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790B1 -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790B1
KR102435790B1 KR1020200164155A KR20200164155A KR102435790B1 KR 102435790 B1 KR102435790 B1 KR 102435790B1 KR 1020200164155 A KR1020200164155 A KR 1020200164155A KR 20200164155 A KR20200164155 A KR 20200164155A KR 102435790 B1 KR102435790 B1 KR 10243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concrete
test body
extraction devi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745A (ko
Inventor
박정준
이호재
문재흠
김성욱
김원우
서은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7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4Moulds for concrete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2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which are at least partially destroyed, e.g. broken, molten, before demoulding; Moulding surfaces or spaces shaped by, or in, the ground, or sand or soil, whether bound or not; Cores consisting at least mainly of sand or soil, whether bound or n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200)에서 공시체(10)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부에 트임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10)가 반원형 단면구조인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제시함으로써, 각각의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출력장치의 출력방향이 동일한지 상이한지 여부가 반영된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SPECIMA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PECIMAN OF 3D PRINTING CONCRE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콘크리트 정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시험방법(KS F 2438)에 관한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물성 중 탄성계수 및 포아송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경과 높이의 비가 1:2로 제작된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다.
공시체(10)의 표면에 변형률 게이지(1)를 부착하거나,(도 1) 컴프레소미터(20)와 익스텐소미터를 사용하여 변형을 측정한다.(도 2)
한편, 최근 개발된 3D 프린팅 건설기술의 경우,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D 프린팅은 출력장치에 의해 콘크리트를 특정방향으로 출력(분사)하여 레이어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콘크리트를 동일한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출력하여 다시 레이어를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종래에는 모든 레이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출력된 시험체를 대상으로 하여, 적층면을 기준으로 축방향을 따라 3방향으로 측정하거나,(도 3) 육면체 구조로 제작된 공시체의 3면에 대하여 각각 하중을 인가하면서 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도 4)
한편, 3D 프린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수의 레이어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고, 그 각각의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출력장치의 출력방향이 동일한지 상이한지 여부에 따라 각 레이어 상호간의 부착강도가 달라지게 된다.(도 5)
그런데 종래기술은 이에 불구하고, 모든 레이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출력된 시험체만을 대상으로 콘크리트의 물성을 시험하여 왔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출력장치의 출력방향이 동일한지 상이한지 여부가 반영된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200)에서 공시체(10)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부에 트임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가 반원형 단면구조인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제시한다.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 시, 압력에 의한 상기 본체(1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링형 구조의 변형방지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부(121); 상기 손잡이부(121)를 외측 및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110)가 절개되면서 상기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2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절개부(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으로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되, 일방향을 따라 하부 레이어(20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201)의 상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부 레이어(202)를 형성하여 제1 시험체(210)를 제조하는 제1 시험체 제조단계;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되, 일방향을 따라 하부 레이어(20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201)의 상부에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상부 레이어(202)를 형성하여 제2 시험체(220)를 제조하는 제2 시험체 제조단계;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이 가능한 한도에서,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에 의해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까지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를 양생하는 시험체 양생단계;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에 대하여 관입하여 공시체(10)를 추출하는 공시체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공시체 추출단계는,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에 대하여 관입하는 관입단계;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내부에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외부에 잔존하는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콘크리트 제거단계;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공시체 양생단계;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분리부(120)에 의해 상기 본체(110)를 상기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하여 제거하고, 상기 공시체(10)를 추출하는 본체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각각의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출력장치의 출력방향이 동일한지 상이한지 여부가 반영된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콘크리트 정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시험방법의 구성도.
도 3,4는 종래의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방법의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레이어 구조의 구성도.
도 6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7은 공시체 추출장치의 제1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8은 공시체 추출장치의 제2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제1 시험체의 구성도.
도 10은 제2 시험체의 구성도.
