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929B1 -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929B1
KR102438929B1 KR1020160073386A KR20160073386A KR102438929B1 KR 102438929 B1 KR102438929 B1 KR 102438929B1 KR 1020160073386 A KR1020160073386 A KR 1020160073386A KR 20160073386 A KR20160073386 A KR 20160073386A KR 102438929 B1 KR102438929 B1 KR 10243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oking appliance
appliance system
heating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40713A (en
Inventor
박준수
이지윤
서리
봉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29B1/en
Publication of KR2017014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와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및 워킹 코일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히팅(heating) 모듈. 및,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히팅 모듈 또는 믹서 모듈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공용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er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blade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lades, a working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nd a walking A heating module comprising an inverter providing voltage to the coil. And, it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nd by including a common module to which a heating module or a mixer module is selectively fastened,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믹서 기능을 가지는 믹서 모듈과 가열 기능을 가지는 히팅 모듈이 공용 모듈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in which a mixer module having a mixer function and a heating module having a heating function are selectively coupled to a common modul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란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조리기기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자레인지, 히터를 이용한 오븐, 쿡탑(cooktop) 등 다양한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a cooking appliance refers to an appliance that cooks food by heating food using gas or electricity. As a cooking appliance, various products such as a microwave oven using a microwave, an oven using a heater, and a cooktop are popular.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밀폐된 조리실 내에 조사하여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의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고, 오븐은 히터를 이용하여 밀폐된 조리실을 가열함으로써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한다. A microwave oven heats food by irradiating microwaves generated by a magnetron into a sealed cooking chamber to vibrate water molecules of the food stored in the cooking compartment, and an oven heats the sealed cooking compartment using a heater to heat the food stored in the cooking compartment. heat up

한편, 쿡탑은 일반적으로 그 상면에 올려진 조리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 쿡탑이 대표적이다. 가스 쿡탑의 경우, 화염에 의한 열손실이 커서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쿡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Meanwhile, a cooktop generally heats food inside a cooking vessel by heating a cooking vessel mounted on its upper surface, and a gas cooktop using gas as a heat source is representative. In the case of gas cooktops, since heat loss due to flame is large and thermal efficiency is reduced, interest in cooktops using electricity is increasing recently.

한편, 조리기기는 다른 조리기기, 냉장고, 수납 공간, 후드(Hood) 등과 연계되어 하나의 조리기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configured as one cooking appliance system in connection with other cooking appliances, a refrigerator, a storage space, a hood, and the like.

통상적으로 주방에서는 상술한 조리기기와 함께 매우 다양한 조리기구들이 산재해 있어 공간 효율성이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in a kitchen, a wide variety of cooking utensils are scattered along with the above-described cooking devices, so space efficiency is very important.

따라서, 주방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조리 과정에 따라 최적의 사용성을 가지는 조리기기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on cooking devices and systems that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kitchen and have optimum usability according to the cooking process.

또한, 다양한 조리기기들을 모듈로써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조리기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research on a cooking appliance system capable of using various cooking appliances in combination as a module is increasing.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조리기기들을 모듈로써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system capable of using various cooking appliances in combination as a modul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심미성을 가지는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which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a kitchen and have aesthetics.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력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이 용이한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that can use wireless power and is easy to us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와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및 워킹 코일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히팅(heating) 모듈. 및,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히팅 모듈 또는 믹서 모듈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공용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xer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blade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lades,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 heating module comprising a working coil generating a working coil and an inverter providing a voltage to the working coil. And, it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nd by including a common module to which a heating module or a mixer module is selectively fastened,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와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과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공용 모듈의 체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믹서 모듈과 공용 모듈이 체결된 경우, 믹서 모듈에 포함되는 전자석을 온(on)시키는 단계, 믹서 모듈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믹서 모듈의 모터/블레이드 구동부를 공용 모듈의 수납 공간으로 리프트-업(lift-up)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n operating method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er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blade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lades and the inside. Determining whether a common module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is engaged, when the mixer module and the common module are fastened, turning on an electromagnet included in the mixer module, and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mixer module and lifting-up the motor/blade driving unit of the mixer module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mmon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조리기기들을 모듈로써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oking appliances may be combined and used as a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러 방식을 통하여 주방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kitchen and secure the aesthetics through the modular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전력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이 용이한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that can use wireless power and is easy to us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various other effects will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공용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공용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믹서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히팅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간략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on modul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mmon modul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ixer modul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heating modul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D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D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table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smart table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simpl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give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modular) 조리기기 시스템(10)은, 복수의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공용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on module 100 to which one or more modules among a plurality of modules are selectively coupled.

