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491B1 - 호차 - Google Patents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491B1
KR102436491B1 KR1020180074132A KR20180074132A KR102436491B1 KR 102436491 B1 KR102436491 B1 KR 102436491B1 KR 1020180074132 A KR1020180074132 A KR 1020180074132A KR 20180074132 A KR20180074132 A KR 20180074132A KR 102436491 B1 KR102436491 B1 KR 10243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le
groove
coupl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22A (ko
Inventor
이예순
전창현
Original Assignee
이예순
전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전창현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102018007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4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안착홈에 피스결합구를 안착시킨 채 피스를 피스결합구에 결합시켜 피스의 조립이 용이하고 피스결합구와 피스가 지지편에 일체로 보관시키는 호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차{DOOR ROLLER}
본 발명은 롤러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에 형성된 안착홈에 피스결합구를 안착시킨 채 피스를 피스결합구에 결합시켜 피스의 조립이 용이하고 피스결합구와 피스가 지지편에 일체로 보관시키는 호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차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호차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금속제로 구성된 호차케이싱(1) 양측으로 볼트공(2a)이 천공된 지지부(2)가 돌출 형성된 창문용 호차로서, 지지부(2)의 요입실(3)에 체결볼트(7)가 삽입홈(6)에 끼워져 수납보관되는 합성수지제의 볼트수납구(5)를 일체로 삽입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입실(3)의 양측과 볼트수납구(5)의 대응위치에 각각 돌출조(4)와 돌출조(4)가 요입되는 홈(8)을 형성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볼트수납구(5)가 요입실(3)에 요실되기 위해서는 돌출조(4)와 홈(8)이 형성되어 정확한 위치로 고정은 가능하나, 호차가 떨어지는 등 외부의 충격이 있으면 볼트수납구(5)가 이탈될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체결볼트(7)의 머리부가 볼트수납구(5)의 삽입홈(6)에 일정한 협지텐션을 지닌 상태로 탄력성 있게 결합되어 웬만한 충격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체결볼트(7)가 삽입홈(6)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지만, 호차가 떨어지는 등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체결볼트(7)가 삽입홈(6)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7)의 머리부만으로 볼트수납구(5)에 협지시키기 때문에, 삽입홈(6)과 볼트공(5a) 2개를 성형해야 한다.
특히, 체결볼트(7)의 머리부가 삽입홈(6) 내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볼트수납구(5)의 부피도 체결볼트(7)의 길이보다 더 커야 한다.
이와 같은 트러블로 인해 특허문헌 1의 볼트수납구(5) 또는 체결볼트(7)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이탈되기 쉬워 빠지거나 잃어버리기 용이하고, 볼트수납구의 부피도 크고, 볼트수납구와 체결볼트의 조립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
한편, 특허문헌 2의 호차(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롤러(11)가 축설 및 하부로 돌출되는 롤러하우징(10)이 구성되고, 롤러하우징(10)의 상단 양측에는 결합공(14)을 갖는 결합편(13)이 형성된 호차에 있어서, 결합공(14)에 결합되어 호차와 일체 형성되는 가압부재(20); 및 가압부재(20)의 하부로부터 나삽된 결합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가압부재(20)는, 결합공(14)의 하부로부터 끼움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중앙에 볼트 나삽공(21)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에는 결합공(14)의 저면 둘레에서 결합편(13)에 지지되는 지지부(22)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단면상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쐐기 형태의 가압돌조(23)가 상,하로 다수열 형성되며, 둘레에는 수직형을 이루며 볼트 나삽공(21)과 연통되게 양측으로 절개공(24)이 형성되어 결합공(14)의 하부로부터 끼움 결합되는 한편, 가장 하단의 가압돌조(23)에 의해 상단 둘레에 지지된 형태를 이루고, 결합볼트(30)는, 가압부재(20)의 하부로부터 볼트 나삽공(21)에 강제 체결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가압부재(20)가 샷시(40)에 삽입될 체결공(42)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가압부재(20)를 체결공(42)에 끼우는 작업도 하나의 공정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결합볼트(30)가 최종 체결된 상태에서 가압부재(20)의 가압으로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샷시(40)의 체결공(42)에서 가압부재(20)가 빠져 호차(1) 자체가 그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또한, 결합볼트(30)가 가압부재(20)에 강제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그 강제 체결을 위해서는 공구를 이용해서 결합볼트(30)를 돌려 체결해야 하는 등 그 조립이 복잡하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4108호 