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707B1 -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707B1
KR102434707B1 KR1020197015467A KR20197015467A KR102434707B1 KR 102434707 B1 KR102434707 B1 KR 102434707B1 KR 1020197015467 A KR1020197015467 A KR 1020197015467A KR 20197015467 A KR20197015467 A KR 20197015467A KR 102434707 B1 KR102434707 B1 KR 10243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command
information
writer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410A (ko
Inventor
츠토무 나카츠루
다로 구리타
가츠야 시모지
요시히로 요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36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n the policy decisions are valid for a limited amount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와, 커맨드에 따라서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를, 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기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186883호 공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커맨드가 1회의 통신으로 통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기 간에서의 통신 횟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기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단순히 송신되는 복수의 커맨드를 1회의 통신으로 통합하여 송신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암호화된 커맨드에 관한 통신의 횟수를 삭감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개시에서는,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도 개량된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송신시키는 제1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가, 상기 제1 커맨드의 다음에 송신시키는 제2 커맨드의 생성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맨드와 함께 상기 제2 커맨드를, 상기 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시키고,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커맨드를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가, 추가로 수신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중계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포착된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라미터 중, 최신의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고,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중계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중계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중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IC 칩과 안테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기 전의 기존의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순서로 설명을 행한다.
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우선 설명한 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고, 당해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하, 「네트워크 통신」이라고 함)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이나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의 무선 네트워크, 혹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더/라이터(20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Type-A, Type-B, Type-F 등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리더/라이터(20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나, IEEE 802.11을 이용한 무선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임의의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나, ISO7816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등을 이용하는 유선 통신"에 의해 통신을 행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리더/라이터(200)를 통해 통신을 행한다. 즉,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역할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가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리더/라이터(20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NFC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후술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통신부(102)와, 제어부(104)를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도시생략)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도시생략), 기억부(도시생략), 정보 처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도시생략), 다양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도시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ROM(도시생략)은, 제어부(104)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도시생략)은, 제어부(10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부(도시생략)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이며,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나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부(도시생략)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억부(도시생략)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된다.
조작부(도시생략)로서는,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조작 입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또한, 표시부(도시생략)로서는,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표시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MPU(150)와, ROM(152)과, RAM(154)과, 기록 매체(156)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와, 표시 디바이스(162)와, 통신 인터페이스(164)를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166)로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고 있는 배터리 등의 내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접속되어 있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등에 의해 구동한다.
MPU(150)는, 예를 들어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04)로서 기능한다. 또한, MPU(15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처리부(110)의 역할을 행한다. 또한, 처리부(110)는, 전용의(또는 범용의) 회로(예를 들어, MPU(150)와는 별체의 프로세서 등)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ROM(152)은, MPU(15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154)은, 예를 들어 MPU(1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 매체(156)는, 기억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나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56)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156)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는, 예를 들어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나, 표시 디바이스(162)를 접속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조작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고,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표시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로서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등록 상표) 단자, 각종 처리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 상에 구비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접속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로서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방향 키, 조그다이얼 등의 회전형 셀렉터,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 상에 구비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접속된다. 표시 디바이스(162)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또는 OLED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외부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나 외부의 표시 디바이스 등의,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 표시와 유저 조작이 가능한 디바이스여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통신 수단이며, 네트워크를 통해(혹은, 직접적으로)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102)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64)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 및 RF(Radio Frequency) 회로(무선 통신)나,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 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혹은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임의의 구성이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속되어 있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 등과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16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 의해, 1 또는 2 이상의 외부 장치 등과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156)나,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 표시 디바이스(16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적용예에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구성(또는 변형예에 따른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1 또는 2 이상의 IC(Integrated Circuit)로 실현되어도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부(102)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통신 수단이며, 네트워크를 통해(혹은, 직접적으로),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102)는, 예를 들어 제어부(104)에 의해 통신이 제어된다.
여기서, 통신부(102)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나,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 등을 들 수 있지만, 통신부(102)의 구성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부(102)는, USB 단자 및 송수신 회로 등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규격에 대응하는 구성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2)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 의해, 1 또는 2 이상의 외부 장치 등과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MPU 등으로 구성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처리부(110)를 갖고,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행한다.
처리부(11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제1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처리부(110)를, 제어부(104)와는 개별로 구비할(예를 들어, 별도의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분리 방법에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부(102)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부(10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1-2]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부(202)와, 제2 통신부(204)와, 제어부(206)를 구비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ROM(도시생략)이나, RAM(도시생략), 기억부(도시생략),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도시생략), 다양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도시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ROM(도시생략)은, 제어부(206)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도시생략)은, 제어부(206)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부(도시생략)는, 리더/라이터(200)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이며,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200)에 적용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나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부(도시생략)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억부(도시생략)는 리더/라이터(200)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된다.
