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367B1 -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367B1
KR102437367B1 KR1020210168983A KR20210168983A KR102437367B1 KR 102437367 B1 KR102437367 B1 KR 102437367B1 KR 1020210168983 A KR1020210168983 A KR 1020210168983A KR 20210168983 A KR20210168983 A KR 20210168983A KR 102437367 B1 KR102437367 B1 KR 10243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material
connector
fixture
horizont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6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 내장재 밀착고정구, 상하부 전방 고정구, 수평 연결구, 상하부 후방 고정구, 수직 완충 연결구, 높낮이 조절구, 고정구 결합구, 벽면 고정구를 포함하고,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장재와 내장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재를 지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용 내장재와 용이하게 결합되고, 외부와 내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outer wall)이란 건축물의 외부로 보여지는 바깥쪽 벽면을 지칭하고, 내벽(interior wall)은 건축물의 내부에 있는 벽 즉, 칸막이벽이나 계벽(界壁) 등의 건축물 내부 공간을 칸막는 벽으로 외주벽의 내면을 지칭하는바, 과거에는 주로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돌 등으로 치장하였지만, 최근 들어 건축물의 벽면 내측 또는 바깥쪽으로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을 고정시켜 미려한 외관을 추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건축물의 벽면 내측 또는 바깥쪽으로 고정되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은 달리, 내장 또는 외장패널이라 불리기도 한다.
한편, 건축물의 완성된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방법은 크게 습식방법과 건식방법이 있는데, 습식방법은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 면에 판 구조물을 대면 배치한 후 그 사이로 시멘트 등을 타설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양생을 포함한 시공기간이 길고 작업성과 시공성이 떨어져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 건식방법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구 등을 동원하여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 면에 판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상대적으로 시공성과 작업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석재 또는 금속재 등의 판 구조물은 자체 하중이 무거운 관계로 취급이 까다롭고, 벽면이 완성된 건축물의 내측 또는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 빌딩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고공작업을 수반한다.
더욱이, 건축물의 내,외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구 등은 벽면의 앵커 볼트에 선(先) 고정된 후, 볼트와 너트 등으로 판 구조물이 후(後)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를 나타내는바, 벽면과 판 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건축물의 내,외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작업에는 용접작업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용접작업은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보다 까다롭고, 한번 시공된 후에는 내벽 또는 외벽 전체를 들어내지 않는 한 부분적인 수선 및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3-00038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품을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성과 구성의 사이 및 구성의 연결부분에 완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는 중앙에 형성되는 부재 장착홈을 기준으로 상부 외측면과 하부 외측면이 내장재에 밀착되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의 부재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고 외측면이 내장재와 밀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장재 밀착고정구;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상부 외측면과 하부 외측면이 체결구를 통해 내장재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 외측면과 하부 외측면의 사이로 내측면에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전방 연결구 삽입홈과 저면에 힌지 연결구가 장착되는 연결몸체가 형성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의 전방 연결구 삽입홈에 일단이 결합되는 수평 연결구;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수평 연결구의 타단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구 삽입홈에 완충부재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힌지 연결구가 장착되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의 힌지 연결구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의 힌지 연결구에 끝단에 장착되는 힌지 결합구가 각각 결합되는 수직 완충 연결구;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낮이 수평면이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높낮이 수직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구; 상기 높낮이 조절구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전면판과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높낮이 수직면의 후방에 배치되고 수직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는 고정구 결합구; 및 직각 형상으로 상하부에 배치되며, 벽면 수평면은 고정구 결합구의 수평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벽면 수직면은 체결구를 통해 벽면에 고정되는 벽면 고정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결구의 하부 또는 상부에 간격을 두고 힌지 연결구가 장착되고, 수직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연결구와 힌지 연결구의 사이에는 끝단이 상기 힌지 연결구와 결합되는 충격 흡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구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의 전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 결합구를 구성하는 후면판의 수평면과 벽면 고정구의 벽면 수평면이 맞닿는 부분에는 충격 완충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는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성과 구성의 사이 및 구성의 연결부분에 완충부재를 장착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키면서도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 내장재 밀착고정구, 상하부 전방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와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 결합구와 벽면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 내장재 밀착고정구, 상하부 전방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와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 결합구와 벽면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10)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장재(1)와 내장재(1)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10)는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내장재(1)와 