공보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775235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스가 피스결합구에 간단히 결합되어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피스 및 피스결합구가 지지편에 일체로 보관하는 호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호차는, 롤러가 설치되는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피스공이 형성되는 지지편; 관통공을 갖는 피스결합구;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피스;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편에는 아래로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은 상기 피스공이 형성되는 안착턱이고, 상기 피스결합구는 상기 안착턱에 놓인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호차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피스결합구의 두께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호차에 있어서, 상기 피스결합구의 하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스공에 삽입되는 원통이 형성되되,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턱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호차에 있어서, 상기 원통은 하단에 개구를 갖는 절개홈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호차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에는 상기 날개와 날개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가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피스결합구의 관통공에 피스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조립에 의해 피스를 피스결합구에 빠지지 않고 일체로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안착턱을 갖는 안착홈에 피스결합구의 플랜지가 수용됨으로써, 안착턱을 중심으로 위에는 플랜지가 아래로는 피스(나사못)의 머리부가 배치되어 피스결합구와 피스가 호차에서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스결합구의 부피도 작고, 피스의 체결 진입도 피스결합구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창호 고정패널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특히, 플랜지의 두께가 안착홈의 깊이와 같거나 낮기 때문에, 호차와 창호의 고정패널 간의 부착면이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안착턱과 피스 사이의 체결 압축으로 피스결합구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원통의 외주면에 안착턱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더 형성됨으로써, 피스결합구가 관통공에서 빠질 우려가 없고, 결합된 피스를 창호의 고정패널에 체결할 때도 피스결합구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피스를 수직하게 안내 진입시킨다.
한편, 원통이 하단에 개구를 갖는 절개홈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짐으로써, 피스의 머리부가 절개홈을 벌리면서 체결 진입되다가 회전하는 피스와 안착턱 사이에서 절삭력에 의해 원통을 찢어 절단시킨다. 즉, 원통이 그대로 남아 있을 경우 창호를 사용하는 중에 원통이 떨어져 나와 창문 틈에 끼거나 해서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불괘감을 사전에 예방시킨다.
또한, 절개홈에 날개와 날개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가 더 형성됨으로써, 날개와 날개가 임으로 벌어지는 것을 브리지가 잡아줘서, 관통공에 원통을 끼우기 쉽고, 또한 브리지가 피스의 나사산이 끼여 잡아주는 효과를 더 주어 피스가 피스결합구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완전히 배제된다.
도 1은 종래 호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다른 종래의 호차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호차가 조립된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차를 도시한 분리 및 결합 사사시도.
도 7은 도 5의 분리 단면도.
도 8은 도 5의 피스결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호차를 창호의 고정패널에 체결 고정하는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주요 부분을도시한 분리 및 결합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주요 부분을도시한 분리 및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분리 및 결합 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피스결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호차를 창호의 고정패널에 체결 고정하는 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호차(100)는 크게 롤러(111)가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10)과, 상면(132)이 창호의 고정패널(W) 밑면과 접하게 롤러하우징(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피스공(131)이 형성되는 지지편(130)과, 피스공(131)에 설치되는 피스결합구(150)와, 피스결합구(150)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152)에 결합되는 피스(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스(170)가 관통공(152)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스결합구(150)에 피스(170)의 조립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일체로 보관이 용이하다.
피스(170)는 작업자가 관통공(152)에 피스(170)의 머리부(173)를 잡고 밀거나 살살 돌려서 나사부(171)를 넣으면, 나사부(171)의 나사산이 관통공(152)의 내면에 살짝 파고들거나 마찰 등에 의해 간단히 결합되게 된다.