조작부(도시생략)로서는 상술한 조작 입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또한, 표시부(도시생략)로서는 상술한 표시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리더/라이터(200)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MPU(250)와, ROM(252)과, RAM(254)과, 기록 매체(256)와, 통신 인터페이스(258)와, 반송파 송신 회로(260)와, 안테나(262)를 구비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264)로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200)가 구비하고 있는 배터리 등의 내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접속되어 있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등에 의해 구동한다.
MPU(250)는, 예를 들어 MPU 등의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리더/라이터(2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06)로서 기능한다. 또한, MPU(250)는,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처리부(210)의 역할을 행한다.
ROM(252)은, MPU(25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254)은, 예를 들어 MPU(2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 매체(256)는, 기억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200)에 적용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나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256)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256)는 리더/라이터(200)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258)는, 리더/라이터(200)가 구비하는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이며, 네트워크를 통해(혹은, 직접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10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 통신부(202)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258)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나,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 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혹은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58)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임의의 구성이어도 된다.
반송파 송신 회로(260) 및 안테나(262)는, 리더/라이터(200)가 구비하는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이며, 정보 처리 단말기(30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 통신부(204)로서 기능한다.
안테나(262)는, 예를 들어 송수신 안테나로서의 소정의 인덕턴스를 갖는 코일 및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와, 복조 회로로 구성된다. 그리고, 안테나(262)는, 예를 들어 13.56[㎒] 등의 소정의 주파수의 반송파를 수신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기(300)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부하 변조 등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등을 복조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반송파 송신 회로(260)가 복조 회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안테나(262)는 공진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반송파 송신 회로(260)는, 예를 들어 ASK(Amplitude Shift Keying) 등의 변조를 행하는 변조 회로와, 당해 변조 회로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안테나(262)의 송수신 안테나로부터 반송파 신호를 실은 반송파를 송신시킨다. 또한, 반송파 송신 회로(260)는, 예를 들어 안테나(26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회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복조 회로는, 예를 들어 변조 회로(또는 증폭 회로)와 안테나(262)의 공진 회로의 사이에서의 전압의 진폭 변화를 포락선 검파하고, 검파된 신호를 2치화함으로써, 안테나(26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복조 회로는, 예를 들어 변조 회로(또는 증폭 회로)와 안테나(262)의 공진 회로의 사이에서의 전압의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안테나(26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송파 송신 회로(260)를 구비함으로써, 리더/라이터(200)는,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을 갖고, 소위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행한다. 여기서, 반송파 송신 회로(260)가 안테나(262)로부터 송신하는 반송파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폴링 신호나, 후술하는 각종 커맨드를 나타내는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송신 회로(260)는, 예를 들어 MPU(250)에 의해 반송파의 송신이 제어된다.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58)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258)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반송파 송신 회로(260) 및 안테나(262)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반송파 송신 회로(260) 및 안테나(26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 등의,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반송파 송신 회로(260) 및 안테나(26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의 경우, 리더/라이터(200)는,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또는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256)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리더/라이터(200)의 적용예에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구성(또는 변형예에 따른 구성)은, 1 또는 2 이상의 IC로 실현되어도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리더/라이터(2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통신부(202)는,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의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은, 예를 들어 제어부(206)(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처리부(11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1 통신부(202)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나,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 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혹은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제2 통신부(204)는,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제2 통신부(204)에 있어서의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은, 예를 들어 제어부(206)(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처리부(11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2 통신부(204)로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반송파 송신 회로(260) 및 안테나(262) 등의 NFC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204)는, 예를 들어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 등의,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여도 된다.
제어부(206)는, 예를 들어 MPU 등으로 구성되고, 리더/라이터(200)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206)는, 예를 들어 처리부(110)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행한다.
처리부(210)는,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행한다.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중계 장치)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는, 도 4에 도시한 처리부(210)를, 제어부(206)와는 개별로 구비할(예를 들어, 별도의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분리 방법에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통신부(202)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는, 제1 통신부(20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통신부(204)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는, 제2 통신부(20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1-3]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부(302)와, 제2 통신부(304)와, 제어부(306)를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ROM(도시생략)이나, RAM(도시생략),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도시생략), 다양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도시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ROM(도시생략)은, 제어부(306)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도시생략)은, 제어부(306)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조작부(도시생략)로서는,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조작 입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또한, 표시부(도시생략)로서는,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표시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NFC에 의해 리더/라이터(200)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MPU(350)와, ROM(352)과, RAM(354)과, 기록 매체(356)와, 입출력 인터페이스(358)와, 조작 입력 디바이스(360)와, 표시 디바이스(362)와, 통신 인터페이스(364)와, IC 칩(366)과, 안테나(368)를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370)로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구비하고 있는 배터리 등의 내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접속되어 있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등에 의해 구동한다.
