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26B1 -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726B1
KR102438726B1 KR1020210181488A KR20210181488A KR102438726B1 KR 102438726 B1 KR102438726 B1 KR 102438726B1 KR 1020210181488 A KR1020210181488 A KR 1020210181488A KR 20210181488 A KR20210181488 A KR 20210181488A KR 102438726 B1 KR102438726 B1 KR 10243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inting
code
transmitting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웅
Original Assignee
에프원테크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원테크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원테크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50/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의류 주문 요청을 통해 제작된 디자인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디자인 파일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확정 요청이 수신되면, 사이즈 별로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주문 페이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사이즈 별로 입력된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견적서에 대한 입금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견적서에 기재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RDERING AND MANUFACTURING CLOTHES USING CLOTHES MANUFACTURING PROCESS AUTOMATION SOLUTION}
아래 실시예들은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의류를 주문하고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류 제조 환경은 분산 제조 환경(Distributed Manufacturing Networks)로 변화하고 있고, 사용자 맞춤형 제품과 고품질 제품이 요구되고 있으며, 변화하는 고객 요구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의류 제조 환경에 있어서, 제조 환경의 변덕스러움(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그리고 모호함(Ambiguity)에 따라 제품 개발을 위한 시장 가치 사슬(Market Value Chain) 즉, 수평적인 네트워킹(Horizontal Networking)이 핵심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의류 제품 개발의 가치 사슬에서 협업(Collaboration)이 필요하며, 고객 기반 협업 제조 네트워크(Customer-based collaboration manufacturing networks)의 경우, 공장(Factory)의 경계, 기업(Company)의 경계 그리고 국가(Nation)의 경계를 넘어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의류 제품을 주문 및 제조하는데 있어, 협업 지원을 위한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9253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454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3644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8554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제품을 주문 및 제조하는데 있어, 브랜드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 간에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의류 주문 요청을 통해 제작된 디자인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디자인 파일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확정 요청이 수신되면, 사이즈 별로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주문 페이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사이즈 별로 입력된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견적서에 대한 입금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견적서에 기재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은, 상기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정보,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디자인 파일을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지시서에 대응하는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를 통해 확인된 프린팅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QR 코드가 프린팅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경우,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경우, 프린팅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업 정보를 통해 확인된 봉제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봉제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QR 코드가 봉제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경우, 봉제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경우, 봉제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의류 주문에 대한 제조 완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와의 연결을 위한 제2 QR 코드를 더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로 상기 제2 QR 코드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제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봉제 업체 단말로 상기 제2 QR 코드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은,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QR 코드가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원단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원단의 불량 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은,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봉제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QR 코드가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프린팅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프린팅의 불량 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를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제품을 주문 및 제조하는데 있어, 브랜드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 간에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협업 지원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협업을 통해 제조된 의류 제품을 제공하는 가치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의류를 주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봉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별 수량에 대해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화면의 특성을 기반으로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영역의 순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협업을 통해 제조된 의류 제품을 제공하는 가치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는 원단 기업, 프린팅 기업, 브랜드 기업 및 봉제 기업 간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을 주문하는 고객, 주문을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브랜드 기업, 프린팅 기업에 부품 및 자재(원단)를 공급하는 원단 기업, 브랜드 기업으로부터 디자인 파일과 수량을 주문받아 원단에 프린팅 작업을 진행하는 프린팅 기업, 그리고 브랜드 기업으로부터 전달받은 작업지시서와 인쇄된 원단을 공급받아 최종 제품을 제작하는 봉제 기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봉제 작업자 단말(410) 및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 단말(100)은 의류를 주문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이고, 브랜드 업체 단말(200)은 브랜드 업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이고, 프린팅 업체 단말(300)은 프린팅 업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이고,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은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봉제 업체 단말(400)은 봉제 업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이고, 봉제 작업자 단말(410)은 봉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 각각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1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고,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및 봉제 업체 단말(400)은 회사 내에 설치되어 있는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 각각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 각각은 장치(5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 각각은 장치(5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장치(5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 각각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500)와 연동될 수 있다.