피스결합구(1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공(131)에 삽입되는 원통(151)과, 원통(15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53)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결합구(15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편(130)에는 아래로 오목한 안착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착홈(135)의 바닥은 피스공(131)이 형성된 안착턱(133)이다.
따라서, 플랜지(153)는 안착턱(133)에 놓이고, 피스공(131)은 원통(151)이 삽입 통과되면, 플랜지(153)와 피스(170)의 머리부(173) 사이에 안착턱(133)이 배치되어, 피스결합구(150)와 피스(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편(130)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안착홈(135)의 깊이(d)는 적어도 플랜지(153)의 두께(t)와 같거나 더 깊은 게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9와 같이, 지지편(130)의 상면(132)이 직접 창호의 고정패널(W)의 부착면에 접촉시켜 수평을 손쉽게 맞추기 위함이다.
물론, 도 10과 같이 플랜지(153')의 두께가 안착홈(135)의 두께보다 낮을 땐 플랜지(153')의 상면이 지지편(130)의 상면(132)보다 위로 돌출되어 체결에 따른 압축으로 안착홈(135) 내부로 수용시켜야 한다.
또한, 원통(150)의 외주면에는 안착턱(133)에 끼워지는 끼움홈(15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홈(155)이 형성된 경우에는 원통(150)의 외경은 피스공(131)의 직경보다 약간 커서, 원통(150)이 탄성 압축으로 피스공(131)에 삽입 통과되면 끼움홈(155)이 안착턱(133)에 이르면 탄성 팽창으로 꽉 끼워지게 된다.
이처럼 안착턱(133)에 끼움홈(155)이 끼워지면, 피스결합구(170) 전체가 수직하게 서 있을 뿐만 아니라 덜렁덜렁거리는 것도 방지하여, 피스(170)의 이탈도 더욱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턱(133)은 결합된 나사부(171)와 함께 피스결합구(170)을 압축시켜 피스(170)의 이탈을 더욱 방지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나사부(171)의 절삭과 함께 상대 커팅날 역할을 한다.
한편, 원통(151)은 하단에 개구를 갖는 절개홈(157)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151a)로 이루어진다.
절개홈(157)은 원통(151)의 둘레를 따라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홈(157)은 도 9와 같이 피스결합구(150)에 피스(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피스(170)를 전동 드라이버 등으로 돌려 체결하면 위로 진입하면서 양쪽으로 쉽게 벌어지게 한 후 최후 벌어진 부분이 떨어져 나가 마무리를 깨끗하게 청소하게 된다.
절개홈(157)의 길이는 절개홈(157)의 하단과 끼움홈(155) 사이 또는 끼움홈(155)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9와 같이 피스(170)의 나사부(171)와 머리부(173)의 경계지점이 안착턱(133)에 이르면, 상대적인 절삭력에 의해 끼움홈(155)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원통(151)부분이 찢어져 떨어져 나간다.
또한, 절개홈(157)에는 날개(151a)와 날개(151a)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159)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156)는 피스(170)가 체결되며 진입될 때 잘 찢어지는 띠형상으로, 날개(151a)와 날개(151a)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어, 피스공(131)에 원통(151)을 끼울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브리지(156)는 피스(170)의 나사부(171)가 관통공(152)에 결합될 때 나사부(171)의 나사산이 브리지(156)에 더욱 걸리게 끼여있어 피스결합구(150)와 피스(170)가 일체로 있는 것처럼 기능을 한다.
제2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주요 부분을도시한 분리 및 결합 사사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호차(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호차(100)와 그 구조 및 기능은 같지만, 제2실시예의 피스결합구(150')는 제1실시예의 피스결합구(150)의 날개(151a)에 해당되는 부분이 없다.
즉, 제2실시예의 피스결합구(150')는 플랜지(153)와 끼움홈(155)이 있는 원통(15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원통(151')은 제1실시예의 원통(151)보다 매우 짧다.