MPU(350)는, 예를 들어 MPU 등의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정보 처리 단말기(3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306)로서 기능한다. 또한, MPU(35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처리부(310)의 역할을 행한다.
ROM(352)은, MPU(35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354)은, 예를 들어 MPU(3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 매체(356)는, 기억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어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356)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356)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58)는, 예를 들어 조작 입력 디바이스(360)나, 표시 디바이스(362)를 접속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360)는, 조작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고, 또한 표시 디바이스(362)는, 표시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358)로서는, 예를 들어 USB 단자나, DVI 단자, HDMI(등록상표) 단자, 각종 처리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 디바이스(36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단말기(300) 상에 구비되고,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358)와 접속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360)로서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방향 키, 조그다이얼 등의 회전형 셀렉터,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362)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단말기(300) 상에 구비되고,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358)와 접속된다. 표시 디바이스(362)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58)가,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외부 장치로서의 외부 조작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나 외부 표시 디바이스 등의,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362)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 표시와 유저 조작이 가능한 디바이스여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364)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구비하는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이며, 제1 통신부(302)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364)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나,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 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혹은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IC 칩(366) 및 안테나(368)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구비하는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이며, 제2 통신부(304)로서 기능한다. IC 칩(366) 및 안테나(368)는, 예를 들어 13.56[㎒] 등 소정의 주파수의 반송파에 의해, 리더/라이터(200) 등의 리더/라이터 기능을 갖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NFC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안테나(368)는, 반송파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한, IC 칩(366)은 수신된 반송파에 기초하여,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반송파 신호를 복조하여 처리하고, 부하 변조에 의해 응답 신호를 송신시킨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IC 칩(366)과 안테나(368)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IC 칩(366)의 구성을, IC 칩의 형태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안테나(368)는, 예를 들어 소정의 인덕턴스를 갖는 코일(인덕터) L1과,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 C1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로 구성되고, 반송파의 수신에 따라서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기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안테나(368)는, 소정의 공진 주파수로 유기 전압을 공진시킨 수신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안테나(368)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13.56[㎒] 등 반송파의 주파수에 맞춰서 설정된다. 안테나(368)는, 상기 구성에 의해, 반송파를 수신하고, 또한 IC 칩(366)이 구비하는 부하 변조 회로(382)에 있어서 행해지는 부하 변조에 의해 응답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IC 칩(366)은, 예를 들어 캐리어 검출 회로(372)와, 검파 회로(374)와, 레귤레이터(376)와, 복조 회로(378)와, MPU(380)와, 부하 변조 회로(382)를 구비한다. 또한,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IC 칩(366)은, 예를 들어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MPU(380)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보호 회로(도시생략)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된 클램프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IC 칩(366)은, 예를 들어 ROM(384)과, RAM(386)과, 불휘발성 메모리(388)를 구비한다. MPU(380), ROM(384), RAM(386), 및 불휘발성 메모리(388)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390)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버스(390)는 버스(370)와 접속된다.
ROM(384)은, MPU(38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386)은, MPU(38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연산 결과, 실행 상태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388)는, 예를 들어 NFC 등의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암호키 정보나, 전자 밸류(화폐 또는 화폐에 준한 가치를 갖는 데이터),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불휘발성 메모리(388)로서는,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388)는, 예를 들어 내 탬퍼성을 지니며, 보안 기록 매체의 일례에 해당된다.
캐리어 검출 회로(372)는, 안테나(368)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전압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검출 신호를 MPU(380)로 전달한다. 또한, MPU(380)는, 전달되는 상기 검출 신호를,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처리 클럭으로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 신호는, 안테나(368)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전압에 기초하는 것이므로,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반송파의 주파수와 동기하게 된다. 따라서, IC 칩(366)은, 캐리어 검출 회로(372)를 구비함으로써,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처리를, 당해 외부 장치와 동기하여 행할 수 있다.
검파 회로(374)는, 안테나(368)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전압을 정류한다. 여기서, 검파 회로(374)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D1과, 캐패시터 C2로 구성된다.