내장재(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재(1)를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10)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 내장재 밀착고정구(30), 상하부 전방 고정구(40), 수평 연결구(50), 상하부 후방 고정구(60), 수직 완충 연결구(70), 높낮이 조절구(80), 고정구 결합구(90), 벽면 고정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장재(1)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는 중앙에 부재 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 장착홈(21)을 기준으로 상하부에는 내장재(1)와 밀착되는 상부 외측면(22)과 하부 외측면(23)이 소정구간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는 중앙에 형성되는 부재 장착홈(21)을 기준으로 상부 외측면(22)과 하부 외측면(23)이 내장재(1)에 밀착되고, 상기 상하부 전면 고정구(40)와 함께 체결구를 통해 내장재(1)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내장재 밀착고정구(30)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부재 장착홈(21)에 각각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내장재 밀착고정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부재 장착홈(21)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내장재 밀착고정구(30)의 결합시 상기 내장재(1)와 밀착되면서도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는 상부 외측면(41)과 하부 외측면(42)이 체결구를 통해 내장재(1)와 결합되며, 중앙에는 배면으로 완충부재(45)가 장착되는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힌지 연결구(46)가 장착되는 연결몸체(4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와 밀착된 후 체결구를 통해 상기 상부 외측면(22, 41)과 하부 외측면(23, 42)을 상기 내장재(1)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43)를 구성하는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을 통해 수평 연결구(50)와 연결되며, 상기 힌지 연결구(46)를 통해 수직 완충 연결구(7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에 장착되는 완충부재(45)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와 수평 연결구(5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면서도 상기 수평 연결구(5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 연결구(50)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결구(5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 연결구(50)는 일단이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의 후방 연결구 삽입홈에 끼움 결합된 후 공지된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연결구(50)는 도시된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결구(50)의 하부와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힌지 연결구(51)가 장착되고, 상기 힌지 연결구(51)의 수직 동일선상에는 일단이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연결구(50)의 힌지 연결구(51)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 연결구(50)의 힌지 연결구(51)에 결합되는 충격 흡수 스프링(52)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52)은 수직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수평 연결구(50)의 힌지 연결구(51)와 힌지 연결구(5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면서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수평 연결구(5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는 상기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의 대응하는 외면으로 완충부재(62)가 장착되는 후방 연결구 삽입홈(6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힌지 연결구(63)가 장착된다.
즉,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는 후방 연결구 삽입홈(61)을 통해 수평 연결구(50)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 연결구(63)를 통해 수직 완충 연결구(7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 연결구 삽입홈(61)에 장착되는 완충부재(62)는 수평 연결구(50)와 벽면 고정구(1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면서도 상기 수평 연결구(5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직 완충 연결구(70)는 수직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와 상하부 전방 고정구(40) 및 수직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수직 완충 연결구(70)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힌지 연결구(46)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의 힌지 연결구(51)에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구(71)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6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완충 연결구(70)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의 지지와 함께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공지된 유공압실린더, 쇽업쇼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는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낮이 수평면(81)이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높낮이 수직면(82)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8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는 높낮이 수평면(81)을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에 밀착한 상태에서 공지된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높낮이 수직면(82)에 형성되는 결합공(83)을 통해 고정구 결합구(90)와 높낮이 조절 후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 결합구(90)는 높낮이 조절구(80)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결합구(90)는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82)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공(92)이 형성되는 전면판(91)과 상기 높낮이 수직면(82)의 후방에 배치되고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면(94)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95)이 형성되는 후면판(9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 결합구(90)는 높낮이 조절구(80)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82)의 전후방으로 전면판(91)과 후면판(93)을 각각 배치한 후 상기 결합공(83, 92, 95)에 체결구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구 결합구(90)와 높낮이 조절구(80)를 높낮이 조절한 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82)의 전후방에는 충격 흡수 및 완충을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9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벽면 고정구(100)는 고정구 결합구(9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벽면 고정구(100)는 직각 형상으로 상하부에 배치되고, 벽면 수평면(101)이 고정구 결합구(90)의 수평면(96)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벽면 수직면(102)은 체결구를 통해 벽면(B)에 고정된다.
