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052B1 -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 Google Patents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052B1
KR102435052B1 KR1020210094885A KR20210094885A KR102435052B1 KR 102435052 B1 KR102435052 B1 KR 102435052B1 KR 1020210094885 A KR1020210094885 A KR 1020210094885A KR 20210094885 A KR20210094885 A KR 20210094885A KR 102435052 B1 KR102435052 B1 KR 10243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ontact
conductor
pin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덕
Priority to KR102021009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통체(110)와 제1도체(120), 접촉부(150), 도체견인대(160), 절연견인대(170), 모터(180), 잠금유닛(190) 및 스토퍼유닛(200)으로 구성된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승강되는 과정에 정전이 가동접촉자의 하강을 스토퍼유닛이 막아줌에 따라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동접촉자를 탄성가압 및 억류해 줌으로서 지진발생시에도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안정적인 접점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Substation facility for easy protection of substation power system}
본 발명은 154KV급 고압변전소의 가스절연개폐장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를 갖춘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지중매설화에 따라 대도시 주변의 공장 밀집지역 또는 도심지에 변전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용지구입가격 및 먼지 등에 의한 절연물의 오손, 소음공해, 안전성 등과 같이 다양하게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고, 운전비용의 증가 및 안전사고 등을 감안하여 인력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건물의 지하실 등에도 설치가 가능한 소형의 고전압 변전설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노출형, 즉 공기에 의해 도체를 절연하는 방식의 개폐기구들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곤란한 것이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높은 절연력을 갖는 SF6(Sulfur Hexafluoride, 헥사플루오린화황)를 이용하여 용적을 크게 줄인 가스절연 개폐장치(GIS:Gas Insulated Switching system)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정상상태에서의 개폐뿐만 아니라 단락 등의 이상상태에 대응하여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전력계통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SF6가스로 채워진 금속제 외함(Enclosure)과 단로기(DS:Disconnecting Switch), 접지개폐기(ES:Earthing Switch), 차단기(CB:Circuit Breaker) 등의 개폐설비와 모선을 내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SF6가스로 절연하기 때문에 모든 기기가 밀폐된 탱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송전탑에서 변전소 가스절연 개폐장치까지 신선로, 즉 새로운 송전지중선을 설치했을 때 이의 이상유무(절연상태, 케이블 외피손상여부, 정격전압)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신설로에 내전압을 걸어서 테스트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케이블헤드챔버(CHD)의 도체는 테스트가 불필요한 것이어서 차단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는 도체를 차단하지 않고 내전압 테스트를 하는 경우 기존 설비에 손상이 갈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체의 분리를 위해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상·하 이동력으로 변환되어 도체의 투입과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와; 수동조작핸들막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3단 단로기 구동장치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20968호로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는 3단 단로기의 구동을 위한 장치이고, 모터와 구동기어를 이용해 샤프트의 좌·우측을 들어올리면서 도체의 투입과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여서 도체가 승·하강되는 과정에 축을 중심으로 보다 좌우로 흔들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1단 단로기의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든 구조로, 1단 단로기의 경우 도체가 튤립콘텍의 오목홈에 삽입되는 구조여서 안정적으로 접점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도체가 승하강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202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1단 단로기에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튤립콘텍)의 오목홈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견인대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키고, 절연을 위한 절연견인대와 통전을 위한 도체견인대를 별도로 형성하되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정전시 자중에 의한 가동접촉자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가동접촉자를 승강하는 과정에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가동접촉자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또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접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0968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2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작 중에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가동접촉자가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진발생시에도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안정적인 접점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는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연가스(SF6)가 충진되되, 내면에는 지지대와 거치대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밀폐통체;
지지대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밀폐통체의 하부에 안착되고 케이블이 연결된 고정접촉자를 구비하는 제1도체;
지지대보다 위에 배치되도록 밀폐통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도체에 연결된 상태로 절연스페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통전단자를 구비하는 접촉부;
접촉부의 통공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제1도체와 제2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동접촉자가 형성된 도체견인대;
도체견인대의 결합홈에 하단이 끼워져 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단부에 걸림홈이 마련된 랙과, 랙에 치합되어 랙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피니언과, 랙과 피니언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가이더와, 가이더를 밀폐통체에 고정하기 위한 축지지대로 구성된 절연견인대;
밀폐통체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