레귤레이터(376)는, 수신 전압을 평활, 정전압화하고, MPU(380)에 구동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레귤레이터(376)는, 수신 전압의 직류 성분을 구동 전압으로서 사용한다.
복조 회로(378)는, 수신 전압에 기초하여 반송파 신호를 복조하고, 반송파에 포함되는 반송파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하이레벨과 로우 레벨의 2치화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복조 회로(378)는, 수신 전압의 교류 성분을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MPU(380)는, 레귤레이터(376)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전원으로서 구동하고, 복조 회로(378)에 있어서 복조된 데이터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MPU(380)는, 예를 들어 MPU 등의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MPU(380)는,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로의 응답에 관한 부하 변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처리 결과에 따라서 생성한다. 그리고, MPU(380)는, 제어 신호를 부하 변조 회로(382)로 출력한다.
부하 변조 회로(382)는, 예를 들어 부하 Z와 스위치 SW1을 구비하고, MPU(38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부하 Z를 선택적으로 접속함(유효화함)으로써 부하 변조를 행한다. 여기서, 부하 Z는, 예를 들어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위치 SW1은, 예를 들어 p채널형의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나, n채널형의 MOSFET로 구성된다.
IC 칩(366)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안테나(368)가 수신한 반송파 신호를 처리하고, 부하 변조에 의해 안테나(368)에 응답 신호를 송신시킨다.
IC 칩(366) 및 안테나(368)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정의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와 NFC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IC 칩(366) 및 안테나(368)의 구성이, 도 8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리더/라이터(20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64)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또는 상술한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을 행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6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IC 칩(366) 및 안테나(368)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IC 칩(366) 및 안테나(368)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 등의,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IC 칩(366) 및 안테나(368)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의 경우,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또는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356), 조작 입력 디바이스(360), 및 표시 디바이스(362) 중 1 또는 2 이상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적용예에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를 들면, 예를 들어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IC 카드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IC 칩(366) 및 안테나(368)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IC 카드인 경우, 예를 들어 IC 칩(366)을 구성하는 MPU(380)가,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구성(또는 변형예에 따른 구성)은, 1 또는 2 이상의 IC로 실현되어도 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통신부(302)는,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제1 통신부(302)에 있어서의 통신은, 예를 들어 제어부(306)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1 통신부(302)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나,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 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혹은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제2 통신부(304)는,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제2 통신부(304)에 있어서의 통신은, 예를 들어 제어부(306)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2 통신부(304)로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IC 칩(366) 및 안테나(368)와 같은 NFC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304)는, 예를 들어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 등의, NFC 이외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여도 된다.
제어부(306)는, 예를 들어 MPU 등으로 구성되고, 정보 처리 단말기(300)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306)는, 예를 들어 처리부(310)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행한다.
처리부(31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행한다.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는, 도 6에 도시한 처리부(310)를, 제어부(306)와는 개별로 구비할(예를 들어, 별도의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분리 방법에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통신부(302)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또는 상술한 하나의 통신 방식의 통신을 행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제1 통신부(30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통신부(304)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제2 통신부(30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1-4]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적용예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나 서버 등의 컴퓨터"나, "태블릿형의 장치", "스마트폰 등의 통신 장치", "게임기" 등의,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기기에 내장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 IC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같이 네트워크로의 접속(또는 각 장치 간의 통신)을 전제로 한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된다. 상기 처리 시스템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에 의해, 후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부 처리가 행해지고,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장치에 의해, 당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당해 일부의 처리 이외의 처리가 행해지는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 "리더/라이터 기능을 갖는 장치", "BLE와 같은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 등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등의,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 임의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기기에 내장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 IC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통신 장치", "IC 카드", "게임기" 등의,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다음으로, 상술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NFC의 통신을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NFC Type-A의 통신, NFC Type-B의 통신, NFC Type-F의 통신, BLE 등의 IEEE 802.15.1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나, IEEE 802.11을 이용한 무선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의 통신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기 전의 기존의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의 사이에서 네트워크 통신이 행해지고, 리더/라이터(2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의 사이에서는, NFC의 통신이 행해진다.
리더/라이터(20)는 단말기 포착 커맨드를 송신한다(S10). 단말기 포착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단말기 포착 커맨드에 대한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12). 스텝 S10 및 스텝 S12에 도시한 통신이 행해짐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리더/라이터(20)에 의해 포착된다.
정보 처리 단말기(30)가 포착되면, 리더/라이터(20)는,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개시한다(S14).
정보 처리 장치(1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16). 스텝 S16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로 송신한다(S18).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20). 스텝 S20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당해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S22).
