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285B1 -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285B1
KR102439285B1 KR1020200169924A KR20200169924A KR102439285B1 KR 102439285 B1 KR102439285 B1 KR 102439285B1 KR 1020200169924 A KR1020200169924 A KR 1020200169924A KR 20200169924 A KR20200169924 A KR 20200169924A KR 102439285 B1 KR102439285 B1 KR 10243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rtical
fixed
fixing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948A (ko
Inventor
최종율
Original Assignee
최종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율 filed Critical 최종율
Priority to PCT/KR2021/00840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05243A1/ko
Publication of KR2022000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4Retort stands; Retor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02Water baths; Sand baths; Air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04Heat insulating devices, e.g. jackets for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01L9/065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capillar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8Transport of container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rol For Bath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은, 응축기 및 반응기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은, 증류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며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이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평행봉; 지면 및 평행봉과 수직하고 봉이음부에 의해 평행봉에 결속되며 단면이 사각형인 수직봉; 상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의 바 형상으로써, 횡단면이 일단은 좁고 타단은 넓으며 양측면 길이는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이고, 수직봉 외주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 요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형성되어, 요홈부가 수직봉에 결합된 채 수직봉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고정바; ㄷ자 형상으로 고정바의 일단 측면에 결합되며 횡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양 갈래로 뻗는 다리부; 및 다리부 선단에 곡선으로 절곡되어 상호 원형을 이루며 원통형의 응축기를 움켜쥐는 한 쌍의 홀딩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 및 좁고 길게 형성된 판상으로써 고정바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수직봉을 압착하는 결합판; 결합판과 타측과 고정바의 타단 일측면을 결속시키는 고정나사; 결합판의 일측과 고정바의 일단 일측면을 결속시키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결속이 강화되어 고정바와 결합판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판과 고정바의 결속이 풀려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Bath Stand and Bath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증류 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와 반응기의 분리가 용이한 중탕용 스탠드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은, 반응기를 응축기에서 분리함에 있어서 응축기를 지지하는 클램프가 연결된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되, 고정바에 구비된 노브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바와 수직봉의 결속이 강화되면서 클램프가 지지하는 응축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노브를 타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바와 수직봉의 결속이 약화되면서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클램프가 지지하는 응축기를 쉽게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반응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고정바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노브를 풀었을 때 고정바가 낙하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스토퍼를 누른 상태에서 이동이 이뤄지고 누름을 해제하면 스토퍼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고정바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노브를 풀었을 때 쉽게 낙하되어 반응기 또는 응축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구를 구비한 수조에 다수의 링커버가 가열구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열기의 누출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중탕용 스탠드 및 중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류는 액체 혼합물 또는 고체 용질이 균일하게 녹아있는 용액을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황산과 같이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반면 인체에 매우 유해하여 각별한 유의가 필요한 경우 등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추출 방법으로써 중요하다.
증류 장치는 일반적으로 증류 대상이 되는 혼합물을 저장하는 플라스크와 같은 반응기가 중탕기에 담겨진 상태로 가열이 이뤄지면, 가열된 혼합물 중 끓는점이 낮은 혼합물이 먼저 증발되면서 반응기의 상단 목부에 연결된 냉각기로 전달되어 응축된 후 별도 연결된 플라스크 등의 용기에 모아지게 되어 추출이 이뤄지고, 이후 끓는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원하는 물질을 추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증류는 반응기와 응축기, 중탕기의 구성이 필요하고 응축기와 반응기를 연결하고 응축기를 붙잡고 있을 고정장치로서 중탕용 스탠드가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중탕용 스탠드는 세로로 직립된 응축기에 소정 간격 측면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클램프가 뻗어 나와 응축기를 잡고 클램프의 선단은 복수의 가로축에 연결되고 각 가로축의 양 선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세로축에 연결된 상태로 구성된 형태를 지닌다.
그런데 종래의 중탕용 스탠드는 반응기를 응축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응축기를 가령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으로 클램프를 조이고 있는 상하 2개의 나사를 순차적으로 풀은 후에 왼손으로 응축기를 들어 올리면 반응기가 중탕기로부터 상단으로 딸려 나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오른손으로 클램프의 상하 2개의 나사를 순서대로 조여서 클램프가 응축기를 단단히 붙잡을 수 있게 하여 응축기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킨 후 양 손을 이용하여 응축기 하단의 반응기를 분리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반응기를 응축기에 결합하고 중탕기 내부로 인입시킬 때에도 상술한 분리 절차의 역순으로 유사하게 진행해야 하는데, 한마디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특히 황산과 같은 위험물질을 다룰 때에는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 하나로 조작하는 것이 상당한 위험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중탕용 시스템은 중탕기에 담겨진 상태로 반응기가 가열될 때 중탕기의 상단을 통해 열기가 방출되면서 열손실이 많아서 열효율이 떨어지고 온도 상승이 지연되어 증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위험물질의 증류에 있어서도 안전하면서 편리하고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중탕용 스탠드와 이를 포함하는 중탕용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85375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은, 반응기를 응축기에서 분리함에 있어서 응축기를 지지하는 클램프가 연결된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되, 고정바에 구비된 노브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바와 수직봉의 결속이 강화되면서 클램프가 지지하는 응축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노브를 타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바와 수직봉의 결속이 약화되면서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클램프가 지지하는 응축기를 쉽게 승강시킬 수 있어 반응기와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고정바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노브를 풀었을 때 고정바가 낙하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스토퍼를 누른 상태에서 이동이 이뤄지고 누름을 해제하면 스토퍼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고정바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노브를 풀었을 때 쉽게 낙하되어 반응기 또는 응축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구를 구비한 수조에 다수의 링커버가 가열구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열기의 