랙이 상승되면 걸림홈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걸림돌기가 걸려 정전이나 자중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스스로 내려가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유닛;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지지대에 얹혀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거치대에 제3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접촉자의 하강을 단속하는 한 쌍의 억류판과,
억류판의 타단부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니언과,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과,
밀폐통체에 설치되어 랙을 직선운동시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리니어모터와,
억류판의 하면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의 상면에 얹혀져 가동접촉자의 상하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탄성패드와,
양단이 각각 억류판에 설치되어 벌어진 억류판을 오므리는 제1탄성체와,
리니어모터에 수용되어 일단이 리니어모터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랙에 고정되어 랙을 잡아당기는 제2탄성체로 구성된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승강되는 과정에 정전이 가동접촉자의 하강을 스토퍼유닛이 막아줌에 따라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동접촉자를 탄성가압 및 억류해 줌으로서 지진발생시에도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안정적인 접점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잠금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스토퍼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접점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일부를 확대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의 정전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잠금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스토퍼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는 밀폐통체(110)와 제1도체(120), 접촉부(150), 도체견인대(160), 절연견인대(170), 모터(180), 잠금유닛(190) 및 스토퍼유닛(2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동작 중에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가동접촉자가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진발생시에도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안정적인 접점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통체(110)와 제1도체(120), 접촉부(150), 도체견인대(160), 절연견인대(170), 모터(180) 및 잠금유닛(190)의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202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어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밀폐통체(110)의 내부에는 높은 절연력을 갖는 SF6(Sulfur Hexafluoride, 헥사플루오린화황)이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통체(110)의 내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지지대(111)와 거치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112)에는 스토퍼유닛(200)을 구성하는 억류판(210)이 제3축(S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대(111)는 억류판(210)이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폐통체(110)의 내부에는 제1도체(120)가 수용되어 거치대(112)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케이블이 연결된 고정접촉자(121)를 구비한다.
상기 밀폐통체(110)에는 높은 절연력을 갖는 SF6가스가 충진된 상태여서 신선로, 즉 새로운 케이블이 제1도체(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내전압을 걸어서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 설비에 손상이 갈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의 연결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접촉자(121)는 제1도체(120)에 연결되고, 가동접촉자(161)는 제2도체(130)에 연결된 구조여서 결국 제1도체(120)과 제2도체(130)의 차단과 접속은 고정접촉자(121)와 가동접촉자(161)의 연결과 단락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접촉자(121)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가동접촉자(161)가 승하강되면서 접점을 이루거나 접점이 차단되는데, 이러한 가동접촉자(161)는 도체견인대(16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체견인대(160)는 통전단자(152)와 접촉된 상태여서 접촉부(150)와 통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접촉부(150)는 지지대(111)보다 위에 배치되도록 밀폐통체(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도체(130)에 연결된 상태로 절연스페이스(140)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151)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통전단자(152)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견인대(160)는 접촉부(150)의 통공(151)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에는 결합홈(16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접촉자(12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동접촉자(1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견인대(170)는 랙(171)과 피니언(172), 가이더(173) 및 축지지대(174)로 구성된다. 여기서 랙(171)은 도체견인대(160)의 결합홈(162)에 하단이 끼워져 핀(P)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단부에 걸림홈(171a)이 마련된다. 피니언(172)은 랙(171)에 치합되어 랙(171)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더(173)는 사각형상의 관으로 랙(171)과 피니언(172)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축지지대(174)는 가이더(173)를 밀폐통체(1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 도체견인대(160)의 상부에는 절연을 위해서 절연견인대(170)와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도체견인대(160)의 상단에는 결합홈(162)을 형성하고, 결합홈(162)에는 절연견인대(17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한 다음, 이들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핀(P)을 연결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더(173)는 피니언(172)의 축을 지지하고, 피니언(172)에 기어가 맞물리도록 결합된 랙(171)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절연견인대(170)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연적이며,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모터(180)를 적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절연견인대(170)는 모터(180)에 의해 동작되는데, 모터(180)는 밀폐통체(110)에 설치되어 피니언(17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피니언(172)이 회전되면서 랙(171)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준다.