제3실시예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호차의 주요 부분을도시한 분리 및 결합 사사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호차(1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호차(100')와 그 구조 및 기능은 같지만, 제3실시예의 피스결합구(150'')는 제2실시예의 피스결합구(150')의 끼움홈(155)을 갖는 원통(151')에 해당되는 부분이 없다.
즉, 제3실시예의 피스결합구(150'')는 제1실시예의 플랜지(153)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플랜지만으로 구성된 피스결합구(150'')의 두께(T)는 플랜지(153)의 두께(t)보다 더 두껍고, 이에 대응해서 안착홈(135'')의 깊이(D)도 안착홈(135)의 깊이(d)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피스결합구(150'')의 관통공(152'')에 피스(170)의 나사부(171)가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 : 롤러하우징 111 : 롤러
130 : 지지편 131 : 피스공
133 : 안착턱 135 : 안착홈
150 : 피스결합구 151 : 원통
152 : 관통공 153 : 플랜지
155 : 끼움홈 170 : 피스(나사못)

Claims (5)

  1. 롤러가 설치되는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피스공이 형성되는 지지편;
    상기 피스공에 설치되며, 중심에 관통공을 갖는 피스결합구;
    상기 피스결합구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피스;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결합구의 하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스공에 삽입되는 원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은 하단에 개구를 갖는 절개홈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진 호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는 아래로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은 상기 피스공이 형성되는 안착턱이고,
    상기 피스결합구는 상기 안착턱에 놓이는 호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턱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호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피스결합구의 플랜지 두께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되는 호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에는 상기 날개와 날개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가 더 형성되는 호차.
KR1020180074132A 2018-06-27 2018-06-27 호차 KR102436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32A KR102436491B1 (ko) 2018-06-27 2018-06-27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32A KR102436491B1 (ko) 2018-06-27 2018-06-27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22A KR20200001322A (ko) 2020-01-06
KR102436491B1 true KR102436491B1 (ko) 2022-08-25

Family

ID=6915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132A KR102436491B1 (ko) 2018-06-27 2018-06-27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072B2 (ja) * 1991-01-16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基板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935A (ko) * 2008-10-15 2010-04-23 김기석 슬라이드 도어용 롤러조립체
JP3176072U (ja) * 2012-03-26 2012-06-14 家研販売株式会社 戸車レール
KR20160004108U (ko) 2015-05-22 2016-11-30 이민식 체결볼트가 보관되는 창문용 호차의 구조
KR101775235B1 (ko) 2015-10-28 2017-09-22 전창현 개선된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072B2 (ja) * 1991-01-16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基板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22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604B2 (en) Umbrella quick fram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4345848A (en) Spectacle hinge pin
US5813421A (en) Lipstick swivel mechanism
US8151808B2 (en) Elastic hair clip
US7585072B1 (en) Nose pad for eyeglasses
US20140352810A1 (en) Water Drainage Device for a Sanitary Facility, Such as a Floor-Level Shower Area
US20080042449A1 (en) Telescopic Stay
US20170066095A1 (en) Dust collector for electrical drill
US5341829A (en) Adjustable forearm crutches
KR102436491B1 (ko) 호차
US20060132706A1 (en) Eyeglasses assembly with elastic temples
US6901633B2 (en) Door hinge
KR102034801B1 (ko) 호차
BE1000388A7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charniere d'abattant de cuvette de toilettes.
KR101392369B1 (ko) 안전도어
KR101130653B1 (ko) 캡티브 스크류
KR200402093Y1 (ko) 액자 구성용 고정구
KR102081298B1 (ko) 차단봉용 손잡이
EP1970512A2 (en) Improved closure device for ovens and the like
US6183331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landing gear of a model airplane
KR200320190Y1 (ko) 창틀의 모서리 연결구
CN216244148U (zh) 一种用于室内led灯体的铰接灯臂
KR20110008622U (ko) 라인밸브 및 스프링쿨러용 고정구
US20220213921A1 (en) Screw with Integrated Slot
JP3127037U (ja) 家具用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