스텝 S22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24). 스텝 S24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로 송신한다(S26).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28). 스텝 S28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당해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S30).
스텝 S30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당해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하고,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32). 스텝 S32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로 송신한다(S34).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36). 스텝 S36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당해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S38).
스텝 S38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당해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리더/라이터(2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하고,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40). 스텝 S4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로 송신한다(S42).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데이터 판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44). 스텝 S4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당해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S46).
스텝 S46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당해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진 경우에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48). 스텝 S4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로 송신한다(S50).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52). 스텝 S5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는, 수신된 당해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S54).
스텝 S54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당해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처리 결과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56).
기존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이 사용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 리더/라이터(20), 및 정보 처리 단말기(30)에서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이 행해진다.
도 9의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한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의 사이에서 6 왕복의 통신이 행해진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 사이의 통신이 네트워크 통신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 사이의 통신 시간은,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 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되면 될수록 길어진다.
또한, 리더/라이터(2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의 통신은 NFC이므로, 리더/라이터(20)와 정보 처리 단말기(30) 사이의 통신 시간은,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 사이의 통신 시간보다도 충분히 작다.
그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존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통신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와 리더/라이터(20) 사이의 통신 횟수를 삭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이하,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적용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로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와 같은, 4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는, 이하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와 같은, 4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는, 이하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중 2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처리여도 된다.
[2-1]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1-1]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정보 처리 장치(100)는,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와, 당해 커맨드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외부 장치의 일례)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되는 경우, 리더/라이터(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당해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커맨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정 응답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상정되는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 또는 당해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시키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상정 응답 정보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또한, 리더/라이터(20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정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가 판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테이블(또는, 데이터베이스. 이하, 마찬가지로 함)을 참조함으로써, 송신시키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테이블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부(도시생략) 등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당해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테이블을 판독한다.
또한, 송신시키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가 있는지를 판정하는 방법은, 상기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상정 응답 정보가 있음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알고리즘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송신시키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가 있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가,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 시킴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송신한 커맨드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통신"이 삭감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가, 상정되는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정 응답 정보로서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경우에는, 상정되는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 자체는, 리더/라이터(200)로 송신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가, 상기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정 응답 정보로서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킴으로써, 가령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상정 응답 정보를 사용한 판정에 오류가 있는 경우라도,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당해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2-1-2]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리더/라이터(200)는,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또한,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정 응답 정보가, 또한 수신된 경우,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와,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상정 응답 정보가 상정되는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인 경우에는,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와 응답 정보와의 바이너리를 비교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와 응답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와 응답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정 응답 정보가 상정되는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가 나타내는 해시값과 응답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응답 정보로부터 해시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가 나타내는 해시값과 산출된 응답 정보의 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상정 응답 정보가 나타내는 해시값과 산출된 응답 정보의 해시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정되지 않는다.
[2-1-3]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스텝 S100 내지 S136의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스텝 S10 내지 S46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처리 중, 도 9에 도시한 처리와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36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당해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진 경우에, 데이터 기입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138).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상기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 등에 의해,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를 1회의 통신으로 송신시키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정보 처리 장치(10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를, 복수 회의 통신으로 나누어 송신시켜도 된다.
스텝 S13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 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140).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142).
스텝 S14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13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상정 응답 정보와, 수신된 당해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S144).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144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146).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146에 있어서, 스텝 S14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추가로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해도 된다.
제1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통신이 행해진다.
제1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0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 5 왕복의 통신이 행해진다. 즉, 제1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도 9에 도시한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 삭감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통신은, 도 10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2-2]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2-1]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시키는 제1 커맨드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외부 장치의 일례)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가, 제1 커맨드의 다음에 송신시키는 제2 커맨드의 생성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커맨드와 함께 제2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커맨드(제1 커맨드)를 송신시킬 때, 함께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커맨드 군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하나의 커맨드와 함께 송신시키는 다른 커맨드(제2 커맨드)를 특정한다. 상기 커맨드 군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부(도시생략) 등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당해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커맨드 군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함께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커맨드 군을 특정하는 방법은, 상기 커맨드 군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함께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커맨드 군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알고리즘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함깨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커맨드 군을 특정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는, 상기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암호화 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커맨드는, 리더/라이터(200)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비암호화 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키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송신시키지 않는 경우, 키 버전 취득 커맨드의 다음에 송신시키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의 파라미터가, 키 버전 취득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키 버전에 의존하여 바뀔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송신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정되는 모든 키 버전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정되는 모든 키 버전으로서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 및 리더/라이터(200)가 대응하고 있는 모든 키 버전을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가 복수의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송신하는 경우,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복수의 단말기 인증 커맨드 중에서 키 버전 취득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키 버전에 대응하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정보 처리 장치(100)가, 제1 커맨드와 함께 제2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킴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는, "커맨드와 당해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통신"이 삭감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가, 비암호화 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키지 않음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는, "비암호화 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커맨드와 당해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통신"이 삭감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2-2-2]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외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스텝 S200 내지 S204의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스텝 S10 내지 S14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처리 중, 도 9에 도시한 처리와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로 송신한다(S206).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정되는 모든 키 버전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스텝 S206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208).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10).
