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019B1 -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 Google Patents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019B1
KR102437019B1 KR1020210062808A KR20210062808A KR102437019B1 KR 102437019 B1 KR102437019 B1 KR 102437019B1 KR 1020210062808 A KR1020210062808 A KR 1020210062808A KR 20210062808 A KR20210062808 A KR 20210062808A KR 102437019 B1 KR102437019 B1 KR 10243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end
cylinder
bridge
damp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희
장영태
김기용
이은아
Original Assignee
이은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은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변형 및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과 같은 외력을 받아 끊임없이 상대 변위되는 댐퍼의 연결단과 브래킷 간의 마찰손상 및 이로 인한 균열의 확장, 부식, 회전 성능 저하, 피로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실린더; 실린더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축 베어링 설치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연결단;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에 각각 고정되며, 연결단을 사이에 두고 양편에서 연결핀에 의해 관통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연결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브래킷;을 포함하며, 연결단은 관통공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에 의해 실린더 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관통공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반대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에 의해 실린더 반대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단이 연결핀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연결단에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에 의해 플랜지부와의 마찰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Dampers for bridges with a wear-resistant structure at the connection end}
본 발명은 교량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변형 및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과 같은 외력을 받아 끊임없이 상대 변위되는 댐퍼의 연결단과 브래킷 간의 마찰손상 및 이로 인한 균열의 확장, 부식, 회전 성능 저하, 피로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료의 발달과 설계기술, 시공기술 등의 향상으로 유연하고 날렵한 형태의 초장대 교량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장대 교량들은 경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려한 미관으로 인하여 새로운 경관을 만드는 문화관광 산업의 한 부분으로서도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같은 교량들은 날렵하고 긴 주탑, 가늘고 긴 케이블 등의 구조적인 특성상 고유주기가 길고 감쇠비가 매우 작아서 진동이 쉽게 발생하고, 발생한 진동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에 따라 교량에서 발생하는 동적 응답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교량 상판과 교각을 연결하는 실린더형의 교량용 댐퍼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의 교량용 댐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댐핑 기능을 갖는 실린더(10A)의 양단부에 연결단(11)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에 각각 고정되는 브래킷(14)의 플랜지부(14A)가 연결핀(12) 결합에 의해 연결단(11)을 좌편과 우편 양편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하지만, 이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교량 상판으로부터 끊임없는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면서 연결핀(12)을 지지하는 축 베어링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고 연결단(11)은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연결단(11)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할 때 플랜지부(14A)와 마찰접촉되면서 연결단(11)과 플랜지부(14A)에 마모 및 균열, 부식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연결단(11)과 플랜지부(14A)를 지지하고 있는 중추적인 구성요소인 연결핀(12)에 끊임없이 하중이 가해지면서 회전 성능 저하와 피로 파괴까지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33686호(2009.04.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변형 및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과 같은 외력을 받아 끊임없이 상대 변위되는 댐퍼의 연결단과 브래킷 간의 마찰손상 및 이로 인한 균열의 확장, 부식, 회전 성능 저하, 피로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용 댐퍼는,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댐퍼로서,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실린더; 실린더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축 베어링 설치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연결단;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연결단을 사이에 두고 양편에서 연결핀에 의해 관통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은 관통공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에 의해 실린더 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관통공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반대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에 의해 실린더 반대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이 연결핀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상기 연결단에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에 의해 플랜지부와의 마찰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면서 돌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라인을 따라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저마찰 지지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단과 브래킷에 비해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상기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가 일면이 돌출된 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 중 상기 안착홈에서 돌출된 일면은 중앙부 접촉면과 상기 중앙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실린더 쪽과 실린더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는 PTFE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의 접촉면에는 윤활유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의 플랜지부 내측면에는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의 돌출된 일면이 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강판에 크롬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베어링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기 브래킷의 플랜지부 내측면과의 사이에 링 형상의 베어링 스페이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축 베어링이 어느 한 편으로 처지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두 개씩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에는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로드셀이 더 설치되어 각 지점에서 측정된 수치를 통해 연결단과 브래킷의 플랜지부 간에 작용하는 하중이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잡혀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댐퍼는 연결단이 경사면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연결단이 어느 정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브래킷의 플랜지부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연결단과 