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493B1 -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493B1
KR102434493B1 KR1020200075816A KR20200075816A KR102434493B1 KR 102434493 B1 KR102434493 B1 KR 102434493B1 KR 1020200075816 A KR1020200075816 A KR 1020200075816A KR 20200075816 A KR20200075816 A KR 20200075816A KR 102434493 B1 KR102434493 B1 KR 10243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varnish liquid
varnish
dispos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699A (ko
Inventor
진태원
정웅락
Original Assignee
진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태원 filed Critical 진태원
Priority to KR102020007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4Protection against moisture or chemical attack; Windings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on in liquid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에 와이어가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모터의 고정자에 바니쉬액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자가 상면에 배치되는 배치부; 및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고정자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니쉬액을 자연 낙하시켜 공급하는 바니쉬액 공급부; 를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터의 고정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가이드를 통해 고정자의 상단으로 바니쉬액을 공급함으로써, 헤어핀을 사용하여 배치된 모터 코일의 세부까지 바니쉬액이 침투하여 모터 고정자에 대해 균일한 바니쉬액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Varnish spreading apparatus for motor stater}
본 발명은 바니쉬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니쉬액이 고정자의 필요로 하는 부분으로만 공급되어 도포되도록 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고정자는 와이어가 권취되어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터 고정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자(1)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상의 코어(C)에 다수의 와이어(W)가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와이어가 권취된 코어(C)에는 바니쉬(VARNISH)를 도포하여 권취된 와이어 간의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와이어의 균일한 절연을 위해 바니쉬액의 균일한 도포가 전제되어야 한다.
일본 공개특허 2015-023627호를 참조하면, 바니쉬액의 도포를 위해 고정자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자의 상부에서 바니쉬액을 공급하며 바니쉬액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수평으로 배치된 고정자에 바니쉬액을 공급하는 경우, 고정자의 외주면으로는 바니쉬액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지만, 바니쉬액의 도포를 필요로 하이 않는 고정자의 내측까지 바니쉬액이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터의 출력은 고정자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의 턴(turn) 수에 비례한다. 여기서, 코일의 턴 수를 늘리게 되면 고정자 코어나 모터의 사이즈가 커지므로, 모터의 사이즈를 늘리지 않고 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자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의 점적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코일 권선에 원형 단면을 가지는 환형 코일을 사용하는 대신, 사각 단면을 가지는 각형 코일(flat coil)을 사용하는 방안이 활발히 모색되고 있다.
각형 코일의 경우 단면 형태로 인해 환형 코일에 비해 사공간을 줄이고 점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각형 코일의 경우 환형 코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코일 권선 작업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각형 코일의 코일 권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분리된 헤어핀을 고정자 코어에 각각 삽입 체결한 후, 각 헤어핀을 순차적으로 용접 접합시켜 코일 권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코일 권선이 형성된 모터(이하, '헤어핀 권선모터'로 지칭함)는, 대략 U자 또는 V자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헤어핀을 고정자 코어의 각 슬롯에 삽입 체결한 후, 각 슬롯에 배치된 헤어핀 간을 순차적으로 용접 접합시킴으로써, 고정자 코어의 코일 권선을 형성하게 되어, 각형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코일 권선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헤어핀을 사용하는 모터의 고정자에 대한 선행 기술로는 공개특허 2016-0028548호와 2019-0048745호를 예시할 수 있다.
헤어핀을 사용하는 모터의 고정자에 대하여 바니쉬액 도포 작업을 수행할 때, 바니쉬액이 헤어핀이 배치되는 슬롯의 틈새까지 침투하여 슬롯의 내측 공간까지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니쉬액을 오랜 시간 동안 토출해야 하므로, 전체 작업 시간이 증가한다.