스텝 S210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206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단말기 인증 커맨드 중에서 당해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키 버전에 대응하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214).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14).
스텝 S21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210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및 스텝 S21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216).
스텝 S216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된 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와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함께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18).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상기 커맨드 군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와 함께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특정한다.
스텝 S21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220).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22).
스텝 S22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21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224).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데이터 판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26).
스텝 S226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22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및 스텝 S226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228).
스텝 S228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된 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리더/라이터(2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리더/라이터(2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도 10의 스텝 S138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기입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30).
또한, 도 11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를 1회의 통신으로 송신시키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를, 복수 회의 통신으로 나누어 송신시켜도 된다.
스텝 S23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232).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234).
스텝 S23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도 10의 스텝 S144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S236).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23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238).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238에 있어서, 스텝 S23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추가로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해도 된다.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통신이 행해진다.
제1 정보 처리 방법 및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1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 3 왕복의 통신이 행해진다. 즉, 제1 정보 처리 방법 및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도 9에 도시한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 삭감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방법 및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1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제1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0에 도시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가 삭감되어 있다. 즉,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통신이, 도 11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2-3]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3-1]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는, 예를 들어 리플레이 어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 측에서 송신시킬 때마다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증에 사용되는 커맨드를, 리플레이 어택을 방지하면서, 리더/라이터(200)로 생성시킬 수 있으면,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 삭감이 기대된다.
그래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외부 장치의 일례)의 인증에 사용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이하에서는,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단순히 「파라미터」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인증 이전의 커맨드에 대한 응답 정보에 의존하여 바뀔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가 응답 정보에 의존하여 바뀌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하는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각각을, 고정의 응답 정보를 가정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후에 행해지는 각종 인증이나 각종 암호화 처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의 응답 정보에 기인하여 부정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상기 인증 이전의 커맨드에 대한 응답 정보를 취득한 후에, 취득된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일치시키고, 부정합을 해소한다.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유효 기한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리더/라이터(200)에 통지된다.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메타데이터여도 되고,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여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로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유효 기한을 체크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정보 처리 단말기(300)(외부 장치의 일례)의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소정의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여기서,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설정되는 유효 기한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송신시키는 송신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설정되는 유효 기한이 상기 송신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됨으로써, 유효 기한에 관한 판정에 있어서의 오판정(예를 들어, 리더/라이터(200)가 사용한 파라미터와, 정보 처리 장치(100)가 유효 기한에 관한 판정을 행한 파라미터가 상이한 것에 기인하는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2-3-2]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리더/라이터(200)는,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더/라이터(20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포착된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 중, 최신의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최신의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 바로 근처에서 수신된 파라미터, 또는 유효 기한이 처리 시점부터 가장 먼 파라미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에 따라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2-3-3]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외에,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설정되어 있는 송신 간격으로 송신한다(S300).
리더/라이터(200)는 단말기 포착 커맨드를 송신한다(S302). 단말기 포착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단말기 포착 커맨드에 대한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04).
여기서, 스텝 S30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송신하는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NFC의 통신에 있어서의 이후의 커맨드의 비암호화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리더/라이터(200)가, 스텝 S30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송신하는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커맨드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더/라이터(20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306).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08).
스텝 S308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30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최신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310).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12).
스텝 S31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30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스텝 S308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및 스텝 S31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314).
스텝 S314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된 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한다(S316).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도 11의 스텝 S218과 마찬가지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와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함께,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18).
스텝 S31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도 11의 스텝 S220과 마찬가지로, 수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320).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22).
스텝 S32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도 11의 스텝 S224와 마찬가지로, 스텝 S31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324).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데이터 판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26).
스텝 S326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32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및 스텝 S326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328).
스텝 S328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된 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리더/라이터(2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리더/라이터(2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도 10의 스텝 S138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기입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30).
