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619B1 -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619B1
KR102435619B1 KR1020220014273A KR20220014273A KR102435619B1 KR 102435619 B1 KR102435619 B1 KR 102435619B1 KR 1020220014273 A KR1020220014273 A KR 1020220014273A KR 20220014273 A KR20220014273 A KR 20220014273A KR 102435619 B1 KR102435619 B1 KR 10243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pulley
diameter
sorting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01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바디의 내측에서 무한궤도록 회전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간 이격거리를 통해 타원형의 소형 과실을 등급에 맞게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측이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상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가이드풀리(2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바유닛(200); 길이방향 양측이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풀리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유닛(300); 상기 회전바유닛(200)에 설치된 가이드풀리와 그 가이드풀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풀리에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호 수평되게 설치되고, 일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부(510)가 형성된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500); 상기 선별바디(10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AUTOMATIC SORTING APPARATUS FOR FRUIT}
본 발명은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바디의 내측에서 무한궤도록 회전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간 이격거리를 통해 타원형의 소형 과실을 등급에 맞게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선별기는 생산된 과일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과일의 크기별로 분류해 주는 장치로 이송 컵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중량에 따라 분류되도록 하는 방식과, 넓은 밸트에 크기가 다른 구멍을 다수개 형성시켜 그 구멍에 농작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방식 및 원형의 철재프레임을 이용한 컨베이어 방식 등이 있다.
특히, 과일을 중량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기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무한궤도록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계량컵에 하나 씩의 과일이 담겨져서 중량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과일을 떨어뜨리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량식 선별기의 계량컵이나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트레이 등은 사과나 배 등과 같은 크기의 과일에 적합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어 그 보다 작은 자두, 살구, 매실, 방울토마토와 같은 소형 과실의 선별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중 이송 컵에 의한 방식은 낱개로 선별하기 때문에 선별시간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원형의 철재프레임을 이용한 방식은 농작물을 상기 원형의 철재프레임에 위치시킨 상태로 강재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과일이 손상을 입게 되어 상품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61279호의 개량된 환형 이송구조를 갖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바디의 내측에 위치하여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선별탄성밸트간 이격거리의 조절을 통해 타원형을 갖는 매실이나 방울토마토와 같은 소형의 과실을 외피의 손상없이 등급에 맞게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측이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상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가이드풀리(2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바유닛(200); 길이방향 양측이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풀리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유닛(300); 상기 회전바유닛(200)에 설치된 가이드풀리와 그 가이드풀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풀리에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호 수평되게 설치되고, 일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부(510)가 형성된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500); 상기 선별바디(10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바유닛(20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탄성밸트(500)를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풀리(21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핀봉(210)과, 상기 가이드풀리(211) 간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핀봉(2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링(2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 및 후방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바유닛 사이에 하나 이상의 회전바유닛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간격조절링(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져 회전바유닛의 상기 가이드풀리(211) 사이에 동일한 갯수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별바디(100)에 설치된 회전바유닛의 가이드풀리 간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회전바유닛(200) 중,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회전바유닛의 간격조절링은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회전바유닛들의 간격조절링은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은, 상기 회전구동부재(6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일정직경의 빅풀리(311)와 상기 빅풀리(3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몰풀리(3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전방구동부(310); 상기 전방구동부(310)로부터 상기 선별바디(10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몰풀리(312)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리틀풀리(321)와, 상기 빅풀리(31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라지풀리(322)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후방회전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바디(1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바디의 내측 선별탄성밸트간 이격거리를 선별과실의 등급에 맞게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타원형의 소형과실에 대한 선별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소형등급라인에서 대형등급라인까지 손쉽게 구축할 수 있어 선별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과실 자동선별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바유닛과 회전구동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핀봉에 가이드풀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바디의 평면상 다수개의 회전바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회전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재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선별장치를 다수개 설치하여 선별라인을 구축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과실 자동선별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바유닛과 회전구동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핀봉에 가이드풀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바디의 평면상 다수개의 회전바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회전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재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선별장치를 다수개 설치하여 선별라인을 구축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과실 자동선별장치는 선별바디(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바유닛(200)과 회전구동유닛(300)에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500)를 상호 수평되게 설치하여 상기 선별탄성밸트(500) 간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소형과실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을 상기 선별바디(100)에 장착되는 회전구동부재(6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별대상과실은 상기 선별바디(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회전방향 또한 상기 선별대상과실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별바디(100)는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부(110)와, 상기 측벽부(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보강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110)에는 