상기 공용 모듈(100)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공용 모듈(100)에 조리 대상 음식물을 넣고, 상기 공용 모듈(100)에 체결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성화 모듈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The common module 100 may have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user can cook food in a desired manner by putting food to be cooked into the common module 100 and using a characterization module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coupled to the common module 100 .

도 1을 참조하면, 모듈러(modular) 조리기기 시스템(10)은 미 사용시에 공용 모듈(100) 및 특성화 모듈(200, 300)을 쌓아두고 보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may stack and store the common module 100 and the characterization modules 200 and 300 when not in use.

또한,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은 특성화 모듈(200, 300)이 각각 하나의 소형 조리기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조리기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In addition, in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 since the characterization modules 200 and 300 may each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one small cooking appliance, there is no ne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ooking appliances.

이에 따라, 종래 다수의 소형 조리기기들이 주방 공간을 차지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조리기기를 쉽게 찾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that a large number of conventional small cooking appliances occupy a kitchen space or that a user cannot easily find a cooking appliance that the user wants to use.

따라서, 모듈화를 통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and secure aesthetics through modularization.

또한, 모듈화를 통하여 소형가전 플랫폼이 구축되고, 통합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small home appliance platform can be built through modularization and an integrated user experience can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공용 모듈(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mmon module 100 of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모듈(100)은 상기 수납 공간에 수용되는 냄비(pot, 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냄비(111)는 밥, 음식물이 가열되는 조리용기, 커피 포트(coffee pot)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워머(warmer)로써 기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 pot 111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The pot 111 may serve as a cooking container for heating rice, food, and a coffee pot, and may function as a warmer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food.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냄비(111)는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자성을 가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ot 111 may have magnetism to enable induction heating.

또는, 상기 공용 모듈(100)은, 상기 수납 공간에 수용되는 냄비(111)와 상기 냄비(111) 아래에 배치되는 자성을 가지는 받침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 pot 111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magnetic pedestal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pot 111 .

한편, 상기 공용 모듈(100)은 음식물을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되는 커버(cover, 101)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 cover 101 that is opened to put food in.

상기 커버(101)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몸체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도 2와 같이, 소정 레버(102)가 조작되면 오픈(open)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ver 101 may be implemented to be detachably detachable from the body of the common module 100, or may be implemented to be opened when a predetermined lever 102 is operated, as shown in FIG. 2 .

또한, 상기 공용 모듈(100)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that a user can hold.

한편, 상기 공용 모듈(100)에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200) 또는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히팅(heating) 모듈(300)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mon module 100, a mixer module 200 including one or more blade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lades or a working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nd the A heating module 300 including an inverter that provides a voltage to the working coil may be selectively coup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를 참조하면, 믹서(mixer), 이유식 제조기, 스터 쿠커(stir cooker)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 공용 모듈(100)에 블레이드(blade)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200)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a), the user who wants to use a mixer (mixer), baby food maker, stir cooker (stir cooker), the motor for rotating the blade (blade) and the blade in the common module 100 (blade) (motor) can be used by fastening the mixer (mixer) module 200 including the.

도 3의 (b)를 참조하면, 슬로우 쿠커(Slow Cooker), 라이스 쿠커(Rice Cooker), 기타 가열 조리기기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 공용 모듈(100)에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히팅(heating) 모듈(300)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3 , a user who wants to use a slow cooker, a rice cooker, or other heating cooking equipment generates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in the common module 100 . It can be used by fastening a heating module 300 including a working coil and an inverter providing voltage to the working coil.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각 모듈들은 기계적으로 체결되거나 자력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Each module of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echanically fastened or fastened using magnetic force.

도 4와 도 5는 체결 홈을 통하여 공용 모듈(100)과 히팅 모듈(300)이 체결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4 and 5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ommon module 100 and the heating module 300 are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도 4의 (a)를 참조하면, 공용 모듈(100)은 커버(101), 몸체부(110), 내부 포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 cover 101 , a body 110 , and an internal port 111 .