도 11은 공시체 제조방법의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200)에서 공시체(10)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공시체 추출장치(100)는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부에 트임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10)가 반원형 단면구조인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은 다음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되, 일방향을 따라 하부 레이어(201)를 형성하고, 하부 레이어(201)의 상부에 일방향을 따라 상부 레이어(202)를 형성하여 제1 시험체(210)를 제조한다.(제1 시험체 제조단계)
즉, 제1 시험체(210)는 모든 레이어가 동일한 출력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우이다.(도 9)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되, 일방향을 따라 하부 레이어(201)를 형성하고, 하부 레이어(201)의 상부에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상부 레이어(202)를 형성하여 제2 시험체(220)를 제조한다.(제2 시험체 제조단계)
즉, 제2 시험체(220)는 일부 레이어가 상이한 출력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우이다.(도 10)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이 가능한 한도에서,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에 의해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까지 약 30분 정도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를 양생한다.(시험체 양생단계)
다수의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에 대하여 관입한다.(관입단계)(도 11)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에 의한 시험체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다수의 공시체 추출장치(10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한다.
다수의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내부에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다수의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외부에 잔존하는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콘크리트를 제거한다.(콘크리트 제거단계)
이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신속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양생한다.(공시체 양생단계)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분리부(120)에 의해 본체(110)를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하여 제거하고, 공시체(10)를 추출한다.
이 공시체(10)는 모든 레이어가 동일한 출력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시험체(210)에 관한 것과, 일부 레이어가 상이한 출력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시험체(220)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의 공시체(1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물성(강도, 탄성계수, 포아송비 등)을 측정하므로, 각각의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출력장치의 출력방향이 동일한지 상이한지 여부가 반영된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을 위한 공시체의 경우에는, 거푸집을 준비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3D 프린팅 방식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레이어의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위 종래의 방식에 의해 공시체를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3D 프린팅 방식에 따른 콘크리트의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공시체의 경우에는, 일단 3D 프린팅 방식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의 적층구조로 시험체(200)를 형성한 후, 그 시험체(200)에서 필요한 형상 및 크기의 공시체(10)를 추출하는 방식을 취하여야 한다.
정확한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을 위해서는, 콘크리트 시험체(200)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공시체를 추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시체 추출장치(100)는,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부에 트임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10)가 반원형 단면구조인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시체 추출장치(100)는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내외부가 매끄럽게 마감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합성수지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이 쉽고, 관입에 따른 콘크리트 시험체(200)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본체(110)의 두께가 얇아야 하는데,(1mm 이내) 이러한 얇은 구조의 본체(110)의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 시, 압력에 의한 본체(1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체(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링형 구조의 변형방지부(113)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형방지부(113)는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본체(110)의 관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얇은 두께의 본체(110)를 효과적으로 보강한다는 장점이 있다.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본체(110)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공시체(10)가 완성된 이후, 그 공시체(10) 콘크리트의 변형이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공시체(10)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분리부(120)는, 본체(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부(121); 손잡이부(121)를 외측 및 하측으로 당기면, 본체(110)가 절개되면서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손잡이부(12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절개부(122);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절개부(122)는 얇은 띠형 구조로서, 그 양측이 각각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에 임시로 고정된 구조를 취하고, 손잡이부(121)의 당김구동에 의해 쉽게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공시체 100 : 공시체 추출장치
110 : 본체 111,112 : 조각본체
113 : 변형방지부 120 : 분리부
121 : 손잡이부 122 : 절개부
200 : 콘크리트 시험체 201 : 하부 레이어
202 : 상부 레이어 210 : 제1 시험체
220 : 제2 시험체

Claims (5)