여기서, 바니쉬액을 오랜 시간 동안 공급하는 동안, 고정자로 공급되는 바니쉬액이 고정자 상에서 바니쉬액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니쉬액의 도포를 위해 바니쉬액의 공급 시간이 증가되면 바니쉬액 공급 장비의 효율이 저하되고, 오랜 시간 동안 바니쉬액 공급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 고정자에 대한 바니쉬액 도포를 위한 바니쉬액의 공급 시 바니쉬액이 고정자의 필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니쉬액의 공급 시간을 감소시켜 공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고정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가이드를 통해 고정자의 상단으로 바니쉬액을 공급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어에 와이어가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모터의 고정자에 바니쉬액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자가 상면에 배치되는 배치부; 및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고정자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니쉬액을 자연 낙하시켜 공급하는 바니쉬액 공급부; 를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치부는, 상면에 상기 고정자가 배치되는 고정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중심으로는 제1 회전축 배치홀이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배치판과, 일단은 상기 고정자 배치홈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치판의 외부로 연장되는 바니쉬액 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판의 중심점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자 배치홈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자의 외주면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 배치홈의 내주로는 상기 고정자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바니쉬액 공급부는, 상기 제1 회전축 배치홀 상에 배치되되, 외주면은 상기 제1 회전축 배치홀의 내주와 이격되고, 일단으로는 구동 모터가 연결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고정자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 가이드로 전달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회전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로 상기 바니쉬액을 공급하는 메인 노즐과, 상기 회전 가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로 공급되는 바니쉬액을 상기 고정자 상단으로 자연 낙하시켜 공급하는 복수의 단위 노즐과,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상기 제2 회전축이 배치되되, 내주면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제2 회전축 배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내주면으로 상기 바니쉬액의 공급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노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노즐을 통한 상기 바니쉬액의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는 원뿔 형태일 수 있다.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주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확장판과, 상기 회전 가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바니쉬액의 임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판과,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저장판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임시 저장 공간의 바니쉬액이 튐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외주 측으로 상기 바니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링은, 상기 고정자의 상단으로 배치되는 차단링 본체와, 상기 차단링 본체의 외주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자의 외주측으로 배치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차단링 본체의 내주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와이어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모터 고정자에 대한 바니쉬액 도포를 위한 바니쉬액의 공급 시 바니쉬액이 고정자의 필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니쉬액의 공급 시간을 감소시켜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고정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가이드를 통해 고정자의 상단으로 바니쉬액을 공급함으로써, 헤어핀을 사용하여 배치된 모터 코일의 세부까지 바니쉬액이 침투하여 모터 고정자에 대해 균일한 바니쉬액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터 고정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가 사용되는 바니쉬액 도포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치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치판 상에 고정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에서 사용하는 차단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조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이용한 바니쉬액의 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가 사용되는 바니쉬액 도포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니쉬액 도포 시스템(10)의 소정 위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100)가 복수로 배치되고, 소정의 바니쉬액 저장탱크(1000)에서는 바니쉬액을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110)로 공급한다. 그리고, 바니쉬액의 도포가 완료되면 고정자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100)는 배치부(110) 및 바니쉬액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바니쉬액 도포 대상물은 헤어핀을 사용하여 코일이 고정되는 고정자(1)이지만, 헤어핀을 사용하지 않는 고정자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배치부(110)는 바니쉬 도포 대상인 도포 작업 중 상면으로 고정자(1)가 배치되고, 바니쉬액 도포 작업 중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배치부(110)는 배치판(112)과 바니쉬액 배출로(118)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치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치판 상에 고정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배치판(112)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배치판(112)은 소정의 두께와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배치판(112)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배치판(112)의 상부면으로는 바니쉬액 도포 대상인 고정자(1)가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자(1)는 양단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자(1)의 배치와 배치 상태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치판(112)의 상부면으로는 고정자(1)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자 배치홈(114)이 형성된다.
고정자 배치홈(114)은 배치판(112)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되, 배치판(112)의 중심점 주위를 따라 소정의 폭과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자 배치홈(114)으로는 고정자(1)의 일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고정자 배치홈(114)의 직경은 고정자(1)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자 배치홈(114)은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진행하며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고정자 배치홈(114)은 소정의 폭을 갖는다. 여기서, 고정자(1)의 삽입과 바니쉬액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자 배치홈(114)의 폭은 고정자(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자 배치홈(114)의 내주면과 고정자(1)의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1)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자(1)에 대한 도포를 위해 공급된 바니쉬액 중 도포되지 않은 여분의 바니쉬액이 고정자(1)를 따라 흐른 후, 고정자 배치홈(114) 저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자 배치홈(114)의 중간부에는 걸림턱(115)이 돌출된다. 걸림턱(115)에는 고정자(1)의 코어(C)의 측단이 걸리도록 하여, 고정자(1)의 하단이 고정자 배치홈(114)의 저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자 배치홈(114)의 입구의 일측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고정자 배치홈(114)의 입구의 단면 형상은 깔때기와 같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치판(112)의 상부면에 고정자(1)를 배치할 때 고정자(1)의 일단이 고정자 배치홈(11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자 배치홈(114)의 상단 양측 중, 배치판(112)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이 경사지게 배치되지만, 고정자 배치홈(114)의 상단에서 배치판(112)의 외주 측 가장자리가 경사지거나, 배치판(112)의 중심측과 외주 측 가장자리가 함께 경사질 수 있다.