브래킷의 플랜지부 간의 마찰손상 및 이로 인한 부식 발생과 균열의 확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핀과 관련된 회전 성능 저하,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마찰 지지부재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 링 형상을 갖는 베어링 스페이서를 복합적으로 구비한 구성에 의해 축 베어링의 처짐과 연결단이 기울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연결단과 브래킷의 플랜지부 간의 마찰손상과 그에 따라 야기되는 구조적인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W 부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에서 연결단과 브래킷이 연결되는 일단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에서 연결단과 브래킷이 연결되는 일단부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의 평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교량용 댐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 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W 부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에서 연결단과 브래킷이 연결되는 일단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에서 연결단과 브래킷이 연결되는 일단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는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실린더(100A)를 중심으로 실린더(100A)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결합된 연결단(110),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단(11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브래킷(140), 연결핀(120), 축 베어링(130), 슬라이딩 플레이트(150) 및 저마찰 지지부재(160), 베어링 스페이서(17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는 이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교량의 변형 및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과 같은 외력을 받아 끊임없이 상대 변위되면서 연결단(110)과 브래킷(140) 간의 마찰손상 및 이로 인한 균열의 확장, 부식, 회전 성능 저하, 피로 파괴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댐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댐핑 기능을 갖는 실린더(100A)의 양단부에 연결단(110)이 설치되어 있고,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에 각각 본체(140B)가 고정된 상태인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가 연결단(110)을 좌편과 우편 양편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100A)는 길이가 신축되면서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점성체의 점성 변형을 이용하는 것이나, 방진고무나 방진스프링을 이용하는 것 또는 완충재를 이용하는 것 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110)은 실린더(100A)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축 베어링(130)이 설치되는 관통공(111)을 구비한다는 점에서는 통상적인 교량용 댐퍼의 연결단(110)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11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의 관통공(111)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100A) 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113)에 의해 실린더(100A) 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관통공(111)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100A) 반대쪽으로도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114)에 의해 실린더(100A) 반대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독특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같은 연결단(110)의 구성에 따르면 연결단(110)이 연결핀(120)에 대해 어느 정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연결단(110)에 형성된 제1경사면(113) 및 제2경사면(114)에 의해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와의 접촉 및 충격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교량의 변형 및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과 같은 외력을 받아 끊임없이 상대 변위되는 댐퍼의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간 마찰손상 및 이로 인한 부식, 균열의 확장, 회전 성능 저하 및 피로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연결핀(120)이 피로 하중으로 인해 파괴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경사면(113)과 제2경사면(114)을 갖는 연결단(110)의 구성에 따르면 연결단(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관통공(1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경사면(113)과 제2경사면(114)이 만나면서 돌출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라인이 형성된 지점은 단면 좌우 폭이 가장 큰 지점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라인을 따라 관통공(1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저마찰 지지부재(160)가 안착되는 사각의 안착홈(1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는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내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50)에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연결단(110)이 어느 한 편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단(110)의 안착홈(112)에 안착되어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를 향하고 있는 일면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는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에 비해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로 구비되는데, PTFE 소재면 적당하다.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에서 안착홈(112)으로부터 돌출된 일면은 중앙부 접촉면(161a)과 중앙부 접촉면(161a)을 중심으로 실린더(100A) 쪽과 실린더(100A)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부 경사면(161b)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의 돌출된 일면이 중앙부 접촉면(161a)과 측부 경사면(161b)으로 형성되면 중앙부 접촉면(161a)만이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50)와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면적은 대폭 줄어들지만 지지된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저마찰 지지부재(160)의 접촉면과 슬라이딩 플레이트(150)에는 윤활유 또는 그리스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50)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내측면에 설치된다. 이처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내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150)는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를 대신하여 연결단(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일면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된 저마찰 지지부재(160)가 대신 접촉하도록 해준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50)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강판에 크롬 도금된 것으로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와 함께 슬라이딩 플레이트(150)가 구비된 구성에 따르면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간의 직접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결단(110)이 어느 한 편으로 기울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축 베어링(130)은 연결단(110)의 관통공(111)에 설치되어 연결단(110)을 관통하는 연결핀(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주목할 점으로 상기 축 베어링(130)의 좌편과 우편에는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내측면과의 사이에 링 형상의 베어링 스페이서(170)가 설치된다. 