장치(500)는 장치(5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500)는 브랜드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5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 브랜드 업체 단말(200), 프린팅 업체 단말(300),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 봉제 업체 단말(400) 및 봉제 작업자 단말(41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의류를 주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주문 요청은 고객이 의류의 제작 주문을 요청하는 것으로, 고객에 의해 입력된 의류의 부위별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주문 요청은 전면, 후면, 하의, 좌측소매, 우측소매 등의 부위별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는 고객에 의해 요청된 의류 주문 건이 접수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500)는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을 통해 제작된 디자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파일은 의류 주문 요청을 반영하여 제작된 디자인의 이미지 파일로, 디자인의 시안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면,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정보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브랜드 업체의 디자이너는 의류 주문 요청을 반영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의류의 디자인이 제작되어 디자인 파일이 생성되면,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을 통해 제작된 디자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500)는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디자인 파일을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수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수정 요청은 고객이 디자인에 대해 수정을 요청하는 것으로, 디자인 파일을 통해 확인된 디자인에 대한 수정 사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수정 요청이 수신되면, 디자인 수정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수정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는 고객에 의해 요청된 디자인 수정 건이 접수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장치(500)는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부터 디자인 수정 요청을 통해 수정된 디자인 파일을 수신하면, 수정된 디자인 파일을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확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확정 요청은 고객이 디자인에 대해 확정을 요청하는 것으로, 디자인 파일을 통해 확인된 디자인을 주문하고자 하는 의류의 디자인으로 확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확정 요청이 수신되면, 사이즈 별로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주문 페이지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페이지는 사이즈 별로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사이즈 별로 입력된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정보는 고객이 주문하고자 하는 사이즈별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객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주문 페이지를 통해 사이즈 별로 수량이 입력되면,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장치(500)는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500)는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즈별 수량을 확인하고, 디자인 파일을 기반으로 원단의 종류를 확인한 후, 사이즈별 수량 및 원단의 종류를 고려하여 견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견적으로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서는 단가, 사이즈별 수량, 견적 금액, 입금 계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장치(500)는 견적서에 대한 입금 요청 알림 메시지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서에 대한 입금 요청 알림 메시지는 견적서에 기재되어 있는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고객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장치(500)는 견적서에 기재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500)는 견적서에 기재된 입금 계좌에 견적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입금 계좌에 견적 금액이 아직 입금되지 않았으므로, S309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500)는 견적서에 대한 입금 요청 알림 메시지를 고객 단말(1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입금 계좌에 견적 금액이 입금되었으므로, S311 단계에서, 장치(500)는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는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500)는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한 이후,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정보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면, 장치(500)는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를 입력하기 위한 작업지시서 생성 페이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지시서 생성 페이지는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작업지시서 생성 페이지를 통해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가 입력되면, 장치(500)는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부터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500)는 작업 정보, 주문 정보 및 디자인 파일을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지시서는 확정된 디자인의 이미지, 사이즈별 수량,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500)는 S303 단계에서 수신된 디자인 파일, S307 단계에서 수신된 주문 정보 및 S401 단계에서 수신된 작업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500)는 작업지시서에 대응하는 제1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QR 코드는 작업지시서를 대체하기 위한 식별 코드로, 협업 업체들이 제1 QR 코드를 통해 작업지시서를 확인하고, 수정 및 재작업 지시를 주고받을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500)는 작업 정보를 통해 확인된 프린팅 업체 단말(300)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장치(500)는 작업 정보를 기초로, 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프린팅 업체를 확인하고, 확인된 프린팅 업체의 단말로 프린팅 업체 단말(300)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린팅 업체 단말(300)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업체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된 제1 QR 코드가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에 인식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는 제1 QR 코드가 인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이 제1 QR 코드를 인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이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지시서를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 전송하여,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 작업지시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08 단계 이후, S405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406 단계에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S409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09 이후, S5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하여 봉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 정보를 통해 확인된 봉제 업체 단말(400)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장치(500)는 작업 정보를 기초로, 봉제 작업을 수행할 봉제 업체를 확인하고, 확인된 봉제 업체의 단말로 봉제 업체 단말(400)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봉제 업체 단말(400)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500)는 봉제 업체 단말(400)의 화면에 표시된 제1 QR 코드가 봉제 작업자 단말(410)에 인식되면,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는 제1 QR 코드가 인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장치(500)는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봉제 작업자 단말(410)이 제1 QR 코드를 인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500)는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장치(500)는 봉제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500)는 봉제 작업이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지시서를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 전송하여, 봉제 작업자 단말(410)의 화면에 작업지시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지시서는 프린팅 작업까지 완료한 것이 반영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S505 단계 이후,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500)는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503 단계에서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500)는 봉제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500)는 봉제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의류 주문에 대한 제조 완료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주문에 대한 제조 완료 알림 메시지는 의류 주문에 대한 프린팅, 봉제 작업이 완료되어 고객에게 출고가 가능한 상태인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로, 브랜드 업체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500)는 작업지시서에 대응하는 제1 QR 코드를 생성할 때,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와의 연결을 위한 제2 QR 코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QR 코드는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와 연결시키기 위한 식별 코드로, 협업 업체들이 제2 QR 코드를 통해 불량 사항을 등록할 수 있다.