상기 선별탄성밸트(500) 사이를 통과하여 낙하된 소형 과실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가이드판(13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바유닛(20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선별바디(100)의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상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가이드풀리(2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바유닛(200)은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 및 후방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바유닛 사이에 하나 이상의 회전바유닛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회전바유닛(20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탄성밸트(500)를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풀리(21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겨되게 설치되는 스핀봉(210)과, 상기 가이드풀리(211) 간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풀리(2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핀봉(2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링(22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다수개의 회전바유닛을 상기 선별바디(100)에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스핀봉(210)에 설치되는 가이드풀리 간 이격거리가 상호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설치시,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가 수평된 상태로 동일한 이격거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타원형을 갖는 소형과실 일 예로써 매실이나 방울토마토와 같은 소형과실의 선별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간격조절링(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각각의 회전바유닛의 가이드풀리 사이에 동일한 갯수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별바디(100)에 설치된 회전바유닛의 가이드풀리 간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정확히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바유닛(200) 중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회전바유닛(200)의 간격조절링(220)은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회전바유닛들의 간격조절링은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살펴보기에 앞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바유닛(200)을 제1유닛(250)으로 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1유닛(250)의 후방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회전바유닛을 제2유닛(260)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방울토마토와 같이 외피가 얇은 소형 선별 과실은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무한궤도 회전에 의해 상기 선별바디(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소형 선별과실이 상기 다수개의 제2유닛(260)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2유닛(260)에 설치된 상기 간격조절링이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경우, 소형선별과실이 상기 간격조절링(220)에 간섭되어 튕겨져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외피 손상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유닛(260)에 설치되는 상기 간격조절링(220)의 직경을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링(220)에 의해 소형과실이 튕겨져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반복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유닛(250)에 설치된 상기 간격조절링(220)의 직경을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하는 이유는, 소형선별과실이 상기 선별탄성밸트(500)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1유닛(250)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유닛(250)의 간격조절링(220)을 따라 자연스럽게 올라오도록 하여 상기 제1유닛(250)의 가이드풀리(211)사이에 끼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선별과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풀리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은, 일정직경의 빅풀리(311)와 상기 빅풀리(3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몰풀리(3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재(6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전방구동부(310)와, 상기 전방구동부(310)로부터 상기 선별바디(10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몰풀리(312)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리틀풀리(321)와 상기 빅풀리(31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라지풀리(322)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후방회전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전방구동부(310)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상기 빅풀리(311)와 스몰풀리(312)가 반복배열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회전부(320)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상기 리틀풀리(321)와 라지풀리(322)가 반복배열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바디(100)의 평면상 상기 빅풀리(311)와 리틀풀리(321)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스몰풀리(312)와 라지풀리(322)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회전바유닛(200)과 회전구동유닛(30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선별탄성밸트(500)가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전방구동부(310)의 회전구동에 의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무한궤도의 회전시, 상기 빅풀리(311), 리틀풀리(321), 가이드풀리(211)에 설치되는 선별탄성밸트가 상기 스몰풀리(312), 라지풀리(322), 가이드풀리(211)에 설치되는 선별탄성밸트 보다 빠르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다시 말해, 타원형의 소형 선별과실 일 예로써 매실이나 방울토마토와 같은 소형 선별과실의 길이방향 양측이 인접되는 선별탄성밸트에 올려져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는 선별탄성밸트에 올려진 길이방향 일측부위가 상기 선별탄성밸트(500) 사이의 이격공간(520)으로 회전되어 소형 선별과실의 폭이 상기 이격공간(520)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타원형 과실의 선별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구동부(310)와 상기 후방회전부(320)는 일정길이를 갖는 봉체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선별바디(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선별바디(100)에는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상기 장력조절부재(400)에 연결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 자동선별장치의 장기간 사용이나 작업환경으로 인해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장력조절부재(400)를 조작하여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장력조절부재(400)는 상기 선별바디(100)의 측벽부(110)에 장착되는 마운팅편(410)과, 상기 마운팅편(410)을 관통하여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회전부(32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나사결합되게 설치되는 회전조작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일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후방회전부(320)가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타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후방회전부(320)가 상기 선별바디(100)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부재(400)는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후방회전부(320)가 왕복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상기 선별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는 상기 회전바유닛(200)에 설치된 가이드풀리와 그 가이드풀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풀리에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호 수평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선별탄성밸트(50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장기간 사용과정에서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 중 어느 하나의 선별탄성밸트의 파손시, 용이한 교체작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수개의 상기 선별탄성밸트(500) 중 상기 선별바디(100)의 가운데에 위치한 선별탄성밸트(500)가 파손되어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장력조절부재(4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이동시켜 파손되지 않은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500)의 장력을 느슨하게 한 후, 파손된 선별탄성밸트의 위치와 인접된 선별탄성밸트를 순차적으로 한 칸씩 이동시켜 상기 회전바유닛(200)의 가이드풀리와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풀리에 걸어 설치한다.