누출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중탕용 스탠드 및 중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는, 증류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며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이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평행봉; 지면 및 평행봉과 수직하고 봉이음부에 의해 평행봉에 접하며 결속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수직봉; 상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의 바 형상으로써, 횡단면이 일단은 좁고 타단은 넓으며 양측면 길이는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이고, 수직봉 외주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 요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형성되어, 요홈부가 수직봉에 결합된 채 수직봉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고정바; ㄷ자 형상으로 고정바의 일단 측면에 결합되며 횡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양 갈래로 뻗는 다리부; 및 다리부 선단에 곡선으로 절곡되어 상호 원형을 이루며 원통형의 응축기를 움켜쥐는 한 쌍의 홀딩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 좁고 길게 형성된 판상으로써 고정바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수직봉에 압착되어 연직 구성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바의 타측면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탄성강의 판상으로써, 일단은 고정바의 타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중심부는 고정바의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되어 연장된 후 수직봉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며, 타단은 수직봉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향되어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스토퍼의 너비는 고정바의 타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스토퍼의 타단에는 수직봉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통공이 구비되어 수직봉은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타단을 상부에서 누르면 통공의 내주면과 수직봉이 평행 배치되어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고, 누름을 중지하면 타단이 상향으로 복원되며 통공의 내주면과 수직봉의 단면이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슬라이딩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의 타단 내측과 고정바의 상단 사이에는 스토퍼의 타단 내측과 고정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과 측면으로 구성된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고정바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감싸며 구비되고, 일단은 고정바에 힌지 결합되며, 고정판의 상면 중심부 소정 위치에 수직봉이 관통되도록 수직봉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공이 통공 형성되는 고정판; 고정판 타단에 하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손잡이; 및 고정판 상면 내측과 고정바의 상면 타단 사이에 끼움 장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되, 고정판은 압축스프링 상부에 걸쳐 타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되 고정공의 내주면이 수직봉의 외주면에 엇갈리는 각도로 끼워져 고정바가 걸림 고정되고, 이동손잡이를 당겨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며 고정판이 고정바와 평행해지면 고정공의 내주면이 수직봉의 외주면과 평행 배치되면서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동손잡이 당김을 해제하면 압축스프링이 복원되면서 고정판이 고정바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고정바가 수직봉에 걸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은, 응축기의 하단과 소켓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증류 대상 혼합물이 담겨지고 중탕되는 반응기; 및 물이 저장되고 물의 가열장치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반응기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통공 형상의 가열구가 구비되어 반응기가 출입될 수 있으며 반응기를 중탕할 수 있는 중탕수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은, 소정 너비를 지니며 직경이 상이한 원형으로 다수 구비되는 링커버;를 더 포함하되, 다수의 링커버는 상호 테두리가 겹쳐지며 원형 판상을 형성하고 가열구를 커버하는 덮개를 형성하며 중탕수조 내부 열기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가열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내측 링커버의 중공을 통해 상부에는 응축기와 소켓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반응기가 구비되며 상호 연결되며, 반응기의 크기에 따라서 링커버를 탈착하여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노브를 풀고 고정바를 슬라이딩 시키는 동작만으로 응축기 및 반응기를 쉽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안전하게 증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노브를 풀었을 때 고정바의 상단 혹은 하단에 위치한 스토퍼가 고정바와 수직봉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노브를 푸는 순간 응축기 및 반응기가 낙하하며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스토퍼는 탄성강으로 구성되어 선단을 누르면 수직봉과 연직해지면서 고정바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며, 선단 누르는 것을 떼면 스토퍼와 수직봉이 상호 경사진 형태로 결합상태를 이뤄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응축기 및 반응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넷째, 추가실시예로써 이동손잡이와 고정판이 구비되어 이동손잡이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고정바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손잡이를 놓는 동작만으로 고정바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다.
다섯째, 스토퍼의 내측과 고정바의 상단 사이에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스토퍼의 누름과 복원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응축기와 반응기의 상하 이동 및 고정이 더욱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여섯째, 중탕 수조의 상단 가열구에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링커버가 덮개 역할을 하므로 수조 내의 열기를 보존하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크기가 상이한 반응기가 설치되더라도 그에 적합한 링커버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탕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위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토퍼가 구비된 중탕용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스토퍼가 고정바의 상단에 구비된 형태의 확대도이며 도 4의 (c)는 스토퍼가 고정바의 하단에 구비된 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스프링이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중탕용 스탠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정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및 이동손잡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및 이동손잡이를 측면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탕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위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며,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토퍼가 구비된 중탕용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스토퍼가 고정바의 상단에 구비된 형태의 확대도이며 도 4의 (c)는 스토퍼가 고정바의 하단에 구비된 형태의 확대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스프링이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중탕용 스탠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정면도이며,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및 이동손잡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및 이동손잡이를 측면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100)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10)은 중탕용 스탠드(100), 응축기(200), 반응기(300), 중탕수조(400)를 포함한다.
중탕수조(400)는 사각의 큰 박스형 케이싱으로써 상면에 통공 형상의 가열구(4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내부에는 물이 담길 수 있는 중탕용 수조가 구비되며 중탕수조(400)에 인접한 소정의 위치에 중탕수조(400)에 담긴 물을 데울 수 있는 있는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중탕수조(400)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응기(300)는 혼합물이 담겨지고 혼합물의 끓음 반응이 일어나는 플라스크와 같은 용기로써 반응기(300)에 혼합물이 담겨지면 증류 추출을 위해 반응기(300)는 가열구(410)를 통해 중탕수조(400) 내부로 삽입된 뒤 중탕수조(400)의 물에 담긴 채 물이 데워지면 중탕이 되면서 증류가 이뤄질 수 있다.