상기 잠금유닛(190)은 솔레노이드(191)와 지지대(192) 및 걸림돌기(19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절연견인대(170)의 랙(171)이 상승하면 걸림홈(171a)에는 솔레노이드(191)에 의해 구동되는 걸림돌기(193)가 걸려 정전이나 자중에 의해 가동접촉자(161)가 스스로 내려가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유닛(190)은 밀폐통체(110)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92)와, 제1축(S1)을 매개로 지지대(19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돌기(193)와, 걸림돌기(193)를 견인하기 솔레노이드(191)로 구성되며, 솔레노이드(191)는 직선왕복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기(193)를 견인하는 로드(191a)와, 로드(191a)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걸림턱(191b)과, 걸림턱(191b)과 솔레노이드(191) 사이에 마련되어 로드(191a)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91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191a)는 걸림돌기(193)의 장공(193a)에 제2축(S2)을 매개로 연결되어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모터(180)의 구동에 의해 상승된 절연견인대(170)의 랙(171)은 스프링(191c)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돌기(210)가 랙(171)의 걸림홈(194)에 걸리게 되면서 고정되고, 이로 인해 모터(180)가 정전에 의해 구동하지 않더라도 절연견인대(170)의 랙(171)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못하게 되므로 랙(171)과 상호 연결된 도체견인대(160) 역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절연견인대(170)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는 솔레노이드(191)를 구동시켜 로드(191a)를 당기게 되면 걸림홈(171a)으로 부터 걸림돌기(193)가 빠지게 되면서 절연견인대(170)를 구성하는 랙(171)의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접점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에서 일부를 확대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의 정전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의 단락을 위해 모터(180)를 매개로 절연견인대(170)의 랙(171)을 승강시키는 과정에 모터(18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될 경우 랙(171)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랙(171)에 연결된 가동접촉자(161)가 고정접촉자(121)와 서로 접점 연결되면서 기존 설비에 손상을 주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스토퍼유닛(200)을 더 보강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에 주목해 주기 바란다.
상기 스토퍼유닛(200)은 한 쌍의 억류판(210)과 피니언(220), 랙(230), 리니어모터(240), 탄성패드(250), 제1탄성체(260) 및 제2탄성체(27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접촉자(121)와 가동접촉자(161)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접촉자(161)가 무단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진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고정접촉자(121)와 가동접촉자(161)의 접점 안전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억류판(2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일단부는 거치대(112)에 제3축(S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지지대(111)에 얹혀져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억류판(210)의 중앙에는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감착부(211)가 일체로 마련되며, 감착부(211)는 도체견인대(160)의 외주면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억류판(210)의 타단부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2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돌기(211)에는 제1탄성체(26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억류판(210)의 하면 중앙에는 탄성패드(250)가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탄성패드(250)는 가동접촉자(161)의 상면에 얹혀져 탄성력을 매개로 가동접촉자(161)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탄성패드(250)에 의해 가동접촉자(161)가 탄성가압됨에 따라 고정접촉자(121)와 가동접촉자(161) 간에 접점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특히 지진이 가해졌을 경우 진동을 흡수함은 물론 가동접촉자(161)의 상하로의 흔들림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 안전성 확보에도 상당히 유리하다.