바니쉬액 배출로(118)의 일단은 고정자 배치홈(114)의 하단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배치판(112)의 와부로 연장되어, 고정자 배치홈(114)의 내측으로 유입된 바니쉬액을 배치판(112)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배치판(112)의 중심으로는 소정 직경을 갖는 제1 회전축 배치홀(116)이 형성된다. 제1 회전축 배치홀(116) 상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축(136A)이 배치된다.
바니쉬액 공급부(130)는 배치판(112)에 배치된 고정자(1)의 상부에서 회전하며 고정자(1)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바니쉬액을 공급하여, 고정자(1)에 바니쉬액이 도포되도록 한다.
바니쉬액 공급부(130)는 제1 회전축(136A), 회전 가이드(132), 제2 회전축(136B), 메인 노즐(142), 단위 노즐(144) 및 차단부(138)를 포함한다.
제1 회전축(136A)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고, 배치판(112)에 형성된 제1 회전축 배치홀(116) 상에 배치된다. 제1 회전축(136A)의 일단으로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후술하는 제2 회전축(136B)이 연결된다.
제1 회전축(136A)의 직경은 제1 회전축 배치홀(116)의 직경보다 작아, 제1 회전축(136A)의 외주면은 제1 회전축 배치홀(116)의 내주면과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1 회전축(136A)의 외주면은 제1 회전축 배치홀(116)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어, 제1 회전축(136A)과 배치판(112)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제1 회전축(136A)은 회전하지만, 고정자(1)가 배치된 배치판(112)은 회전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회전축(136A)과 제1 회전축 배치홀(116)의 이격 상태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회전축(136A)과 제1 회전축 배치홀(116)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2)는 고정자(1)의 상부에 배치된다. 회전 가이드(132)는 제1 회전축(136A)의 구동력을 후술하는 제2 회전축(136B)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한다.
여기서, 회전 가이드(132)의 직경은 고정자(1)의 직경에 대응한다. 또한, 회전 가이드(132)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진행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으로는 바니쉬액이 공급된다.
회전 가이드(132)의 가장자리에는 확장판(133), 저장판(134) 및 커버(135)가 배치될 수 있다.
확장판(133)은 회전 가이드(132)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과 소정의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장판(133)은 회전 가이드(13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저장판(134)은 확장판(133)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배치되어, 회전 가이드(132)의 가장자리에 후술하는 메인 노즐(142)을 통해 공급된 바니쉬액의 임시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커버(135)는 확장판(133)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태로서, 저장판(134)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바니쉬액의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된 바니쉬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으로는 후술하는 메인 노즐(142)을 통해 바니쉬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바니쉬액은 경사면을 따라 후술하는 단위 노즐(144)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2 회전축(136B)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고, 회전 가이드(132)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제2 회전축(136B)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이드(132)가 연동되도록 한다.
제2 회전축(136B)의 일단은 제1 회전축(136A)의 일단과 연결되어, 제1 회전축(136A)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회전축(136A)과 제2 회전축(136B)의 연결은 세레이션(serration) 연결 구조 또는 고정핀 등 다양한 방식의 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메인 노즐(142)은 회전 가이드(132)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으로 바니쉬액을 공급한다. 메인 노즐(142)을 통해 공급된 바니쉬액은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이드(132)의 가장자리로 이동한다.
단위 노즐(144)은 회전 가이드(132) 가장자리의 확장판(133)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때, 단위 노즐(144)은 고정자(1)의 직상부에 배치된다.