응축기(200)는 반응기(300)의 상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에 연결되어 상부에 위치하며, 반응기(300)에서 끓어 기화된 혼합물의 증기가 상승하면서 응축기(200)로 인입되면 증기의 열을 빼앗아서 응축 변화시켜 액화시킴으로써 혼합물로부터 원하는 물질을 추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응축기(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환류냉각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그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하고 응축기(200)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반응기(300)의 구성 및 후술하게 될 중탕용 스탠드(100)의 구성도 달라질 수 있다.
환류냉각기로써의 응축기(200)는 유리 재질로 원통형으로 구성된 외통(210) 및 외통(21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나선냉각관(2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200)의 상단에는 배출구(211), 하단에는 주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200)의 주입구(212)와 반응기(300)의 목부 상단은 소켓(310)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소켓(310)은 강성과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원통을 쉽게 잡을 수 있는 반원형의 집게가 상단과 하단에 2단으로 구성되고 상단과 하단은 복수의 연결부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310)의 상단 집게는 응축기(200)의 하단 주입구(212)를 움켜쥐듯 하여 끼워지고, 소켓(310)의 하단 집게는 반응기(300)의 상단 목부 또는 반응기(300)의 상단 목부에 끼워진 별도의 연결관을 움켜쥐듯 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 집게와 하단 집게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강하게 지지하면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응축기(200)와 반응기(300)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결합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반응기(300), 응축기(200), 중탕수조(400)는 증류 장치의 기본 구성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증류 장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증류 과정 및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탕용 스탠드(100)는 응축기(200)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응축기(200)를 붙잡고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응축기(200)의 하단에 연결된 반응기(300)에 혼합물이 채워지고 수조에 담겨져서 중탕이 이뤄지는 동안에 반응기(300)와 응축기(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중탕에 의한 증류 추출 과정이 완료되면 중탕용 스탠드(100)에 고정된 응축기(200)는 상부로 이동이 되고 그에 따라 응축기(200)의 하단에 연결된 반응기(300)가 딸려 올라오면서 반응기(300)가 수조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응축기(200)와 반응기(300)의 분리 또는 다른 필요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
응축기(200) 및 응축기(200)에 연결된 반응기(30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중탕용 스탠드(100)는 클램프(180), 고정바(140), 수직봉(120), 평행봉(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평행봉(110)은 단면적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을 지니는 가늘고 긴 봉 형상으로써 금속과 같이 강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면과 평행하며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이뤄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수직봉(120)은 평행봉(110)과 유사한 형상이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단면적이 사각형으로써 가늘고 긴 육면체의 봉 형상일 수 있다.
수직봉(120)은 평행봉(110) 및 지면과 수직하게 다수 구성되며 따라서 정면에서 목측 시 수직봉(120)과 평행봉(110)의 구성은 바둑판무늬와 같을 수 있다.
다수의 수직봉(120) 중 양 측면 선단에 위치한 수직봉(120)은 지면에 고정되며 기둥 역할을 할 수 있고, 양 측단 수직봉(120) 사이 중심부에 위치하는 수직봉(120)은 지면에 고정될 수도 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직봉(120)의 원활한 수평이동을 위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이 타당하다.
수직봉(120)과 평행봉(110)은 상호 교차지점에서 복수의 중공이 구비된 봉이음부(1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봉이음부(130)는 육면체 형상으로써 일측으로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수직봉(120)이 상기 상하 관통 중공에 끼워질 수 있고 타측으로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평행봉(110)이 상기 양 측면 관통 중공에 끼워질 수 있어 수직봉(120)과 평행봉(110)을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호 교차 결합시킬 수 있다.
봉이음부(130)의 양 측단에는 각각 수직봉(120)과 평행봉(1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고정볼트가 봉이음부(130)에 삽입되며 조임으로써 수직봉(120)과 평행봉(11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양 측면 선단에 위치한 수직봉(120)에 단턱이 설치되어 평행봉(110)이 걸쳐짐으로써 평행봉(110)의 수평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끼워지며 수직봉(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일단 방향으로는 응축기(200)를 붙잡아 고정하는 클램프(180)가 구비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결합되는 육면체로써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이되, 고정바(140)의 횡단면은 일단이 타단 대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양측면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횡단면 전체적으로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며, 고정바(140)의 일단은 응축기(200)를 향하며 타단은 평행봉(110)을 향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고정바(140)의 일단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복수로 구비되는 클램프(180)는 상하로 뻗은 고정바(140)의 측면에서 평행하게 뻗어나간 팔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며 응축기(200)를 붙잡고 있는 형상이 되는데, 고정바(140)가 수직봉(120)에 결합된 채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면 클램프(180) 또한 응축기(200)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높이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이 고정바(140)의 역할이고 이를 위해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고정바(140)는 또한 클램프(180)가 응축기(200)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응축기(200) 및 반응기(300)를 중탕수조(400)로부터 빼서 상부로 들어 올리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고 수직봉(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즉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결합과 풀림이 원활하게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야 하고 결합 시에는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되 풀림 시에는 고정바(140)가 수직봉(120)을 따라 부드럽게 상하 이동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바(140)의 일측면에는 종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부(141)는 수직봉(1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직봉(120)을 맞춤 수용할 수 있고, 고정바(140)는 요홈부(141)가 수직봉(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봉(120)을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고정바(140)와 수직봉(120)을 결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풀림이 이뤄져 고정바(140)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선택적 