링 형상의 베어링 스페이서(170)는 볼 형상을 갖고 좌우로 돌출된 축 베어링(130)이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와 접촉하지 않도록 축 베어링(13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한 쌍의 베어링 스페이서(170)는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사이에 설치된 저마찰 지지부재(160)와 보조를 맞추면서 축 베어링(130)에 처짐 현상이 있더라도 이로 인해 연결단(110)이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베어링 스페이서(17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변형실시예와 같이 양편에 설치되는 연결단(110)이 하나는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수평하게 설치되었을 때 제품의 자중이 수평하게 설치된 연결단(110)의 축 베어링(130)으로 집중되면서 축 베어링(130)이 탈락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단(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두 개씩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112)에는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160)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로드셀(180)이 더 설치된다. 이처럼 로드셀(180)이 안착홈(112)이 형성된 4개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저마찰 지지부재(160)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면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간에 작용하는 하중이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잡혀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연결단(110)이 균형을 잃고 4개 지점에 설치된 로드셀(180)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장기적으로는 연결핀(120)을 비롯하여 일부에 피로 파괴가 올 수도 있다는 신호이므로 즉시 점검에 나설 수 있다. 이로써 교량용 댐퍼에서 연결단(110)과 브래킷(140)의 플랜지부(140A) 간의 연결부위에서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A: 실린더 110: 연결단
120: 연결핀 130: 축 베어링
140: 브래킷 150: 슬라이딩 플레이트
160: 저마찰 지지부재 170: 베어링 스페이서

Claims (10)

  1.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댐퍼로서,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실린더; 실린더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축 베어링 설치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연결단; 교량의 상판 거더와 교각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연결단을 사이에 두고 양편에서 연결핀에 의해 관통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은 관통공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에 의해 실린더 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관통공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반대쪽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에 의해 실린더 반대쪽으로 갈수록 단면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이 연결핀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더라도 상기 연결단에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에 의해 플랜지부와의 마찰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연결단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면서 돌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라인을 따라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저마찰 지지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단과 브래킷에 비해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상기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가 일면이 돌출된 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 중 상기 안착홈에서 돌출된 일면은 중앙부 접촉면과 상기 중앙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실린더 쪽과 실린더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는 PTFE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의 접촉면에는 윤활유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플랜지부 내측면에는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의 돌출된 일면이 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강판에 크롬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 베어링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기 브래킷의 플랜지부 내측면과의 사이에 링 형상의 베어링 스페이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축 베어링이 어느 한 편으로 처지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두 개씩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에는 상기 저마찰 지지부재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로드셀이 더 설치되어 각 지점에서 측정된 수치를 통해 연결단과 브래킷의 플랜지부 간에 작용하는 하중이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잡혀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댐퍼.
KR1020210062808A 2021-05-14 2021-05-14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KR10243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08A KR102437019B1 (ko) 2021-05-14 2021-05-14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08A KR102437019B1 (ko) 2021-05-14 2021-05-14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019B1 true KR102437019B1 (ko) 2022-08-29

Family

ID=8311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808A KR102437019B1 (ko) 2021-05-14 2021-05-14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686A (ko) 2007-10-01 2009-04-06 손기택 방진댐퍼
JP2014031670A (ja) * 2012-08-06 2014-02-20 Ihi Infrastructure Systems Co Ltd ダンパ取付装置
KR102250708B1 (ko) * 2020-02-04 2021-05-11 안상억 내진성능 보강 구조의 실린더형 유체댐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686A (ko) 2007-10-01 2009-04-06 손기택 방진댐퍼
JP2014031670A (ja) * 2012-08-06 2014-02-20 Ihi Infrastructure Systems Co Ltd ダンパ取付装置
KR102250708B1 (ko) * 2020-02-04 2021-05-11 안상억 내진성능 보강 구조의 실린더형 유체댐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567B1 (ko) 마찰 진자 베어링
US3806975A (en) Structural bearings
US10208437B1 (en) Damping bearing in convertible antiseismic mode and damping bridge apparatus
KR102152742B1 (ko) 마찰형 납 지진격리받침
KR100965235B1 (ko) 방진댐퍼
KR100650819B1 (ko) 복합재를 이용한 지진격리받침
KR102437019B1 (ko) 연결단의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교량용 댐퍼
CN109555009B (zh) 一种支撑及梁体减隔震结构体系及其应用
US8789320B1 (en) Large displacement isolation bearing
JP2003049408A (ja) 鋼製支承及び橋梁の支承装置
KR101351069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KR101392504B1 (ko) 고회전 및 고수평저항 스페리컬 베어링
KR102138941B1 (ko) 쐐기를 이용한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지지 쐐기기구
KR102138940B1 (ko) 쐐기를 이용한 탄성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핑구조물
CN110424252B (zh) 一种装配式摩擦摆支座
JP2020117999A (ja) 滑り免震装置及び橋梁
KR102152740B1 (ko) 교량구조물의 교량받침 배치방법
KR200398507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1173683B1 (ko) 구조물 지지장치
KR100877836B1 (ko) 포트 베어링
EP2016386A1 (en) A support structure for a load-bearing device
KR200400588Y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KR20030064982A (ko) 수평조절 교좌장치
JP2020117998A (ja) 滑り免震装置及び橋梁
KR200247426Y1 (ko) 봉함링이 매입되어 일체화된 고무판을 내장한 포트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