단위 노즐(144)은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을 따라 공급되는 바니쉬액을 자연 낙하 방식으로 낙하시키며 고정자(1)의 상단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단위 노즐(144)에는 바니쉬액의 공급을 단속하는 소정의 밸브(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차단부(138)는 고정자(1)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단위 노즐(144)을 통해 공급된 바니쉬액이 고정자(1)의 내주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138)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는 개방된다. 그리고, 차단부(138)의 중심축상으로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제2 회전축 배치홀(139)이 형성되고, 제2 회전축 배치홀(139) 상에는 제2 회전축(136B)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회전축 배치홀(139)의 직경은 제2 회전축(136B)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어, 제2 회전축(136B)의 외주면은 제2 회전축 배치홀(139)의 내주와 이격된다. 따라서, 제2 회전축(136B)이 회전하여도 제2 회전축(136B)의 회전력은 차단부(138)로 전달되지 않아, 제2 회전축(136B)과 차단부(138)는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제2 회전축(136B)은 회전하지만, 차단부(138)는 회전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2 회전축(136B)과 제2 회전축 배치홀(139)의 이격 상태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회전축(136B)과 제2 회전축 배치홀(139)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차단링(150)은 고정자(1)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공급되는 바니쉬액의 일부가 고정자(1)의 외주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에서 사용하는 차단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100A)는 배치부(110) 및 바니쉬액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100)는 차단링(150)을 더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단링(150)은 차단링 본체(152), 제1 연장부(154) 및 제2 연장부(156)를 포함한다.
차단링 본체(152)는 소정 직경을 갖는 링 형태로서, 고정자(1)의 코어(C)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코어(C)에 권선된 와이어(w)는 차단링 본체(152)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제1 연장부(154)는 차단링 본체(152)의 외주 둘레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제1 연장부(154)는 고정자(1)의 외주 상부에 배치된다.
제2 연장부(156)는 차단링 본체(152)의 내주 둘레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156)는 와이어(w)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공급되는 바니쉬액이 와이어(w)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조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3에 도시된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배치판(112)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자 배치홈(114)에 바니쉬액 도포 대상물인 고정자(1)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자(1)를 배치한다.
이후, 사용자는 바니쉬액 공급부(130)를 고정자(1) 상부에 배치한다. 즉, 단위 노즐(144)이 고정자(1)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회전 가이드(132)를 배치하고, 제2 회전축(136B)은 제1 회전축(136A)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차단부(138)는 고정자(1)의 내측에 배치된다.
차단부(138)까지 배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를 이용한 바니쉬액의 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제1 회전축(136A)이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 모터의 동작 개시와 동시에 메인 노즐(142)을 통해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으로 바니쉬액을 공급한다.
공급된 바니쉬액은 회전 가이드(132)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며, 회전 가이드(132) 가장자리의 확장판(133), 저장판(134), 커버(135)로 이루어진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
이후, 바니쉬액은 확장판(133) 하부에 배치된 단위 노즐(144)을 통해 하방으로 자연 낙하하며 고정자(1) 상단으로 공급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노즐(142)을 통해 필요로 하는 양의 바니쉬액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메인 노즐(142)을 폐쇄하여 더 이상의 바니쉬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메인 노즐(142)을 통해 공급된 기존의 바니쉬액은 확장판(133), 저장판(134), 커버(135)로 이루어진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태이다.
제1 회전축(136A)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임시 저장되어 있는 바니쉬액은 단위 노즐(144)을 통해 하방으로 자연 낙하하며 고정자(1) 상단으로 공급된다.
바니쉬액은 고정자(1) 상단으로 공급된 후 와이어(W)의 틈새를 통해 흐르며 도장이 이루어진다. 또한, 일부의 바니쉬액이 고정자(1) 상단에서 부딪히며 고정자(1) 내주면으로 튀는 것이 차단부(138)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차단부(138)는 측면이 고정자(1)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어, 고정자(1) 상단으로 공급된 바니쉬액이 고정자(1) 내주면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자(1) 상단으로 공급되는 바니쉬액은 와이어(W)의 사이까지 유입되며 도장되고, 남는 바니쉬액은 고정자(1)의 하단으로 통해 고정자 배치홈(114)으로 유입된다. 고정자 배치홈(114)으로 유입된 바니쉬액은 바니쉬액 배출로(1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고정자(1)에 대한 바니쉬액의 공급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회전 가이드(132)를 이탈시키고, 소정의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자(1)를 배치판(112)에서 이탈시킨다.