상기 몸체부(1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 포트(111)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프로세서 등 각종 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다.The body part 110 not only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ternal port 111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but also various parts such as a processor may be built therein.

히팅 모듈(300)은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330) 및 상기 워킹 코일(330)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300 may include a working coil 330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nd an inverter 320 for providing a voltage to the working coil 330 .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히팅 모듈(300)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360 for sensing a temperature.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체결 영역 'A'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4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astening area 'A' of Figure 4 (a).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공용 모듈(100)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 포트(111), 프로세서, 통신부 등 회로물이 실장되는 회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n internal port 111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 processor, and a circuit unit 112 in which circuits such as a communication unit are mou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모듈(100)은, 무선전력 송신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공용 모듈(100)은, 무선전력 송신코일(141) 등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for this purpose, the common module 100 is a wireless device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41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tter.

또한, 상기 히팅 모듈(300) 등 특성화 모듈들은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히팅 모듈(300) 등은, 무선전력 수신코일(341) 등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ization modules such as the heating module 300 may receive and use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is end, the heating module 300 and the like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hav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341 and the like.

도 5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몸체부(11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된 커버(101)가 탈착되어 내부 포트(111)가 노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 101 implement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110 of the common module 100 is detached and the internal port 111 is expos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공용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mmon modul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모듈(100)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130), 공용 모듈(10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 상기 히팅 모듈(300) 또는 상기 믹서 모듈(200)과 통신하는 통신부(150), 공용 모듈(100) 및/또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mm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130 for receiving a user's manipulation input,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mmon module 100 . The processor 12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140 , the heating module 300 or the communication unit 150 communicating with the mixer module 200 , the common module 100 , and/or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 ) may be included.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마련되며, 내부 수납 공간에는 전원 공급부(140), 프로세서(120) 등의 내부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110 , and internal components such as a power supply unit 140 and a processor 120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한편, 상기 본체(110)의 외면에는 조작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30)를 조작하여 공용 모듈(100) 및/또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ipula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A user may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common module 100 and/or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by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unit 130 .

조작부(130)를 통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20)는 해당 입력에 따라 공용 모듈(100) 및/또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30 ,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common module 100 and/or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put.

전원 공급부(14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2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전원 공급부(14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a battery, and in this case, the battery may be a rechargeable built-in battery,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or the like.

또한, 전원 공급부(14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to which an external charger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14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40 uses one or mor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r a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power can be transmitted.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부(140)는 체결되는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하는 있다.Preferably,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supply power to the module 200 to be fastened.

또한, 상기 공용 모듈(100)의 전원 공급부(140)는, 무선전력 송신코일(141)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송신부를 포함하여, 무선전력 송신기로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40 of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41 to function a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이에 따라, 복잡하게 연결되는 조리기기의 전선을 제거할 수 있고, 전선 및 플러그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lectric wire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complicatedly connect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ith the electric wire and the plu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모듈(100)은, 통신부(150)를 통하여 다른 모듈(200, 300)과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50)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으로 다른 모듈(200, 300)과 통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other modules 200 and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modules 200 and 3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모듈(100)은, 통신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등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user's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Data is transmitted/received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the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in .

또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Bluetoot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and at least one of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모듈(100)은, 소정 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60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nd acqui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160)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또한, 상기 센싱부(160)는,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가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공용 모듈(100) 바닥면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압력 센서에서 수신한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용 모듈(100) 내부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an in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a pressure (pressure) sensor sensing weight, etc. . The pressure sensor may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on module 100 and output the sensed pressure data to the processor 120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an object exists in the common module 100 based on the pressure data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한편, 상기 센싱부(160)의 각 센서들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sensors of the sensing unit 160 may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to acquire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믹서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7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ixer module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 모듈(200)은, 믹서 모듈(20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 상기 공용 모듈(100)과 통신하는 통신부(250), 믹서 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mixe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40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ixer module 200 , the common module 100 an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50 that communicates, and a processor 21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ixer module 200 .

또한, 믹서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225)와 상기 블레이드(225)를 회전시키는 모터(2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er module 200 may include one or more blades 225 and a motor 221 for rotating the blades 225 .

믹서 모듈(200)은, 상기 블레이드(225)를 회전시켜, 야채 또는 과일 등을 갈거나 분쇄시킬 수 있다.The mixer module 200 may rotate the blade 225 to grind or pulverize vegetables or fruits.