장치(500)는 프린팅 업체 단말(300)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때, 프린팅 업체 단말(300)로 제2 QR 코드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장치(500)는 봉제 업체 단말(400)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때, 봉제 업체 단말(400)로 제2 QR 코드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프린팅 업체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된 제2 QR 코드가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에 인식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2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는 제2 QR 코드가 인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이 제2 QR 코드를 인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원단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원단의 불량 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를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는 원단의 불량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장치(500)는 봉제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봉제 업체 단말(400)의 화면에 표시된 제2 QR 코드가 봉제 작업자 단말(410)에 인식되면,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2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는 제2 QR 코드가 인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장치(500)는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봉제 작업자 단말(410)이 제2 QR 코드를 인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장치(500)는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부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프린팅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프린팅의 불량 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를 봉제 작업자 단말(4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는 프린팅의 불량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봉제 작업자 단말(41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별 수량에 대해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의류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문 페이지 상에서 사이즈 추천 메뉴가 선택되면, 장치(500)는 사용자들의 신체 부위별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사이즈 추천 페이지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즈 추천 페이지는 사용자들의 신체 부위별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추천 페이지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제2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및 제3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가 각각 입력되면,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 제2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 및 제3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 무릎 부위, 종아리 부위, 발목 부위 등 각각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5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들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체형 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생성하고, 제3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500)는 사용자들의 체형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들이 표준 사이즈 중 어느 사이즈에 적합할 것인지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사이즈는 의류 제작 시 사용되는 표준 사이즈로, S, M, L, XL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를 S 사이즈에 적합한 사용자로 분류하고, 제2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기초로, 제2 사용자를 M 사이즈에 적합한 사용자로 분류하고, 제3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기초로, 제3 사용자를 L 사이즈에 적합한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500)는 표준 사이즈 별로 분류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S 사이즈에 적합한 사용자로 분류되고,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가 M 사이즈에 적합한 사용자로 분류된 경우,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제1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고,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제2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500)는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수를 이용하여, 사이즈별 수량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S 사이즈에 적합한 제1 사용자 그룹으로 분류되고, 제4 사용자 및 제5 사용자가 M 사이즈에 적합한 제2 사용자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장치(500)는 제1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3명이고, 제2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2명이기 때문에, S 사이즈 3개, M 사이즈 2개로 사이즈별 수량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500)는 사이즈별 수량에 대한 추천 정보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화면의 특성을 기반으로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프린팅 작업이 시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식별 정보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단말의 종류와 기종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부터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종류를 파악하여,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500)는 제1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웹 페이지를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작업지시서를 통해 확인된 제1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를 위해, 작업지시서는 제1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은 제1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웹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가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500)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성된 제2 웹 페이지를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작업지시서를 통해 확인된 제1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작업지시서를 통해 확인된 제2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를 위해, 작업지시서는 제1 디자인 및 제2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가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성된 제2 웹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 영역의 순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702 단계에서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1 단계에서, 장치(500)는 작업지시서를 기초로, 제1 디자인으로 주문된 수량인 제1 수량과 제2 디자인으로 주문된 수량인 제2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지시서는 디자인별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500)는 제1 수량이 제2 수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제1 수량이 제2 수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3 단계에서, 장치(500)는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웹 페이지를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 제공할 때,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서 제1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제2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서 제1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사용자 조작으로 화면 이동이 요청되면, 제2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서 제1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2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S902 단계에서 제2 수량이 제1 수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4 단계에서, 장치(500)는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웹 페이지를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로 제공할 때,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서 제2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제1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500)는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서 제2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사용자 조작으로 화면 이동이 요청되면, 제1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프린팅 작업자 단말(310)의 화면에서 제2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1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500)는 프로세서(501) 및 메모리(5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1)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5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5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5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로부터 의류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접수 알림 메시지를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의류 주문 요청을 통해 제작된 디자인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디자인 파일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디자인 파일에 대한 디자인 확정 요청이 수신되면, 사이즈 별로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주문 페이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사이즈 