또한, 도 12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를 1회의 통신으로 송신시키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와 상정 응답 정보를, 복수 회의 통신으로 나누어 송신시켜도 된다.
스텝 S33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332).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334).
스텝 S33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도 10의 스텝 S144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S336).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33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338).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338에 있어서, 스텝 S33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추가로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해도 된다.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통신이 행해진다.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및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2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 2 왕복의 통신이 행해진다. 즉,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및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도 9에 도시한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 삭감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및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2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제1 정보 처리 방법 및 제2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1에 도시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가 삭감되어 있다. 즉,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통신이, 도 12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2-4]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4-1]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함께, 정보 처리 단말기(300)(외부 장치의 일례)에 다른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다른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여기서, 함께 송신시키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 및 다른 커맨드로서는, 예를 들어 "단말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 등을 들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가,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함께 다른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시킴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는, "커맨드와 당해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 정보와의 송수신에 관한 통신"이 삭감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제1 커맨드와 함께 제2 커맨드가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된다. 즉, 즉,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의 일례라고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2-4-2]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및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외에,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12의 스텝 S300과 마찬가지로,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설정되어 있는 송신 간격으로 송신한다(S400).
리더/라이터(200)는, 단말기 포착 커맨드를 송신한다(S402). 단말기 포착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단말기 포착 커맨드에 대한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404).
리더/라이터(20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406).
키 버전 취득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키 버전 취득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당해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408).
스텝 S408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40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최신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단말기 인증 커맨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생성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412).
여기서, 리더/라이터(200)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역을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생성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와 함께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단말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리더/라이터(200)에 대해서 송신하는 경우에는,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단말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단말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단말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판독 커맨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각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412).
스텝 S41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404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스텝 S408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 및 스텝 S41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414).
스텝 S414에 있어서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된 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12의 스텝 S316과 마찬가지로, 수신된 응답 정보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한다(S416).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정보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정보 처리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데이터 기입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정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418).
스텝 S418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데이터 기입 커맨드, 및 상정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수신된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420).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단말기(300)는, 리더/라이터 인증 커맨드 및 데이터 기입 커맨드 각각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각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리더/라이터(200)로 송신한다(S422).
스텝 S42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한 리더/라이터(200)는, 도 10의 스텝 S144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기(300)에 있어서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S424). 그리고,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424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426). 또한, 리더/라이터(200)는, 스텝 S426에 있어서, 스텝 S422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추가로 정보 처리 장치(100)로 송신해도 된다.
제4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통신이 행해진다.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제3 정보 처리 방법, 및 제4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3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서 1 왕복의 통신이 행해진다. 즉,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제3 정보 처리 방법, 및 제4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는, 도 9에 도시한 NFC의 통신을 이용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 삭감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제3 정보 처리 방법, 및 제4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3에 도시한 통신에서는,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2 정보 처리 방법, 및 제3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도 12에 도시한 통신보다도,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가 삭감되어 있다. 즉, 제4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리더/라이터(20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있어서의 통신이, 도 13에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컴퓨터 시스템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1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내지 제4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중 1 또는 2 이상의 처리 등,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으로서는, 단체의 컴퓨터, 또는 복수의 컴퓨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100)(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Ⅱ] 제2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컴퓨터 시스템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계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리더/라이터(200)에 있어서의, 제1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와 제3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의 한쪽 또는 양쪽의 처리 등,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장치 간의 통신의 횟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 실현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계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리더/라이터(200)(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정보 처리 장치, 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계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됨을 나타내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추가로 상기 프로그램 각각을 기억시킨 기록 매체 혹은 상기 프로그램을 모두 기억시킨 기록 매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본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처리부는,
송신시키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상정 응답 정보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상정 응답 정보를 송신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상정 응답 정보는, 상정되는 상기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 또는 상기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처리부는, 송신시키는 제1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가, 상기 제1 커맨드의 다음에 송신시키는 제2 커맨드의 생성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맨드와 함께 상기 제2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처리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시키고,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처리부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함께, 상기 외부 장치에 다른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다른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송신시키는 제1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가, 상기 제1 커맨드의 다음에 송신시키는 제2 커맨드의 생성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맨드와 함께 상기 제2 커맨드를, 상기 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처리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시키고,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처리부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함께, 상기 외부 장치에 다른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다른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시키고,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함께, 상기 외부 장치에 다른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다른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상기 (10)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커맨드를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가, 추가로 수신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중계 장치.
(13)
상기 상정 응답 정보는, 상정되는 상기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이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와 상기 응답 정보와의 바이너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중계 장치.