상기 전원 공급부(24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240)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구비할 수는 있고, 상기 공용 모듈(100) 또는 기타 무선전력 송신기, 예를 들어, 스마트 테이블(smart table) 등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테이블에 관해서는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include a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wireless power from the common module 100 or oth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ample, a smart table. can receive The smart tab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통신부(150)와 동일한 방식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communicate by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common module 100 .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믹서 모듈(200)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ixer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for receiving a user's manipulation input.

상기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ixer module 2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put.

또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프로세서(12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25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210)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120 of the common module 100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ixe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an be controlled

상기 프로세서(210)는, 믹서 모듈(200) 및/또는 공용 모듈(100)의 조작부에 구비되는 동작 버튼의 온/오프(on/off) 스위칭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o start or end an operation according to on/off switching of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of the mixer module 200 and/or the common module 100 . .

한편, 상기 믹서 모듈(200)은,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225)와 상기 모터(221)를 수용하는 모터/블레이드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ixer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blade driving unit 200 accommodating the blade 225 and the motor 221 therein.

한편, 모터/블레이드 구동부(200)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와 블레이드를 접거나 펼치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tor/blad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motor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motor and a blade driving unit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blade.

또한, 모터/블레이드 구동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blade driving unit 20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블레이드(225)는, 접혀 있다가, 구동시 펼쳐져 접혀있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225, after being folded, may be unfolded and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lded direction during driving.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에 관해서는 도 9, 도 10a 내지 도 10d,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The operation of the mixer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10A to 10D, and 11A to 11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 모듈(200)은, 소정 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ixe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260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nd acqui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히팅 모듈(300)의 내부 블록도이다.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heating module 300 of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모듈(300)은, 히팅 모듈(30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40), 상기 공용 모듈(100)과 통신하는 통신부(350), 히팅 모듈(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heat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340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heating module 300 , the common module 100 an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50 that communicates, and a processor 31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300 .

또한, 히팅 모듈(300)은,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330)과 상기 워킹 코일(330)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odule 300 may include a working coil 330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nd an inverter 320 for providing a voltage to the working coil 330 .

히팅 모듈(300)은,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상기 공용 모듈(100)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300 may heat and cook food inside the common module 100 using induction heating.

상기 전원 공급부(34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1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340)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구비할 수는 있고, 상기 공용 모듈(100) 또는 기타 무선전력 송신기, 예를 들어, 스마트 테이블(smart table) 등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테이블에 관해서는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include a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wireless power from the common module 100 or oth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ample, a smart table. can receive The smart tab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상기 통신부(350)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통신부(150)와 동일한 방식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communicate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common module 100 .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히팅 모듈(300)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for receiving a user's manipulation input.

상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히팅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3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put.

또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프로세서(12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35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310)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히팅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120 of the common module 100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50, and the processor 310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an be controlled

상기 프로세서(310)는, 히팅 모듈(300) 및/또는 공용 모듈(100)의 조작부에 구비되는 동작 버튼의 온/오프(on/off) 스위칭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10 may control to start or end an operation according to on/off switching of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of the heating module 300 and/or the common module 100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모듈(300)은, 소정 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360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nd acqui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36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6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각 모듈들은 기계적으로 체결되거나 자력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each module of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echanically fastened or fastened using magnetic force.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모듈(100)은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 모듈(300) 또는 상기 믹서 모듈(200)은, 전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 체결시 전자석을 온(on)시켜 자력으로 두 모듈이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permanent magnet, and the heating module 300 or the mixer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agnet. In this case, when the module is fastened, the electromagnet is turned on so that the two modules can be magnetically fasten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d,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9 is a flowchart of an operating method of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A to 10D and 11A to 11D are an operating method of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referenced in the related description.

더욱 상세하게는, 도 10a 내지 도 10d은 공용 모듈과 믹서 모듈의 체결 및 동작 단계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동작 종료 및 공용 모듈과 믹서 모듈의 분리 단계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IGS. 10A to 10D show the process up to the stage of fastening and operation of the common module and the mixer module, and FIGS. 11A to 11D show the process up to the stage of ending the operation and separating the common module and the mixer module. it will be shown

도 9를 참조하면,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200)과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상기 공용 모듈(100)의 체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915).Referring to FIG. 9 ,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includes a mixer module 200 including one or more blades and a motor rotating the blades,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ommon module 100 having a space is fastened (S915).