조작을 위해서 고정바(140)와 수직봉(120)에는 결합판(150), 고정나사(170), 노브(16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판(150)은 좁고 길게 형성된 판상으로써 고정바(140)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밀착되어 수직봉(120)과 연직하게 배치되며 수직봉(120)을 압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판(150)의 횡방향 길이는 고정바(140)의 너비에 대응될 수 있으며, 결합판(150)의 타측은 고정바(140)의 타단 일측면에 밀착된 채 고정나사(170)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140)의 일단은 타단 대비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었으므로 결합판(150)이 고정바(14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결합판(150)의 타측이 고정바(140)의 타단 일측면에 결속이 되면, 평평한 결합판(150)의 일측은 고정바(140) 일단의 일측면과 미세하게 이격되어 약간 들뜬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결합판(150)의 일측에는 노브(160)가 결합판(150)을 관통하여 고정바(140)에 삽입되며 결합판(150)의 일측과 고정바(140)의 일단 일측면을 결속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노브(160)는 볼트가 결합된 회전손잡이로써 노브(16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노브(160)의 볼트는 고정바(140)에 삽입되면서 노브(160)와 결합판(150)과 고정바(140)가 점차 밀착이 이뤄질 수 있고, 고정바(140)의 일단과 타단에서 노브(160)와 고정나사(170)에 의해 고정바(140)와 강한 결속이 이뤄진 결합판(150)은 수직봉(120)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면서 고정바(140)가 수직봉(120)을 따라 이동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바(140)의 일단에 구비된 클램프(180) 또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클램프(180)의 홀딩부(181)에 홀딩되어 있는 응축기(200)는 현재 위치가 고정되며 응축기(200)의 하단에 연결된 반응기(300)의 위치 또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노브(160)와 결합판(150) 사이에는 와셔(161)가 구비되어 노브(160)의 일방향 회전으로 인한 결합판(150) 압착 시 압력을 분산시키고 결합판(150)의 훼손을 방지하며 결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상태에서 반응기(300)가 중탕수조(400)에 있으면 중탕 가열을 할 수 있으며, 반응기(300)가 중탕수조(400)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면 응축기(200)와 반응기(300)의 분리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노브(160)는 고정바(140)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결합판(150)과 고정바(140) 및 노브(160)의 결속상태가 풀리게 되며, 결합판(150)의 일측과 고정바(140) 일단의 일측면이 약간 들뜬 상태가 되면서 헐거워지므로 결합판(150)이 수직봉(120)과 고정바(140)를 압착하는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고정바(140)를 잡고 상하 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바(140)는 요홈부(141)에 수직봉(120)이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봉(1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고정바(140)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응축기(200) 및 반응기(300)가 배치되면 상기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시 노브(1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판(150)과 고정바(140)와 수직봉(120)이 강하게 압착되면서 결속되어 고정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판(1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고정바(140)의 일측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결합판(150) 중 하나의 결합판(150)은 일측과 타측에 모두 고정나사(170)가 체결되어 고정바(140)에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결합판(150)에는 타측에만 고정나사(170)가 체결되고 일측에는 노브(160)가 구비되어 결합판(150)의 일측과 고정바(140)를 체결할 수 있다.
고정바(140)에 결합판(150)이 3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도 노브(160)는 1개의 결합판(150)에만 구비되고 나머지 결합판(150)은 모두 고정나사(170)로 체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바(140)의 상하 이동을 할 때에는 노브(160) 1개만 조임과 풀림 회전을 통해서 간편하게 조작될 수 있다.
클램프(180)는 고정바(140)의 일단에서 응축기(200) 방향 측면에 결합되며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180)는 고정바(14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리부(182)와 응축기(200)를 감싸며 움켜쥐는 홀딩부(181)로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180)의 일단에 위치하는 다리부(182)는 ㄷ자 형상으로써 고정바(140)의 일단 측면에 절곡 부위가 결합되고 횡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양 갈래로 뻗는 형상일 수 있다.
다리부(182)의 양 갈래 선단에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드럽고 강질이면서 미끄럽지 않은 재질로 구비되는 홀딩부(181)가 각각 구비되며, 홀딩부(181)는 다리부(182) 선단에서 외측으로 둥근 곡선으로 절곡되어 상호 원형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홀딩부(181)는 응축기(200)의 외통(210)을 움켜쥐듯이 감쌀 수 있고 홀딩부(181)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로 고정되면 홀딩부(181)는 응축기(200)를 단단히 결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리부(182)의 양 갈래 선단에는 조임볼트(183)가 선단 일측에 구비되고 나비너트(184)가 선단 타측에 구비되어 조임볼트(183)가 다리부(182) 선단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며 나비너트(184)에 결합되고, 나비너트(184)를 회전시켜 다리부(182) 선단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홀딩부(181)를 강하게 조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딩부(181)가 응축기(200)를 단단히 결속한 상태에서 고정바(14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사용자는 응축기(200)를 잡고 있는 클램프(180)를 풀거나 조이는 동작 없이 고정바(140)에 부착된 노브(160)의 회전과 고정바(140)의 이동만으로 응축기(200)와 반응기(300)의 상하 이동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바(140)와 결합판(150)이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판(150)이 수직봉(120)과 고정바(140)를 조여주는 결합상태가 헐거워지며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데, 이때 고정바(140) 또는 클램프(180) 또는 응축기(200) 등 고정바(140)와 연결된 장치들을 붙잡지 않은 상태에서 노브(160)를 풀면 고정바(140)가 수직 낙하하게 되어 응축기(200) 또는 반응기(300)가 파손될 위험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노브(160)를 풀 경우에는 고정바(140) 또는 클램프(180) 또는 응축기(200)를 한 손으로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 노브(160)를 돌려 푸는 것이 안전한데, 이렇게 되면 양 손의 자유로운 동작이 제한되므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바(140)의 타측면 상단에는 스토퍼(14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42)는 고정바(140)의 타측면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탄성강 재질의 판상으로써, 일단은 고정바(140)의 타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중심부는 고정바(140)의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되어 연장된 후 수직봉(120)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며, 타단은 수직봉(120)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향되어 구비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142)의 타단에는 수직봉(120)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통공이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통공은 사각형일 수 있다.
