882B1 KR1020210004902A KR20210004902A KR102439882B1 KR 102439882 B1 KR102439882 B1 KR 102439882B1 KR 1020210004902 A KR1020210004902 A KR 1020210004902A KR 20210004902 A KR20210004902 A KR 20210004902A KR 102439882 B1 KR102439882 B1 KR 10243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actuator
housing
resonant frequenc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137A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4179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40221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04N5/225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진동 모터;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렌즈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 보다 작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와 다른 값을 갖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주기능이었던 음성 통화 기능 뿐만 아닌, 화상 통화 기능, 인터넷 기능, 카메라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가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다.
특히 화상 통화나 카메라 기능에 이용되는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의 경우, 기존의 열화된 화질과는 달리 고화질 영상을 담을 수가 있을 정도로 급속히 개발되었다.
모바일 기기의 주기능인 통화 기능에 있어서는, 통화 벨소리가 점진적으로 개선된 것과 아울러 진동음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특히 진동음의 경우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주기나 빈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진동음을 결정하는 진동 모터의 세기가 증가하거나 빠른 응답 속도를 위해서 리니어 진동 모터를 채용하는 모바일 기기가 늘어나고 있다. 리니어 모터의 떨림 방향은 상하방향이며,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이동 방향 역시 상하 방향이다. 따라서, 리니어 모터의 공진점에 따른 떨림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이상 떨림이 발생하여, 소비자의 감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의 떨림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떨림 현상이 적어짐으로 인해 떨림음이 감소하며 감성적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진동 모터;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렌즈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 보다 작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떨림 현상을 줄여 떨림음이 감소하며 감성적 불량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동작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와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와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변위를 나타내는 도표,
도 5는 도 4a의 그래프를 시간-진폭을 각각의 축으로 하여 표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에서 변위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가동부(100)와 고정부(200)를 구비한다. 가동부(100)는 보빈(120), 렌즈(110) 및 코일(130)을 포함하고 있고, 고정부(200)는 커버캔(210), 하우징, 마그넷 및 베이스(22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가동부(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언급한 가동부(100)와 고정부(200)의 구성들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구성들로 도 1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각 구성의 기능들과 관련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220)는 커버캔(210), 하우징, 마그넷, 보빈(120), 렌즈(110) 및 코일(13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렌즈(110)는 대부분 보빈(120)에 장착되며, 보빈(120)에 권선된 코일(130) 및 코일(130)과 마주하는 마그넷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보빈(120)에 장착된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미도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Z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구성은 일 실시예일 뿐,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다른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의 경우 고정부(200)의 구성이라고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가동부(100)에 마그넷이 구비된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30)의 경우 가동부(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동부(100)가 최대 변위까지 이동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스프링(30)의 구성 역시 상기 가동부(100)와 접촉식 혹은 비접촉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 족한 것이지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동작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100) 및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Z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120)에 권선된 코일(130) 및 코일(130)과 마주하는 마그넷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Z축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일(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의하여,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힘은 가동부(100)의 방향을 상측 혹은 하측으로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리니어 모터의 동작과 관련하여, 모바일 기기의 진동음을 생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와 같이 Z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진동음을 생성하는 리니어 모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한 것이다.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진동수를 나타낸다.
도 3의 그래프를 보면, 진동수가 피크가 되는 지점이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다.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 ωm(10)은 약 176Hz가 된다. 즉, 리니어 모터는 공진주파수인 176Hz에서 가장 큰 진동음을 갖게 된다. 다만, 다른 조건에서는 이보다 조금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를 회피하면서, 리니어 모터의 진동에 따른 떨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를 리니어 모터의 그것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은 공정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를,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 범위인 175Hz에서 200Hz의 값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약 150Hz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진 주파수의 조절은 가동부(100)의 무게 및 스프링(30)의 스프링 상수 K의 조절로 가능하다. 즉, 공진 주파수는 아래의 식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1004690433-pat00001
여기서, k는 스프링 상수, m은 가동부의 무게를 의미한다.
