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578B1 -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578B1
KR102435578B1 KR1020200154529A KR20200154529A KR102435578B1 KR 102435578 B1 KR102435578 B1 KR 102435578B1 KR 1020200154529 A KR1020200154529 A KR 1020200154529A KR 20200154529 A KR20200154529 A KR 20200154529A KR 102435578 B1 KR102435578 B1 KR 10243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support
formwork
open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838A (ko
Inventor
이형록
Original Assignee
이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록 filed Critical 이형록
Priority to KR102020015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578B1/ko
Priority to PCT/KR2021/010083 priority patent/WO2022108039A1/ko
Publication of KR2022006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78B1/ko
Priority to US18/143,763 priority patent/US202302726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은, 거푸집 패널의 일 면을 형성하는 단열재, 및 거푸집 패널의 타 면을 형성하며 단열재와 탈착 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지지체의 크기는 단열재의 크기와 대응되고, 지지체는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고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지지체는 지지체와 단열재가 결합된 구조에서 단열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패널{MOLD PANEL}
본 개시는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재와 탈착 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건축 산업은 현재까지 자동화 공정이나 기계화 공정으로 대체가 불가능하여 거의 모든 공정을 인력과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는 인력 집약적인 산업이다. 철근 콘크리트 건축은 크게 골조공사와 마감공사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골조공사는 기초 측량 및 먹선 작업, 철근 배치, 거푸집(폼) 배치, 타설, 해체 등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벽과 기둥의 철근 배근 작업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 거푸집 배치 작업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거푸집 배치 작업에서는 건물의 형태에 따라 철근을 빙 둘러서 토대용 거푸집이 배치된다. 여기서, 거푸집 또는 폼(Form)은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만들 때 아직 굳지 않은 상태의 타설된 콘크리트의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거푸집은 재질에 따라 목조 거푸집, 철제 거푸집, 알루미늄 거푸집, ICF(Insulated Concrete Form) 등으로 나뉘며, 규격에 따라 유로폼(euro form), 갱폼(gang form) 등으로 나뉜다. 국내에서는 면적이 작거나 곡선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벽에 대해서 유로폼이라는 규격화된 거푸집을 사용한다.
한편, 건축 시공은 골조를 얼마나 빨리 치는가에 따라서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단가가 좌우된다. 이는 골조가 시공 비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며, 외부 자본이 많이 투입되는 건축업의 특성상 프로젝트의 기간이 곧 비용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골조 공사의 거푸집 배치 작업에 사용되는 거푸집 역시 기존의 철제 폼에서 알루미늄 폼이나 ICF 등과 같이 개량되어 가는 추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지지체가 단열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를 저비용으로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경량화된 거푸집 패널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은, 거푸집 패널의 일 면을 형성하는 단열재, 및 거푸집 패널의 타 면을 형성하며 단열재와 탈착 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지지체의 크기는 단열재의 크기와 대응되고, 지지체는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고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지지체는 지지체와 단열재가 결합된 구조에서 단열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는 그물 구조, 타공 구조, 또는 트러스(truss) 구조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체와 단열재가 결합된 구조에서, 테두리부가 단열재를 지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은, 일 면을 형성하는 단열재와 타 면을 형성하고 단열재와 탈착 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거푸집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2 거푸집 패널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만큼 제1 거푸집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제1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와 제2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이격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단계, 및 제1 거푸집 패널 및 제2 거푸집 패널로부터 지지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지지체는 지지체와 단열재가 결합된 구조에서 단열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3 거푸집 패널을, 제1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 배치하는 단계,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4 거푸집 패널을 제3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와 제4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2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직접 맞닿는 부분은 단열재이므로, 지지체는 종래의 거푸집과 달리 평평한 면의 형태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지지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거푸집과 비교하여 경량화가 가능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체는 종래의 유로폼에 개구부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므로, 규격화된 유로폼 형태의 거푸집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푸집 패널로부터 분리된 지지체는 다음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의 조립에 재활용될 수 있으므로, 거푸집 패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거푸집 패널과 제2 거푸집 패널이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거푸집 패널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와 결합된 단열재로부터 지지체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이 완료된 콘크리트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100)은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푸집 패널(100)은 콘크리트 벽체에 대응되도록 판판하고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푸집 패널(10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판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푸집 패널(100)은 단열재(110) 및 지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재(110)는 거푸집 패널(100)의 일 면을 형성하고, 지지체(120)는 거푸집 패널(100)의 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거푸집 패널(100)의 일 면을 형성한 단열재(110)는 콘크리트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푸집 패널(100)은 규격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푸집 패널(100)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20)가 단열재(110)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규격화된 거푸집 패널(10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푸집 패널(100)에는 인접 거푸집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웨지 핀(wedge pin)이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푸집 패널(100) 중 지지체(120)의 테두리부(122)에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미도시)이 간격별로 뚫려 있을 수 있다.