스토퍼(142)의 타단은 상기 통공에 수직봉(120)이 끼워지면서 장착이 되고, 수직봉(120)에 비스듬히 끼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스토퍼(142)는 고정바(140)의 타측면 너비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판상이되 중심부가 절곡되어 내각이 90도 이상으로 벌어진 형상으로써 고정바(140)의 타측면 상단에 스토퍼(142)의 일단을 부착하면 타단은 수직봉(120)을 향해 비스듬히 상향되어 기울어진 형태가 되며 타단을 수직봉(120)이 관통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본 결합상태에서 스토퍼(142)의 통공 내주면과 수직봉(120)의 외주면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서로 어긋나 있는 각도로 결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42)의 타단은 통공이 수직봉(120)에 끼워진 채 움직일 수 없는 지지상태를 이루게 되고, 스토퍼(142)의 타단 통공이 수직봉(120)에 걸려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므로 노브(160)를 풀더라도 고정바(140)는 낙하하지 않고 현재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봉(120) 근처 스토퍼(142)의 타단을 상면에서 누르면 스토퍼(142)는 탄성강 재질이므로 스토퍼(142)의 타단은 누르는 압력에 의해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고정바(140)와 평행한 방향으로 꺾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토퍼(142)의 통공 내주면은 수직봉(120)의 외주면과 평행 배치되고 따라서 통공 내주면은 수직봉(120)에 걸림이 없이 지지가 해제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42) 타단을 누르면 고정바(140)는 스토퍼(142)의 걸림 없이 수직봉(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토퍼(142)가 구비된 중탕용 스탠드(100)에 있어서 응축기(200)를 하강하고자 하면,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판(150)과 수직봉(120)의 결합상태를 헐겁게 한 뒤 한 손으로 고정바(14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스토퍼(142)를 눌러 스토퍼(142) 통공과 수직봉(120)을 평행하게 맞춘 뒤 고정바(140)를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뒤에 스토퍼(142)를 누르고 있는 손을 떼면 탄성강 재질의 스토퍼(142)는 다시 원래 상태대로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복원이 되고 따라서 고정바(140)는 이동된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응축기(200)를 상승하고자 하면, 한 손으로 고정바(14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스토퍼(142)를 누른 상태에서 고정바(140)를 위로 올린 후 스토퍼(142)에서 손을 떼면 고정바(140)의 상승 이동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고정바(140)에 스토퍼(142)가 구비됨으로써 안전하게 응축기(200) 및 반응기(30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매우 간편하고 쉬운 동작으로 조절이 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42)는 고정바(140)의 하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스토퍼(142)가 고정바(140)의 하단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스토퍼(142)의 형상은 동일하되 다만 스토퍼(142)의 일단은 고정바(140)의 타측면 하단에 부착되고 절곡 부위는 고정바(14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위치하며 스토퍼(142)의 타단은 수직봉(120)을 향해 비스듬히 하향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스토퍼(142)가 고정바(140)의 하단에 구비된 경우에는, 스토퍼(142)의 타단을 위를 향해 누른 상태에서 고정바(14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인 동작 및 원리는 스토퍼(142)가 고정바(140)의 상단에 구비된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스토퍼(142)에는 압축스프링(143)이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42)는 탄성강 재질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절곡 부위를 기준으로 스토퍼(142)의 타단을 누르면 타단의 각도가 누르는 방향으로 꺾어지고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면 타단의 각도가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그런데 스토퍼(142)를 장시간 사용하면 스토퍼(142)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탄성 복원력이 약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압축스프링(143)은 스토퍼(142)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143)은 스토퍼(142)의 타단 내측과 고정바(140)의 상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직봉(120)을 기준으로 수직봉(120)의 좌우에 스토퍼(142)와 고정바(140)를 위아래로 연결하며 압축스프링(143)이 장착될 수 있는데, 수직봉(120)의 일측에 하나만 장착될 수도 있고 수직봉(120)의 양측에 복수로 장착될 수도 있다.
스토퍼(142)가 고정바(14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압축스프링(14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스토퍼(142)의 타단 내측과 고정바(140)의 하단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143)이 구비된 상태에서 스토퍼(142)를 이용한 고정바(140)의 이동은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고정바(140)에는 고정판(190), 이동손잡이(191), 압축스프링(143)이 구비되어 전술한 노브(160) 혹은 스토퍼(142) 대신 고정바(140)의 위치 이동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고정판(190)은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상면 및 상면으로부터 양 측면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데, 고정판(190)의 상면은 고정바(140)의 상면에 대응되고 양 측면은 고정바(140)의 상부 측면을 소정 길이 커버하는 형상으로 걸쳐지면서 고정판(190)은 고정바(140)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190)의 일단은 고정바(140)의 상면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가령 고정판(190)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힌지결합단(190b)이 고정바(1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내삽된 후 힌지결합단(190b)의 양 측단과 고정바(140)의 내측면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90)은 고정바(140)의 상부에 접한 상태에서 일단을 축으로 하여 힌지 회전하게 됨으로써, 고정판(190)의 타단이 고정바(140)의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승강할 수 있게 된다.
고정판(190)이 고정바(140)의 상면을 감싸며 형성됨에 따라 고정판(190)의 중심부 소정 위치에서는 수직봉(120)에 접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봉(120)에 접하는 위치에 고정공(190a)이 통공 형성될 수 있다.
고정공(190a)은 수직봉(1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수직봉(120)의 외주면에 고정공(190a)의 내주면이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완전히 밀착되지는 않고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봉(120)의 단면과 고정공(190a)이 평행한 상태에서 고정판(190) 및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반면 수직봉(120)의 단면과 고정공(190a)이 소정 각도로 엇갈린 상태가 되게끔 고정판(190)이 경사 배치되면 수직봉(120)의 외주면은 고정공(190a)의 내주면에 걸리면서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동손잡이(191)는 고정판(190)의 타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직하게 구비될 수 있어서, 가령 사용자는 엄지로 고정바(140)의 측면을 지지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이동손잡이(191)를 파지하면서 손을 오므리는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90)의 타단은 고정바(140)의 상면 타단 외측으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길게 형성될 수 있어야 하며 이동손잡이(191)는 고정바(140) 타단 외측에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여 구성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고정바(140)의 일단과 이동손잡이(191)까지가 한 손에 잡힐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수 있어야 한다.