상기 공용 모듈(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믹서 모듈(200)과의 기졔적 체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of the common module 1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conventionally connected with the mixer module 200 .

또한, 상기 공용 모듈(100)의 프로세서(120)는 이하 단계의 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of the common module 100 may control each operation of the following steps.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공용 모듈(100) 또는 기타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믹서 모듈(220)에 전원이 공급되고, 각 모듈(100, 200)이 레디(ready)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910).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power is supplied to the mixer module 220 from the common module 100 or oth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each module 100 and 200 may enter a ready state. (S910).

한편, 상기 믹서 모듈(200)과 상기 공용 모듈(100)이 체결된 경우, 상기 믹서 모듈(200)에 포함되는 전자석을 온(on)시켜, 상기 믹서 모듈(200)의 전자석과 상기 공용 모듈(100)의 영구자석 간의 자력으로도 결합할 수 있다(S920).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100 are coupled, the electromagnet included in the mixer module 200 is turned on, and the electromagnet of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 100) can also be coupled with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s (S920).

믹서 모듈(200)은 블레이드 등을 포함하여 동작 중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계적 체결 외에도 자력으로도 모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mixer module 200 includes a blade, etc., and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a departure during operation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refore, in addition to mechanical faste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odule by magnetic force.

도 10a를 참조하면, 공용 모듈(100)은 영구자석(10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the common module 100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1010 .

또한, 상기 공용 모듈(100)은,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1001)과 상기 수납 공간(1001)으로 믹서 모듈(200)의 상기 믹서 모듈의 모터/블레이드 구동부(1020) 중 적어도 일부가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100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mon module 100,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blade driving unit 1020 of the mixer module of the mixer module 200 enters the storage space 1001 for accommodating food and the storage space 1001.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002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apable of being used.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믹서 모듈(200)과 상기 공용 모듈(100)이 체결된 경우, 상기 믹서 모듈(200)에 포함되는 전자석(1015)가 온(on)될 수 있다(S920).Referring to FIG. 10B , when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100 are coupled, the electromagnet 1015 included in the mixer module 200 may be turned on ( S920 ).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S925), 상기 믹서 모듈(200)의 모터/블레이드 구동부(1020)를 상기 공용 모듈(100)의 수납 공간으로 리프트-업(lift-up)시킬 수 있다(S930).Referring to FIG. 10C , when an operation command of the mixer module 200 is input ( S925 ), the motor/blade driving unit 1020 of the mixer module 200 is lifted up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mmon module 100 . (lift-up) can be performed (S930).

한편,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 명령은, 상기 믹서 모듈(200) 또는 상기 공용 모듈(100)에 구비된 조작부의 동작 버튼을 온(on)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S925).Meanwhile,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mixer module 200 may be an operation of turning on an operation button of a manipulation unit provided in the mixer module 200 or the common module 100 ( S925 ).

도 10d를 참조하면, 접혀 있던 상기 블레이드(1025)를 펼쳐서 오픈(open)하고(S940), 상기 블레이드(1025)를 회전시킬 수 있다(S950).Referring to FIG. 10D , the folded blade 1025 may be unfolded and opened (S940), and the blade 1025 may be rotated (S950).

한편, 상기 블레이드(1025)를 접혀있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강도면에서는 접히지 않는 블레이드와 동일한 강도로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rotating the blade 1025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lded direction, the object can be crushed with the same strength as the unfolded blade in terms of strength.

이후,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955),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중지시킨다(S960).Then, when the operation end command of the mixer module 200 is input (S955), the rotation of the blade is stopped (S960).

상기 믹서 모듈(200)의 동작 종료 명령은, 상기 믹서 모듈(200) 또는 상기 공용 모듈(100)에 구비된 조작부의 동작 버튼을 오프(off)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S955).The operation end command of the mixer module 200 may be an operation of turning off an operation button of a manipulation unit provided in the mixer module 200 or the common module 100 (S955).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믹서 모듈(200)과 상기 공용 모듈(100)의 분리 명령이 입력되면(S970), 펼쳐져 있던 상기 블레이드(1025)를 접어서 클로즈(close)할 수 있다(S980). Referring to FIG. 11A , when a command to separate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100 is input (S970), the unfolded blade 1025 may be folded to close (S980).