즉, 스프링(30)의 재질이나 길이, 면적을 조절하여 스프링 상수 k를 변경할 수 있고, 가동부의 재질 등을 조절하여 m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 ω0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와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와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변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 ωa(20)는 약 77Hz로 설정되었다. 이를 도 4b에서 확인하면, 주공진 주파수 77Hz에서의 진폭은 약 70μm가 된다. 반면, 도 3에서 확인했듯이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 ωm(10)는 176Hz이다. 이를 도 4a의 그래프 및 도 4b의 도표에서 확인하면,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 ωm(10)가 176Hz일 때, 진폭은 30μm가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를 리니어 모터의 그것보다 작게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떨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가 60Hz에서 150Hz인 것이 좋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그래프 및 도표를 기초로, 진폭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상기 액츄에이터 자체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과 상기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는 약 40μm 이었다.
다만, 도 4a 및 도 4b의 경우는 일 실시예를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액츄에이터 자체의 공진 주파수 ωa(20)에 해당하는 진폭과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 ωm(10)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가 30μm 이상인 경우에는 떨림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 자체의 공진 주파수 ωa(20)에 해당하는 진폭과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 ωm(10)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가 3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a의 그래프를 시간-진폭을 각각의 축으로 하여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는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에 스윕(sweep)을 걸어주면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시간축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진폭을 나타낸다. 한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에 스윕(sweep) 시작점을 c, 종료점을 d라 표시하였다. 가해준 스윕 신호는 스윕 주파수 1~500Hz, 스윕 타임 1sec, 리플 입력 140mVpp, 오프셋 1.49Vdc로 설정하였고, 출력 파형은 사인파로 하여 결과값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는 75Hz이며,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 레벨(B)은 70μm 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에서 변위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변위가 100μm, 200μm, 300μm, 360μm일 때에, 도 5와 같은 기준으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변위가 100μm, 200μm, 300μm, 360μm인 지점에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면, 100μm에서 72.1Hz, 200μm에서 73.3Hz, 300μm에서 75.8Hz 그리고 360μm에서 77.7Hz가 된다. 즉, 변위가 높아질 수록 점점 공진 주파수가 상승하지만, 최대 변위 지점에서도 77.7Hz 정도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를 낮게 조절하는 경우, 리니어 모터의 공진 주파수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떨림 현상에 의한 사용자의 감성적 불량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300)는 리니어 모터 모듈(310) 및 카메라 모듈(320)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300)에 포함되는 구성인 리니어 모터 모듈(310) 및 카메라 모듈(320)은 상술한 바와 그 기능이 동일하다.
즉, 리니어 모터 모듈(310)과 카메라 모듈(320)은 동일하게 Z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인다. 다만, 리니어 모터 모듈(310)의 경우 175Hz 내지 200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반면, 카메라 모듈(320)의 공진 주파수는 가동부(100) 및 스프링 상수 k의 조절에 의하여 150Hz 이하로 설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60~150Hz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메라 모듈(320)에 포함된 가동부(100)는 렌즈(110), 보빈(120)과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고, 가동부(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부(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00)는 커버캔(210), 하우징, 마그넷 및 베이스(22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니어 모터 모듈(310)의 공진 주파수는 리니어 모터의 진동력을 가장 크게 하는 값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175Hz 내지 200Hz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카메라 모듈(320)에 포함된 액츄에이터 자체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과 리니어 모터 모듈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는 3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액츄에이터의 떨림 현상을 줄여 떨림음이 감소하며 감성적 불량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가동부(100)는, 렌즈(110)를 수용하는 보빈(120)과, 보빈(120)에 위치하는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는, 가동부(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30)은, 보빈(120) 및 고정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스프링(30)이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위치하며 코일(130)과 대향하는 마그넷과, 하우징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220)와, 베이스(220)와 결합하며 내부에 하우징 및 가동부(100)를 수용하는 커버캔(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일(130) 및 마그넷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스프링(30)은, 보빈(120)의 상부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스프링(10)과, 보빈(120)의 하부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스프링(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렌즈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이 최대 변위까지 이동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동 모터의 떨림 방향과,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은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 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 보다 작으며,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는 175Hz에서 200Hz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보빈, 상기 렌즈 및 상기 제1구동부의 무게와, 상기 스프링 상수 K에 기초하여 150Hz 이하이고,
    1Hz에서 500Hz 사이의 스윕주파수를 가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과 상기 진동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는 30㎛ 이상이고,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구동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보빈의 초기위치로부터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모바일 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캔, 내면에 상기 제2구동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하측에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변위가 증가할수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도 증가하는 모바일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측 스프링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최대 변위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60Hz에서 150Hz 사이의 값을 갖는 모바일 기기.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렌즈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마주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모터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이 최대 변위까지 이동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동 모터의 떨림 방향과,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은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 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 보다 작으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60Hz에서 150Hz 사이의 값을 가지고,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는 175Hz에서 200Hz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보빈의 초기위치로부터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보빈, 상기 렌즈 및 상기 코일의 무게와,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K에 기초하여 150Hz 이하인 모바일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보빈, 상기 렌즈 및 상기 코일의 무게와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에 의해 설정되는 모바일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캔, 내면에 상기 마그넷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하측에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변위가 증가할수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도 증가하는 모바일 기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측 스프링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0항에 있어서,
    1Hz에서 500Hz 사이의 스윕주파수를 가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과 상기 진동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는 30㎛ 이상인 모바일 기기.