이때 압축스프링(143)이 고정판(190) 상면 내측과 고정바(140)의 상면 타단 내측 사이에 끼움 장착될 수 있다.
즉 압축스프링(143)은 횡방향으로는 수직봉(120)과 이동손잡이(191) 사이에 위치하고, 종방향으로는 고정판(190)과 고정바(14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스프링으로써 나선의 일단은 고정판(190) 상면 내측에 접하고 나선의 타단은 고정바(140) 상면 내측에 접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143)이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고정판(190) 상면 내측에는 소정 길이 및 너비의 돌기 혹은 후크가 구비되어 나선 일단이 결합 고정되고, 고정바(140)의 상면에는 소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143)의 나선 타단이 상기 요홈에 내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데, 가령 고정바(140)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43)의 길이는 약 1.5㎝ 내외, 그리고 고정바(140) 상면에 노출되어 고정판(190)의 타단 상면 내측까지 이어지는 압축스프링(143)의 길이는 약 2.5㎝ 내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143)이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판(190) 혹은 이동손잡이(191)에 어떠한 압력도 가해지지 않으면 고정판(19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경사지며 배치가 이뤄지고 이동손잡이(191)은 고정바(140)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이격 배치된다.
즉 고정판(190)의 일단은 고정바(140)의 상면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밀착되고 고정판(190)의 타단은 압축스프링(14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결국 고정판(190)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직봉(120)의 외주면과 고정공(190a)의 내주면은 비평행 상태로 소정 각도 엇갈린 결합이 되어 슬라이딩 되지 않으므로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손잡이(191)를 파지하여 고정바(140) 측면과 평행해지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면 이동손잡이(191)가 이동하게 되고, 이동손잡이(191)의 이동에 따라 고정판(190)의 타단이 고정바(140)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면 압축스프링(143)이 고정판(190)에 눌리면서 압축이 되며, 고정공(190a)의 내주면은 수직봉(120)의 외주면에 평행한 상태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직봉(120)과 고정공(190a)의 평행한 상태가 고정바(140)의 이동 상태가 될 수 있는데 그 형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유사할 수 있으며, 고정공(190a)은 수직봉(120)에 미세하게 이격되어 인접 형성되는 것이므로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아무 걸림 없이 수직봉(1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동손잡이(191)를 놓으면 압축스프링(143)이 복원되면서 고정판(190)의 타단이 들어올려지고 고정공(190a)과 수직봉(120)이 걸려 이동이 제한되므로, 고정바(140)의 위치를 조정하는 순간에는 이동손잡이(191)를 고정바(140)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속적인 힘을 가하고 있어야 하고, 이후 고정바(140)가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완료되고 나면 이동손잡이(191)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된다.
그러면 압축스프링(143)이 복원되면서 고정판(190)이 상향 경사 배치되어 수직봉(120)과 고정공(190a)이 어긋나게 걸리며 고정바(140)가 수직봉(1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이동손잡이(191)에 힘을 가하지 않는 평상시에 고정바(140)는 수직봉(120)에 걸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손잡이(191)에 힘을 가하여 고정바(140)와 평행하게 하면 고정바(14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동 후 이동손잡이(191)를 놓으면 그 위치에서 고정바(140)는 종방향 위치가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바(140)와 이동손잡이(191)를 한 손에 움켜쥐고 오므리는 동작만으로 고정바(140)의 상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된 후에 손을 놓는 것만으로 해당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양 손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는 고정바(14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노브(160)를 조정하는 등의 불편하고 위험한 과정 없이, 간단하고 쉬우며 안전한 방법으로 응축기(200) 및 반응기(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탕 시스템(10)은 상술한 중탕용 스탠드(100) 및 응축기(200), 반응기(300), 중탕수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중탕 시스템(10)의 특징으로써 중탕수조(400)의 가열구(410)에는 반응기(300)의 상면을 덮는 링커버(420)가 구비될 수 있다.
링커버(420)는 소정 너비를 지니며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원형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링커버(420)는 상호 테두리가 겹쳐지며 전체적으로는 원형의 판상을 형성하면서 가열구(410)를 커버하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열구(410)의 테두리에는 가장 직경이 큰 링커버(420)가 위치하고, 상기 최대 직경 링커버(420)의 내측에는 직경이 작되 최대 직경 링커버(420)의 내측 둘레에 걸쳐지는 링커버(420)가 구비되고, 이후 직경이 작아지는 링커버(420)들이 순차적으로 테두리가 겹치며 배치될 수 있다.
가열구(4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내측 링커버(420)의 중공을 통해 반응기(300)의 목부가 상부로 노출되고 상부에는 응축기(200)와 소켓(310)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반응기(300)의 몸통부가 구비된다.
결구 가열구(410)와 링커버(420)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응축기(200)가, 하부에는 반응기(3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중탕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때 중탕수조(400)에서 가열장치가 가동되어 물이 끓고 반응기(300)가 데워질 때 외부로 열이 발산되어 열손실이 생기면 그만큼 중탕이 늦어지고 증류의 효과도 감소하게 되는데, 이의 방지를 위해 링커버(42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링커버(420)는 반응기(300)와 가열구(410) 사이 틈새를 차단하면서 중탕수조(400) 외부로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커버(420)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링으로 구성되고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큰 반응기(300)가 사용되어 가열구(410)에 노출되는 반응기(300)의 몸통부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커버할 면적이 작으므로 링커버(420)가 소수만 사용될 수 있고, 작은 반응기(300)가 사용되어 가열구(410)에 노출되는 반응기(300)의 몸통부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커버할 면적이 많으므로 링커버(420)가 다수 사용될 수 있다.