상기 믹서 모듈(200)과 상기 공용 모듈(100)의 분리 명령은 상기 믹서 모듈(200) 또는 상기 공용 모듈(100)에 구비된 조작부의 분리 버튼을 온(on)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The separation command of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100 may be an operation of turning on a separation button of the mixer module 200 or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common module 100 .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용 모듈(100) 내 상기 수납 공간의 음식물 잔존 여부를 감지하여(S965), 음식물이 공용 모듈(100)에 없고 사용자의 분리 명령이 있는 경우를 모두 만족해야만 이후의 분리 과정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detecting whether food remains in the storage space in the common module 100 ( S965 ), the case where there is no food in the common module 100 and there is a user's separation command must be satisfied. It can be set to run the separation process.

이에 따라, 내용물이 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약한 전자석으로도 분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contents leaking, and to enable separation even with a weak electromagnet.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블레이드 구동부(1020)를 상기 믹서 모듈(200)의 내부로 리프트-다운(lift-down)시킬 수 있다(S990).Referring to FIG. 11B , the motor/blade driving unit 1020 may be lifted down into the mixer module 200 ( S990 ).

이후, 도 11c와 같이, 상기 믹서 모듈(200)의 전자석(1015)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S995).Thereafter, as shown in FIG. 11C , the electromagnet 1015 of the mixer module 200 may be turned off (S995).

한편, 사용자는 상기 믹서 모듈(200)과 상기 공용 모듈(100)이 쌓여있는 상태로 보관하거나, 도 11d와 같이 상기 믹서 모듈(200)과 상기 공용 모듈(100)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Meanwhile, a user may store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100 in a stacked state, or may completely separate the mixer module 200 and the common module 100 as shown in FIG. 11D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간략한 개념도이다. 12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table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은 스마트 테이블(2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smart table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무선전력 송신 기능과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smart tab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and an induction heating function.

도 12와 같이, 스마트 테이블(20)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상판을 포함하거나, 상판과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2 , the smart table 20 may include a main body and a leg supporting the main body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he body may include a top plate or may include a top plate and a cover.

도 12와 같이, 스마트 테이블(20)은 플레이트(본체) 위에 놓여진 조리 용기를 유도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12, the smart table 20 can cook by induction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placed on the plate (body).

조리 용기가 스마트 테이블(20)의 워킹 코일(working coil)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워킹 코일에 교류 전류, 특히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워킹 코일에 자기장이 발생한다.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placed on the working coil of the smart table 20 and an alternating current, particularly a high-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working coil,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working coil.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 유도 효과로 인하여, 조리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게 된다. 이 와전류에 의해 조리 용기의 저항 성분에서 주울(Joul) 열이 발생하여 조리 용기가 가열되게 된다.Due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 by the magnetic field, an eddy current is induced in the cooking vessel. Joule heat is generated in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cooking vessel by this eddy current, and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무선 가전기기,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모듈로 무선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ab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ly wireless power to at least some modules of the wireless home appliance and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capable of wireless power rece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과 무선 가전기기,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들은, 공지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예를 들어, 전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에 따라 무선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The smart table 20, wireless home appliances, and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 know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send/receive.

전자기유도 방식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킬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method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in which a voltage is induced and a current flows when a magnetic field is changed around a conductor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자기공명 방식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할 경우에, 전자파가 전자장을 통하여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이동하는 무선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에 따라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의 송신 코일은 소정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전원부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의 수신 코일에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wh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resonate with the same frequency, power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wireless power transfer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move from the transmitter to the receiver through an electromagnetic field. The transmitting coil of the transmitter may have a predetermined resonant frequency, and receives energy from the power supply. An electromagnetic wave may be generated and thus a magnetic field may be formed. In this case, induction power may be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of the receiver by the magnetic field.