즉, 상기 벽면 고정구(100)는 벽면 수평면(101)을 통해 고정구 결합구(90)의 수평면(96)과 결합하고, 공지된 체결구를 통해 상기 벽면 수직면(102)을 벽면(B)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에 부재 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 장착홈(21)을 기준으로 상하부에는 내장재(1)와 밀착되는 상부 외측면(22)과 하부 외측면(23)이 소정구간 형성되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부재 장착홈(21)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외면이 내장재(1)에 밀착되는 내장재 밀착고정구(30)를 각각 장착된다.
다음으로, 내장재(1)의 내측면으로 내장재 밀착고정구(30)가 장착된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를 배치한 후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내측으로 상부 외측면(41)과 하부 외측면(42)이 체결구를 통해 내장재(1)와 결합되며, 중앙에는 배면으로 완충부재(45)가 장착되는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힌지 연결구(45)가 장착되는 연결몸체(43)가 형성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를 구성하는 상부 외측면(22)과 하ㅂ부 외측면(23)은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상부 외측면(41)과 하부 외측면(42)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내장재(1)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수평 연결구(50)의 일단을 끼움 결합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연결구(50)의 타단으로 후방 연결구 삽입홈(61)에 완충부재(62)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힌지 연결구(63)가 장착되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힌지 연결구(46)와 힌지 연결구(46) 및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의 힌지 연결구(51)와 힌지 연결구(51)에 수직 완충 연결구(70)의 끝단에 장착된 힌지 결합구(71)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에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낮이 수평면(81)이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높낮이 수직면(82)에 간격을 두고 결합공(83)이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구(80)를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82)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공(92)이 형성되는 전면판(91)을 배치하고, 상기 수직면(82)의 후방에는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면(94)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95)이 형성되는 후면판(93)으로 구성되는 고정구 결합구(9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 결합구(90)에 직각 형상으로 상하부에 배치되며, 벽면 수평면(101)은 고정구 결합구(90)의 수평면(96)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벽면 수직면(102)은 체결구를 통해 벽면(B)에 고정되는 벽면 고정구(100)를 장착하면,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10)를 벽면(B)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 결합구(90)와 결합된 벽면 고정구(100)를 분리한 후 상기 벽면 고정구(100)를 구성하는 벽면 수직면(102)를 벽면(B)에 밀착시킨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 결합구(90)와 벽면 고정구(100)를 내장재(1)의 설치 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상기 고정구 결합구(90)의 수평면(96)과 벽면 고정구(100)의 벽면 수평면(101)을 고정하면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내장재
10 :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20 :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 21 : 부재 장착홈
22 : 상부 외측면 23 : 하부 외측면
30 : 내장재 밀착고정구
40 : 상하부 전방 고정구 41 : 상부 외측면
42 : 하부 외측면 43 : 연결몸체
44 : 전방 연결구 삽입홈 45 : 완충부재
46 : 힌지 연결구
50 : 수평 연결구 51 : 힌지 연결구
52 : 충격 흡수 스프링
60 : 상하부 후방 고정구 61 : 후방 연결구 삽입홈
62 : 완충부재 63 : 힌지 연결구
70 : 수직 완충 연결구 71 : 힌지 결합구
80 : 높낮이 조절구 81 : 높낮이 수평면
82 : 높낮이 수직면 83 : 결합공
90 : 고정구 결합구 91 : 전면판
92 : 결합공 93 : 후면판
94 : 수직면 95 : 결합공
96 : 수평면 97 : 충격 완충 부재
100 : 벽면 고정구 101 : 벽면 수평면
102 : 벽면 수직면 103 : 충격 완충 부재

Claims (3)

  1. 중앙에 형성되는 부재 장착홈(21)을 기준으로 상부 외측면(22)과 하부 외측면(23)이 내장재(1)에 밀착되는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부재 장착홈(21)에 각각 장착되고 외측면이 내장재(1)와 밀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장재 밀착고정구(30);
    상기 상하부 내장재 고정구(2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상부 외측면(41)과 하부 외측면(42)이 체결구를 통해 내장재(1)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 외측면(41)과 하부 외측면(42)의 사이로 내측면에 완충부재(45)가 장착되는 전방 연결구 삽입홈(44)과 저면에 힌지 연결구(46)가 장착되는 연결몸체(43)가 형성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전방 연결구 삽입홈(44)에 일단이 결합되는 수평 연결구(50);
