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649B1 -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649B1
KR102436649B1 KR1020200179757A KR20200179757A KR102436649B1 KR 102436649 B1 KR102436649 B1 KR 102436649B1 KR 1020200179757 A KR1020200179757 A KR 1020200179757A KR 20200179757 A KR20200179757 A KR 20200179757A KR 102436649 B1 KR102436649 B1 KR 10243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ok
unit
connection
connec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278A (ko
Inventor
노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0017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dapted for being mounted to the front and back of trailers, carts, trolleys, or the like to form a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연결장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고리부의 설정위치에 위치되면 작동되어 연결고리부에 연결되는 연결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CONNEC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N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차량을 운전자 한 명이 운송할 수 있는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지게차 등과 같이 물건의 운반수단이나 버스, 택시 등과 같은 사람의 이동수단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후방에는 다른 차량이나 트레일러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견인고리 같은 연결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최근에 많이 개량되어 그 연결성은 물론, 편리함이나 안정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장치는 작업자가 수동적으로 일일이 실시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019호(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견인 유닛, 등록일: 2017.03.2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차량을 운전자 한 명이 운송할 수 있는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연결장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고리부의 설정위치에 위치되면 작동되어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는 연결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고리부와 상기 연결후크부를 연결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조작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결후크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후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고리몸체; 및 상기 연결고리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후크부가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후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고리부와 연결해제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연결고리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고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후크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돌기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방법은 복수개의 차량이 서로 근접하게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차량주행단계, 어느 하나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연결고리부에 다른 하나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연결후크부를 연결시켜 상기 차량을 서로 연결시키는 차량연결단계 및 상기 차량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시스템을 제어하는 주행시스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은 복수개의 차량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됨은 물론, 전산 시스템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복수개의 차량을 운전자 한 명으로 쉽게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차량을 연결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가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가 연결되는 과정은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방의 차량을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견인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견인방법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차량을 연결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가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가 연결되는 과정은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연결고리부와 연결후크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방의 차량을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견인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견인방법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장치(1)는 연결고리부(100), 연결후크부(200), 카메라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연결고리부(10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이때, 연결고리부(10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로, 연결고리부(100)는 차량(10)의 전방 범퍼(11)에 설치되며, 좌우측으로(도 4 기준) 회동가능하다. 연결고리부(100)를 연결후크부(200)와 연결하는 경우, 연결고리부(100)를 회동시켜 차량(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연결고리부(100)를 연결후크부(200)와 미연결하는 경우, 연결고리부(100)를 회동시켜 차량(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후크부(20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고리부(100)의 설정위치에 위치되면 작동되어 연결고리부(100)에 연결된다. 이때, 설정위치는 연결고리부(100)의 후크부(220)가 연결고리부(10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가능한 위치이다.
연결후크부(20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로, 연결후크부(200)는 차량의 후방 범퍼(12)에 설치되고, 연결고리부(10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좌우측으로(도 4 기준) 회동가능하다.
연결후크부(200)를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하는 경우, 연결후크부(200)를 회동시켜 차량(1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연결후크부(200)를 연결고리부(100)와 미연결하는 경우, 연결후크부(200)를 회동시켜 차량(10)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카메라부(30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연결고리(120)와 연결후크부(200)를 연결과정을 촬영한다. 카메라부(300)는 차량(10)의 후방에(도 1 참조)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고리(120)와 연결후크부(200)를 연결과정을 촬영하여, 차량(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연결고리(120)의 설정위치에 연결후크부(200)가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후크부(200)를 연결하는 경우, 카메라부(300)는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후크부(200)가 연결되는 진행과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촬영정보를 후술된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촬영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후크부(200)가 연결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연결후크부(200)의 후크부(220)가 연결고리부(100)의 제1결합부(121) 상에 위치되면, 촬영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로부터 음성 등 소리가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로부터 음성 등 소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차량(10)에 장착된 장치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로, 카메라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토대로 연결후크부(200)를 작동시켜 연결고리부(100)에 연결시킨다. 연결후크부(200)는 연결고리부(100)에 결합되도록 작동되어 연결고리부(1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차량(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500)는 제어부(400)에 조작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400)를 통해 연결후크부(200) 및 카메라부(300)의 작동을 조작한다. 조작부(500)는 스마트키로 복수개의 조작버튼(미도시)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복수개의 조작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복수개의 조작버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조작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된다. 제어부(400)는 조작부(50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토대로 연결후크부(200) 및 카메라부(300)의 작동 등 차량(10)에 장착된 장치 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시스템과, 차량(10)의 시동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연결고리부(100)는 연결고리몸체(110)와 연결고리(120)를 포함한다. 연결고리몸체(11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로, 연결고리몸체(110)는 제1연결고리몸체(111)와 제2연결고리몸체(112)를 포함한다. 제1연결고리몸체(111)는 차량(10)의 전방 범퍼(11)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2연결고리몸체(112)는 제1연결고리몸체(11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다.