상기 스마트 테이블(20)은, 플레이트(본체)의 내부 또는 하부에, 무선전력 송신 코일(Tx coil, 1210)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1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1220)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1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able 20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x coil, 1210) and an inverter 12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10 inside or below the plate (body).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odule 12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전기기,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모듈은, 무선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무선전력 수신부의 무선전력 수신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1210)로부터 무선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modules of the wireless home appliance and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 1210) may be supplied with wireless power.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200)은, 조리 동작시,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유도가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1210)은, 근접한 물체를 유도가열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working coil)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200 may perform an induction heating function of a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during a cook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10 may operate as a working coil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n adjacent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 다른 조리기기, 기타 가전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다른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tab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 other cooking appliances, and other home appliances, and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liance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테이블의 다리 부분을 제외한 본체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13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smart table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body part except for a leg part of the table.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플레이트(본체) 내부 또는 하부에, 무선전력 송신 코일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1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smart tab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an inverte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nside or below the plate (body).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odule 1200 .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200)은, 조리 동작시,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유도가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200 may perform an induction heating function of a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during a cooking operation.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도가열 조리 기능이 수행되는 가열 영역(1301)과 무선전력이 전송되는 무선전력 전송영역(1302)이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ing area 1301 in which the induction heating cooking function is performed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rea 1302 in which the wireless power is transmitted may be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에는 가열 영역(1301), 무선전력 전송영역(1302)이 프린팅(printing)되어 표시될 수 있다.A heating area 1301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rea 1302 may be printed and displayed on the plate (body) of the smart tab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 중 적어도 일부에 투과/반투과 영역이 형성되고, 내부의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투과/반투과 영역으로 상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로 방출되는 광으로 각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transmissive/semitransmissive reg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body) of the smart table 20, and light emitted from an internal light source may be emitted upwardly as the transmissive/semitransmissive region. Each region can be marked with light emitted upward in this way.

한편,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 중 일부 영역(1303)에는 현재 온도, 현재 동작 상황 등 상태 또는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status or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a current temperature and a current operation situation may be displayed on a portion 1303 of a plate (body) of the smart table 20 .

한편,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31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열 영역 조작부(1311)와 무선전력 전송영역 조작부(1312)가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a manipulation unit 1310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may be disposed on the plate (body) of the smart table 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ing area operation unit 1311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rea operation unit 1312 may be separated.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 영역(1301)에 조리 용기를 놓고 유도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cooking vessel may be placed in the heating region 1301 and cooked by induction heating.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영역(1302)에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무선 가전기기, 상기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모듈 등이 올려져 있다면, 스마트 테이블(20)은 무선 가전기기,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모듈은 등으로 무선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wireless home appliance capable of wireless power reception and at least some modules of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10 are plac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rea 1302 , the smart table 20 is a wireless home appliance and modular cooking appliance. At least some modules of the device system 10 may transmit power wirelessly or the like.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영역(1302)에는 복수의 코일이 배치될 수 있고, 무선 가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 코일을 구동하여 무선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coils may be dispos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rea 1302 , and at least some coils may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wireless home appliance to transmit wireless power.

한편, 유도가열 조리 기능이 수행되는 가열 영역(1301)과 무선전력이 전송되는 무선전력 전송영역(1302)이 분리된 경우에는, 각 전용 영역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어렵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area 1301 in which the induction heating cooking function is performed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rea 1302 in which the wireless power is transmitted are separated, it is difficult for each dedicated area to be used for a different purpose.

따라서, 공간 활용 및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유도가열 조리 기능과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전용 영역의 구분없이 이용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user convenience, it is more preferable to be able to use the induction heating cooking function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without distinction of a dedicated area.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은, 유도가열 조리 기능과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영역 구분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워킹 코일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working coils so that the induction heating cooking function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can be used without division of areas.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nd the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om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operating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processor-readable codes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10
공용 모듈: 100
믹서 모듈: 200
히팅 모듈: 300
Modular cookware system: 10
Common modules: 100
Mixer module: 200
Heating module: 300