상기 억류판(210)의 일단부 하면에는 피니언(2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피니언(220)은 억류판(210)과 함께 제3축(S3)을 매개로 거치대(1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피니언(220)에는 랙(230)이 맞물린다. 여기서 랙(230)은 밀폐통체(110)의 외면에 설치된 리니어모터(240)에 의해 전·후진되며, 랙(230)의 전·후진에 의해 맞물린 피니언(230)이 회전되고, 피니언(230)의 회전에 의해 억류판(210)이 회전되면서 가동접촉자(161)의 승하강 경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상기 리니어모터(240)는 밀폐통체(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랙(230)을 전후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동력수단이다.
상기 제1탄성체(26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서, 한 쌍의 억류판(21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각각 돌기(211)에 고정되어서 억류판(210)이 벌어졌을 때 오므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탄성체(270)는 리니어모터(240)에 내설되어 일단이 리니어모터(240)에 고정되고, 타단이 랙(230)에 고정되어 랙(230)을 리니어모터(240)의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탄성체(260,270)는 랙(230)에 의해 억류판(210)이 벌어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인장되었다가 리니어모터(2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제1·2탄성체(260,2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억류판(210)이 잡아당겨지면서 도체견인대(160)의 하강 경로를 신속하게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180)를 매개로 절연견인대(170)의 랙(171)을 승강시키는 과정에 모터(18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랙(171)이 하강하게 되면서 랙(171)에 연결된 가동접촉자(161)가 하강하더라도 하강되는 가동접촉자(161)를 억류판(210)이 막아줌에 따라 가동접촉자(161)가 고정접촉자(121)와 서로 접점 연결되면서 기존 설비에 손상을 주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억류판(210)의 일단부가 지지대(111)에 얹혀져 지지됨에 따라 가동접촉자(161)와의 충돌시 억류판(210)이 손상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밀폐통체 111: 지지대 112: 거치대
120: 제1도체 121: 고정접촉자 130: 제2도체
140: 절연스페이스 150: 접촉부 160: 도체견인대
161: 가동접촉자 170: 절연견인대 171: 랙
172: 피니언 173: 가이더 174: 축지지대
180: 모터 190: 잠금유닛 191: 솔레노이드
191a: 로드 191b: 걸림턱 191c: 스프링
192: 지지대 193: 걸림돌기 200: 자중하강방지유닛
210: 억류판 211: 돌기 220: 피니언
230: 랙 240: 리니어모터 250: 탄성패드
260: 제1탄성체 270: 제2탄성체

Claims (1)

  1. 절연가스(SF6)가 충진되되, 내면에는 지지대(111)와 거치대(112)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밀폐통체(110);
    지지대(111)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밀폐통체(110)의 하부에 안착되고 케이블이 연결된 고정접촉자(121)를 구비하는 제1도체(120);
    지지대(111)보다 위에 배치되도록 밀폐통체(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도체(130)에 연결된 상태로 절연스페이스(140)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151)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통전단자(152)를 구비하는 접촉부(150);
    접촉부(150)의 통공(151)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에는 결합홈(16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접촉자(12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제1도체(120)와 제2도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동접촉자(161)가 형성된 도체견인대(160);
    도체견인대(160)의 결합홈(162)에 하단이 끼워져 핀(P)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단부에 걸림홈(171a)이 마련된 랙(171)과, 랙(171)에 치합되어 랙(171)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피니언(172)과, 랙(171)과 피니언(172)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가이더(173)와, 가이더(173)를 밀폐통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축지지대(174)로 구성된 절연견인대(170);
    밀폐통체(110)에 설치되어 피니언(172)을 회전시키는 모터(180);
    랙(171)이 상승되면 걸림홈(171a)에는 솔레노이드(191)에 의해 구동되는 걸림돌기(193)가 걸려 정전이나 자중에 의해 가동접촉자(161)가 스스로 내려가 접점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유닛(190);
    고정접촉자(121)와 가동접촉자(161)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지지대(111)에 얹혀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거치대(112)에 제3축(S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접촉자(161)의 하강을 단속하는 한 쌍의 억류판(210)과,