링커버(420)의 장착은 응축기(200)와 반응기(300)를 연결하기 전 반응기(300)의 크기와 가열구(410)의 직경을 고려하여 링커버(420)의 개수를 결정하고, 반응기(300)의 목부에 링커버(420)의 중공을 끼우면서 크기 순서대로 장착한 뒤 반응기(300)의 목부와 응축기(200)를 소켓(310)으로 연결한 후 증류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100)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증류를 위한 장치 설정을 위해 고정바(140)를 수직봉(120)의 상측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우선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판(150)과 고정바(140) 및 수직봉(120)의 결합상태를 헐겁게 한다.
그리고 왼손으로 고정바(140)를 잡고 오른손으로 스토퍼(142)를 누른 뒤 원하는 높이만큼 고정바(140)를 상승 이동시킨 후 스토퍼(142)에서 누르는 손을 떼고 노브(1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단단히 조인다.
이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노브(160) 및 스토퍼(142) 대신 고정판(190) 및 이동손잡이(191)가 구비된 상태라면, 이동손잡이(191)를 파지하고 이동손잡이(191)가 고정바(140)와 평행하도록 손을 오무려 힘을 가하면서 고정공(190a)이 수직봉(120)에 평행하게 한 후에 원하는 위치로 고정바(1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위치를 설정한 후에 손을 놓으면 압축스프링(143)이 복원되면서 고정판(190) 타단을 들어올려 고정공(190a)이 수직봉(120) 내주면에 걸리게 되어 고정바(19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제 복수의 클램프(180)에서 각각 나비너트(184)를 풀어 홀딩부(181)의 간격을 느슨하게 한 뒤 상하에 배치된 홀딩부(181)의 내측에 응축기(200)를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나비너트(184)를 조여서 홀딩부(181)가 응축기(200)를 강하게 잡고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혼합물이 내장된 반응기(300)를 준비하고 반응기(300)의 크기 및 가열구(410)의 직경에 따라 반응기(300)의 목부 주위로 다수의 링커버(420)를 장착시킨다.
그리고 응축기(200)의 하단 주입구(212)와 반응기(300)의 상단 목부를 연결하고 소켓(310)을 장착하여 상호 강한 결속상태를 만든다.
이상으로 중탕용 스탠드(100)에 응축기(200)와 반응기(300)가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탕수조(400)의 외부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제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토퍼(142)를 누른 상태에서 고정바(140)를 하강 이동시키면 반응기(300)는 가열구(410)를 통해 중탕수조(400)에 인입되고 링커버(420)가 가열구(410)를 커버하는 위치가 되면 반응기(300)도 중탕수조(400)의 물에 담긴 상태로 정위치 된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고정바(140)를 잡고 있어 상기 정위치 상태를 유지하고 스토퍼(142)를 누르고 있는 다른 손을 뗀 뒤 노브(1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단단히 결속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고정판(190) 및 이동손잡이(191)가 구비된 상태라면,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절차로 이동손잡이(191)를 파지하여 힘을 가하여 고정판(190)과 고정바(140)가 평행하도록 맞춘 후 고정바(140)를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정위치가 된 후에 이동손잡이(191)에서 손을 놓으면 해당 위치에 고정바(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제 가열장치를 가동시키고 응축기(20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일련의 증류 절차가 진행되면서 증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증류 공정이 완료된 후 반응기(300)와 응축기(200)를 분리하여 정리하거나, 또는 반응기(300)를 교체하여 새로운 증류 공정을 진행하려고 하면 반응기(300)를 중탕수조(400) 외부로 꺼내야 한다.
사용자는 노브(16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결속판의 결합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한 손으로 고정바(140) 혹은 클램프(18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스토퍼(142)를 누른 뒤 고정바(140)를 위로 올려 응축기(200)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반응기(300)가 가열구(410)를 통해 중탕수조(400) 상부로 올라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142)에서 손을 떼고 노브(1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바(140)를 고정시킨 뒤 반응기(300)의 분리작업을 진행한다.
추가 실시예가 적용된 경우라면 이동손잡이(191)를 잡아당겨 고정바(140)를 상승 이동시킨 후 이동손잡이(191)를 놓음으로써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후 반응기(300)의 분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응축기(200)를 클램프(180)에서 떼어놓고자 하면 복수의 클램프(180)에서 각각 나비너트(184)를 풀어서 홀딩부(181)를 헐겁게 한 뒤 응축기(200)를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사용자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응축기(200)와 반응기(300)를 결합, 분리하고 승강 이동시키며 열손실이 낮은 증류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중탕 시스템
100 : 스탠드
110 : 평행봉
120 : 수직봉
130 : 봉이음부
140 : 고정바
141 : 요홈부
142 : 스토퍼
143 : 압축스프링
150 : 결합판
160 : 노브
161 : 와셔
170 : 고정나사
180 : 클램프
181 : 홀딩부
182 : 다리부
183 : 조임볼트
184 : 나비너트
190 : 고정판
190a : 고정공
190b : 힌지결합단
191 : 이동손잡이
200 : 응축기
210 : 외통
211 : 배출구
212 : 주입구
220 : 나선냉각관
300 : 반응기
310 : 소켓
400 : 중탕수조
410 : 가열구
420 : 링커버

Claims (6)

  1. 증류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며 복수의 층을 이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평행봉;
    평행봉과 수직하고 봉이음부에 의해 평행봉에 결속되는 수직봉;
    상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써, 횡단면이 일단은 좁고 타단은 넓으며 양측면 길이는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이고, 수직봉 외주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 요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형성되어, 요홈부가 수직봉에 결합된 채 수직봉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고정바;
    ㄷ자 형상으로 고정바의 일단 측면에 결합되며 횡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양 갈래로 뻗는 다리부; 및 다리부 선단에 곡선으로 절곡되어 응축기를 움켜쥐는 한 쌍의 홀딩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 및
    판상으로써 고정바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수직봉을 압착하는 결합판;을 포함하며,
    고정바의 타측면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판상으로써, 일단은 고정바의 타측면 상단에 고정되고, 중심부는 고정바의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되어 연장된 후 수직봉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며, 타단은 수직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며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스토퍼의 너비는 고정바의 타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스토퍼의 타단에는 수직봉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통공이 구비되어 수직봉은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타단을 상부에서 누르면 통공의 내주면과 수직봉이 평행 배치되어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고, 누름을 중지하면 타단이 상향으로 복원되며 통공의 내주면과 수직봉의 단면이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슬라이딩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용 스탠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의 타단 내측과 고정바의 상단 사이에는 스토퍼의 타단 내측과 고정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중탕용 스탠드.