연결고리(120)는 연결고리몸체(110)와 연결되고, 연결후크부(200)가 연결된다. 연결고리(120)는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2)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121)는 홀부 형상으로, 후술된 연결후크부(200)의 후크부(220)가 결합된다. 제2결합부(122)는 제1결합부(121)와 연결되며, 후술된 연결후크부(200)의 결합돌기부(230)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후크부(200)는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후크부(200)는 길이조절부(210), 후크부(220) 및 결합돌기부(230)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210)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길이조절부(210)는 실린더 형태로 연결후크부(200)는 차량의 후방 범퍼(12)에 장착되고, 조작부(500)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0)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후크부(20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후크부(200)의 길이조절부(210)는 설정길이 이상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연결고리부(100)의 연결고리(12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차량(10)의 서로 근접하게 주행됨에 따라, 연결후크부(200)와 연결고리부(100)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연결고리부(100)의 후술된 후크부(220)가 연결고리부(100)의 연결고리(120)에 형성된 제1결합부(121) 상에 위치되면, 연결후크부(200)의 길이조절부(210)는 길이가 줄어들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후크부(220)가 연결고리(12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210)는 길이조절부재(211)와 연결부재(212)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재(211)는 실린더로 차량의 후방 범퍼(12)에 장착되어 길이가 조절된다. 연결부재(212)는 길이조절부재(211)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후술된 후크부(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후크부(220)는 길이조절부(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조절부(210)의 작동에 의해 연결고리부(100)에 연결되거나 연결고리부(100)와 연결해제된다. 후크부(220)는 후크몸체(221)와 후크결합부재(222)를 포함한다. 후크몸체(221)는 길이조절부(210)의 연결부재(212)에 힌지결합되어 좌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후크몸체(221)는 길이조절부(21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재(222)는 후크몸체(221)에서 일측으로 즉, 상측으로(도 5 내지 도 7 기준)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연결고리(12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재(222)는 후크몸체(221)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조절부(210)의 길이가 늘어나면 후크몸체(221)는 하강되고, 후크몸체(221)와 연결된 후크결합부재(222) 역시 하강되면서 연결고리(120)의 제1결합부(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길이조절부(210)의 길이가 줄어들면 후크몸체(221)는 상승되면서 후크몸체(221)와 연결된 후크결합부재(222) 역시 상승되면서 연결고리(12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부(230)는 후크부(220)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크부(220)에서 연결고리부(100) 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고리부(100)에 결합되며,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결합돌기부(230)는 실린더 형식으로 후크부(220)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부(230)는 후크부(220)에 돌출되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하게 설계변경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부(230)는 후크결합부재(222)가 연결고리(12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되면, 조작부(500)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0)를 통해 작동되어 연결고리(120)의 제2결합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방법을 설명한다. 견인방법은 차량주행단계(S10), 차량연결단계(S20) 및 주행시스템제어단계(S30)를 포한다. 차량주행단계(S10)에서는 복수개의 차량(10)이 서로 근접하게 차량(10)을 주행시킨다. 구체적으로, 차량주행단계(S10)에서는 조작부(500)를 통해 차량(10)의 주행을 제어하여 복수개의 차량(10)이 서로 근접시킨다. 일 예로, 전방을 조작하는 조작부(500)를 통해 전방 차량(10)을 후진시키고, 후방 차량(10)을 조작하는 조작부(500)를 통해 후방 차량(10)을 전진시켜 전방 차량(10)과 후방 차량(10)을 서로 근접시킬 수 있다. 이때, 조작부(500)의 조작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되고, 제어부(400)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전방 차량(10)과 후방 차량(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주행단계(S10)에서는 어느 하나의 차량(10)에 설치된 연결고리부(100)의 설정위치에 다른 하나의 차량(10)에 설치된 연결후크부(200)가 위치되도록 차량(10)의 주행을 제어한다. 이때, 설정위치는 연결고리부(100)의 후크부(220)가 연결고리부(10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가능한 위치이다.