    억류판(210)의 타단부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니언(220)과,
    피니언(220)에 맞물리는 랙(230)과,
    밀폐통체(110)에 설치되어 랙(230)을 직선운동시켜 피니언(220)을 회전시키는 리니어모터(240)와,
    억류판(210)의 하면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161)의 상면에 얹혀져 가동접촉자(161)의 상하로의 진동을 억제하는 탄성패드(250)와,
    양단이 각각 억류판(210)에 설치되어 벌어진 억류판(210)을 오므리는 제1탄성체(260)와,
    리니어모터(240)에 수용되어 일단이 리니어모터(240)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랙(230)에 고정되어 랙(230)을 잡아당기는 제2탄성체(270)로 구성되어,
    리니어모터(240)에 수용되어 일단이 리니어모터(240)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랙(230)에 고정되어 랙(230)을 잡아당기는 제2탄성체(270)로 구성되어,
    모터(180)를 매개로 가동접촉자(161)를 승강시키는 과정에 모터(18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면서 가동접촉자(161)가 하강하는 경우, 가동접촉자(161)의 하강 경로를 한 쌍의 억류판(210)이 폐쇄하여 가동접촉자(161)가 고정접촉자(121)와 서로 접점 연결되는 것을 막는 스토퍼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KR1020210094885A 2021-07-20 2021-07-20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KR10243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85A KR102435052B1 (ko) 2021-07-20 2021-07-20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85A KR102435052B1 (ko) 2021-07-20 2021-07-20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052B1 true KR102435052B1 (ko) 2022-08-23

Family

ID=8309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85A KR102435052B1 (ko) 2021-07-20 2021-07-20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0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416A (ja) * 2000-08-03 2002-02-15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器
KR200420968Y1 (ko) 2006-04-24 2006-07-07 선도전기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3단 단로기 구동장치
KR20090072577A (ko) * 2007-12-28 2009-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352072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KR101545202B1 (ko) 2015-02-06 2015-09-07 (주)에이스전력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416A (ja) * 2000-08-03 2002-02-15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器
KR200420968Y1 (ko) 2006-04-24 2006-07-07 선도전기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3단 단로기 구동장치
KR20090072577A (ko) * 2007-12-28 2009-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352072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KR101545202B1 (ko) 2015-02-06 2015-09-07 (주)에이스전력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202B1 (ko)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KR102385857B1 (ko) 신속 고장확인이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설비
KR101562258B1 (ko)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KR102435052B1 (ko)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KR102435051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CN110416894B (zh) 户外移动式交流应急配电装置
CN110429506B (zh) 一种gis开关柜
CN207215894U (zh) 验电接地手车
CN105551877A (zh) 一种固定式侧装断路器
CN102882138B (zh) 高压开关柜活门机构
KR101471847B1 (ko) 인입/인출형 고체절연 개폐장치
CN114256024A (zh) 常压密封空气绝缘断路器开关
KR10056644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구조
CN109192594B (zh) 一种免维护隔离开关
CN203193175U (zh) 避雷式双箱环保型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CN212063167U (zh) 一种成套开关柜的便捷式预埋装置
CN206225804U (zh) 箱式变电站
CN206370643U (zh) 新型箱变
CN213879040U (zh) 一种gis安装用可移动式防尘棚升降装置
CN215119554U (zh) 一种防止误触误碰分合闸接触器的工具
CN204230737U (zh) 10kVPT开关柜母线避雷器车载装置
KR102483102B1 (ko) 다중 부하개폐기
CN217334824U (zh) 一种触电保护机构
CN214506240U (zh) 一种低压配电柜安全防护装置
CN211874010U (zh) 一种10千伏装配式钢结构开关站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