  4. 증류 장치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하며 복수의 층을 이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평행봉;
    평행봉과 수직하고 봉이음부에 의해 평행봉에 결속되는 수직봉;
    상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써, 횡단면이 일단은 좁고 타단은 넓으며 양측면 길이는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이고, 수직봉 외주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 요홈부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형성되어, 요홈부가 수직봉에 결합된 채 수직봉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고정바;
    ㄷ자 형상으로 고정바의 일단 측면에 결합되며 횡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양 갈래로 뻗는 다리부; 및 다리부 선단에 곡선으로 절곡되어 응축기를 움켜쥐는 한 쌍의 홀딩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 및
    판상으로써 고정바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수직봉을 압착하는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면과 측면으로 구성된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고정바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감싸며 구비되고, 일단은 고정바에 힌지 결합되며, 고정판의 상면 중심부 소정 위치에 수직봉이 관통되도록 수직봉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공이 통공 형성되는 고정판;
    고정판 타단에 하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손잡이; 및
    고정판 상면 내측과 고정바의 상면 타단 사이에 끼움 장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되,
    고정판은 압축스프링 상부에 걸쳐 타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되 고정공의 내주면이 수직봉의 외주면에 엇갈리는 각도로 끼워져 고정바가 걸림 고정되고,
    이동손잡이를 당겨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며 고정판이 고정바와 평행해지면 고정공의 내주면이 수직봉의 외주면과 평행 배치되면서 고정바가 수직봉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동손잡이 당김을 해제하면 압축스프링이 복원되면서 고정판이 고정바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고정바가 수직봉에 걸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중탕용 스탠드.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탕용 스탠드를 포함하며,
    응축기의 하단과 소켓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증류 대상 혼합물이 담겨지고 중탕되는 반응기; 및
    물이 저장되고 물의 가열장치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반응기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통공 형상의 가열구가 구비되어 반응기가 출입될 수 있으며 반응기를 중탕할 수 있는 중탕수조;를 더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소정 너비를 지니며 직경이 상이한 원형으로 다수 구비되는 링커버;를 더 포함하되,
    다수의 링커버는 상호 테두리가 겹쳐지며 원형 판상을 형성하고 가열구를 커버하는 덮개를 형성하며 중탕수조 내부 열기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가열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내측 링커버의 중공을 통해 상부에는 응축기와 소켓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반응기가 구비되며 상호 연결되며, 반응기의 크기에 따라서 링커버를 탈착하여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 시스템.
KR1020200169924A 2020-07-02 2020-12-07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KR10243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8407 WO2022005243A1 (ko) 2020-07-02 2021-07-02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00 2020-07-02
KR20200081300 2020-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48A KR20220003948A (ko) 2022-01-11
KR102439285B1 true KR102439285B1 (ko) 2022-09-01

Family

ID=7935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924A KR102439285B1 (ko) 2020-07-02 2020-12-07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2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8186B1 (de) * 1991-10-18 1996-07-31 Büchi Labortechnik AG Höhenverstellbares Stativ für Laborgeräte
KR100427322B1 (ko) * 2001-05-25 2004-04-13 박준환 화학 실험용 보조 기구
KR100585375B1 (ko) 2004-11-05 2006-06-07 김귀복 중탕기의 냉각장치
KR101084658B1 (ko) * 2010-02-02 2011-11-22 강도원 냉각기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48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571A (en) Portable barbecue grill
US20130185926A1 (en) Pipe clamp device and a method for its use
KR102439285B1 (ko)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WO2007095744A1 (en) Scaffolding tube clamps
CN107694657A (zh) 一种土样和植物样消煮装置
US20140054111A1 (en) Ladder balance adjusting apparatus
WO2020180246A1 (en) Welding/work table & clamping device
FR2564940A1 (fr) Procede pour la fixation de materiau ceramique poreux
US3960398A (en) Carrier apparatus
US6158306A (en) Jar holder
KR20190071461A (ko) 가스용기 고정장치
KR100802169B1 (ko) 쟈키베이스와 서포트의 고정구조
KR200458634Y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CN214923742U (zh) 一种木料夹持机构
FR3062667A1 (fr)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un potelet
CN207953887U (zh) 一种便携式取冻存管的套筒
CN211725835U (zh) 一种具有夹持结构的数显恒温水浴锅
KR10210013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관 설치를 위한 고정장치
NO329853B1 (no) Taustopper
CN210058309U (zh) 一种水浴锅
TW200908018A (en) Device for handling equipment in a nuclear reactor
KR101467361B1 (ko) 캔 수집기
RU221016U1 (ru) Замок для скрепления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WO2022005243A1 (ko)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CN206477982U (zh) 一种空压机与卷管器的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