단열재(1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 일 측에서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110)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면의 형상으로 양생되도록 평평한 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열재(110)는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110)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열재(110)는 무기 단열재, 유기 단열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110)가 무기 단열재인 경우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일 수 있고, 단열재(110)가 유기 단열재인 경우 비드법 단열재, 압출법 단열재, 수성 연질폼, 경질 우레탄일 수 있다.
지지체(120)는 단열재(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일 측에서 단열재(110)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20)와 단열재(110)가 결합된 구조에서, 지지체(120)는 단열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120)는 단열재(110)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무게에 강인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120)는 그물 구조, 타공 구조 또는 트러스(truss)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20)는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120)는 코팅 합판, 알루미늄, 강철,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120)는 단열재(11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되기 전 단계에서 지지체(120)는 단열재(110)와 결합된 상태로 거푸집 패널(100)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이 마무리되는 단계에서 지지체(120)는 단열재(110)와 분리되어 다음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100)의 일부로 재활용될 수 있다. 지지체(120)는 단열재(11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120)의 일 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단열재(110)에 부착될 수 있다. 단열재(110)에 부착된 지지체(120)는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단열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거푸집 패널(100)의 구성 중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직접 맞닿아 접하는 구성은 단열재(110)이므로, 지지체(120)는 종래의 거푸집과 달리 평평한 면의 형태를 가지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120)는 평평한 면의 형태가 아니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26)를 가지는 개구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약 30kg 정도의 거푸집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지지체(120)는 10kg 이하의 무게로 경량화될 수 있다. 지지체(120)의 경량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거푸집 패널(100)의 운반 및 설치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120)는 테두리부(122)와 개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122)는 개구부(124)와 연결되어 있으며, 개구부(124)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122)는 지지체(120)와 단열재(110)가 결합된 구조에서 단열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테두리부(122)는 복수의 거푸집 패널(100)이 서로 접하여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122)는 서로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두리부(122)에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개구부(124)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26)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20)와 단열재(110)가 결합된 구조에서 지지체(120)와 접한 단열재(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24)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124)는 평평한 면 형태의 지지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126)를 뚫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126)가 형성됨에 따라 개구부(124)는 그물 구조, 타공 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120)에 개구부(124)가 형성됨에 따라 평평한 면 형태의 지지체에 비해 지지체(120)가 단열재(110)와 맞닿는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이 마무리되는 단계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지지체(120)가 단열재(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지지체(120) 분리 후 단열재(110) 표면에 묻어 있는 점착제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점착제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이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은 도 1에서 도시한 거푸집 패널(1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 패널(210)은 제1 단열재(212)와 제1 지지체(214)가 서로 결합된 형태이고, 제1 지지체(214)는 제1 테두리부(216)와 제1 개구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거푸집 패널(210)과 동일한 구조의 제2 거푸집 패널(220)은 제2 단열재(222)와 제2 지지체(224)가 서로 결합된 형태이고, 제2 지지체(224)는 제2 테두리부(226)와 제2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은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일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은 지면 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거푸집 패널(22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만큼 제1 거푸집 패널(2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 패널(210)의 단열재(212)와 제2 거푸집 패널(200)의 단열재(222)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이 지면 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 거푸집 패널(210)의 단열재(212)와 제2 거푸집 패널(200)의 단열재(222) 사이에 웹(web)(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은 일단에서 제1 거푸집 패널(210)의 단열재(212)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2 거푸집 패널(200)의 단열재(22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웹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을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까지 임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거푸집 패널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푸집 패널(210), 제2 거푸집 패널(220), 제3 거푸집 패널(310), 제4 거푸집 패널(320), 제5 거푸집 패널(330), 제6 거푸집 패널(340)은 도 1에서 도시한 거푸집 패널(1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 패널(210)과 제2 거푸집 패널(220)은 지면 상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형태에 맞추어 새로운 거푸집 패널을 제1 거푸집 패널(210) 및 제2 거푸집 패널(22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거푸집 패널(310)은 제1 거푸집 패널(2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거푸집 패널(320)은 제2 거푸집 패널(2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거푸집 패널(310)의 단열재(312)와 제4 거푸집 패널(320)의 단열재(3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5 거푸집 패널(330) 및 제6 거푸집 패널(340)은 각각 제1 거푸집 패널(210) 및 제2 거푸집 패널(2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거푸집 패널(310) 내지 제6 거푸집 패널(340)은 제1 거푸집 패널(210)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410)와 결합된 단열재(212)로부터 지지체(214)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거푸집 패널은 콘크리트(410)가 타설되는 공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거푸집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콘크리트(410)가 타설 및 양생될 수 있다. 타설된 콘크리트(410)가 양생되고 나면, 콘크리트(410)와 일 측에서 직접 맞닿아 접하는 복수의 단열재(예를 들어, 도 4의 도면 부호 212, 222)는 콘크리트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열재가 콘크리트와 결합되고 나면, 콘크리트와 단열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체(예를 들어, 도 4의 도면 부호 214, 224, 314)는 복수의 거푸집 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214)는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제1 단열재(2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복수의 지지체는 다음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100)의 일부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이 완료된 콘크리트 벽체(5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500)는 복수의 단열재(예를 들어, 도 5의 도면 부호 212, 222, 312)와 콘크리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벽체(500)는 복수의 거푸집 패널로부터 복수의 지지체를 모두 분리하고, 복수의 단열재에 묻어 있는 점착제를 제거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600)을 나타낸다.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600)은 단열재와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거푸집 패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S610). 구체적으로, 단열재 및 단열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거푸집 패널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푸집 패널은 도 1의 거푸집 패널(100)에 대응될 수 있다.
