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240B1 -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240B1
KR102433240B1 KR1020200137068A KR20200137068A KR102433240B1 KR 102433240 B1 KR102433240 B1 KR 102433240B1 KR 1020200137068 A KR1020200137068 A KR 1020200137068A KR 20200137068 A KR20200137068 A KR 20200137068A KR 102433240 B1 KR102433240 B1 KR 10243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rolling
cylinders
hold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760A (ko
Inventor
박송희
오정훈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0013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2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285Co-operating squeezing suppor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우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롤링부와, 상기 롤링부의 상기 실린더들을 상기 실린더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붙잡게 마련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실린더들의 사이로 상기 파우치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우치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Drink assisting apparatus for a pouch}
본 발명은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산업의 규모가 현저히 증가함에 따라 여러 형태의 식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액상 형태의 건강 보조 식품은 섭취의 편의성 등을 이유로 다양한 소비자 층에 의해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 보조 식품 중 일부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된 파우치에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있다.
한편, 파우치를 통해 내용물을 섭취할 경우 액상 물질이 파우치로부터 완전히 토출되지 아니함에 따라 현저한 낭비가 초래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 또는 노약자 등의 경우, 파우치 안의 내용물을 흘리거나 남김없이 섭취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파우치에 포장된 내용물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남김없이 섭취되는 것을 보조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는, 파우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롤링부와, 상기 롤링부의 상기 실린더들을 상기 실린더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붙잡게 마련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실린더들의 사이로 상기 파우치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우치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마련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는, 상기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말단이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홀더부와 함께 파지되도록,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턱에서 연장되는 보조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말단에서 상기 롤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상기 파우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2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재의 연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롤링부의 상기 실린더들이 내장되게 마련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파우치가 상기 롤링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상기 파우치가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가 롤링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가압되므로, 내용물이 남김없이 파우치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링부를 통과한 파우치가 걸림부에 의해 걸리므로, 파우치의 이탈 없이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파우치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구동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기본 구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는 파우치의 내용물을 신속하고 안정되게 파우치로부터 토출시키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구동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는 롤링부(10), 지지부(20), 홀더부(30) 및 걸림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우치에 대해 설명한다. 파우치는 유체인 내용물을 내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는 소정의 폭과, 두께와,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말단이 롤링부(10)에 먼저 삽입되도록, 파우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롤링부(10)를 통과할 수 있다. 파우치가 롤링부(10)를 통과하면서 파우치의 말단에 반대되는 측에서는 내용물이 파우치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부(10)는 실린더(11)를 두 개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11)는 파우치의 폭을 정의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11)는 파우치의 두께를 정의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11)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11)는 실린더(11)가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롤링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각각의 실린더(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실린더(11)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지지바디(21), 제1 개구(22) 및 제2 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21)는 각각의 실린더(11)를 내장할 수 있다. 지지바디(21)는 각각의 실린더(11)의 양단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바디(21)의 각각의 실린더(11)에 대한 연결은 나사를 이용한 결합일 수 있다. 지지바디(21)의 내측면은 각각의 실린더(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실린더(1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21)는 제1 개구(22)와 제2 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22)는 지지바디(2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22)를 통해 파우치가 길이 방향을 따라 롤링부(10)로 삽입되도록 제1 개구(22)의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23)는 제1 개구(22)가 배치된 지지바디(21)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길이 방향을 따라 롤링부(10)를 통과한 파우치가 롤링부(10)로부터 배출되도록 제2 개구(23)의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홀더부(30)는 지지부(20)에 결합되어 롤링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부(30)를 통해 사용자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를 붙잡을 수 있다.
홀더부(30)는 제2 개구(23)가 배치된 지지부(2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30)는 파우치가 롤링부(10)를 통과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부(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40)는 파우치가 소정 거리 이상 롤링부(10)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걸림부(40)는 걸림턱(41), 제1 걸림부재(42), 제2 걸림부재(43) 및 보조 홀더(4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41)은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말단이 걸리게 배치될 수 있다.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말단은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양단 중 롤링부(10)를 먼저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파우치의 말단이 롤링부(10)를 통과한 후 걸림턱(41)에 의해 걸림으로써, 파우치가 소정 거리 이상 롤링부(10)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2)는 홀더부(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30)의 일단은 지지부(20)에 인접한 곳일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2)와 홀더부(30)의 사이의 연결은 경첩 결합일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2)는 홀더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2)의 말단에는 걸림턱(4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43)는 제1 걸림부재(42)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43)는 제1 걸림부재(42)로부터 롤링부(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43)와 제1 걸림부재(42)의 연결부분에는 걸림턱(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43)는 롤링부(10)를 통과하는 파우치를 제1 걸림부재(42)와 제2 걸림부재(43)의 사이를 따라 걸림턱(41)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보조 홀더(44)는 걸림턱(41)에 연결되어 롤링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홀더(44)는 홀더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홀더(44)가 홀더부(30)와 함께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통과되는 파우치에 대한 간섭없이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를 붙잡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는 내용물이 파우치로부터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토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링부(10)를 통과한 파우치가 소정 거리 이상 롤링부(10)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1)들의 사이에 사용자의 입술이 끼는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우치의 내용물이 롤링부(10)에 묻어 롤링부(1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작동 과정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술한다.
먼저, 파우치의 말단이 먼저 롤링부(10)를 통과하도록 파우치가 롤링부(10)에 삽입될 수 있다. 롤링부(10)를 통과한 말단이 제1 걸림부재(42)와 제2 걸림부재(43)의 사이를 따라 롤링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파우치가 롤링부(10)를 통과할 수 있다. 파우치가 롤링부(10)를 통과함에 따라 파우치의 말단에 반대되는 측에서는 내용물이 파우치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2)와 제2 걸림부재(43)의 사이를 따라 진행되는 말단이 걸림턱(41)에 걸릴 수 있다. 말단이 걸림턱(41)에 걸림으로써 걸림턱(41)은 파우치가 소정 거리 이상 롤링부(10)를 통과하는 걸을 방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롤링부
11: 실린더
20: 지지부
21: 지지바디
22: 제1 개구
23: 제2 개구
30: 홀더부
40: 걸림부
41: 걸림턱
42: 제1 걸림부재
43: 제2 걸림부재
44: 보조 홀더