(14)
상기 상정 응답 정보는, 상정되는 상기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가 나타내는 해시값과 상기 응답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중계 장치.
(15)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포착된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라미터 중, 최신의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고,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중계 장치.
10, 100: 정보 처리 장치
20, 200: 리더/라이터
30, 300: 정보 처리 단말기
102: 통신부
104, 206, 306: 제어부
110, 210, 310: 처리부
202, 302: 제1 통신부
204, 304: 제2 통신부
1000: 정보 처리 시스템

Claims (15)

  1.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 중계 장치, 및 외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 대상의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데이터 기입 커맨드 또는 데이터 기입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 기입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중계 장치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은,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다른,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송신시키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상정 응답 정보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상정 응답 정보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응답 정보는, 상정되는 상기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 또는 상기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송신시키는 제1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가, 상기 제1 커맨드의 다음에 송신시키는 제2 커맨드의 생성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맨드와 함께 상기 제2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시키고,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에,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되는지를 판정하고,
    유효 기한을 충족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와 함께, 상기 외부 장치에 다른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다른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 또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커맨드를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다고 상정되는 응답을 나타내는 상정 응답 정보가, 추가로 수신된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응답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중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응답 정보는, 상정되는 상기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이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와 상기 응답 정보의 바이너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중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응답 정보는, 상정되는 상기 응답의 바이너리 데이터의 해시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정 응답 정보가 나타내는 해시값과 상기 응답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에 상응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중계 장치.
  15.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포착된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라미터 중, 최신의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고,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중계 장치.
KR1020197015467A 2016-12-09 2017-10-26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 KR102434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9004 2016-12-09
JP2016239004 2016-12-09
PCT/JP2017/038600 WO2018105260A1 (ja) 2016-12-09 2017-10-26 情報処理装置、および中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410A KR20190092410A (ko) 2019-08-07
KR102434707B1 true KR102434707B1 (ko) 2022-08-22

Family

ID=624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467A KR102434707B1 (ko) 2016-12-09 2017-10-26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94194A1 (ko)
EP (1) EP3554048A4 (ko)
JP (1) JP6935802B2 (ko)
KR (1) KR102434707B1 (ko)
CN (1) CN110024360B (ko)
TW (1) TWI753052B (ko)
WO (1) WO2018105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4797B2 (en) * 2017-12-14 2022-07-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3546A1 (en) * 2002-06-12 2003-12-18 Rolf Blom Challenge-response user authentication
US20070250923A1 (en) * 2006-04-21 2007-10-25 M Raihi David Time and event based one time passwor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390B2 (ja) * 1990-10-17 2001-04-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JP3654360B2 (ja) 2002-12-02 2005-06-02 ソニー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304371A (ja) * 2003-03-28 2004-10-28 Fujitsu Ltd レイヤ2のスイッチング装置
JP4290098B2 (ja) * 2004-09-07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527978B1 (ko) *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LU91488B1 (en) * 2008-10-17 2010-04-19 Robert Carter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8934523B2 (en) * 2009-07-13 2015-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transmission mode for a backhaul link transmission
JP2011039810A (ja) * 2009-08-12 2011-02-24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2064048A (ja) * 2010-09-16 2012-03-29 Toshiba Corp 携帯可能電子装置、非接触icカード、および携帯可能電子装置のコマンド処理方法
JP5882637B2 (ja) * 2011-08-26 2016-03-09 Jr東日本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シンクライアント型の読書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52172B2 (ja) * 2013-12-27 2017-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3546A1 (en) * 2002-06-12 2003-12-18 Rolf Blom Challenge-response user authentication
US20070250923A1 (en) * 2006-04-21 2007-10-25 M Raihi David Time and event based one time passwo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3052B (zh) 2022-01-21
CN110024360B (zh) 2022-06-07
JP6935802B2 (ja) 2021-09-15
KR20190092410A (ko) 2019-08-07
TW201826751A (zh) 2018-07-16
JPWO2018105260A1 (ja) 2019-10-24
WO2018105260A1 (ja) 2018-06-14
US20190394194A1 (en) 2019-12-26
CN110024360A (zh) 2019-07-16
EP3554048A1 (en) 2019-10-16
EP3554048A4 (en)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235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11787195U (zh) Ic卡以及信息处理系统
KR10243470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중계 장치
JP6929830B2 (ja) 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8353280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
JP73384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241421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20901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JP694716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6009723A1 (ja) 情報処理装置、状態制御装置、情報処理方法、状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651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9296061A (ja) 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5812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3980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情報処理方法
JPWO201600972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