Claims (20)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와,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믹서(mixer) 모듈;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로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히팅(heating) 모듈; 및,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 및, 상기 수납 공간으로 상기 모터/블레이드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히팅 모듈 또는 상기 믹서 모듈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공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믹서 모듈과 상기 공용 모듈이 체결되고, 상기 믹서 모듈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블레이드 구동부가 상기 공용 모듈의 수납 공간으로 리프트-업(lift-up)되는 모듈러(modular) 조리기기 시스템.
a mixer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blade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lade, and a motor/blade driving unit accommodating the blade and the motor therein;
a heating module including a working coil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induction heating and an inverter providing a voltage to the working coil; and,
a common module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a structur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blade driving unit can enter into the storage space, and to which the heating module or the mixer module is selectively fastened; including,
When the mixer module and the common module are fastened and an operation command of the mixer module is input, the motor/blade driving unit is lifted up into a storage space of the common module.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은, 체결되는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n module is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upled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의 전원 공급부는, 무선전력 송신코일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common module,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은, 상기 수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히팅 모듈과 체결될 때,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자성을 가지는 냄비(po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n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when engaged with the heating module,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t (pot) having a magnetic to enable induction he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은, 상기 수납 공간에 수용되는 냄비(pot)와, 상기 냄비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히팅 모듈과 체결될 때,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자성을 가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n module includes a pot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pedestal that is disposed under the pot and has magnetism to enable induction heating when fastened with the heating modu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은, 상기 히팅 모듈 또는 상기 믹서 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n modul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eating module or the mixe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은,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n modul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모듈 또는 상기 믹서 모듈은,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module or the mixer module,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having a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모듈 또는 상기 믹서 모듈은, 상기 공용 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module or the mixer modul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모듈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module is a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모듈은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 모듈 또는 상기 믹서 모듈은, 상기 공용 모듈과 체결될 때 온(on)되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permanent magnet,
The heating module or the mixer module, the modular cooking appli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ectromagnet turned on (on) when engaged with the common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접혀 있다가, 구동시 접혀있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펼쳐져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lade is folded, and is expanded and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lded direction when driv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73386A 2016-06-13 2016-06-13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38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86A KR102438929B1 (en) 2016-06-13 2016-06-13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86A KR102438929B1 (en) 2016-06-13 2016-06-13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13A KR20170140713A (en) 2017-12-21
KR102438929B1 true KR102438929B1 (en) 2022-08-31

Family

ID=6093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386A KR102438929B1 (en) 2016-06-13 2016-06-13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9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1112B (en) * 2018-02-10 2024-04-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Cooking utensil
AU2020206084B9 (en) * 2019-01-11 2023-05-11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EP3910243B1 (en) 2019-01-11 2023-10-25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5345A1 (en) * 2002-02-21 2003-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Heated cup holder system
JP2010193905A (en) * 2010-05-31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bread and automatic bread-manufacturing machine
JP2015506742A (en) * 2011-12-29 2015-03-05 アルチュリク・アノニム・シルケチ Wireless kitchen utensils operated on induction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63Y2 (en) * 1977-05-09 1983-03-25 東京理化器械株式会社 Stirring type extraction device
KR950003972Y1 (en) * 1993-06-07 1995-05-18 최걸성 Open-close device for cover of vacuum cleaner
KR200466134Y1 (en) * 2010-11-22 2013-04-03 정정상 Portable Toy Electric Fa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5345A1 (en) * 2002-02-21 2003-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Heated cup holder system
JP2010193905A (en) * 2010-05-31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bread and automatic bread-manufacturing machine
JP2015506742A (en) * 2011-12-29 2015-03-05 アルチュリク・アノニム・シルケチ Wireless kitchen utensils operated on induction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13A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8567B2 (en)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ES2339887T3 (en) SYSTEM AND PROCEDURE INTENDED FOR FOOD PREPARATION.
KR102506519B1 (en) Smart table
KR102579343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onfiguration
JP617362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38929B1 (en) Modular cook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12514495A (en) Smart cookware
EP3616573A1 (en) Smart kettle using induction heating
ES2588195T5 (en) Procedure for operating an electrical food preparation appliance
JP6591049B2 (en) Cooking system and cooking device
EP3082380B1 (en) Cooking apparatus
KR20180095332A (en) Smart tab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EP3820248B1 (en) Table-type cooking device
EP3384813B1 (en) Cooking vessel for an induction cooking hob
JP2014202407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CN203088715U (en) Split type electric pressure cooker
CN101377312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microwave oven
KR101442642B1 (en) Electric range equipped with wireless energy transfer apparatus
KR102194276B1 (en) Smart kettle using induction heating
CN208491808U (en) A kind of cooking apparatus
KR102397006B1 (en) Detachable input apparatus
KR20200044535A (en) Cooker
KR102577928B1 (en) Portable Frying Pan
CN109393996A (en) Cook carrier, heating platform and cooking apparatus
KR102194277B1 (en) Smart kettle using induction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