이후, 한 쌍의 측벽부(110)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바유닛(200)과 회전구동유닛(300)의 길이방향 일측을 해체하여 새로운 선별탄성밸트를 마지막위치의 풀리에 걸어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일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부(510)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바유닛(200)의 가이드풀리(211)와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풀리에 의한 회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재(600)는 상기 선별바디(10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전방구동부(310)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어 외부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는 선별과실의 등급에 대응한 선별탄성밸트의 간격을 갖는 선별장치를 각각 제작하여 2등급 소형라인부터 5등급이상의 대형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여러 등급에 맞는 각각의 자동 선별장치를 일정간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자동선별장치 사이에 과실이송부(700)를 연결하여 하나의 선별라인에서 여러 등급의 소형과실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100: 선별바디
110: 측벽부 120: 연결보강대
130: 배출가이드판 200: 회전바유닛
210: 스핀봉 211: 가이드풀리
220: 간격조절링 250: 제1유닛
260: 제2유닛 300: 회전구동유닛
310: 전방구동부 311: 빅풀리
312: 스몰풀리 320: 후방회전부
321: 리틀풀리 322: 라지풀리
400: 장력조절부재 500: 선별탄성밸트
510: 요철부 520: 이격공간
600: 회전구동부재 700: 과실이송부

Claims (5)

  1. 길이방향 양측이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상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가이드풀리(2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바유닛(200); 길이방향 양측이 선별바디(100)의 양측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풀리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유닛(300); 상기 회전바유닛(200)에 설치된 가이드풀리와 그 가이드풀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의 풀리에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호 수평되게 설치되고, 일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부(510)가 형성된 다수개의 선별탄성밸트(500); 상기 선별바디(10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바유닛(20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측벽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선별탄성밸트(500)를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풀리(21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핀봉(210)과, 상기 가이드풀리(211) 간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핀봉(2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링(2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 및 후방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바유닛 사이에 하나 이상의 회전바유닛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간격조절링(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져 회전바유닛의 상기 가이드풀리(211) 사이에 동일한 갯수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별바디(100)에 설치된 회전바유닛의 가이드풀리 간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회전바유닛(200) 중,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회전바유닛의 간격조절링은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회전바유닛들의 간격조절링은 상기 가이드풀리(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구동유닛(300)은, 상기 회전구동부재(6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일정직경의 빅풀리(311)와 상기 빅풀리(3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몰풀리(3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전방구동부(310); 상기 전방구동부(310)로부터 상기 선별바디(10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몰풀리(312)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리틀풀리(321)와, 상기 빅풀리(31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라지풀리(322)가 순차적으로 반복배열되게 설치되는 후방회전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디(1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후방회전부(320)를 상기 선별바디(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별탄성밸트(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14273A 2022-02-03 2022-02-03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KR10243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273A KR102435619B1 (ko) 2022-02-03 2022-02-03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273A KR102435619B1 (ko) 2022-02-03 2022-02-03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619B1 true KR102435619B1 (ko) 2022-08-24

Family

ID=8311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273A KR102435619B1 (ko) 2022-02-03 2022-02-03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6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591A (en) * 1982-08-12 1984-09-11 Xerox Corporation Variable force document handling system
KR100455514B1 (ko) * 2004-04-02 2004-11-09 김윤호 선별기
KR20140036867A (ko) * 2012-09-18 2014-03-26 신경출 마늘 선별장치
KR20160034087A (ko) * 2014-09-19 2016-03-29 최락경 과일 선별기
KR20160004033U (ko) * 2015-05-15 2016-11-23 유춘열 과일 선별기의 가이드축
KR20180035285A (ko) * 2016-09-28 2018-04-06 (주)미래에스티 과일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591A (en) * 1982-08-12 1984-09-11 Xerox Corporation Variable force document handling system
KR100455514B1 (ko) * 2004-04-02 2004-11-09 김윤호 선별기
KR20140036867A (ko) * 2012-09-18 2014-03-26 신경출 마늘 선별장치
KR20160034087A (ko) * 2014-09-19 2016-03-29 최락경 과일 선별기
KR20160004033U (ko) * 2015-05-15 2016-11-23 유춘열 과일 선별기의 가이드축
KR20180035285A (ko) * 2016-09-28 2018-04-06 (주)미래에스티 과일 선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3355A (zh) 收获后农产品的异物剔除与分选装备
KR101275482B1 (ko) 농산물 선별장치
CN201644404U (zh) 一种回转变隙式分级机
CN109174604A (zh) 一种水果筛分机
KR101365158B1 (ko) 뿌리작물 선별장치
KR102435619B1 (ko) 소형과실 자동 선별장치
US2335164A (en) Fruit and vegetable sizing machine
CN101472688B (zh) 用于检查马铃薯或类似物品的设备
US20060113224A1 (en) Adjustable size sorting apparatus for small produce
KR101861301B1 (ko) 과일 선별 장치
US4075088A (en) Apparatus for grading objects according to size
GB2428548A (en) Sorting apparatus
US3677315A (en) Method for trimming projections from globular articles
US1266668A (en) Feeder for fruit-slicing machines.
US1385218A (en) Fruit-sizing machine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US3092160A (en) Apparatus for orienting and halving strawberries
US20090090255A1 (en) Agricultural product peeling apparatus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GB2222787A (en) Roller grader
US2686591A (en) Sizer
RU23069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тировки мусора
US769567A (en) Device for assorting boards of different widths.
US2376128A (en) Pocket trommel
RU21943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сортировки корнеклубнеплодов и фр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