이탈된 고정자(1)는 별도의 경화 장치에 배치하여 바니쉬액의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의 고정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가이드를 통해 고정자의 상단으로 바니쉬액을 공급함으로써, 헤어핀을 사용하여 배치된 모터 코일의 세부까지 바니쉬액이 침투하여 모터 고정자에 대해 균일한 바니쉬액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고정자 100: 바니쉬액 도포장치
110: 배치부 112: 배치판
114: 고정자 배치홈 118: 바니쉬액 배출로
130: 바니쉬액 공급부 132: 회전 가이드
136A: 제1 회전축 136B: 제2 회전축
138: 차단부 142: 메인 노즐
144: 단위 노즐 150: 차단링

Claims (13)

  1. 코어에 와이어가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모터의 고정자에 바니쉬액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자가 상면에 배치되는 배치부; 및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고정자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니쉬액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바니쉬액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부는,
    상면에 상기 고정자가 배치되는 고정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중심으로는 제1 회전축 배치홀이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배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니쉬액 공급부는,
    상기 제1 회전축 배치홀 상에 배치되되, 외주면은 상기 제1 회전축 배치홀의 내주와 이격되고, 일단으로는 구동 모터가 연결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고정자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 가이드로 전달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회전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로 상기 바니쉬액을 공급하는 메인 노즐과,
    상기 회전 가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로 공급되는 바니쉬액을 상기 고정자 상단으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복수의 단위 노즐과,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상기 제2 회전축이 배치되되, 내주면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제2 회전축 배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내주면으로 상기 바니쉬액의 공급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일단은 상기 고정자 배치홈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치판의 외부로 연장되는 바니쉬액 배출로를 더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배치홈은,
    상기 배치판의 중심점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니쉬액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배치홈의 폭은 상기 고정자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 배치홈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자의 외주면은 지름 방향으로 이격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배치홈의 내주로는 상기 고정자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노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노즐을 통한 상기 바니쉬액의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는 원뿔 형태인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확장판과,
    상기 확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바니쉬액의 임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판과,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저장판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임시 저장 공간의 상기 바니쉬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측면은 상기 고정자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외주 측으로 상기 바니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링을 더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링은,
    상기 고정자의 상단으로 배치되는 차단링 본체와,
    상기 차단링 본체의 외주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자의 외주측으로 배치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차단링 본체의 내주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와이어와 이격되는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KR1020200075816A 2020-06-22 2020-06-22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KR10243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16A KR102434493B1 (ko) 2020-06-22 2020-06-22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16A KR102434493B1 (ko) 2020-06-22 2020-06-22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99A KR20210157699A (ko) 2021-12-29
KR102434493B1 true KR102434493B1 (ko) 2022-08-19

Family

ID=7917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816A KR102434493B1 (ko) 2020-06-22 2020-06-22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9733A (ja) * 2006-10-23 2008-05-08 Toyota Motor Corp ワニス処理方法及びワニス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9492B2 (ja) * 1996-05-30 2005-08-31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モーターステ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9733A (ja) * 2006-10-23 2008-05-08 Toyota Motor Corp ワニス処理方法及びワニス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99A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536B2 (en) Apparatus for wire coil lead placement in machinery for producing dynamo electric machine components
US7252260B2 (en) Winding method and winding apparatus
EP09705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lobed winding for the stator of an alternator
KR102434493B1 (ko) 모터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장치
KR930018812A (ko) 전동기
CA2329288C (en) Dynamo-electric machine stator winder methods and apparatus with loop-forming wire pullers
CN101902102A (zh) 定子线圈表面覆膜形成方法及涂料喷射装置
US6685127B2 (en) Method of winding armature of revolving-field electric machine and armature
US6062504A (en) Wire winding guide
EP0872852A2 (en) Universal cable take-off system
JP2003032935A (ja) 回転界磁型電気機器の電機子
US11028852B2 (en) Drain pump
EP1734162B1 (en) Device for removing the spindle shaft of a twisting unit
US20020162912A1 (en) Winding stator pole portions
JP3975808B2 (ja) 粉体樹脂浸漬処理装置
JPS6314575B2 (ko)
JP2004173452A (ja) 電動機用回転子
EP1282218A2 (en) Method of winding armature of revolving-field electric machine and armature
JP4317388B2 (ja) 水力発電装置
EP1276207A2 (en) Armature for revolving field electrical machine
JPS5823774Y2 (ja) コイルばねの整列装置
KR20210157697A (ko) 고정자의 바니쉬액 도포 장치
CN107332406B (zh) 定子落线方法、定子及电机
JP2011223858A (ja) アウタロータ用ステータコアへのパラ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KR102219336B1 (ko) 초코건빵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