  2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렌즈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의 떨림 방향과,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은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 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는 175Hz에서 200Hz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보빈, 상기 렌즈 및 상기 제1구동부의 무게와, 상기 스프링 상수 K에 기초하여 150Hz 이하이고,
    1Hz에서 500Hz 사이의 스윕주파수를 가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과 상기 진동모터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의 차는 30㎛ 이상이고,
    상기 진동 모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진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구동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보빈의 초기위치로부터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모바일 기기.
  21. 삭제
  22. 삭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캔, 내면에 상기 제2구동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하측에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25. 삭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변위가 증가할수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도 증가하는 모바일 기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측 스프링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최대 변위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공진 주파수는 60Hz에서 150Hz 사이의 값을 갖는 모바일 기기.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이 최대 변위까지 이동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모바일 기기.


KR1020210004902A 2020-04-06 2021-01-13 모바일 기기 KR10243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02A KR102439882B1 (ko) 2020-04-06 2021-01-13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95A KR20200040221A (ko) 2020-04-06 2020-04-06 모바일 기기
KR1020210004902A KR102439882B1 (ko) 2020-04-06 2021-01-13 모바일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95A Division KR20200040221A (ko) 2020-04-06 2020-04-06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137A KR20210008137A (ko) 2021-01-20
KR102439882B1 true KR102439882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902A KR102439882B1 (ko) 2020-04-06 2021-01-13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8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048A (ja) 2005-02-15 2006-08-31 Seiko Epson Corp アクチュエータの共振周波数の調整方法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6511B2 (ja) * 2005-03-31 2012-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駆動装置、撮影装置及び携帯電話
KR20100124135A (ko) * 2009-05-18 2010-11-26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20110005587A (ko) * 2009-07-10 201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진동 발생 방법 및 장치
KR20110003764U (ko) * 2009-10-09 2011-04-15 최천 선형 진동발생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048A (ja) 2005-02-15 2006-08-31 Seiko Epson Corp アクチュエータの共振周波数の調整方法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137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418B1 (ko) 이동단말기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의 변위 및 진동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N10531966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装置和电子设备
KR10200162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010004420A1 (en) Driving system with elastically supporting units
US200702365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mage stabilization
CN109655946A (zh) 可调透镜设备
KR940013148A (ko) 오토 포커스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H08166396A (ja)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
JPWO2020008750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10511237B2 (en) Method of driving a driving apparatus
JP2006345589A (ja) 駆動装置、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および駆動装置の制御方法
US7023326B2 (en) Vibration appar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39882B1 (ko) 모바일 기기
JP2013057872A (ja) 電磁駆動装置
JP4816414B2 (ja)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
CN103713373A (zh) 相机模块
KR102099969B1 (ko) 모바일 기기
KR20200040221A (ko) 모바일 기기
KR101950017B1 (ko)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JP2016130779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US11835736B2 (en) Optical device actuator and lens barrel provided with same
JP2005134951A (ja) 2次元位置制御方法、及び2次元位置制御装置
JP2008158233A (ja) ブレ補正装置、及び光学装置
JP3179380B2 (ja)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
KR100926686B1 (ko) 소형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