Claims (7)

  1. 파우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롤링부;
    상기 롤링부의 상기 실린더들을 상기 실린더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붙잡게 마련되는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말단에서 상기 롤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상기 파우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2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실린더들의 사이로 상기 파우치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우치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말단이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말단에 배치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4. 파우치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롤링부;
    상기 롤링부의 상기 실린더들을 상기 실린더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붙잡게 마련되는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파우치의 길이 방향 측의 말단이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해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걸림부재의 말단에 배치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실린더들 사이로 상기 파우치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파우치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홀더부와 함께 파지되도록,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턱에서 연장되는 보조 홀더를 더 포함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재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롤링부의 상기 실린더들이 내장되게 마련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파우치가 상기 롤링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상기 롤링부를 통과한 상기 파우치가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롤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KR1020200137068A 2020-10-21 2020-10-21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KR10243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68A KR102433240B1 (ko) 2020-10-21 2020-10-21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68A KR102433240B1 (ko) 2020-10-21 2020-10-21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60A KR20220052760A (ko) 2022-04-28
KR102433240B1 true KR102433240B1 (ko) 2022-08-18

Family

ID=8144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068A KR102433240B1 (ko) 2020-10-21 2020-10-21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2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652A (ja) 2005-07-15 2007-02-01 Yoshiyuki Saito ローラー式チューブ式製品絞り器
US20090120957A1 (en) 2007-11-09 2009-05-14 Michael Phillips Tube squeezer and method of squeezing a flexible tub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556U (ko) * 1986-06-09 1987-12-21
US4978034A (en) * 1989-07-27 1990-12-18 Philip Vishnevetsky Device for supporting a toothpaste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652A (ja) 2005-07-15 2007-02-01 Yoshiyuki Saito ローラー式チューブ式製品絞り器
US20090120957A1 (en) 2007-11-09 2009-05-14 Michael Phillips Tube squeezer and method of squeezing a flexibl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60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2014DN09063A (ko)
US7587882B2 (en)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package emptying station
KR102433240B1 (ko) 파우치용 섭취 보조 장치
DE60219688D1 (de) Verpackung, wie zum beispiel beutel, mit ausgerichteter aufreissöffnung
ATE406320T1 (de) Flasche für fluidprodukte, insbesondere pharmazeutische, medizinische und kosmetische produkte
CN108974601B (zh) 清洁用擦拭巾套件
EP3131518B1 (de) Mehrkammerbeutelöffnungshilfe
CN101133277A (zh) 用于以防止污染的密封方式互连诸如管件或导管的细长元件的端部的方法和装置
FR2798369B1 (fr) Emballage renforce pour produits pouvant s'ecouler
BRPI0701900A (pt) máquina para cortar, abrir e descarregar carteiras de cigarros tipo flip - top e para selecionar cigarros em conformidade descarregados das carteiras
WO2002067837A3 (en) Tampon pack
CY1112099T1 (el) «σωμα» συσκευασιας
PL360176A1 (en) Method of cleaning of at least one glue nozzle of the machine used in tobacco or packaging industry, method of operating the appliance for applying glue on this machine and use of a belt designed to clean at least one glue nozzle of the machine used in tobacco or packaging industry, also the machine for tobacco or packaging industry
PL328364A1 (en) Package for holding particulate matter
NL190659B (nl) Inrichting voor het bewerken en transporteren van produkten, toe te passen in een verpakkingsmachine, in het bijzonder voor het sluiten en transporteren van buidelverpakkingen voor tabak.
WO2004009446A3 (fr) Machine pour emballer des objets dans un film tubulaire souple
AU2001263779A1 (en) Package for rod-shaped articles along with accessories comprising inspection windows
AU2005234980B2 (en) Tubular sachet pack
EP0926079A3 (fr)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e transport de produits liquides ou en poudre
ITMC20030033U1 (it) Svita-tappi universale
EP2896580A1 (de) Blisterverpackung
IL140083A0 (en)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f contamination in injection liquids
FR2881398B1 (fr) Etui de conditionnement pour tube
AU2003219512A1 (en) Device for separating the signatures advancing in the form of bundles along conveyor belts
ITBO20000358A0 (it) Linea per l'avanzamento di confezioni blister e per lo scarto delle confezioni difettose .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