차량연결단계(S20)에서는 어느 하나의 차량(10)에 설치된 연결고리부(100)에 다른 하나의 차량(10)에 설치된 연결후크부(200)를 연결시켜 차량(10)을 서로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차량연결단계(S20)에서는 다른 하나의 차량(10)에 설치된 연결후크부(200)를 조작부(500)를 통해 조작하여 어느 하나의 차량(10)에 설치된 연결고리부(100)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차량연결단계(S20)에서는 조작부(500)를 통해 연결후크부(200)의 길이조절부(210)를 작동시켜 길이조절부(21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한다. 길이조절부(210)의 길이가 줄어들고, 길이조절부(210)와 연결된 후크부(220)가 연결고리부(100)의 제1결합부(121)에 결합된다. 이때, 조작부(500)의 조작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되고, 제어부(400)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길이조절부(210)의 길이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조작부(500)를 통해 후크부(220)에 돌출가능하도록 장착된 결합돌기부(230)를 작동시켜, 연결고리부(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결합돌기부(230)가 후크부(220)에서 연결고리부(100) 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고리부(100)의 제2결합부(122)에 결합된다. 이때, 조작부(500)의 조작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되고, 제어부(400)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결합돌기부(230)가 후크부(220)에서 연결고리부(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후, 결합돌기부(230)는 조작부(500)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400)에 의해 후크부(220)의 내부로 삽입 즉,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주행시스템제어단계(S30)에서는 차량(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차량(10)의 주행시스템을 제어한다. 주행시스템제어단계(S30)에서는 복수개의 차량(10)이 케이블(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차량(10) 중 어느 하나의 차량(1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차량(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차량(10)의 주행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개의 차량(10)을 운행하는경우, 운전자 한 명만 필요하므로, 인력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을 통해 복수개의 차량(10)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됨은 물론, 전산 시스템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복수개의 차량(10)을 운전자 한 명으로 쉽게 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연결장치 10 : 차량
20 : 케이블 30 : 주행시스템
100 : 연결고리부 110 : 연결고리몸체
111 : 제1연결고리몸체 112 : 제2연결고리몸체
120 : 연결고리 121 : 제1결합부
122 : 제2결합부 200 : 연결후크부
210 : 길이조절부 211 : 길이조절부재
212: 연결부재 220 : 후크부
221 : 후크몸체 222 : 후크결합부재
230 : 결합돌기부 300 : 카메라부
400 : 제어부 500 : 조작부

Claims (8)

  1.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고리부의 설정위치에 위치되면 작동되어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는 연결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고리부와 상기 연결후크부를 연결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조작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결후크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고리몸체; 및
    상기 연결고리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후크부가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후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고리부와 연결해제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연결고리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고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후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후크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돌기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결장치.
  8. 복수개의 차량이 서로 근접하게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차량주행단계;
    어느 하나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연결고리부에 다른 하나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연결후크부를 연결시켜 상기 차량을 서로 연결시키는 차량연결단계; 및
    상기 차량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시스템을 제어하는 주행시스템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고리부와 상기 연결후크부를 연결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조작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결후크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고리몸체; 및
    상기 연결고리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후크부가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후크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하나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고리부와 연결해제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연결고리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고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방법.
KR1020200179757A 2020-12-21 2020-12-21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KR10243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7A KR102436649B1 (ko) 2020-12-21 2020-12-21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7A KR102436649B1 (ko) 2020-12-21 2020-12-21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278A KR20220089278A (ko) 2022-06-28
KR102436649B1 true KR102436649B1 (ko) 2022-08-30

Family

ID=8226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757A KR102436649B1 (ko) 2020-12-21 2020-12-21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6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0573A (ja) * 2017-03-03 2020-04-09 コンチ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自律的トレーラヒッチン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0464A1 (de) * 1987-01-09 1988-07-21 Daimler Benz Ag Zur zugbildung geeigneter omnibus
KR101200441B1 (ko) * 2010-12-28 2012-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 운송용 차량 연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0573A (ja) * 2017-03-03 2020-04-09 コンチ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自律的トレーラヒッチ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278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1979A1 (en) Fifth Wheel Backup Camera System and Method
US6690413B1 (en) Tractor-trailer viewing system
US7777615B2 (en) System for assisting the attachment of a trailer to a vehicle
EP1251025B1 (en) Driving aiding system
US10351061B1 (en) Implement attachment guidance system
DE102018120145A1 (de) Kapazitive überwachung von fahrzeuganhängerkupplungen
CN201646552U (zh) 一种汽车全景环视系统
US20130076007A1 (en) Vehicle backup camera for viewing a mid-chassis mounted trailer hitching structure
DE102004053328A1 (de) Fahrzeugeindring-Überwachungssystem und -verfahren
CA2497021A1 (en) Hitch system using a video camera to facilitate hitch alignment
US20170217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 vehicle operator identification
DE102019107439A1 (de) Schleppanordnung mit einer integrierten bildgebenden Verbindungsvorrichtung
US20190152387A1 (en) Ajar tailgate detection system
KR102436649B1 (ko) 차량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인방법
CN208842356U (zh) 用于调节车辆镜子的系统
DE102022203345A1 (de) Telematiksystem und telematisches verfahren zum bedingten fernstart selbstfahrender arbeitsfahrzeuge
US10875404B2 (en) Work vehicle, control method for work vehicle, and cooperative work vehicle monitoring system
CN105235595A (zh) 一种辅助驾驶方法、行车记录仪、显示装置和系统
CN111284503B (zh) 一种汽车安全出行装置
US11912192B2 (en) Supplemental vehicle illumination system
US10406877B2 (en) Monitoring of anti-sway bar chains of trailer hitch systems
EP3993457A1 (en) Technologies for a harness connector with integrated wireless transceiver
CN114422755A (zh) 一种基于车载摄像调整的多摄像头拍摄画面显示方法
CN114954699A (zh) 用于调节空气导流板的系统和方法
US11718972B2 (en) Image-based attachment identification and position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