  1.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200)에서 공시체(10)를 추출하기 위한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는,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부에 트임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가 반원형 단면구조인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은,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되, 일방향을 따라 하부 레이어(20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201)의 상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부 레이어(202)를 형성하여 제1 시험체(210)를 제조하는 제1 시험체 제조단계;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되, 일방향을 따라 하부 레이어(20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레이어(201)의 상부에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상부 레이어(202)를 형성하여 제2 시험체(220)를 제조하는 제2 시험체 제조단계;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이 가능한 한도에서,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관입에 의해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까지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를 양생하는 시험체 양생단계;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에 대하여 관입하여 공시체(10)를 추출하는 공시체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시험체(200)에 대한 관입 시, 압력에 의한 상기 본체(1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링형 구조의 변형방지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부(121);
    상기 손잡이부(121)를 외측 및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110)가 절개되면서 상기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2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절개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시체 추출단계는,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를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에 대하여 관입하는 관입단계;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내부에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외부에 잔존하는 상기 제1 시험체(210) 및 제2 시험체(220)의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콘크리트 제거단계;
    다수의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공시체 양생단계;
    상기 공시체 추출장치(100)의 분리부(120)에 의해 상기 본체(110)를 상기 한 쌍의 조각본체(111,112)로 분리하여 제거하고, 상기 공시체(10)를 추출하는 본체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KR1020200164155A 2020-11-30 2020-11-30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KR102435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55A KR102435790B1 (ko) 2020-11-30 2020-11-30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55A KR102435790B1 (ko) 2020-11-30 2020-11-30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45A KR20220075745A (ko) 2022-06-08
KR102435790B1 true KR102435790B1 (ko) 2022-08-24

Family

ID=8198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155A KR102435790B1 (ko) 2020-11-30 2020-11-30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29B1 (ko) 2022-11-09 2023-06-05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콘크리트 공시체 부식저항성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식저항성 시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93B2 (ja) * 1993-06-21 2001-08-13 株式会社熊谷組 コンクリート強度試験用供試体成形用型枠
JP2005283443A (ja) * 2004-03-30 2005-10-13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試験片の採取方法および装置
KR102030059B1 (ko) * 2018-11-16 2019-1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물성 평가용 시험체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시험체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93B2 (ja) * 1993-06-21 2001-08-13 株式会社熊谷組 コンクリート強度試験用供試体成形用型枠
JP2005283443A (ja) * 2004-03-30 2005-10-13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試験片の採取方法および装置
KR102030059B1 (ko) * 2018-11-16 2019-1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물성 평가용 시험체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시험체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29B1 (ko) 2022-11-09 2023-06-05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콘크리트 공시체 부식저항성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식저항성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45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biak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ailure process in compressed channel-section GFRP laminate columns assisted with the acoustic emission method
CN113218766B (zh) 一种基于矩张量分析的岩石起裂应力与损伤应力辨识方法
CN106644711B (zh) 一种延性材料单轴本构关系测试方法
KR102435790B1 (ko) 공시체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공시체 제조방법
De Diego et al. Behaviour of FRP confined concrete in square columns
CN114235519A (zh) 一种基于3d打印技术研究软硬互层岩体力学行为的方法
CN112857963B (zh) 一种混凝土约束应力成分分离方法及其系统
Graybeal et al. Fiber reinforcement influence on the tensile response of UHPFRC
Takeuchi et al. The Elastic Modulus and Poisson's Ratio of Laminated Bamboo Guadua angustifolia
CN111220481B (zh) 一种三层复合纸各层面内弹性模量的测试方法
Dasgupta et al. Micromechanical investigation of an optical fiber embedded in a laminated composite
JPH06305105A (ja) 複合材料積層板の擬三次元モデル作成法および該モデルを用いた複合材料積層板の解析方法
Mishin et al. INVESTIGATION OF DEFORMATION AND FRACTURE FOR THIN BERYLLIUM FOILS UNDER STATIC LOADING BY EXTERNAL PRESSURE.
KR20190137337A (ko) 압축성 소재의 평균 반경방향 응력 및 압력-체적 관계를 결정하는 방법
Chryssanthopoulos et al. Compression tests on anti-symmetric two-ply GFRP cylinders
CN108871971A (zh) 树脂基三维正交机织复合材料弯曲疲劳应力水平设置方法
Canegrati et al. 3D printed short carbon fibres reinforced polyamide: tensile and compressive characterisation and multiscale failure analysis
KR20210037387A (ko) 3d 프린터 인쇄방법
Łagoda et al. Three point bending of hand laminated fiber composites
CN114486562B (zh) 一种复合材料剪切强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Parhizgar et al. Determination of Stiffness Properties of Single‐Ply Cord‐Rubber Composites
Nayak Vibration Analysis of Woven Fiber Glass/Epoxy Composite Plates
Gomaa et al. Analysis of piezoelectric actuator for vibration control of composite plate
Planas Andrés Analysis of the behaviour of flax fibre’s biocomposites under static and dynamic loads
Pinto-Flórez et al. Interlaminar tensile strength of the composite of African palm oil bunches rachis fibers and epoxy matri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