그 후,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2 거푸집 패널을 제1 거푸집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다(S620). 구체적으로, 제2 거푸집 패널은 제2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와 제1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만큼 제1 거푸집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3 거푸집 패널을 제1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 배치하고,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4 거푸집 패널을 제2 거푸집 패널의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S630). 이 경우, 제3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와 제4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거푸집 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제5 및 제6 거푸집 패널을 각각 제1 및 제2 거푸집 패널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거푸집 패널을 제1 거푸집 패널을 기준으로 접하도록 이어서 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을 완성할 수 있다.
복수의 거푸집 패널을 이어 배치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이 완성되면, 배치된 복수의 거푸집 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S640).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술한 공간에서 양생될 수 있다(S650).
다음으로, 복수의 거푸집 패널로부터 복수의 지지체를 모두 분리할 수 있다(S660). 구체적으로, 거푸집 패널에서 지지체는 단열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지지체에 일정한 외력을 가하여 복수의 거푸집 패널의 단열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된 복수의 지지체는 다음 시공에 사용될 거푸집 패널을 제작하는 데에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거푸집 패널
110: 단열재
120: 지지체
122: 테두리부
124: 개구부
126: 개구

Claims (5)

  1. 거푸집 패널로서,
    상기 거푸집 패널의 일 면을 형성하는 단열재; 및
    상기 거푸집 패널의 타 면을 형성하며 상기 단열재와 탈착 가능한 지지체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크기는 상기 단열재의 크기와 대응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단열재가 결합된 구조에서 상기 단열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단열재가 결합된 구조에서,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단열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패널은,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웨지 핀에 의해 타 거푸집 패널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그물 구조, 타공 구조 또는 트러스(truss) 구조로 형성되는, 거푸집 패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4529A 2020-11-18 2020-11-18 거푸집 패널 KR10243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29A KR102435578B1 (ko) 2020-11-18 2020-11-18 거푸집 패널
PCT/KR2021/010083 WO2022108039A1 (ko) 2020-11-18 2021-08-02 거푸집 패널
US18/143,763 US20230272629A1 (en) 2020-11-18 2023-05-05 Formwork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29A KR102435578B1 (ko) 2020-11-18 2020-11-18 거푸집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38A KR20220067838A (ko) 2022-05-25
KR102435578B1 true KR102435578B1 (ko) 2022-08-23

Family

ID=8170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529A KR102435578B1 (ko) 2020-11-18 2020-11-18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72629A1 (ko)
KR (1) KR102435578B1 (ko)
WO (1) WO2022108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75B1 (ko) * 2023-03-13 2023-12-27 한태웅 교량용 거더의 콘크리트 양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986B1 (ko) * 2017-03-06 2017-11-08 채가영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03072B1 (ko) * 2017-01-31 2017-12-01 (주)도영에프앤씨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640U (ja) * 1993-02-12 1994-09-09 中山工業株式会社 型 枠
KR100453717B1 (ko) * 2002-03-20 2004-10-20 윤순호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2006283277A (ja) * 2005-03-31 2006-10-19 Doukin Kk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72B1 (ko) * 2017-01-31 2017-12-01 (주)도영에프앤씨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1795986B1 (ko) * 2017-03-06 2017-11-08 채가영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2629A1 (en) 2023-08-31
KR20220067838A (ko) 2022-05-25
WO2022108039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KR101457077B1 (ko)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20070036807A (ko) 선조립 콘크리트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230272629A1 (en) Formwork panel
KR20150002463U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101172522B1 (ko)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8539B1 (ko)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2180560B1 (ko) 선조립 보 스트립과 고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시공 방법
KR101532690B1 (ko)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7158A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395627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2021120B1 (ko)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프 pc슬래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pc슬래브의 개구부 시공방법
CN112727083A (zh) 一种预留洞口的支模方法
KR101831427B1 (ko) 거푸집 탈형용 철근 캡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KR102149661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상 전이층 시공방법
KR20050122138A (ko) 콘크리트 구조물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WO2023089600A1 (en) Re-usable plastic formwork used as a replacement for the blocks in block and joist type one-way slabs with pre-fabricated joists (steel or reinforced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