별로 입력된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견적서에 대한 입금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견적서에 기재된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견적 금액에 대한 입금 완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의류 주문 요청에 대한 출고예정일, 원단소요량, 원단 업체, 프린팅 업체 및 봉제 업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정보,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디자인 파일을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지시서에 대응하는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를 통해 확인된 프린팅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QR 코드가 프린팅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경우,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경우, 프린팅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업 정보를 통해 확인된 봉제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봉제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1 QR 코드가 봉제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처음으로 수신된 경우, 봉제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두번째로 수신된 경우, 봉제 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의류 주문에 대한 제조 완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브랜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문 페이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의류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체 부위별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체형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체형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들이 미리 설정된 표준 사이즈 중 어느 사이즈에 적합할 것인지 각각 분류하는 단계;
    상기 표준 사이즈 별로 분류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수를 이용하여, 사이즈별 수량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영역-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작업지시서를 통해 확인된 제1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웹 페이지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 크기가 상기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작업지시서를 통해 확인된 제2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성된 제2 웹 페이지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지시서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자인으로 주문된 수량인 제1 수량과 상기 제2 디자인으로 주문된 수량인 제2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수량이 상기 제2 수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상기 제2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량이 상기 제1 수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2 영역이 먼저 표시된 후, 상기 제1 영역이 이어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와의 연결을 위한 제2 QR 코드를 더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로 상기 제2 QR 코드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제 업체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봉제 업체 단말로 상기 제2 QR 코드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프린팅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QR 코드가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원단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원단의 불량 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를 상기 프린팅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봉제 업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2 QR 코드가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에 인식되면,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프린팅에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프린팅의 불량 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불량 사항 등록 페이지를 상기 봉제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KR1020210181488A 2021-12-17 2021-12-17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3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88A KR102438726B1 (ko) 2021-12-17 2021-12-17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88A KR102438726B1 (ko) 2021-12-17 2021-12-17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726B1 true KR102438726B1 (ko) 2022-08-31

Family

ID=8306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488A KR102438726B1 (ko) 2021-12-17 2021-12-17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2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843A (ko) * 2012-02-07 2013-09-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고유 인식 코드를 이용한 작업 시스템
KR20170116289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어벤놈스 개인 맞춤형 의류 제작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8554A (ko) 2016-11-24 2018-06-01 (주)패셔노믹스 주문 맞춤형 의류 제조를 위한 공정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3034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위메프 체형정보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102009253B1 (ko) 2018-02-14 2019-08-09 호전실업 주식회사 다품종 소량 의복 생산을 위한 모듈화 의류 제조 방법 및 모듈화 의류 제조 시스템
KR20190106748A (ko) * 2018-03-06 2019-09-18 신왕수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KR20210012493A (ko) * 2019-07-25 2021-02-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체형분류 자동화 및 패턴 자동보정 시스템
KR102236442B1 (ko) 2020-07-08 2021-04-06 조해룡 Diy 방식의 의류 키트 제조 방법
KR102245481B1 (ko) 2020-07-02 2021-04-27 박인철 수작업 공정의 작업 표준화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843A (ko) * 2012-02-07 2013-09-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고유 인식 코드를 이용한 작업 시스템
KR20170116289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어벤놈스 개인 맞춤형 의류 제작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8554A (ko) 2016-11-24 2018-06-01 (주)패셔노믹스 주문 맞춤형 의류 제조를 위한 공정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30346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위메프 체형정보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102009253B1 (ko) 2018-02-14 2019-08-09 호전실업 주식회사 다품종 소량 의복 생산을 위한 모듈화 의류 제조 방법 및 모듈화 의류 제조 시스템
KR20190106748A (ko) * 2018-03-06 2019-09-18 신왕수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KR20210012493A (ko) * 2019-07-25 2021-02-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체형분류 자동화 및 패턴 자동보정 시스템
KR102245481B1 (ko) 2020-07-02 2021-04-27 박인철 수작업 공정의 작업 표준화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
KR102236442B1 (ko) 2020-07-08 2021-04-06 조해룡 Diy 방식의 의류 키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7008B2 (ja) リアルタイム会話を基盤とした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1471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fittings
US10521834B2 (en) Mobile solution for purchase orders
KR101719250B1 (ko) 의류 생산 관리 장치
KR102389256B1 (ko) 가상 부스를 통한 가상 박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102308445B1 (ko) 3d 모델링 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US201903781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garment order recep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1861609A (zh) 对订单进行取消处理的系统、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940862B (zh) 网络实景逛店试衣定制系统
CN113287138A (zh) 用于对电子内容的可执行注释的可扩展框架
KR20230026935A (ko) 다중 기능으로 구성된 영상 통화를 바탕으로 시설의 유지보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8517952A (ja) Bim環境における問題点の解決及び協業を支援可能な支援システム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438726B1 (ko)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주문 및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283532B2 (ja) 売価管理装置、売価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WO2022219619A1 (en) Integrating and automating supply and demand chains
CN114066295A (zh) 工作流业务编排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2004185166A (ja) サービス部品選択支援方法
WO2023012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rnet-of-things products
KR102505296B1 (ko)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
JP2018530050A (ja) 例えば学校内で遺失物の管理を可能に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機構及び方法
CN107451791B (zh) 中继式工作流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4046287A1 (zh) 搭配方案的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201480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n improved in-store experience
US202203008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