    상기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수평 연결구(50)의 타단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구 삽입홈(61)에 완충부재(62)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힌지 연결구(63)가 장착되는 상하부 후방 고정구(60);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부 전방 고정구(40)의 힌지 연결구(46)와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의 힌지 연결구(63)에 끝단에 장착되는 힌지 결합구(71)가 각각 결합되는 수직 완충 연결구(70);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낮이 수평면(81)이 상기 상하부 후방 고정구(60)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높낮이 수직면(82)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83)이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구(80);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82)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공(92)이 형성되는 전면판(91)과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높낮이 수직면(82)의 후방에 배치되고 수직면(94)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공(95)이 형성되는 후면판(93)으로 구성되는 고정구 결합구(90); 및
    직각 형상으로 상하부에 배치되며, 벽면 수평면(101)은 고정구 결합구(90)의 수평면(96)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고, 벽면 수직면(102)은 체결구를 통해 벽면(B)에 고정되는 벽면 고정구(1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구(50)의 하부 또는 상부에 간격을 두고 힌지 연결구(51)가 장착되고,
    수직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연결구(51)와 힌지 연결구(51)의 사이에는 끝단이 상기 힌지 연결구(51)와 결합되는 충격 흡수 스프링(52)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80)를 구성하는 높낮이 수직면(82)의 전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97)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 결합구(90)를 구성하는 후면판(93)의 수평면(96)과 벽면 고정구(100)의 벽면 수평면(101)이 맞닿는 부분에는 충격 완충 부재(10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KR1020210168983A 2021-11-30 2021-11-30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KR10243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983A KR102437367B1 (ko) 2021-11-30 2021-11-30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983A KR102437367B1 (ko) 2021-11-30 2021-11-30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367B1 true KR102437367B1 (ko) 2022-08-30

Family

ID=8311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983A KR102437367B1 (ko) 2021-11-30 2021-11-30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46B1 (ko) * 2023-04-18 2023-12-19 (주)금호이엔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48Y1 (ko) 1991-03-13 1993-06-23 럭키건축건재 주식회사 건축용 내장판재 고정구
KR101758745B1 (ko) * 2017-02-09 2017-07-2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102249291B1 (ko) * 2020-11-20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48Y1 (ko) 1991-03-13 1993-06-23 럭키건축건재 주식회사 건축용 내장판재 고정구
KR101758745B1 (ko) * 2017-02-09 2017-07-2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102249291B1 (ko) * 2020-11-20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46B1 (ko) * 2023-04-18 2023-12-19 (주)금호이엔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367B1 (ko) 공동주택용 내장재 고정장치
KR101664354B1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KR102249291B1 (ko)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KR102248291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공법
CN208563703U (zh) 一种单元式石材幕墙
CN213329807U (zh) 一种可调节位置的具有缓冲和阻尼功能的竖向龙骨装置
CN201746952U (zh) 轻质隔声减震墙体
KR102460708B1 (ko) 방음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CN217679799U (zh) 一种适用于高风险地区的薄壁空腔墙板连接机构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115043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
CN210713424U (zh) 一种土建施工用幕墙支撑机构
CN107740520B (zh) 一种建筑用高强度幕墙支撑结构
CN210827994U (zh) 一种改进型建筑幕墙固定架
CN210177760U (zh) 一种稳定性高的隔音幕墙结构
KR101404572B1 (ko) 학교 건축물의 날개벽을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JP2011236727A5 (ko)
KR100626976B1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CN111877663A (zh) 一种真石漆保温装饰板
CN214144312U (zh) 一种具有抗震功能的铝单板幕墙
CN215290765U (zh) 石材墙面伸缩缝的装饰结构
KR101727818B1 (ko)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재 시공구조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CN211257417U (zh) 一种隔音装饰墙结构
CN217679798U (zh) 一种适用于不同规格的薄壁空腔墙板的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